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의 간조직에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의 간조직에서"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4:644 - 651

9)

접수: 1999년 2월 3일, 승인: 1999년 7월 10일

연락처: 정규원, 150-71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2, 성모병원 내과 Tel: (02) 3779-1114, Fax: (02) 780-3132

※ 본 논문은 1999년도 가톨릭대학교 의과학연구원 및 성바오로병원 임상의학연구비 보조로 이루어졌음.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의 간조직에서 Fas 항원의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남순우・최상욱・최 황・김병욱・김성수・양진모 한 남 익・이 창 돈・차 상 복・정 규 원・선 희 식

Im m u n o h i s t o c h e m i c a l S t u d y o f F a s i n Li v e r Ti s s u e s o f Ch r o n i c Vi ra l H e p a t i t i s

S o o n Wo o N a m , M.D., S a n g Wo o k Ch o i , M.D., H w a n g Ch o i , M.D., B y u n g Wo o k Ki m , M.D., S u n g S o o Kim , M.D., J i n Mo Ya n g , M.D.,

N am Ik Ha n , M.D., Ch a n g D o n Le e , M.D., S a n g B ok Ch a , M.D., Kyu Won Ch u n g , M.D. a n d H e e S i k S u n ,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Background/Aims: Fas was proposed as a protein that triggers or mediates apoptosis combining with

Fas ligand on cytotoxic T lymphocytes. The mechanism of hepatic injury in chronic viral hepatitis may also include Fas-mediated apoptosis. We evaluated the expression patterns of Fas in liver tissues of patients with chronic viral hepatitis. Methods: Eighty-six liver biopsy samples from patients with chronic viral hepatitis (64 HBsAg positive, 22 anti-HCV positive) were immunohistochemically stained for Fas. Histological finding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Knodell' s Histologic Activity Index (HAI). Results: Incidence of Fas-positive hepatocytes in chronic viral hepatitis was 75.5%

(75% in type B and 77.2% in type C). Hepatocellular localization of Fas expression in hepatitis B was the membrane in 89.5% of the patients and the cytoplasm in 87.5% of them. In hepatitis C, i was the membrane in all cases and the cytoplasm in 76.4%. Fas positive hepatocytes were the mos frequently detected in periportal area. The prevalence of Fas expression was 100% in chronic active hepatitis of both type B and type C, while in chronic persistent hapatitis, it was 68.8% in type B and 73.3% in type C.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de of Fas expression and HA score. Conclusions: Hepatocytic apoptosis associated with Fas expression may play a role in the pathological mechanism of the hepatic injury in chronic viral hepatitis. (Kor J Gastroentero

1999;34:644 - 651)

Key Words: Apoptosis, Chronic viral hepatitis, Fas, Histological activity index

(2)

남순우 외 10인.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에서 Fas 항원 645

서 론

생명체의 구성 단위인 세포에 있어서 세포사(cell death)는 궁극적인 결과이며 동물의 발달에 있어서 근원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세포사에 대한 일반적인 생물학적 관심이 도래된 것은 근래의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사에 있어서 두 가 지 형태가 알려져 있는데, 일반적인 세포사로 알려 져 왔던 괴사(necrosis)의 형태 이외에도 세포의 위 축, 염색체의 압축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새로운 형 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런 현상을 아 포토시스(apoptosis)1라고 하며 다핵유기체에서 손상 혹은 노화되었거나 불필요해진 세포를 세포의 미세 환경의 손상 없이 제거하도록 하는 세포사의 한 형 태로 세포의 성장과 항상성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3 바이러스성 간염에서의 아포토시스는 Fas 항원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항원 의 발현은 간염의 진행 정도가 심한 부위에서 강력 하게 일어난다고 한다.4,5 Fas 항원은 세포 표면에 위 치한 단백질로서 만성 간염에서는 주로 간세포의 표 면에서 발현되며 아포토시스에 의해 사망이 계획된 세포에 구조적으로 발현되는 물질이고 비정상 혹은 정상환경하에서 세포에 발현되는 아포토시스의 유 도성 물질이다.6 또한 Fas 항원의 발현 정도와 간염 의 진행 정도가 상관관계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4-6 그러므로 바이러스성 간염에서 세포 손상에 대한 아 포토시스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 질환에서 Fas 항원의 발현에 대한 관찰 및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Fas 항원의 관찰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바이러스성 간염에서 Fas 항원의 발현을 면 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이 질환에서의 아 포토시스의 역할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7 국내에 서도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실제 적인 연구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로, 만성 B형과 C형 간염 에서 간조직을 대상으로 Fas 항원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Fas 항원의 발현 빈도가 차이가 있 는지 조사하였으며, 둘째로, 만성 간염 환자에서 Fas 항원 양성 간세포의 간소엽 내 분포 상태를 파악하

