•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 연구"

Copied!
2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발간등록번호 11-1371546-000009-01.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 연구. 2017. 9.

(2)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 연구 / 국립세종도서관 [편]. -- [세종] : 국 립세종도서관, 2017 201p. ; cm ISBN 979-11-5638-007-8 93020 : 비매품 장서 개발[藏書開發] 024.1-KDC6 025.2-DDC23. CIP2017024676.

(3) 제. 출. 문 국립세종도서관 귀하. 본 보고서를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 연구’의 최종 보고 서로 제출합니다. 2017. 9. 연구기관 및 연구진  연구기관.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 윤 희 윤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공동연구자. :. 장 덕 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김 신 영 (경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오 선 경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연구보조원. :. 이 재 민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김 일 영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김 경 희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구 본 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전 승 환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이 경 희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4) 이 연구는 2017년도 국립세종도서관 연구개발비로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책 제안이나 의견 등은 국립세종도서관의 공식의 견이 아니라 본 연구진의 개인 견해임을 밝혀 둡니다.. - iv -.

(5) 연구 요약. 1. 연구과제명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 연구. 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013년말에 개관한 국립세종도서관의 태생적 및 본질적 정체성은‘세종시에 위치하는 정부부처 및 관련 연구기관을 위한 정책정보 중심의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분관’이고, 이 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정체성인‘세종시 거주자를 위한 지식문화 및 평생학습 요람 인 동시에 공공도서관 기능을 병행하는 복합 문화기반시설’임. . 현 단계에서 국립세종도서관이 본질적 및 사회적 정체성을 정립하는 동시에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요체는 중장기 발전계획에 입각한 정책정보 중심의 장서개발정책 수립과 실천임. 충실한 장서개발과 체계적인 보존관리가 전제되지 않으면 ‘국립중앙도 서관 주제분관’이라는 명분과 국가를 대표하는 ‘정책정보 특화도서관’이라는 위상 뿐만 아니라 정체성 논란은 계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임. . 이에 본 연구는 <그림 1>처럼 정책정보의 적극적 개발과 부존 자원화를 통한 대한민국 정책정보센터로서의 구심력 강화와 그것의 원심력을 이용한 지식정보서비스 극대화를 가장 시급한 과제로 판단하여 복합적 정체성(정책정보 특화 도서관 + 세종시 거주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 세종시 지식문화기반시설)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미래 핵심역량 강화 에 필수조건인 통합형 장서개발정책을 수립․제안하였음. - v -.

(6)  국립세종도서관의 정체성  . 태생적·본질적 정체성 : 정책정보 중심의 특화도서관 파생적·사회적 정체성 : 세종시 복합 문화기반시설. ② 현단계 장서개발정책 아래 세부지침의 한계. ① 중장기 비전(정책정 보서비스 주도)의 선 제적 대응과 실천. ⑤ 세종시립도서관 건립에 따른 정책정보 특화서 비스 필요성.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 ③ 본관과의 자료수집 및 대출서비스의 상 이성. ④ 이용계층의 다양화(성인, 어린 이·청소년, 취약계층) 전략 마련. . 국립세종도서관의 정체성 및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통합형 장서개발정책 수 립.  연구의 목적. <그림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연구의 범위와 주요 방법 (1) 연구의 범위 . 국립세종도서관의 양대 이용집단인 정부 부처 및 연구기관을 위한 정책정보서비스와 일반 대중을 위한 보편적인 지식정보서비스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통합형 장서개발정책 기본모 형과 세부지침을 제시하였음. . 장서개발정책에 포함될 특화형 정책정보 및 대중용 일반자료의 구체적 범위는 정책사이클, 수집(개발)방법, 자료유형(수록매체), 주제범위 등으로 구분하였음 ① 정책사이클 : 각종 정책의 의제화에서 평가 및 피드백까지 각 단계에 필요한 정책자료 및 관련자료를 포괄하였음. - vi -.

