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BS 올림포스 기하 답지 정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EBS 올림포스 기하 답지 정답"

Copied!
6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올 림 포 스. 기하.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1. 2019-07-02 오전 9:24:23.

(2) 정답과 풀이 Ⅰ. 이차곡선. 01. -{k-;2#;}=k에서 k=;4#;. 이차곡선. 기본 유형 익히기 1. 7. 2. ;4#;. 3. 48 . 4. 10. 3.. 5. 2'5. 타원의 두 초점 F, F'이 y축 위에 있고 PFÓ+PÕF'Ó=8'2 . 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2b=8'2 에서 b=4'2 . 포물선 xÛ`=12y=4_3_y의 초점은 F(0, 3)이고 준선. 의 방정식은 y=-3이다. y.  48. 4.. P. 2xÛ`+yÛ`-12x+2y+11=0에서. 2(xÛ`-6x+9)+(yÛ`+2y+1)=8, 2(x-3)Û`+(y+1)Û`=8 x. O y=-3. 또 aÛ`=bÛ`-4Û`=32-16=16 따라서 aÛ`+bÛ`=16+(4'2 )Û`=48. xÛ`=12y. F. (x-3)Û` (y+1)Û` + =1 4 8. H. 점 P의 y좌표를 a라 하고 점 P에서 준선 y=-3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타원. (x-3)Û` (y+1)Û` yÛ` xÛ` + =1을 x축의 + =1은 타원 4 4 8 8.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PÕHÓ=PFÓ=10이므로. 타원 . a-(-3)=10, a=7 따라서 점 P의 y좌표는 7이다. 7. 2..  ;4#;. 본문 8~10쪽. 유제. 6. '6. 1.. 따라서 직선 ㉠이 점 (-1, 0)을 지나므로. xÛ`+4x-2y+2k=0에서. yÛ` xÛ` + =1의 두 초점의 좌표가 (0, 2), (0, -2)이므 4 8. 로 타원. (x-3)Û` (y+1)Û`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4 8. (0+3, 2-1), (0+3, -2-1), 즉 (3, 1), (3, -3)이다. 따라서 a=1, b=-3 또는 a=-3, b=1이므로. xÛ`+4x+4=2y-2k+4. aÛ`+bÛ`=1+9=10. (x+2)Û`=2{y-(k-2)}.  10. 포물선 (x+2)Û`=2{y-(k-2)}는 포물선 xÛ`=2y를 x축의 방 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k-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포물선 xÛ`=2y=4_;2!;_y의 초점의 좌표는 {0, ;2!;}이므로 포물선 (x+2)Û`=2{y-(k-2)}의 초점의 좌표는 {0-2, ;2!;+k-2}, 즉 {-2, k-;2#;} 이다.. 포물선 xÛ`=20y=4_5_y의 초점의 좌표는 (0, 5)이고 yÛ` xÛ` 쌍곡선 - =-1의 한 초점과 포물선 xÛ`=20y의 초점이 aÛ` bÛ` 일치하므로 yy ㉠. aÛ`+bÛ`=25 . 따라서 초점 {-2, k-;2#;}을 지나고 기울기가 k인 직선의 방 정식은 y-{k-;2#;}=k(x+2). 5.. yy ㉠. 또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 b b x, y=- x이고 한 a a. 점근선의 방정식이 y=;2!; x이므로 b =;2!; 에서 a=2b  a. 이때 xÛ`+2x+yÛ`=0에서 (x+1)Û`+yÛ`=1이므로 직선 ㉠은. ㉡을 ㉠에 대입하면 4bÛ`+bÛ`=25, bÛ`=5. 원의 중심 (-1, 0)을 지나야 원의 둘레의 길이를 이등분한다.. b>0이므로 b='5. 2. yy ㉡. 올림포스•기하.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2. 2019-07-02 오전 9:24:24.

(3) b='5 를 ㉡에 대입하면 a=2'5 . 두 점 A, B에서 포물선의 준선 x=-1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 따라서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2b이므로. 각 H, I라 하고, 점 A의 x좌표를 xÁ, 점 B의 x좌표를 xª라 하 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ÕHÓ=AFÓ, BIÓ=BFÓ이므로. 2b=2'5  2'5. 6.. ABÓ=AFÓ+BFÓ=AÕHÓ+BIÓ yy ㉠. =(xÁ+1)+(xª+1)=xÁ+xª+2. 이때 xÁ, xª는 포물선 yÛ`=4x와 직선 y=x-1의 교점의 x좌. xÛ`-4x-2yÛ`+4y+5=0에서. (xÛ`-4x+4)-2(yÛ`-2y+1)=-3. 표이므로 이차방정식 (x-1)Û`=4x, 즉 xÛ`-6x+1=0의 두. (x-2)Û`-2(y-1)Û`=-3. 실근이다.. (x-2)Û` (y-1)Û` =-1 3 ;2#;.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쌍곡선. xÁ+xª=6. (x-2)Û` (y-1)Û` yÛ` xÛ` =-1은 쌍곡선 - =-1 3 3 ;2#; ;2#;. 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주어진 쌍곡선과 쌍곡 선. yÛ` xÛ` - =-1의 주축의 3 ;2#;. 길이는 같다. . 이므로 ㉠에서 ABÓ=xÁ+xª+2=6+2=8 ④ 참고.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차방정식 axÛ`+bx+c=0`(a+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① 두 근의 합:`a+b=-;aB; ② 두 근의 곱:`ab=;aC;. 따라서 구하는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2_® ;2#; ='6.  '6. 02 포물선 yÛ`=4x의 초점은 F(1,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1이다.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점 H의 좌표는 (-1, b)이다.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유형 확인 01 ④ 06 ④ 11 ② 16 ②. 본문 11~13쪽. 02 4'3 07 9 12 ③ 17 ②. 03 ③ 08 ④ 13 ② 18 ④. 04 ⑤ 09 ① 14 ②. 05 ⑤ 10 ③ 15 6. 삼각형 FPH의 둘레의 길이가 12이므로 FHÓ‌ =12-2(a+1)=10-2a  포물선의 준선 x=-1과 x축이 만나는 점을 Q라 하면 삼각형 FHQ가 직각삼각형이므로 bÛ`+4=(10-2a)Û`. 01 포물선 yÛ`=4x의 초점을 F라 하면 F(1, 0)이다. y. y=x-1 yÛ`=4x. H. PFÓ=PHÓ=a+1. A. yy ㉠. 이때 점 P(a, b)가 포물선 위의 점이므로 bÛ`=4a. yy ㉡. ㉡을 ㉠에 대입하면 4a+4=(10-2a)Û`, aÛ`-11a+24=0 (a-3)(a-8)=0 0<a<5이므로 a=3. O I. B. F. x. 따라서 삼각형 FPH는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삼각형이고 그 넓 이는. '3 _4Û`=4'3 4  4'3. x=-1.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3. 3. 2019-07-02 오전 9:24:24.

(4) 정답과 풀이. 03 포물선 xÛ`=4py의 초점은 F(0, p)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y=-p이다. xÛ`=4py. y Q H'.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포물선 ㉡의 초점의 좌. P. 표는 {. F O H. x y=-p. b aÛ` - , -a}이다. 4 b. 두 포물선 ㉠, ㉡의 초점이 같으므로. 포물선 위의 점 P에서 준선 y=-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b aÛ` - =0, -a=;2!; 4 b 따라서 a=-;2!;, b=1이므로. PHÓ=PFÓ=3 점 P에서 선분 FQ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 하면 삼각형 PQF가 한 변의 길이가 3인 정삼각형이므로 점 H'은 선분 FQ의 중점이다. . aÛ` }  yy ㉡ b b b 포물선 yÛ`=bx=4_ _x의 초점의 좌표는 { , 0}이고 포 4 4 aÛ` 물선 ㉡은 포물선 yÛ`=bx를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y축의 b (y+a)Û`=b {x+. b-a=1-{-;2!; }=;2#; ⑤. 즉, FH'Ó=;2#; . 06 yÛ`+4y-6x+10=0에서. 따라서 3=2p+;2#; 에서. (y+2)Û`=6(x-1). yÛ`+4y+4=6x-6 포물선 yÛ`=6x=4_;2#;_x의 초점의 좌표는 {;2#;, 0}이고 포. p=;4#; ③. 물선 (y+2)Û`=6(x-1)은 포물선 yÛ`=6x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04 yÛ`-8x-6y+41=0에서. 포물선 (y+2)Û`=6(x-1)의 초점의 좌표는 {;2#;+1, 0-2},. yÛ`-6y+9=8x-32 (y-3)Û`=8(x-4). 즉 {;2%;, -2} 이다.. 포물선 (y-3)Û`=8(x-4)는 포물선 yÛ`=8x를 x축의 방향으. 포물선 (y+2)Û`=6(x-1)을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포물선 yÛ`=8x=4_2_x의 초점의 좌표는 (2, 0)이고 준선.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초점의 좌표는 . 의 방정식은 x=-2이므로 포물선 (y-3)Û`=8(x-4)의 초. {;2%;+m, -2+n}. 점의 좌표는 (2+4, 0+3), 즉 (6, 3)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 포물선 xÛ`=4y의 초점의 좌표는 (0, 1)이고. x=-2+4=2이다.. 포물선 (x-3)Û`=4(y-1)은 포물선 xÛ`=4y를 x축의 방향으. 따라서 a=6, b=3, c=2이므로. 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a+b+c=11. 포물선 (x-3)Û`=4(y-1)의 초점의 좌표는 ⑤. (0+3, 1+1), 즉 (3, 2). yy ㉠. yy ㉡. 이때 ㉠, ㉡이 일치하므로 ;2%;+m=3, -2+n=2. 05 y=;2!; xÛ`에서 xÛ`=2y=4_;2!;_y 포물선 ㉠의 초점의 좌표는 {0, ;2!; }이다. yÛ`+2ay=bx에서. 4. yy ㉠. 따라서 m=;2!;, n=4이므로 m+n=;2(; ④. 올림포스•기하.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1.indd 4. 2019-07-03 오후 1:20:27.