고 간조직의 조직학적 활성도와 비교함으로써 간세 포사의 조절에 대한 Fas 항원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1994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만성 바이러스 성 간염으로 가톨릭의대부속 성모병원 및 성 바오로 병원에 입원하여 복강경하 간조직검사를 시행받은 86명 환자에서 채취한 간조직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학적 활성에 따라 만성 간염 질환군을 경도 5예, 중등도 60예, 중증도 21예로 구분하였다. 대상 환자 는 평균 연령이 37.3세(19-62세)였으며 HBsAg 양성 이 64예, anti-HCV 양성이 22예였고 남자 61예, 여 자 25예였다.

2. 방 법

1) 간염 바이러스의 혈청학적 검사

대상 환자들의 혈청 HBsAg, anti-HBs (Abbott Laboratories, IL, USA), anti-HCV (Abbott Labora- ties, Wiesbaden, Deikenheim, Germany)에 대한 검사 와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수치 등은 조직검 사를 시행하면서 함께 측정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검사

파라핀 처리된 간조직을 탈파라핀 처리 후에 3 μ m의 두께로 마이크로커터로 자른 후 30분간 0.3%

과산화수소수에 담가서 내재성 폐록시다아제(peroxi- dase)의 활성을 제거한 후에 phosphate-buffered saline (PBS)에 5분간 씻어내는 과정을 3번 반복하였 다. 비특이적 염색을 막기 위한 과정으로 1:50으로 희석된 정상 염소 혈청으로 30분간 반응시키고 Fas 항원에 대한 마우스 단독클론 IgM 항체(anti-Fas antigen mouse monoclonal IgM antibody: 일본 MBL 사 제품)를 1:300으로 희석시켜서 24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그 후에 PBS로 5분간 3회 세척한 후 1시간 동안 avidin-biotin-complex peroxidase (Vectastain ABC kits: 미국 Vector사 제품)로 반응시키고 발색 제로 3,3-diaminobenzidine tetrahydrochloride-H2O2

(3)

64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4, No. 5, 1999

용액을 넣어 반응시켰다. 대조염색을 위해 헤마톡실 린으로 1분간 처리한 후 5분간 물로 씻은 후에 탈수 하고 슬라이드에 고정시킨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 하였다.

3) K n ode ll 간염활성지수(H is t olog ica l A c - t iv it y In dex : H A I)

복강경하 간조직검사를 통해 얻어진 간조직을 대 상으로 조직학적 활성도에 따라 문맥 주위 괴사는 0-10점, 소엽 내 괴사는 0-4점, 문맥염증은 0-4점, 섬 유화는 0-4점으로 나누어서 간조직의 조직학적 활성 지수를 산정하였다.8

4) F a s 항원 발현 정도의 평가

면역조직화학적 처리된 대상 환자의 간조직 슬라 이드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100-200배의 배율 에서 한 시야에서의 Fas 항원의 발현 정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즉, (-); 발현되지 않음, (+) 혹은 국소성(focal); 양성 세포의 수가 간소엽 내 모든 간 세포의 1/3 미만으로 발현됨, (++) 혹은 소엽성 (lobular); 양성 세포의 수가 간소엽 내 모든 간세포 의 1/3 이상 2/3 미만으로 발현됨, (+++) 혹은 미만 성(diffuse); 양성 세포의 수가 간소엽 내 모든 간세 포의 2/3 이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그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9 또한 간세포에서 양성 발현의 위치를 알기 위해 세포막과 세포질에서의 발현을 각각 구분 하여 관찰하였으며, 발현의 분포를 알기 위해 문맥 역 주위(periportal), 소엽 내(intralobar), 중심정맥역 주위(pericentral)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5) 통계학적 분석

결과의 분석은 피어슨 순위계수검정(Pearson' s rank test)과 T검정을 이용하였고 각각의 수치는 평 균±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p값은 0.05 미만인 것 을 통계학적 유의수준으로 하였다.