(7) ② 수집(개발)방법 : 국내자료의 납본수집과 구입, 외국자료의 구입(라이선스 계약), 미납본 및 미소장 소급자료의 영인․복제, 국책연구기관 대상의 대량 수증(관리위탁), 웹정보자원 의 다운로드 및 디지털 아카이빙 등을 망라하였음 ③ 자료유형(수록매체) : 시장에서 재화로 유통되는 인쇄자료(도서, 비도서)와 비인쇄자료(마 이크로자료, 시청각자료), 라이선스 계약형 온라인 및 오프라인 자료, 인터넷 정보자원, 기타 자료(문서 등)를 포괄하였음 ④ 주제범위 : 국립세종도서관 자료분류법(KDC)에서 정하는 모든 주류를 망라하되, 주류 및 강목별 정책자료 수집․개발에 우선순위를 두었음 . 정책정보에 방점을 둔 통합형 장서개발의 기본모형과 세부지침을 제시함으로써 장서개발 정책의 실용성과 실천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음. . 기타 국내외 정책정보를 총괄하는 국가보존센터 및 타임캡슐로서의 책무와 역량을 강화하 기 위하여 정부기관 및 주요 국책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정책자료 수집 및 소장현황을 파악 하고 대량 기증 또는 관리위탁을 위한 전략적 협력방안을 제안하였음. (2) 연구의 주요 방법과 대상 .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사례조사, 온라인 설문, 전문가 의견수렴을 적용하였음 ① 문헌조사 :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에 필요한 이론적 정보와 관련자료(국내외 정책정보 생산․유통 현황 등 학술서, 학술논문,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정책문서, 웹정보 자원, 통계데이터, 웹사이트 등) ② 사례조사 : 국내외 주요 관종의 장서개발정책(국내 정책정보 관련 기관의 장서개발정책, 주요 선진국 및 국내 관종의 장서개발정책, 선정․제적지침, 법적 근거 등), 국내에서 정책 정보 수집이 많은 기관의 장서개발정책, 선정․제적지침 등 ③ 온라인 설문, 현장방문, 인터뷰 : 국내 주요 정책정보 수집기관 등, 국립세종도서관의 환 경, 장서, 이용행태 분석, 주요 정책정보 수집기관의 의견과 인식, 국립세종도서관의 환 경과 장서구성과 특징, 이용행태 및 인식 ④ 전문가 의견 수렴 : 장서개발정책 모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자문의견과 제안. - vii -.

(8) 4. 장서개발정책 모형(안) (1) 장서개발의 대상과 범주 . 장서개발 대상과 범주는 자료유형, 수록매체, 언어 및 생산주체, 정책사이클로 구분하여 제 안하였음 ① 자료유형별 범주는 특화형 정책정보서비스와 대중형 지식정보서비스를 동시에 충족시키 는 방향으로 설정해야 함. 전자를 위한 주요 대상은 정책자료 및 정책관련 회색문헌, 웹 DB, 디지털 파일, 후자 중 정책 및 관련내용을 다룬 자료 등으로 나눌 수 있고, 후자는 통상 일반도서, 참고자료, 대중잡지, 시청각자료 등으로 대별할 수 있음. 양자를 개발하 는 방법은 납본수집 및 국내외 최신자료의 선별적 구입, 정책정보 수집기관 등의 수증, 소급자료의 영인․복제 또는 디지털 마이그레이션, 인터넷 사이트 자료의 다운로드 등이 자료유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어야 함 ② 매체별 범주는 대중형 일반자료와 특화형 정책정보를 불문하고 인쇄자료, 시청각 등 특 수자료, 전자자료(상용 서지․원문DB와 패키지형 전자잡지, 전자책, 디지털 파일)를 포괄하 는‘아날로그와 디지털을 융합한 하이브리드형’을 지향해야 함. 다만, 정책정보는 인쇄 자료와 전자자료, 대중자료는 인쇄자료와 시청각 등 특수자료에 치중하는 것이 바람직함 ③ 주제별 범주는 특화형 정책정보와 대중형 지식정보를 불문하고 한국십진분류법(KDC)의 모든 주류를 망라해야 함. 다만, 국내 대중자료는 본관에서 납본수집하고 세종관은 상업 용 자료에 한하여 구입하지만 주류별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은 무의미한 반면에 국내 정책정보는 사회과학, 과학기술, 인문예술, 문학, 역사, 종교의 순으로 개발에 무게중심을 두는 것이 바람직함 ④ 언어 및 생산주체별 대상은 정책정보에 국한하여 적용하되, 언어별 범주는 영어권, 독일 어권, 프랑스어권 등과 한자권, 북한 등의 자료에 우선순위를 두고, 생산주체별 범주는 국제기구(UN, OECD, UNESCO 등), 대륙별 국가연합체(EU, OPEC 등), 주요 국제 민간기구(IS O 등), 선진국의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주요 국가를 대표하는 주제별 단체․연구기관 으로 한정하여 정책과 관련된 공공간행물, 통계자료집, 정책보고서, 법령자료, 학술대회 자료, 박사논문 등을 전략적으로 수집해야 함 ⑤ 정책사이클별 범주는 <표 1>과 같이 정책 의제화에서 평가 및 피드백까지의 전 과정에. - viii -.