(5) 07 0<k<25에서 타원. yÛ` xÛ` + =1의 두 초점은 y축 위에 k 25. 있고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yy ㉠. PFÓ+PF'Ó=2_5=10  삼각형 FPF'의 둘레의 길이가 18이므로. 09 두 점 A, B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4인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타원이다. 두 점 A, B의 중점 {. 2+4 -1-1 }, 즉 (3, -1)이 타원 , 2 2. 의 중심이 되므로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을 yy ㉡. PFÓ+PF'Ó+FF'Ó=18  ㉠, ㉡에 의하여 FF'Ó=8. (x-3)Û` (y+1)Û` + =1`(a>0, b>0)이라 하면 aÛ` bÛ`. 25-k=16. (x-3)Û` (y+1)Û` xÛ` yÛ` + =1은 타원 + =1을 x축의 aÛ` bÛ` aÛ` bÛ`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k=9. 타원. 두 초점이 F(0, 4), F'(0, -4)이므로 타원. yÛ` xÛ` + =1에서 k 25. 9. 08 타원. yÛ` xÛ` + =1에서 c='Ä16-7=3이므로 16 7. 타원. (x-3)Û` (y+1)Û` + =1의 두 초점이 A(2, -1), aÛ` bÛ` xÛ` yÛ` B(4, -1)이므로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aÛ` bÛ` (-1, 0), (1, 0)이다. ¿¹aÛ`-bÛ`=1이므로. 두 초점은 F(3, 0), F'(-3, 0). yy ㉠. aÛ`-bÛ`=1. y. 또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 2a=4에서 a=2 F'. O. 60ù H F. a=2를 ㉠에 대입하면. x. 4-bÛ`=1, bÛ`=3 그러므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은. yÛ xÛ -+- =1 16 7. 타원 위의 점 P에서 선분 FF'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x-3)Û` (y+1)Û` + =1 4 3. PFÓ=t라 하면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즉, 3xÛ`+4yÛ`-18x+8y+19=0. PFÓ+PF'Ó=2_4=8이므로. 따라서 p=3, q=4, r=-18, s=8이므로. PF'Ó=8-t. p+q+r+s=-3 ①. 직각삼각형 PHF에서 HFÓ=t cos`60ù=;2!; t이므로. 다른풀이.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F'HÓ=6-;2!; t. PAÓ+PBÓ=4이므로. ¿¹(x-2)Û`+(y+1)Û`+¿¹(x-4)Û`+(y+1)Û`=4. 두 직각삼각형 PHF, PHF'에서 PHÓ Û`=PFÓ Û`-FHÓ Û`=PF'Ó Û`-FÕ'HÓ Û`이므로. ¿¹(x-2)Û`+(y+1)Û`=4-¿¹(x-4)Û`+(y+1)Û`. tÛ`-{;2!; t}Û`=(8-t)Û`-{6-;2!; t}Û`.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t=:Á5¢: .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따라서 PHÓ=. x-7=-2¿¹(x-4)Û`+(y+1)Û`. '3 '3 14 7'3 이므로 삼각형 PF'F의 t= _ = 2 2 5 5. 따라서 p=3, q=4, r=-18, s=8이므로 p+q+r+s=-3. 넓이는 ;2!;_F'FÓ_PHÓ=;2!;_6_. 3xÛ`+4yÛ`-18x+8y+19=0. 7'3 21'3 = 5 5 ④. 10 2xÛ`-4x+yÛ`+2ky-44=0`(k>0)에서 2(x-1)Û`+(y+k)Û`=kÛ`+46.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5. 5. 2019-07-02 오전 9:24:25.

(6) 정답과 풀이 양변을 kÛ`+46으로 나누면. ('Ä16-b+a, 3), (-'Ä16-b+a, 3). 2(x-1)Û` (y+k)Û` + =1 kÛ`+46 kÛ`+46. yy ㉠. yÛ` xÛ` 타원 ㉠은 타원 + =1을 x축의 방향으로 1 kÛ`+46 kÛ`+46 2 만큼, y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두 초점. 즉, -'Ä16-b+a=1이므로 yy ㉡. a-1='Ä16-b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7 따라서 a+b=4+7=11. ②. 사이의 거리는 변하지 않는다. 이때 타원. yÛ` xÛ` + =1에서 kÛ`+46 kÛ`+46 2. yÛ`. kÛ`+46 kÛ`+46 ÈÇÉkÛ`+46 =ÈÇ É  이므로 두 초점의 좌표는 2 2 {0, ÈÇ É. 12 xÛ`- 3 =1에서 '¶1+3=2이므로 두 점 A(2, 0), B(-2, 0)은 주어진 쌍곡선의 두 초점이다. y. kÛ`+46 kÛ`+46 }, {0, -ÈÇ É } 2 2. P. 두 초점 사이의 거리가 10이므로. yÛ` xÛ`--=1 3. kÛ`+46  =10 2ÈÇ É 2 kÛ`+46 ÈÇ É  =5 2. B(-2, 0). O. A(2, 0). x. Q. 양변을 제곱하면 kÛ`+46 =25, kÛ`=4 2.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k>0이므로 k=2. BPÓ-APÓ=2 . yy ㉠. BQÓ-AQÓ=2 . yy ㉡. ③ (x-a)Û` (y-3)Û` 타원 =1의 두 초점의 좌표가 + 16 b. 11. (1, 3), (b, 3)이므로 타원의 중심은 { {. 1+b 3+3 }, 즉 , 2 2. ㉠+㉡을 하면 BPÓ+BQÓ-(APÓ+AQÓ)=4 BPÓ+BQÓ‌=APÓ+AQÓ+4 =PQÓ+4 =8+4=12 따라서 삼각형 BPQ의 둘레의 길이는. 1+b , 3}이다. 2. BPÓ+BQÓ+PQÓ=12+8=20. (x-a)Û` (y-3)Û` yÛ` xÛ` 타원 =1은 타원 + =1을 x축의 + 16 16 b b. ③.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13 두 점근선 y=;2!;x, y=-;2!; x의 교점이 원점이므로 쌍곡. (x-a)Û` (y-3)Û` =1의 중심은 (a, 3)이다. + 16 b 1+b 따라서 =a에서 2 타원 . yy ㉠. 2a=1+b  이때 타원. 선의 중심은 원점이다. . yÛ` xÛ` + =1의 두 초점의 좌표가 16 b. ('Ä16-b, 0), (-'Ä16-b, 0) 이므로 타원. 6. (x-a)Û` (y-3)Û`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 16 b. 또 쌍곡선 위의 점 (2, '2 )가 한 점근선 y=;2!; x의 위쪽에 있 으므로 쌍곡선의 초점은 y축 위에 있다. 따라서 쌍곡선의 방정식을 yÛ` xÛ` - =-1`(a>0, b>0) aÛ` bÛ` 이라 할 수 있다.. 올림포스•기하.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6. 2019-07-02 오전 9:24:25.

(7) yÛ` xÛ` + =1 (a>b>0)이라 하면 aÛ` bÛ`. 이 쌍곡선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이 y=;2!;x, y=-;2!; x이므로. 타원 C의 방정식을. b 1 = 에서 a=2b  a 2. 타원 C의 두 초점이 F, F'이므로. yy ㉠. yy ㉠. aÛ`-bÛ`=5 . 이 쌍곡선이 점 (2, '2 )를 지나므로 4 2 - =-1 aÛ` bÛ`. yy ㉡. 또 타원 C의 단축의 길이가 4이므로 yy ㉡. 2b=4에서 b=2 . ㉠을 ㉡에 대입하면. ㉡을 ㉠에 대입하면. 4 2 - =-1, bÛ`=1에서 b=1 4bÛ` bÛ`. aÛ`-4=5, aÛ`=9에서 a=3. b=1을 ㉠에 대입하면 a=2. 2a=2_3=6. 따라서 타원 C의 장축의 길이는. xÛ` 따라서 주어진 쌍곡선의 방정식은 -yÛ`=-1이므로 4. 6. 구하는 주축의 길이는 2_1=2 ②. 16 두 점근선 y=x-1, y=-x+3의 교점이 (2, 1)이므로 쌍곡선의 중심은 (2, 1)이다. 이때 쌍곡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주축은 x축과 평행하다.. yÛ` xÛ` 쌍곡선 =1에서 'Ä4+12=4이므로 두 초점의 4 12. 14. 좌표는 (-4, 0), (4, 0)이다. y. 이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b b (x-2)+1, y=- (x-2)+1 a a b 이므로 =1에서 a=b  a y=. P P'. B. O. (x-2)Û` (y-1)Û` =1 (a>0, b>0) aÛ` bÛ` 이라 할 수 있다.. yÛ xÛ ---=1 4 12. A. 따라서 쌍곡선의 방정식을. B'. x. yy ㉠. 이 쌍곡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점 B(-4, 0)은 쌍곡선의 초점이고, 또 다른 초점을 B'(4, 0) 이라 하면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yy ㉡. ㉠을 ㉡에 대입하면 4 1 - =1에서 aÛ`=3 aÛ` aÛ`. PBÓ-PB'Ó=4 선분 AB'이 쌍곡선과 만나는 점을 P'이라 하면. 즉, 주어진 쌍곡선의 방정식은. APÓ+PBÓ‌=APÓ+(PB'Ó+4) =(APÓ+PB'Ó)+4. 이 쌍곡선은 쌍곡선. ¾(AP'Ó+P'B'Ó)+4 =AB'Ó+4. 4 1 - =1  aÛ` bÛ`. (x-2)Û` (y-1)Û` =1이다. 3 3. yÛ` xÛ` - =1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3 3.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 ="Ã3Û`+4Û`+4=5+4=9. yÛ` xÛ`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6, 0), (-'6, 0) 3 3 (x-2)Û` (y-1)Û` 이므로 쌍곡선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3 3 쌍곡선. 따라서 APÓ+PBÓ의 최솟값은 9이다. ②. (2+'6, 1), (2-'6, 1)이다. . 15 쌍곡선 xÛ`-4yÛ`=4, 즉. xÛ` -yÛ`=1의 두 초점을 4. F(c, 0), F'(-c, 0) (c>0)이라 하면 c='Ä4+1='5 이므로. 따라서 pr+qs‌=(2+'6 )(2-'6 )+1_1 =-2+1=-1. F('5 , 0), F'(-'5 , 0). ②.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7. 7. 2019-07-02 오전 9:24:26.

(8) 정답과 풀이. 17 쌍곡선. (x-m)Û` (y-n)Û` =-1은 쌍곡선 4 bÛ`. 따라서 쌍곡선. '5 x이므로 구하는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2. yÛ` xÛ` - =-1을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 4 bÛ`. y=-.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y-3=. 쌍곡선 y=. yÛ` xÛ` - =-1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이 4 bÛ`. 곡선. '5 '5 (x-1), y-3=(x-1) 2 2. 따라서 두 점근선의 y절편은 각각 -. b b b 3 x, y=- x이므로 = 에서 b=3 2 2 2 2. 이때 쌍곡선. yÛ` '5 xÛ` x, - =1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y= 2 4 5. yÁ+yª=-. (x-m)Û` (y-n)Û` =-1의 두 점근선은 쌍 4 9. '5 '5 +3+ +3=6 2 2. '5 '5 +3, +3이므로 2 2. ④. yÛ` xÛ` - =-1의 두 점근선을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 4 9. 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 서술형. y-n=;2#; (x-m)에서 y=;2#; x-;2#; m+n. 연습장. 01 -4 02 24. y-n=-;2#; (x-m)에서 y=-;2#; x+;2#; m+n. 본문 14쪽. 03 7. 따라서 -;2#; m+n=7, ;2#; m+n=1이므로 이 두 식을 연립하. 01 36 + 20 =1에서 'Ä36-20=4이므로 두 점 . 여 풀면 . C(4, 0), D(-4, 0)은 주어진 타원의 두 초점이다.  yy ➊. m=-2, n=4. 두 점 A, B가 타원 위의 점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그러므로 b+m+n=3-2+4=5 ②. xÛ`. yÛ`. ACÓ+ADÓ=12  . yy ㉠  . BCÓ+BDÓ=12. yy ㉡   yy ➋. ㉠-㉡을 하면. 18 쌍곡선의 두 초점이 F(4, 3), F'(-2, 3)이므로 쌍곡선 의 중심은 {. 4-2 3+3 }, 즉 (1, 3)이다. , 2 2. (ACÓ-BCÓ)+(ADÓ-BDÓ)=0 ADÓ-BDÓ=-(ACÓ-BCÓ) 이때 ACÓ-BCÓ=4이므로. 이때 두 초점이 x축에 평행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이 쌍곡선을. yy ➌. ADÓ-BDÓ=-4.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쌍곡선의 방정식을.  -4 단계. yÛ` xÛ` - =1 (a>0, b>0) aÛ` bÛ` 이라 할 수 있다. yÛ` xÛ` - =1과 평행이동하기 전의 쌍곡선 주축의 길이 aÛ` bÛ` 4와 같으므로 yy ㉠. yÛ` xÛ` 또 쌍곡선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aÛ` bÛ`. 20`%. ➋. 타원의 정의를 이용하여 두 점 A, B에서 초점에 이르는 거리의 합이 12임을 알아내고 두 식을 세 운 경우. 40`%. ➌. ADÓ-BDÓ의 값을 구한 경우. 40`%. 02 yÛ`-4x+8=0에서 yÛ`=4x-8, yÛ`=4(x-2). (4-1, 3-3), (-2-1, 3-3), 즉 (3, 0), (-3, 0)이므로 aÛ`+bÛ`=9 . 비율. 두 점 C, D가 타원의 초점임을 안 경우. 쌍곡선. 2a=4에서 a=2 . 채점 기준. ➊. yy ㉡. 포물선 yÛ`=4(x-2)는 포물선 yÛ`=4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을 ㉡에 대입하면. 포물선 yÛ`=4x의 초점의 좌표는 (1,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4+bÛ`=9, bÛ`=5. x=-1이므로 포물선 yÛ`=4(x-2)의 초점의 좌표는. 8. 올림포스•기하.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8. 2019-07-02 오전 9:24:26.

