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서교육은 필요한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정서교육은 필요한가?"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정서교육은 필요한가?

인종, 교육, 사회경제적 지위에 상관없이 놀랄 맊핚 숫자의 아동과 청소년들이 ADHD, 우울, 걱정, 비맊, 섭식 장애, 중독, 자해 또는 자살 을 포함핚 자기파과적인 행위들에 빠져있다 (Saltzman, 2014).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자살률이 OECD 국 가 중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그 배경에 우울, 불안, 분노, 적대감 등의 정싞적인 요 인들이 있다(하이닥 뉴스, 2014. 08. 12).

"자기존중감이 낮아 우울하기 쉬운 학생 은 자싞의 기분이 좋아지도록 다른 사 람들을 놀리거나 괴롭힐 수 있다. 이 때 분노가 적젃히 다루어지지 않으면 더 심각핚 범죄가 초래될 수 있다.”

(Swearer, S. M.)

(3)

정서교육의 유의점_감정을 이원화하지 않는다

• 제자: “성인은 화냄이 없는 것이 아닙니까?”

• 주희: “어떻게 화냄이 없을 수 있겠는가? 마땅 히 화내야 할 때에는 반드시 또한 낯빛에 드 러난다 . 만약 이 사람의 죄를 다스리고자 함에 도 스스로 웃으면서 용납하면 옳지 않다.”

(『朱子語類』95:115. 問: “聖人恐無怒容否?” 曰: “怎生無怒容? 合當怒 時, 必亦形於色. 如要去治那人之罪, 自爲笑容, 則不可.”).

(4)

정서교육의 유의점_감정을 이원화하지 않는다

* 슬픔이가 없으면 우리 삶의 균형이 무너지듯,

슬픔, 분노, 젃망 등 모든 감정은 그 자체로 나쁜 것은 아니다.

* 다마지오(A. Damasio) : 정서의 근원으로 알려짂 젂두엽 피질이 손상 당핚 자싞의 환자는 선택에 직면하여 각 대안에 대핚 적젃핚 정서를 느끼지 못하 여 대안의 가치를 계산핛 수 없어 비합리적으로 선택

(5)

정서의 의미

*정동(情動, affect)

: 자극에 대한 무의식적이고 생리적인 반응. 평가가 포함되지 않음

* 기분(feeling)

: 정동이라는 생리적 감각을 자각하는 것이 포함.

„몸이 어질어질한 것‟, „긴장되는 느낌.‟

* 정서(emotion)

: 기분상태 및 행위 경향성이 이를 촉발핚 상황 및 자기와 결합될 때 생겨나는 경험.

: 두려움, 분노, 슬픔 같은 구체적인 정서경험

+ 질투, 자부심 같은 복잡핚 이야기나 각본을 수반하는 복합적인 정서

L. S. Greenberg & S. C. Paivio

(6)

정서의 의미

기분(mood): 장기간에 걸쳐 비교적 강도가 약한 감정

정동⋅정서(emotion): 단기간에 소비하는 비교적 강도가 강한 감정 감정(feeling): 이것들의 총칭

우에하라 사토시

(7)

정서의 의미

감정이란 ?

(1)선택적 유발자극에 대한 뇌 활동 변화,

(2)감각적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의식적으로 탐지된 감정 변화, (3)감정을 해석하고 단어 표지를 붙이는 인지 과정

(4)행동 반응의 준비나 표현

- 이 중 (2)를 감정(feeling), (3)을 정서(emotion)로 구분하기도 함 - 단, 이러한 정의들도 합의된 것은 아님

Jerome Kagan

(8)

현대 서구 사유의 세 젂환과 심리학의 태동

프로이트, 1856~1939 니체, 18445~1900 마르크스, 1818-1883

정싞과 물질의 관계 젂도

정싞이 물질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물적 토대가 정싞을 결정핚다.

가치의 젂도

☞ 기존의 도덕은 노예도덕이다.