(9) 유용한 정책정보 및 관련자료임. 이를 위한 자료의 유형은 정책자료 및 관련 회색문헌, 웹DB, 디지털 파일 등, 매체는 하이브리드형(아날로그 자료 + 디지털 정보), 주제는 총류 에서 역사까지, 언어는 주요 서양언어와 한자권 자료, 생산주체는 국제기구, 주요 국가연 합체 및 국제 민간기구 자료와 선진국 공공간행물에 방점을 두어야 함 <표 1>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 개발의 범주 및 대상 구분. 주요 내용. 정책정보의 개념.  국가 및 사회적 문제를 의제화하여 정책메뉴로 확정․수립한 후에 집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까지 각각에 유용한 정책정보 및 관련자료  공식적으로 간행된 자료 : 과거 정책수립자료, 정책백서, 정책평가지표, 정 책평가보고서, 예비타당성 분석자료, 환경영향평가서, 법령자료, 통계데이. 정책정보. 터, 예결산자료, 단행본, 학술논문(국내외 정책관련 국책연구기관, 공공기관, 학협회, 대학연구소의 정책관련 학술지와 기관지에 게재된 정책연구 및 정 책평가 논문), 인터넷 정보 등 . 국내외 각종 회색문헌 : 조사연구보고서, 자문회의 자료, 세미나 자료, 학술대 회자료, 토론공청회 ․ 자료, 민원요청 자료, 학위논문, 주요 대학 및 출판사 자 료, 디지털 자료(학술논문, 보고서, 언론기사, 인터넷 정보 등). 정책정보 및. . 관련자료의 범주. 정책사이클별 관련자료의 범주는 다음과 같음 . 정책 의제화 단계 : 국정기조 및 국가계획, 부처별 중장기 계획과 로 드맵, 지방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발전계획, 법령과 기준, 조사연구. 관련자료. 보고서, 주요 단행본, 이슈자료, 토론․세미나자료, 언론기사, 민원요청 자료 등 . 정책수립 및 집행 단계 : 과거 정책자료, 예결산자료, 관계법령과 기 준, 통계데이터, 예비타당성 분석자료, 환경영향 평가자료, 자문회의 자료, 조사연구보고서, 단행본, 학술논문, 학위논문, 인터넷 정보 등. . 정책평가 및 피드백 단계 : 정책백서, 평가지표, 평가보고서 등. 자료유형  정책자료 및 관련 회색문헌, 웹DB, 디지털 파일 등 매체 주력 개발해 야 할 정책정 보의 대상. 주제 언어 생산주체.  하이브리드형(아날로그 자료 + 디지털 정보)  모든 주제(총류-역사)를 개발하되 그 비중은‘사회과학 > 과학기술 > 예술 > 어문학 > 역사 > 종교’의 순으로 우선함  주요 서양언어(영어, 독일어, 불어 등) 및 한자권 자료에 주력함  국제기구, 주요 국가연합체 및 국제 민간기구, 주요 선진국 공공간행물, 정 책연구기관 간행물, 정책관련 학회지. - ix -.