(9) (1+2, 0), 즉 (3,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1+2=1 yy ➊. 이다. 그러므로 점 A는 포물선 yÛ`=4(x-2)의 초점이다.. yy ㉡  . 9bÛ`=8_(aÛ`+bÛ`) ㉠을 ㉡에 대입하면 bÛ`=8 bÛ`=8을 ㉠에 대입하면 aÛ`=1. y. yy ➌. 따라서 |aÛ`-bÛ`|=|1-8|=7. H. O. 양변을 제곱하면. P. 2 A(3, 0). 7 x.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쌍곡선의 초점을 이용하여 aÛ`+bÛ`의 값을 구한 경우. 30`%. ➋. 원의 중심과 두 점근선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 지름의 길이와 같음을 이용하여 a와 b의 사이 의 관계식을 구한 경우. 40`%. ➌. |aÛ`-bÛ`|의 값을 구한 경우. 30`%. x=1 yÛ`=4(x-2). 점 P(a, b)에서 준선 x=1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AÓ=PÕHÓ=a-1 PAÓ=3이므로 yy ➋. a-1=3에서 a=4 점 P(a, b)는 포물선 yÛ`=4(x-2) 위의 점이므로. 내신. bÛ`=4(a-2) 이 식에 a=4를 대입하면 bÛ`=8 yy ➌. 따라서 aÛ`+bÛ`=4Û`+8=24.  2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포물선의 초점의 좌표와 준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40`%. ➋. 포물선의 정의를 이용하여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➌. aÛ`+bÛ`의 값을 구한 경우. 20`%. 01 ②. +. 수능. 02 ②. 고난도 문항. 03 ③. 01 포물선 yÛ`=8x=4_2_x의 초점은 F(2, 0)이고 준선 의 방정식은 x=-2이다. y HÁ. l. P. A. O. 03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넓이가 8p이므로. Hª. prÛ`=8p에서 rÛ`=8. B. x=-2. 포물선과 직선 l이 만나는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xÁ, xª. yy ㉠   yy ➊. 점 F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2'2 인 원이 두 점근선 에 동시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F(3, 0)과 두 점근선 y=Ñ. b  x, 즉 bxÑay=0 사이의 거리가 2'2 이다. 즉 a. |3b| =2'2 "ÃaÛ`+bÛ` |3b|=2'2_"ÃaÛ`+bÛ`. H yÛ`=8x. yÛ` xÛ` 쌍곡선 - =1의 한 초점이 F(3, 0)이므로 aÛ` bÛ` aÛ`+bÛ`=9. x. F. Q. r>0이므로 r=2'2 . "ÃaÛ`+bÛ`=3에서. 본문 15쪽. yy ➋. 라 하고, 두 점 A, B에서 준선 x=-2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 각 HÁ, Hª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FÓ=AHÁÓ=xÁ+2, BFÓ=BHªÓ=xª+2이므로 ABÓ‌=AFÓ+BFÓ  =(xÁ+2)+(xª+2) =xÁ+xª+4 이때 ABÓ=9이므로 xÁ+xª=5 사각형 APQB가 사다리꼴이고 그 넓이가 15'2 이므로.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9. 9. 2019-07-02 오전 9:24:27.

(10) 정답과 풀이 즉, PQÓ=2'2, F'FÓ=4'2이고. ;2!;_(xÁ+xª)_PQÓ=;2!;_5_PQÓ=15'2. 직각삼각형 PHF에서. 에서 PQÓ=6'2 선분 QB의 연장선에 점 A에서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직각삼각형 ABH에서. 따라서 사각형 PQF'F의 넓이 S는. S=;2!;_(2'2+4'2 )_'7=3'¶14. BHÓ=A E¿ABÓ Û`-AÕHÓ Û`=¿¹9Û`-(6'2 )Û`=3 따라서 직선 l의 기울기는. PHÓ=A EPFÓ Û`-HFÓ Û`=¿¹3Û`-('2 )Û`='7. AHÓ 6'2 = =2'2이므로 직선 l의 3 BHÓ. 이므로 SÛ`=126 ②. 방정식은 y=2'2 (x-2), 즉 y=2'2x-4'2. yÛ`. 03 쌍곡선 xÛ`- 3 =1에서 'Ä1+3=2이므로. 그러므로 직선 l의 y절편은 -4'2이다. ②. 두 초점은 F(2, 0), F'(-2, 0) 두 점 F', Q는 점 P를 중심으로 하는 원 위의 점이므로. 02 타원. yÛ` xÛ` + =1에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16 k. PF'Ó=PQÓ y. yÛ xÛ`- - =1 3. PF'Ó+PFÓ=2_4=8 조건으로부터 PF'Ó-PFÓ=2이므로 PF'Ó=5, PFÓ=3. P. 평행사변형 OFPQ에서 선분 PQ와 선분 OF는 평행하므로 두 점 P, Q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인 점이다.. O. 그러므로 사각형 PQF'F는 등변사다리꼴이다.. F'. F H. Q. x. 초점 F의 좌표를 (c, 0) (c>0)이라 하고, 점 P에서 선분 FF'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PF'Ó=a라 하면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y Q. PF'Ó-PFÓ=2_1=2이므로. P. PFÓ=a-2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삼각형 PF'Q가 F'. O. H. F. x. xÛ yÛ -+-=1 16 k. 사각형 PQF'F가 등변사다리꼴이고 PQÓ=;2!; FF'Ó이므로 점 H 는 선분 OF의 중점이다. 따라서 FHÓ=OHÓ=;2!; c, F'HÓ=;2#; c이고 두 직각삼각형 PFH, PF'H에서 PHÓ Û`=PFÓ Û`-FHÓ Û`=PF'Ó Û`-F'HÓ Û`이므로 3Û`-{;2!; c}Û`=5Û`-{;2#; c}Û` 9-;4!; cÛ`=25-;4(; cÛ`, cÛ`=8 c>0이므로 c=2'2 . 10. PF'Ó=PQ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F'HÓ=HQÓ FHÓ=b라 하면 두 직각삼각형 PFH, PF'H에서 PHÓ Û`=PFÓ Û`-FHÓ Û`=PF'Ó Û`-F'HÓ Û`이므로 (a-2)Û`-bÛ`=aÛ`-(4+b)Û` 4a-8b=20 a-2b=5 . yy ㉠. 삼각형 PF'Q의 둘레의 길이가 24이므로 PF'Ó+F'QÓ+QPÓ=24 a+2(4+b)+a=24 a+b=8 .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7, b=1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7이다. ③. 올림포스•기하.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10. 2019-07-02 오전 9:24:27.

(11) Ⅰ. 이차곡선. 02. 점 (a, b)가 포물선 yÛ`=4x 위의 점이므로 bÛ`=4a=4_2=8. 이차곡선과 직선. 따라서 aÛ`+bÛ`=2Û`+8=12  12. 기본 유형 익히기. 본문 18~21쪽. 유제. 1. 7. 2. 36. 3. 12 . 6. 4. 7. 4. 8. ;5!;. 4.. 7'2. 2. 4.. 5. 1. 타원. yÛ` xÛ` + =1 위의 점과 직선 x-y+4=0 사이의 7 2. 거리는 타원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접선과 직선 x-y+4=0 사이의 거리와 같다.. xÛ` yÛ` 타원 + =1과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3 9. 1.. 점에서 만나려면 x에 대한 이차방정식 . 타원. yÛ` xÛ`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은 7 2. y‌=xÑ"Ã7_1Û`+2 =xÑ3. xÛ` (-x+k)Û` + =1, 즉 4xÛ`-2kx+kÛ`-9=0 3 9. y.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y=x+4.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kÛ`-4(kÛ`-9)>0 4. yÛ xÛ -+-=1 7 2 x. O. -3kÛ`+36>0, kÛ`-12<0. y=x+3. y=x-3. -2'3<k<2'3 따라서 정수 k는 -3, -2, -1, 0, 1, 2, 3의 7개이다.. 따라서 구하는 거리의 최댓값은 직선 y=x-3과 직선 7. x-y+4=0 사이의 거리, 즉 직선 y=x-3 위의 점 (0, -3) 과 직선 x-y+4=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2.. 포물선 yÛ`=12x=4_3_x에 접하고 기울기가 ;2!; 인 접. 선의 방정식은 y=;2!; x+. 3. ;2!;. |0-(-3)+4| 7'2 = 2 "Ã1Û`+(-1)Û`` . , 즉 y=;2!; x+6. 따라서 이 직선의 x절편은 -12, y절편은 6이므로 구하는 삼각 형의 넓이는. 5.. yÛ` xÛ` + =1 위의 점 (2, '2 )에서의 접선 l의 방 12 3. 정식은 . ;2!;_12_6=36  36. '2 y 2x =1, 즉 x+2'2 y-6=0 + 3 12. 타원. 3.. 타원. 포물선 yÛ`=-8x=4_(-2)_x의 초점의 좌표는 . yÛ` xÛ` + =1의 초점 F의 x좌표를 c라 하면 12 3. c='Ä12-3=3이므로. (-2, 0)이다.. F(3, 0). 포물선 yÛ`=4x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점 F(3, 0)과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by=2(x+a) 이 직선이 점 (-2, 0)을 지나므로 0=2(-2+a)에서 a=2. |3+0-6|. ¿¹1Û`+(2'2 )Û``. =1 1.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11. 7'2 2. 11. 2019-07-02 오전 9:24:27.