“네 자싞이 되라! 네가 지금 생각하고, 욕망하는 모든 것은 네가 아니다”

정싞과 무의식(감성)의 관계 젂도

“정싞적인 것은 무의식적인 것이다.”

인갂은 사유의 주체가 아니라 저 어두운 심연에 자리핚 그것(Es)의 지배를 받는 존재

(9)

프로이트 이후 서구 심리학의 변화

• 19세기 초: 최면요법

• 1895: 프로이트 『히스테리 연구』 발표

• 1907: 정신분석학의 확장: 아들러와 융

• 1920: John Broadus Watson(1878~1958)

어린 앨버트 실험으로 행동주의 시작.

 Burrhus Frederic Skinner(1904~1990) 조작적 조건화, 급진적 행동주의

1954: Abraham H. Maslow,《인간의 동기와 성격》

• 1955: 정서에 대한 과학적 접근, 엘리스와 벡의 인지치료

• 1988: 해피 메이커, 프로작

• 2000: 긍정심리학

(10)

동양의 정서이론: 유교에서 정서의 중요성

*『대학』 : 이른바 몸을 닦음이 그 마음을 바룸에 있다는 것은 마음에 분노 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며, 공구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며, 좋아하고 즐기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며, 우환하 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핚다. 마음이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으며, 들어도 들리지 않으며,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핚다. 이것을 일러

„몸을 닦음이 그 마음을 바룸에 있다‟고 하는 것이다.

*『맹자』 <공손추〉 : 사람들이 모두 차마 (해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고 하 는 까닭은 이러하다. 이제 사람들이 어린아이가 막 우물에 빠지는 것을 보 면, 다 놀라고 불쌍핚 마음을 가짂다. 이는 그 어린아이의 부모와 사귀려 함도 아니며, 마을 사람들과 벗들에게 칭찬을 받기 위하여 그러는 까닭도 아니며, 그 (잔인하다는) 소리를 듣기 싫어서 그렇게 하는 것도 아니다. 이 를 말미암아 보걲대, 측은지심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수오지심이 없으 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지심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시비지심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중용』 : 희노애락의 정이 발하지 않은 것을 중이라 하고 발하여 모두 젃 도에 맞는 것을 화라 이른다.

(11)

동양의 정서이론: 불교에서 정서의 중요성

모든 일은 마음이 근본이다.

마음에서 나와 마음으로 이루어진다.

나쁜 마음을 가지고 말하거나 행동하면 괴로움이 그를 따른다.

수레바퀴가 소의 발자국을 따르듯이.

모든 일은 마음이 근본이다.

마음에서 나와 마음으로 이루어진다.

맑고 순수한 마음을 가지고 말하거나 행동하면 즐거움이 그를 따른다.

그림자가 그 주인을 따르듯이

『진리의 말씀(法句經)』, (법정 옮김)

(12)

참조

관련 문서

나누는

나누는

나누는

~てあげる 는 말하는 사람이 타인이나 상대방에게 도움이 되는 일이나 행위를 제공할 경우, 주는 사람이 받는 사람과 대등하거나 손윗사람일 경우에 씁니다.. ~ てさしあげる 는

얄리의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사람이 책을 써야 하는지

자기 자신의 존재가 자기 자신에게 분명한 사람이 애써 설명한다 해도, 자기가 자신에게 애매모호한 사람이 알아듣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죽음의 순간 알게

嫡이 자녀가 없으면 良妾子女, 良妾子女가 없으면 賤妾子女도 동일하다.. 여러 田丁의 連立은 嫡子가 없으면 嫡孫, 적손이 없으면 同母弟, 동 모제가 없으면 庶孫, 男孫이

그리고 헌법 제10조의 ‘행복추구권’이란 소극적으로는 사람이 고통과 불쾌감이 없 는 상태를 추구할 권리를 뜻하고, 적극적으로는 사람이 만족감을 느끼는 상태를 추 구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