(10) (2) 정책정보 개발의 전략 . 국립세종도서관이 본질적 정체성을 대변하는 정책정보 특화도서관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서는 국가적 및 사회적 정책문제를 의제화․메뉴로 확정한 후에 집행․평가하는 단계까지 필 요하거나 유용한 정책정보 및 관련자료를 적극 개발․보존하고 서비스해야 함. . 주요 정책정보 유형과 생산주체를 연계한 전략적 개발수준은 WLN Conspectus에 기반하여 <표 2>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로 제시하였음. 최신 정책자료 중 국내 자료는 납본수집 및 구입을 전제로 망라적으로 확보하고, 주요 선진국 및 OECD 자료․국제기구․외국 저명대학의 자료는 연구수준을 지향하며, 주요 비정부기구 및 북한자료는 교육지원수준을 유지할 필요 가 있음. 소급자료 중 국내 자료와 한국관련 외국 자료는 기본정보수준이 바람직함 <표 2>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 개발의 매트릭스 모형 정책정보. 생산주체. 주요 정책정보 유형아날로그 ( + 디지털) 계획 자료. 백서 연감. 통계 정보. 법령 각종 학술 자료 보고서 논문. 학술 저서. 학위 논문. 세미나 예결산 토론자료 자료. 국내 자료 선진국 및 OECD 자료 최신 주요 국제기구 자료 자료 외국 저명대학 자료 주요 비정부기구 자료 북한자료 소급 국내 자료 자료 한국관련 외국 자료 WLN Conspectus. 망라적 수준. 연구수준. 교육지원수준. 기본정보수준.  기본정보수준(2단계) : 정책사이클 및 정책메뉴별 기초지식과 개요에 필요한 사전, 서지DB, 주요 공공간행물, 학술저서, 역사자료, 편람, 정기간행물을 납본, 구입, 라이선스 확보 등의 방식으로 수집함  학습교육지원수준(3단계) : 정책사이클(의제화-평가)에 필요한 특정 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추가유지하는 ․ 수 비고. 준으로 광범위한 기본도서, 주요 소급자료, 대표적인 학술지, 적절한 데이터파일, 참고도서 및 기본서지 등 을 납본, 구입, 라이선스 확보, 영인복제 ․ 등의 방식을 적용하여 수집함  연구수준(4단계) : 국내외에서 생산된 정책메뉴별 계획자료, 주요 서지DB와 학술지, 주제별 참고도서, 포괄적 인 단행본, 연구보고서, 각종 회색문헌 등을 최대한 지원하는 수준으로 구입, 라이선스 확보, 수증과 위탁관. - x -.

(11) 리, 영인복제 ․ , 디지털 다운로드 및 아카이빙 등 모든 수집방법을 적용함  망라적 수준(5단계) : 모든 주요 자료를 수집하는 수준으로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에는 적용하지 않음. (3) 장서개발정책의 기본원칙 .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은 중장기 비전(국내외 정책정보서비스를 주도하는 국립세종 도서관)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6대 전략적 목표(한국 정책정보 수집․아카이브센터, 하이브 리드형 정책정보서비스 구심체, 정책정보 중심의 국립전문도서관, 국내외 정책정보에 대한 접근․이용의 게이트웨이, 세종시 문화활동 및 평생학습 거점, 국내 도서관․지식문화 생태계 를 대표하는 관광명소)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함. . 따라서 장서개발정책의 기본원칙은 <그림 2>처럼‘정책정보 개발과 정책정보서비스 극대 화’를 위한 무한 책임성, 다품종화, 전략적 개발, 접근․이용성의 극대화에 방점을 두어야 하며, 이를 보완 내지 보강하는 차원에서 대중을 위한‘지식정보의 최적화 및 랜드마크 화’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함. ① 정책정보 개발보 ․ 존의 무한 책임성 ⑥ 지식정보 중  한국 정책정보 수 ② 수집매체의 심의 랜드마 집・아카이브센터  하이브리드형 다품종화 크화  세종시 문화 정책정보서비 활동․ 평생학  국내외 정책정보서 스 구심체 습 거점  도서관․ 지식 문화 생태계 관광명소 ⑤ 대중자료의 최적화. 비스를 주도하는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 접근․ 이용게이트웨이.  정책정보 중 심의 국립전 문도서관 ③ 정책정보의 전략적 개발. ④ 디지털 가상서고의 접근성 극대화. <그림 2>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기본원칙. - xi -.