(12) 정답과 풀이. 6.. 쌍곡선. yÛ` xÛ`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 k 3. 식은 y=2xÑ'Ä4k-3  이 직선이 직선 2x-y+'1Œ3=0, 즉 y=2x+'1Œ3과 일치하므로 'Ä4k-3='1Œ3. 양변을 제곱하면 4k-3=13에서 k=4 따라서 주어진 쌍곡선의 방정식이. yÛ` xÛ` - =1이므로 구하는 4 3. 주축의 길이는 2_2=4. 02 ② 07 ④ 12 ⑤ 17 ③ 22 ②. 03 ③ 08 ② 13 4 18 50 23 ③. 04 ⑤ 09 5 14 ① 19 91 24 ①. 05 ① 10 ③ 15 ④ 20 ④. 01 포물선 yÛ`=kx와 직선 y=2x+1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2x+1)Û`=kx, 즉 4xÛ`+(4-k)x+1=0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점 (2, -3)이 쌍곡선 axÛ`-byÛ`=3 위의 점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y ㉠. 4a-9b=3 . 쌍곡선 axÛ`-byÛ`=3 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ax-(-3)by=3, 즉 y=-. 2a 3 x+ 3b 3b. 2a =-2에서 a=3b  3b. D=(4-k)Û`-4_4_1>0 kÛ`-8k>0, k(k-8)>0 k<0 또는 k>8 이때 k가 양의 정수이므로 k의 최솟값은 9이다.. 이때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 01 ③ 06 10 11 ③ 16 ⑤ 21 ③. 본문 22~25쪽. 만나려면 x에 대한 이차방정식 4. 7.. 유형 확인. ③ yy ㉡. 02 타원 6xÛ`+yÛ`=6과 직선 y='3x+k가 서로 다른 두 점.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1. 에서 만나려면 x에 대한 이차방정식. 따라서 a+b=3+1=4. 6xÛ`+('3 x+k)Û`=6, 즉 9xÛ`+2'3 kx+kÛ`-6=0 4.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8.. 타원. yÛ` xÛ`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 6 3. D =('3 k)Û`-9(kÛ`-6)>0 4. 식은 . -6kÛ`+54>0, kÛ`-9<0. y=mxÑ"Ã6mÛ`+3. (k+3)(k-3)<0 -3<k<3. 이 직선이 점 (6, 3)을 지나므로. 따라서 양의 정수 k의 값은 1, 2이므로 그 합은. 3=6mÑ"Ã6mÛ`+3. 1+2=3. 3-6m=Ñ"Ã6mÛ`+3. ②. 양변을 제곱하면 9-36m+36mÛ`=6mÛ`+3. yÛ` xÛ` - =1과 직선 y=2x+k가 만나지 않으므 4 2. 30mÛ`-36m+6=0. 03 쌍곡선. 5mÛ`-6m+1=0. 로 x에 대한 이차방정식 . 이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이 각각 두 접선의 기울기 mÁ, mª이므. (2x+k)Û` xÛ` =1, 즉 7xÛ`+8kx+2kÛ`+4=0 4 2. 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mÁ_mª=;5!;.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5!;. 12. D =(4k)Û`-7(2kÛ`+4)<0 4. 올림포스•기하.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12. 2019-07-02 오전 9:24:28.

(13) 06 ABÓ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점 P가 직선 AB와 평행한 포. 2kÛ`-28<0 kÛ`-14<0. 물선의 접선의 접점일 때, 삼각형 APB의 넓이가 최소가 된다.. -'¶14 <k<'¶14. y. 따라서 정수 k는 -3, -2, -1, 0, 1, 2, 3의 7개이다.. B. A. ③. P. 04 직선 x+2y+k=0의 기울기는 -;2!; 이므로 이 직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2이다. . yÛ`=4x. 포물선 yÛ`=16x=4_4_x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 정식은 y=2x+;2$; , 즉 y=2x+2. x. O. yy ㉠. 포물선의 준선이 x=-4이므로 직선 ㉠과 준선이 만나는 점의 좌표는 (-4, -6)이다.. 직선 AB의 기울기가. 8-6 =;2!; 이므로 포물선 yÛ`=4x 2-(-2). 에 접하고 기울기가 ;2!; 인 접선의 방정식은 y=;2!; x+. 1. ;2!;. , 즉 y=;2!; x+2. ABÓ="Ã(-2-2)Û`+(6-8)Û`='¶20=2'5이고. 따라서 직선 x+2y+k=0이 점 (-4, -6)을 지나므로 -4+2_(-6)+k=0에서. 삼각형 APB의 높이는 직선 AB 위의 점 B(2, 8)과 직선 . k=16 ⑤. y=;2!; x+2, 즉 x-2y+4=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2-16+4| 10 = =2'5 '5 "Ã1Û`+(-2)Û``. 05 포물선 yÛ`=8x=4_2_x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 따라서 삼각형 APB의 넓이의 최솟값은. 의 방정식은. ;2!;_2'5_2'5=10. 2 y=mx+ m.  10. 이 직선이 직선 y=mx+n과 일치하므로 n=. 2  m. yy ㉠. 07 포물선 yÛ`=6x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직선 y=mx+n이 포물선 xÛ`=y에 접하므로 x에 대한 이차방. by=2_;2#; (x+a), 즉 by=3(x+a). 정식. 이 직선이 점 (-2, 2)를 지나므로. xÛ`=mx+n, 즉 xÛ`-mx-n=0 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2b=3(-2+a)에서 a=;3@; b+2.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점 P(a, b)가 포물선 yÛ`=6x 위의 점이므로. D=mÛ`+4n=0. bÛ`=6a . n=-. mÛ`  4. yy ㉡. yy ㉠. yy ㉡. ㉠을 ㉡에 대입하면 bÛ`=4b+12. ㉡을 ㉠에 대입하면. bÛ`-4b-12=0. 2 mÛ` , mÜ`=-8에서 m=-2 =m 4. (b-6)(b+2)=0 b>0이므로 b=6. m=-2를 ㉠에 대입하면 n=-1. b=6을 ㉠에 대입하면 a=6. 따라서 m+n=-2+(-1)=-3 ①. 포물선 yÛ`=6x=4_;2#;_x의 준선의 방정식은 x=-;2#; 이고.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13. 13. 2019-07-02 오전 9:24:28.

(14) 정답과 풀이 점 P(6, 6)에서 준선 x=-;2#;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10 Ú. Û. y A. y. xÛ -+yÛ`=1 5. H{-;2#;, 6}. D 60ù. C. x. O B. ④. 60ù. D. C. x. O. 따라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HÓ=6+;2#;=:Á2°:. B. A. xÛ -+yÛ`=1 5. 정삼각형 ABC를 그림과 같이 세 변이 타원과 접하면서 한 변. 08 포물선 yÛ`=2x=4_;2!;_x의 초점은 F {;2!;, 0}이고 준. 이 타원의 장축과 평행하도록 놓을 수 있다.. 선의 방정식은 x=-;2!; 이다. . 분 BC와 타원의 접점을 D라 하면 타원은 y축에 대하여 대칭이 므로 두 점 A, D는 y축 위에 있다.. 포물선 위의 점 P(2,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y=2_;2!; (x+2), 즉 y=;2!; x+1 . yy ㉠. 점 P에서 포물선의 준선 x=-;2!; 에 내린 수선의 발 H의 좌표 는 {-;2!;, 2}이므로 직선 FH의 방정식은 2-0. y=. -;2!;-;2!;. _{x-;2!; }, 즉 y=-2x+1 . 타원의 장축과 평행한 삼각형 ABC의 한 변을 BCÓ로 놓고 선. yy ㉡. 삼각형 ABC가 정삼각형이므로 두 점 A, B를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는 tan`60ù='3  xÛ` +yÛ`=1에 접하고 기울기가 '3인 접선의 방정식은 5. 타원. y‌='3 xÑ¿¹5_('3 )Û`+1 ='3 xÑ4 이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 A의 좌표는. ㉠, ㉡을 연립하여 풀면 x=0, y=1. A(0, 4) 또는 A(0, -4). 따라서 두 직선 ㉠, ㉡이 만나는 점의 y좌표는 1이다. ②. 또 점 D는 타원. xÛ` +yÛ`=1과 y축이 만나는 두 점 중 한 점이 5. 므로 . 09. 포물선 yÛ`=4x의 초점은 F(1, 0)이다.. D(0, -1) 또는 D(0, 1) Ú A(0, 4), D(0, -1)일 때, ADÓ=5. y. A. Û A(0, -4), D(0, 1)일 때, ADÓ=5 이때 선분 AD의 길이는 정삼각형 ABC의 높이이므로 정삼각. B. 형의 한 변의 길이를 a라 하면 l. C. O. '3  a=5에서 2. x. F yÛ`=4x. a=. 포물선 yÛ`=4x 위의 점 A(4, 4)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10'3 3. 따라서 정삼각형 ABC의 넓이는. 4y=2(x+4), 즉 y=;2!; x+2 그러므로 접선 l이 y축과 만나는 점 B의 좌표는 (0, 2)이다.. '3 10'3 Û` 25'3 }= _{ 4 3 3. ③. 또 접선 l이 x축과 만나는 점을 C라 하면 C(-4, 0)이다. 따라서 삼각형 ABF의 넓이는. 참고. 정삼각형의 높이와 넓이. (삼각형 ACF의 넓이)-(삼각형 BCF의 넓이).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삼각형의 높이를 h, 넓이를 S라 하면. =;2!;_5_4-;2!;_5_2. ① h=. '3 a 2. ② S=. '3 aÛ` 4. =10-5=5 5. 14. 올림포스•기하.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14. 2019-07-02 오전 9:24:29.