결 과

1. 간조직에서 F a s 항원의 발현

간조직에서 Fas 항원의 발현을 보면 만성 간염 환

자의 75.5% (65/86)에서 양성을 보였고, B형 만성간 염 환자에서 75.0% (48/64)(Fig. 1-3), C형 만성 간염 환자에서도 B형 간염과 차이가 없이 77.2% (17/

22)(Fig. 4)에서 양성으로 발현되었다. 또한 Fas 항 원 양성인 예 가운데 간세포 내 발현 위치를 보면 B 형 만성 간염에서는 세포막 양성 발현이 89.5% (43/

48), 세포질 양성 발현이 87.5% (42/48)였다. 질환에 따라 살펴보면 만성 소엽성 간염 3예 중 1예(33%), 만성 지속성 간염 45예 중 31예(68.8%), 만성 활동 성 간염 16예는 전부에서 나타나 만성 활동성 간염 에서의 Fas 표현이 만성 지속성 간염보다 의미

Fig. 1. Tissue sections from a patient with chronic hepatitis B. The Fas antigen was expressed by scattered pattern and discovered in the cytoplasm and membrane of hepatocytes (ABC stain, ×200).

Fig. 2. Tissue sections from a patient with chronic hepa- titis B. The Fas antigen was expressed diffusely and disco- vered in the cytoplasm of hepatocytes at periportal region (ABC stain, ×200).

(4)

Nam, et al. Fas Antigen in Chronic Viral Hepatitis 647

있게(p<0.05) 높게 나타났다. 한편 C형 만성 간염에 서 세포막 양성 발현이 100% (17/17), 세포질 양성 발현이 76.4% (13/17)로 거의 대부분의 간세포에서 세포막 양성과 세포질 발현을 보여주었다(Fig. 4). 질 환에 따른 발현은 만성 소엽성 간염 2예 중 1예 (50%), 만성 지속성 간염 15예 중 11예(73.3%), 만성 활동성 간염 5예 모두에서(100%) 발현되어 C형 간 염에서도 만성 활동성 간염인 경우 Fas 표현이 만성 지속성 간염보다 의미 있게(p<0.05) 높았다(Table 1, 2).

2. F a s 항원 발현의 분포 양상

1) Fas 항원이 양성인 간세포의 소엽 내 분포를 보면 B형 만성 간염에서는 문맥역 주위에서 56.2%

(27/48), 문맥역 주위와 소엽 내에서 25.0% (12/48), 소엽 내에서 12.5% (6/48), 소엽 내와 중심정맥역 주 위에서 0예, 중심정맥역 주위에서 4.1% (2/48), 소엽 전체에서 발현된 경우가 6.2% (3/48)였다. C형 만성 간염에서는 문맥역 주위에서 47% (8/17), 문맥역 주 위와 소엽 내에서 17.6% (3/17), 소엽 내에서 11.7%

(2/17), 소엽 내와 중심정맥역 주위에서 5.8% (1/17), 중심정맥역 주위에서 11.7% (2/17), 소엽 전체에서 의 발현이 5.8% (1/17)였다. 즉, 전체적으로 Fas 발현 의 분포는 주로 문맥역 주위에 밀집해 있었으며(Fig.

2-4, Table 3), Fas 항원의 발현 양상 및 분포에서 B 형 만성 간염과 C형 만성 간염 간에 통계학적 의의 는 없었다.

2) Fas 항원 발현 양상을 보면 B형 만성 간염에서 국소성이 47.9% (23/48), 소엽성이 27.0% (13/48), 미 만성이 25.0% (12/48)였고, C형 만성 간염에서는 국 소성이 64.7% (11/17), 소엽성이 29.4% (5/17), 미만 성이 5.8% (1/17)로서(Fig. 1-4), Fas 항원은 주로 국

Fig. 3.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Fas antigen in chronic, hepatitis B. Hepatocytes expressing Fas antigen in cytoplasm and membrane are densely distributed at the periportal area in chronic hepatitis B (ABC stain, ×200).