(12) (4) 장서개발정책의 기본모형 .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은 <그림 3>처럼 총 11개 영역(서문, 장서개발의 주 체와 대상, 장서개발 기본지침, 정책사이클별 개발지침, 수집방법별 개발지침, 자료유형(매 체)별 개발지침, 언어별 및 생산주체별 개발지침, 주제별 개발 및 집서수준 지침, 국가장서 보존관리 지침, 전략적 협력개발 지침, 장서개발정책 관리주체 및 개정주기)으로 구성하여 <표 Ⅳ-5>에서 구체적으로 제안하였음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기본구조  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기본원칙  수집기준  수증기준  다운로드․ 아 카이빙 기준.  정책 정보 개발 세부 지침. 1. 서 문 2. 장서개발의 주체, 대상과 방법 3. 장서개발 기본지침  일반 4. 정책사이클별 개발지침 자료 5. 수집방법별 개발지침 개발 6. 자료유형별 및 매체별 개발지침 세부 7. 언어별 및 생산주제별 개발지침 지침 8. 주제별 개발 및 집서수준 지침 9. 국가장서 보존관리 지침 10. 전략적 협력개발 지침 11. 장서개발정책 관리주체 및 개정주기.  기본원칙  수집기준  자료유형․ 매체 별 기준  주제별 기준.  보존관리 세부지침  기본원칙  자료보존관리기준  자료제적 및 폐기기준. <그림 3>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기본구조. (5) 장서개발정책의 세부지침 .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에 따른 세부지침은‘정책정보 개발, 일반자료 개 발, 국가장서 보존관리’로 구분하되, 정책정보 개발은 기본원칙, 수집기준, 수증기준(관리 위탁 포함), 다운로드 및 아카이빙기준으로, 일반자료 개발은 기본원칙, 수집기준, 자료유형 및 매체별 기준, 주제별 기준으로, 국가장서 보존관리는 기본원칙, 자료보존관리기준, 자료 제적 및 폐기기준으로 각각 세분하여 <표 Ⅳ-7-9>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음.

(13) Summary. 1. Purpose of the Research .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National Sejong Library which was opened at the end of 2013. The identity of the library is a subject branch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hich is centered on policy information for government departments and related research institutes located in Sejong City, and a cultural complex that is a cradle of knowledge culture and a lifelong learning of Sejong Citizens.. . Currently, the strategic orientation of National Sejong Library to establish the essential social identity and to enhance its capacity is to establish policy practice and development centered on policy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mid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 A. sound. collection. development. and. systematic. preservation. management, thus, will not only strengthen the status as a subject branch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but also firm the status of a special library for policy information service. . In this report, we focus on strengthening the centripetal force as the policy information center of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 active development of policy information and resources, and on the developing and maximizing the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 using its collection. In addition, the role of a public library for Sejong City residents, of an infrastructure for knowledge culture of Sejong City and of a integrat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which. is. a. prerequisite. competence of National Sejong Library.. 2. Scope and Methods of the Research. - xiii -. for. strengthening. future.