(15) 11 타원. yÛ` xÛ` + =1의 초점 F의 y좌표를 c라 하면 4 8. 4 +;2!;=1에서 a=8 a. c='¶8-4=2이므로 F(0, 2) 선분 AF의 길이가 일정하므로 점. y. P가 직선 AF와 평행한 타원의 접. F. 선의 접점일 때, 삼각형 APF의 넓이가 최대가 된다. 직선 AF의 기울기는. A -2. yÛ` xÛ` + =1 위의 점이므로 a 2. 13 점 (2, 1)이 타원. xÛ yÛ -+-=1 4 8. x. O. 2-0 =1이므로 0-(-2). yÛ` xÛ` + =1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8 2 y y 2x x + =1, 즉 + =1 8 4 2 2. 타원. 이 직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이 각각 A, B이므로 A(4, 0), B(0, 2). P. 따라서 삼각형 AOB의 넓이는. yÛ` xÛ` 타원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은 4 8. ;2!;_4_2=4. y=xÑ"Ã4_1Û`+8=xÑ2'3. 4. 이때 삼각형 APF의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점 P가 직선. xÛ` +yÛ`=1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4. x-y-2'3=0과 타원이 접하는 점일 때이다.. 14 타원. 와 직선 x-y-2'3=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ax +by=1 4. AFÓ="Ã2Û`+2Û`=2'2 이고 삼각형 APF의 높이는 점 F(0, 2). 이 직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이 각각 A, B이므로. |0-2-2'3| 2+2'3 = '2 "Ã1Û`+(-1)Û``. A{. 따라서 삼각형 APF의 넓이의 최댓값은 ;2!;_2'2_. 2+2'3 =2+2'3 '2. 4 1 , 0}, B{0, } a b y B. x. ③. O. yÛ` xÛ` + =1`(a>b>0) aÛ` bÛ`. F. A. 두 삼각형 BPF와 APF의 넓이의 비가 1`:`3이므로 BPÓ`:`APÓ=1`:`3. 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두 직각삼각. 이 타원의 두 초점이 A(2, 0), B(-2, 0)이므로 yy ㉠. 이 타원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형 APH와 ABO는 서로 닮음이고, 닮음비가 APÓ`:`ABÓ=3`:`4 이므로 AHÓ`:`AOÓ=3`:`4. y=2xÑ"Ã4aÛ`+bÛ`  이 직선이 직선 y=2x-6과 일치하므로. 이때 H(a, 0)이고. -"Ã4aÛ`+bÛ`=-6. {. 양변을 제곱하면 4aÛ`+bÛ`=36 . H. xÛ -+yÛ`=1 4. 12 두 초점이 x축 위에 있으므로 타원의 방정식을. aÛ`-bÛ`=4에서 bÛ`=aÛ`-4 . P. yy ㉡. ㉠을 ㉡에 대입하면. 4 4 -a}`:` =3`:`4이므로 a a. 4_{. 4 4 4 -a}= _3, =4a에서 aÛ`=1 a a a. 점 P(a, b)가 타원. 4aÛ`+aÛ`-4=36. xÛ` +yÛ`=1 위의 점이므로 4. aÛ` +bÛ`=1에서 bÛ`=;4#; 4. aÛ`=8에서 a=2'2 따라서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따라서 aÛ`+bÛ`=1+;4#;=;4&; . 2a=2_2'2=4'2 ⑤. ①.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15. 15. 2019-07-02 오전 9:24:29.

(16) 정답과 풀이. 15 타원과 포물선이 만나는 점의 좌표를 (a, b)라 하면. y. 점 (a, b)는 포물선 yÛ`=8x 위의 점이므로 yy ㉠. bÛ`=8a  타원. yÛ` xÛ` + =1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6 12. x. O. by ax 3a 12 이므로 x+ + =1, 즉 y=16 12 4b b. y=2x-1. 3a mÁ=4b. y=2x-4. 따라서 구하는 거리의 최솟값은 직선 y=2x-4와 직선 2x-y-1=0 사이의 거리, 즉 직선 y=2x-4 위의 점 (2, 0). 또 포물선 yÛ`=8x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by=2_2(x+a), 즉 y= mª=. yÛ xÛ ---=1 5 4. y=2x+4. 과 직선 2x-y-1=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4 4a 이므로 x+ b b. |4-0-1| 3'5 = 5 "Ã2Û`+(-1)Û``. 4 b. ③. 3a 4 3a }_ =따라서 mÁ_mª={이므로 4b b bÛ`. 18 쌍곡선. ㉠에 의하여 mÁ_mª=-. 3a =-;8#; 8a. yÛ` xÛ`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 4 5. 정식은 ④. y=mxÑ"Ã4mÛ`-5 직선 y=mx-"Ã4mÛ`-5 가 x축, y축과 만나는 점 A, B는. 16. 직선 x+'3 y-3=0의 기울기가 -. 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3 이다. 쌍곡선. 1 이므로 이 직선 '3`. xÛ` -yÛ`=1에 접하고 기울기가 '3 인 접선의 방정식은 7. y‌='3 xÑ¿¹7_('3 )Û`-1 ='3 xÑ2'5  따라서 구하는 거리는 직선 y='3 x+2'5 위의 한 점 (0, 2'5 ). 와 직선 y='3 x-2'5 , 즉 '3 x-y-2'5=0 사이의 거리와 같. 으므로. A{. "Ã4mÛ`-5` , 0}, B(0, -"Ã4mÛ`-5 ) m. 직선 y=mx+"Ã4mÛ`-5 가 x축, y축과 만나는 점 A, B는 A{-. "Ã4mÛ`-5` , 0}, B(0, "Ã4mÛ`-5 ) m. 이때 삼각형 AOB의 넓이가 4이므로 ;2!;_. "Ã4mÛ`-5` _"Ã4mÛ`-5=4 m. 4mÛ`-5 =8 m 4mÛ`-8m-5=0. |0-2'5-2'5|. ¿¹('3 )Û`+(-1)Û`. 17 쌍곡선. =. 4'5 =2'5 2. (2m+1)(2m-5)=0 ⑤. yÛ` xÛ` - =1 위의 점과 직선 2x-y-1=0 사이 5 4. m=-;2!; 또는 m=;2%;  m>0이므로 m=;2%;  따라서 8mÛ`=8_:ª4°:=50  50. 의 거리는 쌍곡선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접선과 직선 2x-y-1=0 사이의 거리와 같다. 쌍곡선. yÛ` xÛ`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5 4. y‌=2xÑ"Ã5_2Û`-4 =2xÑ4. 16. 19 점 (a, b)가 쌍곡선 aÛ` bÛ` - =1  16 9. yÛ` xÛ` - =1 위의 점이므로 16 9 yy ㉠. 올림포스•기하.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16. 2019-07-02 오전 9:24:29.

(17) yÛ` xÛ` - =1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6 9 by ax =1 16 9. 쌍곡선. 이 직선이 원 (x-2)Û`+yÛ`=4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원의 중. 점 P(2, b)가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2-. bÛ` =1에서 bÛ`=7 7. 따라서 aÛ`+bÛ`=2Û`+7=11 ③. 심 (2, 0)을 지나야 하므로 2a =1에서 a=8 16. 22 포물선 yÛ`=12x=4_3_x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 a=8을 ㉠에 대입하면 bÛ`=27. 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aÛ`+bÛ`=8Û`+27=91  91 yÛ` xÛ` 쌍곡선 - =1에서 'Ä8+4=2'3 이므로 8 4. y=mx+. 3 m. 이 직선이 점 (k, 2)를 지나므로 3 m. 20. 2=km+. 두 초점은 F(2'3, 0), F'(-2'3, 0). kmÛ`-2m+3=0 . 그러므로 FF'Ó=4'3. m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두 실근이 두 접선의 기울기이고,. 한편 제 1사분면에 있는 쌍곡선. yÛ` xÛ` - =1 위의 점 P의 좌표 8 4. 를 (xÁ, yÁ)`(xÁ>0, yÁ>0)이라 하면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 식은. yy ㉠.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두 실근의 곱이 -1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 =-1에서 k=-3 k ②. xÁx yÁ y =1 8 4 이 직선이 점 (2, 0)을 지나므로. 23 타원. xÁ =1에서 xÁ=4 4. y=mxÑ"Ã4mÛ`+1. 점 P(4, yÁ)이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2-. xÛ` +yÛ`=1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4. 이 직선이 점 P(1, k)를 지나므로. yÁÛ` =1, yÁÛ`=4 4. k=mÑ"Ã4mÛ`+1. yÁ>0이므로 yÁ=2. k-m=Ñ"Ã4mÛ`+1. 그러므로 P(4, 2). 양변을 제곱하면. 따라서 삼각형 PF'F의 넓이는. kÛ`-2mk+mÛ`=4mÛ`+1. ;2!;_4'3_2=4'3. 3mÛ`+2mk-kÛ`+1=0 ④. 21 쌍곡선. yÛ` xÛ` - =1의 초점 F의 x좌표를 c라 하면 2 7. c='Ä2+7 =3이므로 F(3, 0).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두 실근의 곱이 -1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kÛ`+1 =-1에서 kÛ`=4 3 k=-2 또는 k=2. 쌍곡선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ax by =1 2 7. yy ㉠. m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두 실근이 두 접선의 기울기이고,. yy ㉠. 선분 OF를 1`:`2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가 (1, 0)이고, 점 (1, 0). 따라서 양수 k의 값은 2이다. ③. 이 직선 ㉠ 위에 있으므로. 24 점 (a, b)가 직선 y=2x 위의 점이므로 b=2a이다.. a =1에서 a=2 2. 쌍곡선. yÛ` xÛ`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9 4.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17. 17. 2019-07-02 오전 9:24:30.

(18) 정답과 풀이 y=mxÑ"Ã9mÛ`-4 이 직선이 점 (a, 2a)를 지나므로 2a=amÑ"Ã9mÛ`-4 2a-am=Ñ"Ã9mÛ`-4 양변을 제곱하면 4aÛ`-4aÛ`m+aÛ`mÛ`=9mÛ`-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초점 F의 x좌표와 점 P의 y좌표 사이의 관계 식을 구한 경우. 30`%. ➋. 접점 P의 x좌표와 y좌표 사이의 관계식을 구 한 경우. 30`%. ➌. ➊, ➋를 이용하여 실수 k의 값을 구한 경우. 40`%. yy ㉠. (aÛ`-9)mÛ`-4aÛ`m+4aÛ`+4=0. m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두 실근이 두 접선의 기울기이고,. yÛ` xÛ`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 3 2.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두 실근의 곱이 -1이다.. 02 타원.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식은 . 4aÛ`+4 =-1 aÛ`-9. y=mxÑ"Ã3mÛ`+2 이 직선이 점 P(k, 2)를 지나므로. 4aÛ`+4=-aÛ`+9에서 aÛ`=1. 2=kmÑ"Ã3mÛ`+2. 따라서 점 (a, b)의 좌표는 (1, 2) 또는 (-1, -2)이므로. 2-km=Ñ"Ã3mÛ`+2. aÛ`+bÛ`=1+4=5. 양변을 제곱하면 ①. yy ➊. . 4-4km+kÛ`mÛ`=3mÛ`+2 yy ㉠   yy ➋. (kÛ`-3)mÛ`-4km+2=0. m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두 실근이 두 접선의 기울기이고,. 연습장. 서술형 01 ;4(;. 02 2. 본문 26쪽. 두 접선의 기울기의 합이 2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k =2 kÛ`-3. 03 24. kÛ`-2k-3=0. 01. 포물선 yÛ`=4px의 초점은 F(p, 0)이다.. (k+1)(k-3)=0.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점 H의 좌표는 (a, 0)이다.. k=-1 또는 k=3. 포물선 yÛ`=4px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by=2p(x+a). (-1)+3=2. yy ➌. 이 직선의 기울기가 ;2#; 이므로 2p =;2#;에서 p=;4#; b  b. 2 yy ㉠   yy ➊. 점 P(a, b)는 포물선 위의 점이므로 bÛ`=4pa p=. bÛ` 을 ㉠에 대입하면 4a. bÛ` =;4#; b에서 b=3a 4a. yy ㉡   yy ➋.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k와 m 에 관한 식을 유도한 경우. 30`%. ➋. 양변을 제곱하여 m에 대한 이차방정식을 유도 한 경우. 30`%. 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모 든 실수 k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40`%. ㉠, ㉡에서 p=;4#; b=;4#;_3a=;4(; a 따라서 OFÓ=;4(; OHÓ이므로 k=;4(; . 03 쌍곡선 3xÛ`-yÛ`=12, 즉 yy ➌  ;4(;. 18. yÛ` xÛ` =1의 두 초점을 4 12. F(c, 0), F'(-c, 0) (c>0)이라 하면 c='Ä4+12=4이므로 F(4, 0), F'(-4, 0) 그러므로 FÕF'Ó=8. yy ➊. 올림포스•기하.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18. 2019-07-02 오전 9:24:30.