(14) (1) Scope . This research Provided basic model and detailed guidelines for integrat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of National Sejong Library which satisfies both policy information service for government department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al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 for general public.. . The specific scope of specialized policy information and general public materials to be included in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are divided into policy cycle, collection development method, type of materials, and subject range.. ① Policy cycle: It encompasses the policy and related materials required for each stage from the formulation of various policies to evaluation and feedback. ② Acquisition method: Purchase and donation of domestic materials, purchase of foreign materials (licensing agreement), recruitment and reproduction of uncollected books, copying, mass donation(management trust) of research institutes, web information resources, and digital archiving. ③ Type. of. materials. :. Print. materials. (books,. non-books) and. non-print. materials. (microforms, audiovisual materials), online and offline materials, Internet information resources and other materials Etc.) ④ Subject Scope: It covers all the subjects defined by the National Sejong Library Classification, but priority can be set for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 Suggestions are made to guarantee the applicability and practicality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by presenting basic model and detailed guidelines of integrated collection development based on policy information.. . In order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and capacity as a national conservation center and time capsule that oversees policy information both domestic and abroa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ollection and collection status of policy materials for government agencies and maj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by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 xiv -.

(15) (2) Methods . Major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online questionnaires, and expert opinion.. ① Literature. review. :. Theoretical. information. and. related. materials. (national. and. international policy informati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atus, scholarly books, dissertation, research report, policy document, web information resource, statistical data, website Etc.) ② Case study : Collection policies of other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collection policy development of domestic policy information institutions, collection policies development of selected institutions in some case countries and domestic agencies, selection guidelines, legal basis, etc.)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selection and weeding guidelines of other institutions. ③ Online questionnaires, site visits, interviews : Analysis of the library environment, collection, and usage patterns of National Sejong Library and other major policy information service agencies in Korea. Opinion of major policy information collection agencies,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 of National Sejong Library. ④ Expert opinion : Expert group consultations and suggestions on the propos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model.. 3.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Model (1) The scope and categories of collection development . The scope and categories of collection development are divided into type of materials, media characteristics, language and type of producer, and policy cycle.. ① The categories by type of materials should be set to satisfy both the specialized policy information service and general public information service. The former can be classified into policy documents and policy-related gray literature, web DB, and digital files. The latter can be divided into general books, reference materials, magazines, and. - xv -.

(16) audiovisual materials. The method of developing both collection is based on the legal deposit, purchase of domestic and foreign latest materials, the donation of the policy information. collection. agencies,. reproduction. or. digital. migration. of. retrospective. materials. ② The category of media characteristics is classified into 'analog', which includes all kinds of general public type materials and specialized policy information, including print, audiovisual materials, electronic materials (commercial bibliography, original text DB and packaged electronic magazine).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focus on special information such as print and electronic materials for policy information, print and audiovisual materials for public services. ③ The subject category should cover all disciplines by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for both specialized policy information and general knowledge information. However, since domestic general materials mainly depend on legal deposits, it is not necessary to give priority to the mainstream, while domestic policy information focuses on social science, science and technology, arts, literature, history. ④ The category of language and the producer shall be applied only to the policy information. The language categories are given priority in the English, German, French, written Chinese and North Korean categories. Materials of OECD, UNESCO, etc. and EU, OPEC, major international civilian organizations (ISO etc.),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f developed countries, government publications, statistical data, policy reports, statutory materials, academic conference materials, and dissertations. ⑤ The categories of policy cycle are policy information and related materials which are useful for the whole process from policy formulation to evaluation and feedback. The types of materials are as follows: policy data and related gray literature, web DB, digital files (analog + digital information). Topics in languages such as Western language should focus 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ajor national associations and international civilian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publications in developed countries.. (2)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y Information. - xvi -.

(17) . In order to establish National Sejong Library’s essential identity as a branch library specialized in policy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the national and social policy and establish necessary and useful policy inform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in terms of collection, preservation and service.. . Based on the WLN Conspectus, the level of strategic development applied to the types of policy information is presented in a matrix structure. In other words, among the latest policy information, domestic materials are collected by purchase and donation. Proposed collection depth for the materials of major developed countries and OECD material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foreign universities are set to research level.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secure the basic information level of domestic materials and foreign materials related to Korea among retrospective materials.. (3) Principle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 The National Sejong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s based on the mid- to long-term vision (the National Sejong Library which are the center for collecting and archiving Korea's public policy information; hybrid. policy information service center;. world's largest special library for policy information service; global gateway for the access and use of policy information; foundation for Sejong citizens' cultural and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and famous tourist attraction representing the ecology of library/ knowledge culture of Sejong special administrative district) . Therefore, the basic principle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hould focus on maximizing accountability, strategic development, accessibility for policy information development and policy information service maximization.. (4) The basic model of the National Sejong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 The basic model of the National Sejong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consists of 11 areas including preface, subject and object of collection development, basic guidelines for collection development, development guidelines for each policy cycle, development guidelines for each collection method, and materials type.. - xvii -.

(18) National Sejong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Fundamental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1. Introduction 2. Subject, subject and method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formation Development>. 3. Basic Guidelines for Collection Development 4. Guidelines for development by policy cycle. <General Collection Development>.  Basic Principles. 5. Development Guidelines by Collection Method.  Basic Principles.  Acquisition Criteria. 6. Guideline for Development by Material Type and Medium.  Acquisition Criteria.  Criteria donation  Criteria downloading archiving. for for and. 7. Development Guidelines by Language and Production Theme 8. Thematic Development and Mission-Level Guidelines.  Criteria for Type of Materials  Criteria for Subject of Materials. 9. National Collection Preservation Management Guidelines 10. Strategic cooperation development guidelines 11.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Management Subject and Amendment Period. <Preservation Guideline>  Basic principles  Preservation Criteria  Weeding and Discard criteria. <Fig 1> Basic structure of National Sejong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 xviii -.

(19) (5) Detailed guidelines for the National Sejong Library Collection Policy . Detailed guidelines for the National Sejong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Model i s divided into policy information development, general collection development, and prese rvation guideline. Policy information development is divided into basic principles, acquisiti on criteria, criteria for donation, criteria for downloading and archiving. General material s development shall be divided into basic principles, acquisition. criteria, criteria for type. of Materials, and criteria for subject of materials. Preservation guideline divided into bas ic principles, preservation criteria, and weeding and discard criteria. <Fig 1> shows the s tructure in detail.. - xix -.

(20) 목. 차.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의 범위와 주요 방법 ············································································································ 3 3. 연구의 추진체계 및 흐름도 ········································································································ 4 4. 연구의 특징 및 기대효과 ············································································································ 6 II. 국내외 정책정보 및 장서개발정책 분석 ·················································································· 7 1. 국내외 정책정보 생산·유통 현황 ······························································································· 7 2. 국내외 관종별 장서개발정책 사례 ·························································································· 29 3. 국내 정책정보 수집기관의 현황과 기증 수요 ······································································· 67 III.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구성 및 이용행태 분석 ······································································ 90 1. 기본적 정책성과 역할 ··············································································································· 90 2. 장서구성의 현황과 특징 ··········································································································· 92 3. 장서 및 서비스의 이용행태 ······································································································ 96 4. 장서 및 서비스 중심의 SWOT 분석 ···················································································· 108 IV.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모형 ···················································································· 112 1. 중장기 비전과 전략적 목표 ··································································································· 112 2. 장서개발의 범주와 전략 ········································································································· 116 3. 장서개발정책의 원칙과 기본모형 ·························································································· 124 4. 장서개발정책의 세부지침 ······································································································· 151 V. 요약 및 결론 ····························································································································· 182 참고문헌 ···························································································································································· 191 부록(설문지) ···················································································································································· 195. - xx -.