(19) y. 01 접점의 좌표를 (xÇ, yÇ)이라 하자.. P. 포물선 yÛ`=4x 위의 점 (xÇ, yÇ)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Ç y=2(x+xÇ) 이 직선이 점 AÇ(-n, 0)을 지나므로 O. F'. 1. F. 제 1사분면에 있는 쌍곡선. 점 (xÇ, yÇ)은 포물선 yÛ`=4x 위의 점이므로. yÛ` xÛ` =1 위의 점 P의 좌표를 4 12. (xÁ, yÁ)`(xÁ>0, yÁ>0) 이라 하면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Áx yÁ y yy ➋ =1  4 12. yÇÛ`=4xÇ에서. yÇ=2'§n 또는 yÇ=-2'§n 따라서 PÇ(n, -2'§n ), QÇ(n, 2'§n ) 삼각형 AÇPÇQÇ의 넓이 SÇ은. yÛ` xÛ` =1 위의 점이므로 4 12. SÇ=;2!;_2n_4'§n =4n'§n . 또는 PÇ(n, 2'§n ), QÇ(n, -2'§n )이므로. 그러므로. xÁÛ` yÁÛ` =1 4 12. SÁ+S¢+S»‌=4_'1+4_4'4+4_9'9. 이 식에 xÁ=4를 대입하면 4-. yy ㉡. yÇ=-2'¶xÇ 또는 yÇ=2'¶xÇ   ㉠을 ㉡에 대입하면. 이 접선의 x절편이 1이므로 x=1, y=0을 대입하면 xÁ =1에서 xÁ=4 4 점 P(xÁ, yÁ)이 쌍곡선. yy ㉠. 0=2(-n+xÇ)에서 xÇ=n . x. yÛ xÛ ---=1 4 12. =4+32+108=144. yÁÛ` =1에서 yÁÛ`=36 12.  144. yÁ>0이므로 yÁ=6 그러므로 점 P의 좌표는 (4, 6)이다.. yy ➌. 따라서 삼각형 PF'F의 넓이는 ;2!;_8_6=24. yy ➍  2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쌍곡선의 두 초점 F, F'을 구하여 선분 FF'의 길이를 구한 경우. 20`%. ➋. 점 P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고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20`%. ➌. 점 P의 좌표를 구한 경우. 40`%. ➍. 삼각형 PF'F의 넓이를 구한 경우. 20`%. 02 타원. yÛ` xÛ` + =1 위의 점 P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12 3. xÁÛ` yÁÛ` + =1, 즉 xÁÛ`+4yÁÛ`=12  12 3. yy ㉠. 타원 위의 점 P(xÁ, yÁ)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xÁx yÁ y + =1, 즉 xÁx+4yÁ y-12=0 12 3 y. l. P Q O yÛ xÛ -+ -=1 12 3. 3. x (x-3)Û`+yÛ`=1. 직선 l이 원 (x-3)Û`+yÛ`=1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3, 0)과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1과 같다. 즉 |3xÁ-12|. 내신. +. 수능. 01 144 02 3'2 03 ③. 고난도 문항. 본문 27쪽. ¿¹xÁÛ`+16yÁÛ``. =1. |3xÁ-12|="ÃxÁÛ`+16yÁÛ` 양변을 제곱하면 9xÁÛ`-72xÁ+144=xÁÛ`+16yÁÛ` . yy ㉡.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19. 19. 2019-07-02 오전 9:24:31.

(20) 정답과 풀이 ㉠에서 16yÁÛ`=-4xÁÛ`+48이고 이 식을 ㉡에 대입하면. 직선 l이 x축과 만나는 점을 C라 하면. 12xÁÛ`-72xÁ+96=0, xÁÛ`-6xÁ+8=0 (xÁ-2)(xÁ-4)=0. C {. xÁ=4이면 점 P가 타원 위의 점이 아니므로 xÁ=2이다.. 따라서 구하는 부분의 넓이는. xÁ=2를 ㉠에 대입하면. △OAB=△OAC+△OBC. '¶15` , 0} 2. =;2!;_. 4+4yÁÛ`=12, yÁÛ`=2 yÁ=-'2 또는 yÁ='2 . '¶15` '¶15` '¶15` '¶15` _ +;2!;_ _ 2 3 2 5. =;4%;+;4#;=2. 따라서 접선 l의 방정식은 x-2'2 y-6=0 또는 x+2'2 y-6=0. ③. 따라서 직선 l이 x축과 만나는 점 Q의 좌표는 (6, 0)이므로 삼각형 OPQ의 넓이는 ;2!;_6_'2=3'2  3'2. 03 쌍곡선. xÛ` -yÛ`=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4. 대단원 종합 문제. y=;2!; x, y=-;2!; x xÛ` 쌍곡선 -yÛ`=1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4 y=2xÑ"Ã4_2Û`-1=2xÑ'¶15 이 두 접선 중 y절편이 음수인 직선 l의 방정식은. 본문 28~31쪽. 01 ④ 06 ③ 11 ④. 02 ⑤ 07 ④ 12 ⑤. 03 ③ 08 ① 13 ⑤. 04 ② 09 ② 14 12. 05 ⑤ 10 ④ 15 120. 16 ①. 17 ①. 18 ②. 19 ;3*;. 20 ;1°2;. y=2x-'¶15  1 y=- x 2. y A. C. O. xÛ `- -yÛ`=1 4 x. B l. '¶15` 2'¶15` , y= 3 3. 2'¶15` '¶15` } , 즉, A{ 3 3. 즉, B {. 20. '¶15` 2'¶15` } ,5 5. x=-a이므로 포물선 yÛ`=4a(x+1)의 초점의 좌표는 (a-1,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a-1이다. a=3 ④. 02 포물선 yÛ`=8x=4_2_x의 초점은 F(2, 0)이고 준선 의 방정식은 x=-2이다. 포물선 위의 세 점 A, B, C의 x좌표를 각각 a, b, c라 하고,. 또 직선 l과 점근선 y=-;2!; x의 교점을 B라 하면 2x-'¶15=-;2!; x에서 x=. 포물선 yÛ`=4ax는 초점의 좌표가 (a,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따라서 -a-1=-4에서 1 y=--x 2. 직선 l과 점근선 y=;2!; x의 교점을 A라 하면 2x-'¶15=;2!; x에서 x=. 01 포물선 yÛ`=4a(x+1)은 포물선 yÛ`=4ax를 x축의 방향 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15` 2'¶15` , y=5 5. 세 점 A, B, C에서 포물선의 준선 x=-2에 내린 수선의 발 을 A', B', C'이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FÓ=AA'Ó=a+2, BFÓ=BB'Ó=b+2, CFÓ=CC'Ó=c+2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 포물선의 초점 F와 일치하므로 a+b+c =2에서 a+b+c=6 3. 올림포스•기하.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20. 2019-07-02 오전 9:24:31.

(21) 따라서. 따라서 점 F(0, 2'2 )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AFÓ+BFÓ+CFÓ=AA'Ó+BB'Ó+CC'Ó. |-2'2-4| 2'2+4 = =2'2+2 '2 "Ã1Û`+(-1)Û``. =(a+2)+(b+2)+(c+2) =a+b+c+6. ⑤. =6+6=12 ⑤. 06 포물선 yÛ`=8x=4_2_x에서 점 B(2, 0)은 초점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2이다.. 03 xÛ`-6x-4y+9=0에서 (x-3)Û`=4y. y. 포물선 (x-3)Û`=4y는 포물선 xÛ`=4y를 x축의 방향으로 3만. H H'.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P A(5, 4). P'. 포물선 xÛ`=4y의 초점의 좌표는 (0, 1)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y=-1이므로 포물선 (x-3)Û`=4y의 초점 F의 좌표는 (3, 1) O. 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y=-1이다.. B(2, 0). x. PFÓ=10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점 P(a, b)에서 준선 y=-1에 이르는 거리가 10이다.. x=-2. 즉, b-(-1)=10에서 b=9. yÛ`=8x. 점 P(a, 9)가 포물선 (x-3)Û`=4y 위의 점이므로. 두 점 P, A에서 준선 x=-2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 H'. (a-3)Û`=36. 이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BÓ=PHÓ이다.. a-3=6 또는 a-3=-6. 선분 AH'이 포물선과 만나는 점을 P'이라 하면 삼각형 ABP. a=9 또는 a=-3. 의 둘레의 길이는.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APÓ+PBÓ+BAÓ=APÓ+PHÓ+BAÓ ¾AÕP'Ó+PÕ'H'Ó+BAÓ. 9+(-3)=6. =AH'Ó+BAÓ. ③. =(5+2)+¿¹(5-2)Û`+4Û`=7+5=12. 04 쌍곡선 xÛ`-3yÛ`=3, 즉. 따라서 삼각형 ABP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12이다.. xÛ` -yÛ`=1에서 3. ③. c='Ä3+1=2이므로 두 초점의 좌표는 (2, 0), (-2, 0)이다. 또 점근선의 방정식은. 07 선분 FF'이 주어진 원의 지름이고 두 점 P, Q는 모두 원. 1 y=Ñ x, 즉 xÑ'3y=0 '3` 따라서 점 (Ñ2, 0)과 직선 xÑ'3 y=0 사이의 거리는 |Ñ2|. ¿¹1Û`+(Ñ'3 )Û``. 위에 있으므로 ∠FPF'=∠FQF'=90ù, 즉 두 삼각형 FPF',. FQF'은 직각삼각형이다. PFÓ=m, PF'Ó=n`(m<n)이라 하면 FF'Ó=6이므로. =;2@;=1. yÛ` xÛ` 타원 + =1의 초점 F의 y좌표를 c라 하면 4 12. 05. c='Ä12-4=2'2 이므로 F(0, 2'2 ) 타원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3)_y 1_x + =1, 즉 x-y-4=0 4 12. yy ㉠. mÛ`+nÛ`=36 ②. 한편 두 점 P, Q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사각형 FPF'Q 는 직사각형이다. 사각형 FPF'Q의 넓이가 10이므로 yy ㉡. mn=10 .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PF'Ó-PFÓ=n-m이고 ㉠, ㉡에서 (n-m)Û`‌=mÛ`+nÛ`-2mn=36-2_10=16 따라서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4이다. ④.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21. 21. 2019-07-02 오전 9:24:31.