(21) 표 목 차 <표 Ⅰ-1> 연구의 주요 방법 및 적용대상 ······················································································ 4 <표 Ⅱ-1> USA.gov 웹사이트 제공 정보 ······················································································· 9 <표 Ⅱ-2> GovSpot.com 카테고리 메뉴 ······················································································ 10 <표 Ⅱ-3> Gov.uk 메뉴 구성 ········································································································· 11 <표 Ⅱ-4> 국립중앙도서관 OASIS 자원수집 방침 및 대상 ······················································· 17 <표 Ⅱ-5> 국립중앙도서관 OASIS 웹자원 수집현황(2004-2016) ··········································· 17 <표 Ⅱ-6> 공공간행물 발행기관 현황(2017. 2) ·········································································· 20 <표 Ⅱ-7> 최근 5년간 국내 석박사학위 취득자 동향 ································································ 21 <표 Ⅱ-8> 최근 5년간 외국 박사학위 취득자 동향 ···································································· 22 <표 Ⅱ-9> 문화체육관광부 등록 연속간행물 현황(2014-2016) ··············································· 23 <표 Ⅱ-10> 잡지 성격(내용)별 발행 현황(2014. 12) (단위 : %) ············································ 24 <표 Ⅱ-11> 한국연구재단 등록 학술지 발행기관별 현황(2017. 6) ·········································· 24 <표 Ⅱ-12> 한국연구재단 등록 학술지 주제별 발행 현황(2017. 6) ········································ 25 <표 Ⅱ-13> 대한출판문화협회 통계 기준 국내 출판도서 현황(2013-2015) ·························· 26 <표 Ⅱ-14>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공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구성 및 내용 ···························· 29 <표 Ⅱ-15> 미국 먼로카운티 공공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구성 및 내용 ································ 30 <표 Ⅱ-16> 미국 보스턴 공공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구성 및 내용 ········································ 31 <표 Ⅱ-17> 일본 도쿄도립도서관 자료수집방침의 구성 및 내용 ············································· 32 <표 Ⅱ-18> 일본 요코하마 시립도서관 자료수집기준의 구성 및 내용 ···································· 33 <표 Ⅱ-19> 일본 사이타마 현립도서관 자료수집기준의 구성 및 내용 ···································· 34 <표 Ⅱ-20> 영국 버밍엄도서관 자료수집기준의 구성 및 내용 ················································· 35 <표 Ⅱ-21> 미국 컬럼비아 대학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구성 및 내용 ···································· 36 <표 Ⅱ-22> 영국 옥스퍼드 대학도서관 장서관리정책의 구성 및 내용 ···································· 37 <표 Ⅱ-23> 일본 호세이 대학도서관 자료수집방침의 구성 및 내용 ········································ 38 <표 Ⅱ-24> 미국 국립의학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구성 및 내용 ············································· 39 <표 Ⅱ-25> 영국 웰컴도서관 장서관리정책의 구성 및 내용 ····················································· 40 <표 Ⅱ-26> 영국 데이터 서비스 장서개발정책의 구성 및 내용 ··············································· 41 <표 Ⅱ-27> 대구수성구립도서관 장서개발지침의 주요 내용과 범위 ········································ 43. - xxi -.

참조

관련 문서

디지털

기업임무를 달성하기 위한 기업 전략 수립 및 기술전략(하위전략)의 우선순위와 자원배분 결정. 기업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획득 등)

디지털 구동 방식 구동영역 유기 EL의 응용

 엔터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 스토리텔링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디지털 콘텐츠들을 주로 제작하는 스토리텔링으로 디지 털 영화, 디지털 애니메이션,

이를 위해 자관 실정에 맞는 도서관자동화시스템을 선정·개발 하기 위한 전략 및 계획 수립, 도서관 업무 분석, 기능 설정 등 내부적인 조정, 타기관도서관자동화시스템

이를 위해,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 실태 를 농촌산업 경영체의 관점과 수요자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나아가 디지털 플랫 폼의 활용에 관한 농촌산업 경영체의

아울러 디지털 매체는 무한하고 다양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예술 매체로 받아 들이는 데에는 대단한 저항이 뒤따르고 있다.우리가 자주 듣는 “컴퓨터 아트가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기계공학적 응용과 산업현장에서의 적용성 을 높이고자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사용하여 시험편의 표면 거칠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