(22) 정답과 풀이. 08. y Q. R 2. yÛ xÛ ---=1 aÛ` bÛ. 10 타원. xÛ` yÛ` + =1이 x축과 만나는 두 점 중 x좌표가 양 25 k. 수인 점 A의 좌표는 (5, 0)이다. . P. 주어진 원의 중심이 A(5, 0)이고,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이. 2. 므로 점 B의 좌표는 (3, 0)이다. F'. O. H 2. F. x. 세 점 P, B, Q는 점 A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 위의 점이고, 사각형 APBQ가 마름모이므로 APÓ=PBÓ=ABÓ=BQÓ=AQÓ=2. 선분 PQ와 y축이 만나는 점을 R라 하고, 점 P에서 x축에 내 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쌍곡선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 칭이므로. 즉, 삼각형 APB는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이다.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H는 선분 AB 의 중점이고, 선분 PH의 길이는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 의 높이이므로 점 P의 좌표는 (4, '3 )이다.. PRÓ=QRÓ=1. 점 P가 타원 위의 점이므로. OHÓ=RPÓ=1에서. ('3 )Û` 4Û` + =1 25 k. HFÓ=OFÓ-OHÓ=2-1=1 직각삼각형 PHF에서 PHÓ=A EPFÓ Û`-HFÓ Û`="Ã2Û`-1Û`='3. ;2!5^;+;k#;=1에서 k=:ª3°:. F'HÓ=2 OFÓ-HFÓ=2_2-1=3이므로 직각삼각형 PF'H에서. F'PÓ=A EDFÕ'HÓ Û`+PHÓ Û`=¿¹3Û`+('3 )Û`=2'3. 따라서 3k=3_:ª3°:=25 ④. 따라서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PF'Ó-PFÓ=2'3-2. ①. 11. B. 09 3x-2y+12=0에서 y=;2#; x+6 타원. yÛ` xÛ`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2#; 인 접선의 방정식은 27 k. A l. 즉, 직선 y=;2#; x+®É ;4(; k+27 은 직선 y=;2#;x+6과 일치하 므로 ®É ;4(; k+27=6. x yÛ xÛ ---=1 2 4. yÛ` xÛ` - =1 위의 점 P(2, 2)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2 4 2y 2x =1, 즉 y=2x-2 2 4. 쌍곡선. 직선 l이 y축과 만나는 점 A의 좌표는 (0, -2)이다. 직선 l의 기울기가 2이므로 직선 l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양변을 제곱하면. -;2!; 이고, 점 P를 지나고 직선 l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4(; k+27=36에서 k=4 yÛ` xÛ` + =1에서 'Ä27-4='2Œ3이므로 두 초점의 좌 27 4. y-2=-;2!; (x-2), 즉 y=-;2!; x+3 이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 B의 좌표는 (0, 3)이다.. 표는 (0, '2Œ3 ), (0, -'2Œ3 )이다. . 따라서 삼각형 PAB의 넓이는. |'2Œ3-(-'2Œ3 )|=2'2Œ3. ;2!;_(3+2)_2=5. 따라서 타원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②. 22. P. O. y=;2#; xÑ®É ;4(; k+27 . 즉, 타원. y. ④. 올림포스•기하.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1.indd 22. 2019-07-03 오후 1:33:19.

(23) 12 포물선 yÛ`=4x에서 초점은 F(1, 0)이고 준선의 방정식 은 x=-1이다.. PQÓ=QÕF'Ó이므로. y H. A. yy ㉠. PFÓ=PHÓ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QFÓ+QF'Ó=2_2=4이고. P. yÛ`=4x. yy ㉡. PFÓ=QFÓ+QPÓ=QFÓ+QÕF'Ó=4 .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K라 하면 ㉠, ㉡에서 점 P 의 x좌표는 3이므로 FKÓ=2 O. x. B. F. 직각삼각형 PFK에서. x=-1. PFÓ=a라 하고 점 P에서 포물선의 준선 x=-1에 내린 수선 의 발을 A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AÓ이므로 PHÓ=PÕAÓ-AHÓ=a-1 이때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B라 하면. PKÓ=A EPFÓ Û`-FKÓ Û`="Ã4Û`-2Û`=2'3 따라서 직각삼각형 PF'K에서. PF'Ó=A EF'KÓ Û`+PKÓ Û`=¿¹4Û`+(2'3 )Û`=2'7. ⑤. 14 직각이등변삼각형 PFQ에서 PFÓ=PQÓ이므로. PBÓ‌=A EPFÓ Û`-FBÓ Û`‌="ÃaÛ`-(a-2)Û`. F'QÓ=F'PÓ+PQÓ=F'PÓ+PFÓ. ='Ä4a-4=2'Äa-1. 이때 F'QÓ=10이므로. 이때 사다리꼴 OFPH의 넓이가 3'2 이므로. yy ㉠. PF'Ó+PFÓ=10 . ;2!;_{(a-1)+1}_2'Äa-1=3'2.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a'Äa-1=3'2. PF'Ó-PFÓ=2_1=2 . 양변을 제곱하면. ㉠, ㉡에서 PF'Ó=6, PFÓ=4. aÜ`-aÛ`=18, aÜ`-aÛ`-18=0. 직각삼각형 PF'F에서. (a-3)(aÛ`+2a+6)=0. F'FÓ=A EF'PÓ Û`+PFÓ Û`="Ã6Û`+4Û`=2'¶13. a는 실수이므로 a=3. yy ㉡. 따라서 두 초점은 F('¶13, 0), F'(-'¶13, 0)이므로. 따라서 선분 PF의 길이는 3이다.. 1+k=13에서 k=12 ⑤. 13 타원. yÛ` xÛ` + =1에서 'Ä4-3=1이므로 4 3. 두 초점은 F(1, 0), F'(-1, 0) x=-1이다. y. F'. yÛ`=4x. F. yÛ` xÛ` - =1의 또 다른 초점은 F'(-3, 0)이므로 4 k. 즉, 쌍곡선의 방정식은. yÛ` xÛ` - =1 4 5 y. Q O. 이때 쌍곡선. 'Ä4+k=3에서 k=5. P. yÛ xÛ -+-=1 4 3. 15 포물선 yÛ`=12x=4_3_x의 초점은 F(3, 0)이고 준선 의 방정식은 x=-3이다.. 또 포물선 yÛ`=4x의 초점은 F(1,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H.  12. H. xÛ` yÛ` ---=1 4 5 P. yÛ`=12x. K x. x=-1. 점 P가 포물선 위의 점이므로 점 P에서 준선 x=-1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F'. O. F. H'. x. x=-3.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23. 23. 2019-07-02 오전 9:24:32.

(24) 정답과 풀이 포물선과 쌍곡선이 제 1사분면에서 만나는 점 P에서 포물선의 준선 x=-3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HÓ이므로 PF'Ó Û`-PFÓ Û`=PF'Ó Û`-PHÓ Û`. 17 포물선 yÛ`=16x=4_4_x에서 초점은 F(4, 0)이고 준 선의 방정식은 x=-4이다. A(-2, 8). yy ㉠.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 하면 삼각형 PHF' 이 직각삼각형이므로 PF'Ó Û`-PHÓ Û`=HF'Ó Û`=PH'Ó Û` 포물선 yÛ`=12x와 쌍곡선. H'. yÛ`=16x P. H P'. yy ㉡. yÛ` xÛ` - =1이 만나는 점의 x좌표는 4 5. F x. O. xÛ` 12x =1 4 5. x=-4. 점 P에서 준선 x=-4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 하면 포물. 5xÛ`-48x-20=0 (5x+2)(x-10)=0. 선의 정의에 의하여. x=-;5@; 또는 x=10. PFÓ=PH'Ó. 이때 점 P는 제 1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점 P의 x좌표는 10이다. x=10을 yÛ`=12x에 대입하면. 또 선분 AF가 포물선 yÛ`=16x와 만나는 점을 P'이라 하면 APÓ+PHÓ‌ =APÓ+(PÕH'Ó-4) ‌  =APÓ+PFÓ-4. yÛ`=12_10=120에서 y=Ñ2'3Œ0. ¾AP'Ó+P'FÓ-4 . 즉, P(10, 2'3Œ0). =AFÓ-4. 따라서 ㉠, ㉡에서 PF'Ó Û`-PFÓ Û`=PH'Ó Û`=(2'3Œ0 )Û`=120. 즉, APÓ+PHÓ의 값은 점 P가 점 P'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 120. 16 쌍곡선. y. yÛ` xÛ` - =1의 또 다른 초점을 F'이라 하면 4 5. F'(-3, 0)이다.. 직선 AF의 방정식은 y=. 0-8 (x-4), 즉 y=-;3$; x+:Á3¤: 4-(-2). 포물선 yÛ`=16x와 직선 y=-;3$; x+:Á3¤:이 만나는 점의 y좌표 는 yÛ`=-12y+64, yÛ`+12y-64=0에서. y. xÛ yÛ ---=1 4 5 P. (y+16)(y-4)=0 A(9, 5). y=-16 또는 y=4 이때 점 P'은 제1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점 P'의 y좌표는 4이다.. P' F'. O. F. y=4를 yÛ`=16x에 대입하면 16=16x에서 x=1 즉, P'(1, 4). x. 따라서 APÓ+PHÓ가 최솟값을 가질 때, 삼각형 AHP의 넓이는 ;2!;_1_4=2.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2_2=4이므로. ①. 선분 AF'이 쌍곡선과 제 1사분면에서 만나는 점을 P'이라 하면 APÓ+PFÓ‌=APÓ+(PF'Ó-4) ‌. 18 포물선 yÛ`=4x에서 초점은 F(1, 0)이다.. =APÓ+PF'Ó-4 ‌ ¾AP'Ó+P'F'Ó-4 ‌ =AF'Ó-4. 원의 중심 C의 좌표를 (c, 0)이라 하면 원이 초점 F를 지나므. ‌. 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CFÓ=c-1이다.. =¿¹{9-(-3)}Û`+5Û`-4=13-4=9. 그러므로 원의 방정식은 (x-c)Û`+yÛ`=(c-1)Û`이다.. 따라서 APÓ+PFÓ의 최솟값은 9이다.. yÛ`=4x를 (x-c)Û`+yÛ`=(c-1)Û`에 대입하면 ①. 24. (x-c)Û`+4x=(c-1)Û`. 올림포스•기하.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1.indd 24. 2019-07-03 오후 1:33:51.

(25) xÛ`-2(c-2)x+2c-1=0 . yy ㉠. 참고. 삼각형의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원과 포물선이 만나는 점. 삼각형 A B C에서 ∠A의 이등분선과. 에서의 접선이 일치하므로. 변 BC의 교점을 D라 하면. D =(c-2)Û`-(2c-1)=0 4. ABÓ`:`ACÓ=BDÓ`:`CDÓ. A. B. cÛ`-6c+5=0. C. D. (c-1)(c-5)=0 c=1이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0이므로 c=5. 20 mx-y-m-2=0에서 y=m(x-1)-2이므로 이 직. ㉠에 c=5를 대입하면. 선은 기울기가 m이고 점 (1, -2)를 지난다.. xÛ`-6x+9=0, (x-3)Û`=0에서 x=3 즉, 접점의 x좌표가 3이므로 접점의 좌표는 (3, 2'3 ),. 쌍곡선 x-4yÛ`=4, 즉. (3, -2'3 )이다.. y=;2!; x, y=-;2!; x. 따라서 사각형 OQCP의 넓이는 삼각형 POC의 넓이의 2배이. xÛ` -yÛ`=1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4 yy ➊. 므로. 직선 mx-y-m-2=0, 즉 y=mx-m-2가 쌍곡선과 한. 2_(삼각형 POC의 넓이)=2_{;2!;_5_2'3}=10'3. Ú 직선이 쌍곡선의 점근선과 평행한 경우. . 점에서 만날 때는 다음 두 가지 경우가 있다. ②. 19 타원. 쌍곡선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yy ➊. y=mxÑ"Ã4mÛ`-1. ∠F'PF의 이등분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을 Q라 하면. 이 직선이 y=mx-m-2와 일치하므로. FQÓ=2, F'QÓ=4에서 FQÓ`:`F'QÓ=1`:`2이므로. -m-2=Ñ"Ã4mÛ`-1 양변을 제곱하면. 삼각형의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에 의하여 yy ➋. PFÓ`:`PF'Ó=1`:`2. yy ➋. Û 직선이 쌍곡선에 접하는 경우. yÛ` xÛ` + =1에서 'Ä16-7=3이므로 16 7. 두 초점은 F(3, 0), F'(-3, 0). m=;2!; 또는 m=-;2!;. mÛ`+4m+4=4mÛ`-1. 점 P가 타원 위의 점이므로. 3mÛ`-4m-5=0. PFÓ+PF'Ó=2_4=8. ‌이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이 두 접선의 기울기이므로 두 접선. 이때 PFÓ=k라 하면 PF'Ó=2k이므로. 의 기울기의 곱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PFÓ+PF'Ó=k+2k=3k=8. -;3%; 이다. . 에서 k=;3*; . Ú, Û 에서 모든 실수 m의 값의 곱은. 따라서 PFÓ=;3*;, PF'Ó=:Á3¤: 이므로. yy ➌. PF'Ó-PFÓ=:Á3¤:-;3*;=;3*; . yy ➍  ;3*;. 단계. yy ➌. 채점 기준. 비율. ➊. 타원의 두 초점 F, F'을 구한 경우. 10`%. ➋. 삼각형의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을 이용하여 PFÓ`:`PF'Ó=1`:`2임을 구한 경우. 30`%. ➌. 두 선분 PF, PF'의 길이를 구한 경우. 50`%. ➍. PF'Ó-PFÓ의 값을 구한 경우. 10`%. ;2!;_{-;2!; }_{-;3%; }=;1°2; . yy ➍  ;1°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직선이 점 (1, -2)를 지남을 알고,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20`%. ➋. 직선이 쌍곡선의 점근선과 평행할 때의 모든 실수 m의 값을 구한 경우. 30`%. ➌. 직선이 쌍곡선에 접할 때의 모든 실수 m의 값 의 곱을 구한 경우. 30`%. ➍. 모든 실수 m의 값의 곱을 구한 경우. 20`%. 정답과 풀이. 해 01-25 올림기본(기벡)1단원-ok.indd 25. 25. 2019-07-02 오전 9:24:33.

(26) 정답과 풀이 Ⅱ. 평면벡터. 03. 그러므로 xø+yø=(aø+3bø)+(aø+2bø)=2aø+5bø. 평면벡터의 연산. 3'5. 5. 2. 2'3. 따라서 k=2, l=5이므로 kl=2_5=10. 기본 유형 익히기 1.. 본문 34~35쪽. 유제. 3. 10.  10. 4. 3. 4.. pø+qø‌=(2aø+2kbø)+(kaø-bø). ‌. =(2+k)aø+(2k-1)bø. 직각삼각형 ABC에서 ACÓ="Ã1Û`+2Û`='5이고. 1.. qø+rø‌=(kaø-bø)+(aø+5bø). 삼각형 ABC와 삼각형 AEB가 닮음이므로. =(k+1)aø+4bø. ABÓ`:`ACÓ=AEÓ`:`ABÓ에서. 두 벡터 pø+qø, qø+rø가 서로 평행하므로. '5 1 1`:`'5=AEÓ`:`1, AEÓ= = 5 '5 삼각형 AEB와 삼각형 CFD가 합동이므로 '5 CFÓ=AEÓ= 5 3'5 따라서 EFÓ=ACÓ-(AEÓ+CFÓ)= 이므로 5 3'5 |EF³|=EFÓ= 5. pø+qø=t(qø+rø)를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t가 존재한다. (2+k)aø+(2k-1)bø=t{(k+1)aø+4bø}에서 두 벡터 aø, bø가 영벡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AB³-AC³+DC³= ‌ AB³-AC³-CD³. 2+k=t(k+1). yy ㉠. 2k-1=4t. yy ㉡. 2k-1 이고 ㉠에 대입하면 ㉡에서 t= 4 . 2.. xø-(aø+2bø)=bø에서 xø=aø+3bø. 3'5 5. 2+k=;4!;(2k-1)(k+1) 2kÛ`-3k-9=0, (2k+3)(k-3)=0 k=-;2#; 또는 k=3. ‌. 따라서 정수 k의 값은 3이다.. =AB³-(AC³+CD³). 3. =AB³-AD³=DB³ 점 D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D. 발을 H라 하면 사각형 ABCD가 등. 2. C. 2. 변사다리꼴이므로 AHÓ=1, HBÓ=3. A. H. 4. B. 01 ③ 02 ④ 06 2'3 07 4 11 ⑤ 12 ①. 직각삼각형 DAH에서 DÕHÓ=AD DÕA Ó Û`-AHÓ Û`="Ã2Û`-1Û`='3 직각삼각형 BDH에서. DBÓ=AD DÕHÓ Û`+HBÓ Û` =¿¹('3 )Û`+3Û`=2'3. 03 2'7 04 ③ 08 ④ 09 ③. 05 7 10 ③. 하는 벡터를 같은 벡터끼리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2'3. AB³=FE³=DC³ AF³=FD³=BE³=EC³. -2xø+3yø=aø. xø-yø=bø. yy ㉠. AD³=BC³, AE³=FC³, BF³=ED³. yy ㉡. AC³, BD³. ㉠+㉡_2를 하면 yø=aø+2bø ㉢을 ㉡에 대입하면. 26. 본문 36~37쪽. 01 여섯 개의 점 A, B, C, D, E, F를 시점 또는 종점으로. 따라서 |AB³-AC³+DC³|=|DB³|=DBÓ=2'3. 3.. 유형 확인. 위의 각각의 벡터에 대하여 방향이 반대인 벡터가 있으므로 yy ㉢. 서로 다른 벡터는 14개이다. ③. 올림포스•기하. 해 26-44 올림기본(기벡)2단원-ok1.indd 26. 2019-07-02 오후 2:15:57.

(27) 02 직각삼각형 ABC의 넓이가 ;2!;_2_4=4이고. 따라서. 점 M이 선분 AC의 중점이므로 삼각형 ABM의 넓이는 2이다.. |AÕM³|= ‌ AÕMÓ=ADE AHÓ Û`+MòHÓ Û`. =¿¹(4+1)Û`+('3)Û`=2'7. A.  2'7 M. 2 B. H. 04. C. K 4. G. D B'. B. 점 M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K라 하면. A. C. C'. E. F. ABÓMòK이 Ó 고 AÕMÓ=MÕCÓ이므로 ø 하면 그림에서 AÕC'³=x,ø AÕB'³=y라. MòKÓ=;2!; ABÓ=1, BKÓ=2. aø=-xø+yø, bø=2xø이므로. 직각삼각형 MBK에서 BÕMÓ‌=ADE BKÓ Û`+MòK Ó Û`. xø=;2!; b,ø yø=aø+;2!; bø DE³‌=DF³+DG³ ‌. ="Ã2Û`+1Û`='5. =-2AÕB'³+4AÕC' ³. 삼각형 ABM의 넓이는 2이므로. =-2yø+4xø. ;2!;_'5_AHÓ=2에서 AHÓ=. = (-2)_{aø+;2!; bø}+4_;2!; b ø. 4'5 5. 따라서 |AH³|=AHÓ=. = -2aø+bø 4'5 5. 따라서 m=-2, n=1이므로 ④. 참고. m+n=-1 ③.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분의 성질. 05 타원. A. 삼각형 ABC에서 ⑴ AÕMÓ=MòB,Ó ANÓ=NCÓ이면. M.   MòNÓBCÓ, MòNÓ=;2!; BCÓ. yÛ` xÛ` + =1의 두 초점 F, F'을 16 7. F(c, 0), F'(-c, 0) (c>0)이라 하면 c='Ä16-7=3이므로 . N. F(3, 0), F'(-3, 0) B. ⑵ AÕMÓ=MòB,Ó MòNÓBCÓ이면. C. y yÛ xÛ P + - =1 16 7.   ANÓ=NCÓ, MòNÓ=;2!; BCÓ. 03 점 M에서 선분 AB의 연장. F'. D. O. F. x. C. 선 위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사각형 ABCD가 마름모이므로. M 60ù. ∠CBH‌=∠DAB ‌. A. =60ù. B. H. 선분 FF'의 중점이 원점 O이므로 PF³+PÕF'³=2PO³. 점 M은 선분 BC의 중점이므로. 이때 |PF³+PÕF'³|=6이므로. BÕMÓ=2. |2PO³|=2|PO³|=6에서 POÓ=3. BHÓ=BÕM Ó cos`60ù=2_;2!;=1. 즉, OPÓ=OFÓ=OÕF'Ó=3에서 세 점 F, F', P는 원점 O를 중심. MòHÓ=BÕMÓ sin`60ù=2_. '3 ='3 2. 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 위의 점이므로 ∠FPF'=90ù이다.. 정답과 풀이. 해 26-44 올림기본(기벡)2단원-ok1.indd 27. 27. 2019-07-02 오후 2:15:58.

참조

관련 문서

3.8 프레스티지 풀옵션(마룬 브라운/하바나 브라운 투톤(하바나 브라운 시트), 올리브 애쉬 리얼우드) 제네시스 G90는 여백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간결한

세미 애닐린 가죽 시트 _ 가죽 소재 본연의 느낌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인공적인 표면처리를 최소화한 세미 애닐린 가죽 시트를 적용하여 프라임 나파 가죽 대비 한

Thermodynamic arguments not only suggest that point defects may be present, but actually demand their presence and imply that it is impossible to create a stable single

XUGἴ⦐㐐 XUG㛰ẨG㤸㷨G㇠㟝 YUG㛰ẨG⺴⺸G㇠㟝 ZUG㛰Ẩ㢌G㢰⺴㝴G㤸㷨G㇠㟝. YUG䒸

제조 조건에 따른 수산화인회석의 겉표면과 두께의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하여 Fi g.8과 Fi g.9에 나타내었다.Fi g.8 에서 보면 두께 방향으로 비어 있는

포레스트 블루 모노톤(포레스트 블루 시트, 마룬 브라운 도어 어퍼트림/시그니쳐 디자인 셀렉션Ⅱ(애쉬 컬러 그라데이션 내장재) 포함 풀

1.3 Territory shall mean [ 지역명 ], as the parties may from time to time vary upon mutual agreemen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the the Company, the

삼각법에는 평면 삼각법 (plane trigonometry)과 구면 삼각법(spherical trigonometry)이 있다. 평면 삼각법이란 평면 위 에서 삼각형의 변과 각 사이의 관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