Fig. 4. Tissue sections from a patient with chronic hepa- titis C. The Fas antigen was expressed focally and disco- vered both in the cytoplasm and membrane of hepatocytes (ABC stain, ×200).

Table 1. Expression of Fas Antigen in Chronic Viral Hepatitis B

Histological activity No. of Fas Ag positive case

Pattern of Fas Ag expression Fas Ag localization Focal Lobular Diffuse Membrane Cytoplasm Mild (n=3)

Moderate (n=45) Severe (n=16) Total (n=64)

1 (33.3) 31 (68.8) 16 (100 ) 48 (75.0)

1 (33.3) 15 (48.3) 7 (43.7) 23 (47.9)

0 8 (25.8) 5 (31.2) 13 (27.0)

0 8 (25.8) 4 (25.0) 12 (25.0)

1 (100 ) 27 (87.0) 15 (93.7) 43 (89.5)

1 (100 ) 26 (83.8) 15 (93.7) 42 (87.5) Numbers in parenthesis are percentages.

(5)

648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4 권 제 5 호 1999

소성으로 발현되었다(Fig. 4, Table 3).

3. F a s 항원의 발현도와 간염활성지수( H AI) 와의 관계 비교

Fas 항원의 발현도와 조직학적 활성지수와의 관 련성을 비교해 보면 B형 만성 간염과 C형 만성 간 염 각각에는 큰 차이가 없었고 각 발현도에 따른 조 직학적 활성지수의 4가지 항목과의 관계를 보면 B 형과 C형 만성 간염 모두 문맥역 주위에서의 발현도 가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Table 3). 한편, 만성 바이러 스성 간염에서의 Fas 발현도와 조직학적 활성지수와 의 관계를 비교해 보면 Pearson 순위계수가 0.623 (p<0.05)으로 Fas 항원의 발현 정도는 조직학적 간염 활성 정도와 연관성이 있었다(Fig. 5).

고 찰

Fas 항원은 45-kDa의 당화 I형 막수용체(glycosy- lated type I transmembrane receptor)로 마우스의 단 일클론항체인 세포표면단백질이며 특이작용항체와 교차결합하여 아포토시스를 조절한다.10 이러한 특 이작용항체인 Fas 리간드(혹은 항 Fas)는 40 kDa의 당화 II형 막당백질(glycosylated type II transmem- brane protein)로 종괴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군에 속해 있는 세포표면물질이며 Fas 항원의 발현 시에 Fas 항원과 결합하여 세포에서 아포토시스를 유발하는데 Fas 리간드와 Fas 항원이 각각 사망인자 와 수용체로서 작용한다.11

Fas 항원과 Fas 리간드에 의한 면역반응은 조직 또는 기관의 발생, 위축과 말초혈액세포의 재편성 Table 2. Expression of Fas Antigen in Chronic Viral Hepatitis C

Histological activity No. of Fas Ag positive case (%)

Pattern of Fas Ag expression Fas Ag localization Focal Lobular Diffuse Membrane Cytoplasm Mild (n=2)

Moderate (n=15) Severe (n=5) Total (n=22)

1 (50 ) 11 (73.3) 5 (100 ) 17 (77.2)

1 (100 ) 8 (72.7) 2 (40.0) 11 (64.7)

0 2 (18.1) 3 (60.0) 5 (29.4)

0 1 (9.0) 0 1 (5.8)

1 (100) 11 (100) 5 (100) 17 (100)

0 8 (72.7) 5 (100 ) 13 (76.4) Numbers in parenthesis are percentages.

Table 3. Distribution of Expression of Fas Antigen in Viral Hepatitis

Hepatitis B (n=48) Hepatitis C (n=17)

No. % No. %

Periportal

Periportal+Intralobar Intralobar

Intralobar+Pericentral Pericentral

Periportal+Intralobar+Pericentral Focal

Lobular Diffuse

27 12 6 0 2 3 23 13 12

56.2 25.0*

12.5 0 4.1*

6.2 47.9*

27.0 25.0*

8 3 2 1 2 1 11 5 1

47.0 17.6 11.7 5.8 11.7 5.8 64.7 29.4 5.8

* p<0.05 vs. hepatitis C.

(6)

남순우 외 10인.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에서 Fas 항원 649

뿐만 아니라 후천성 면역결핍성증후군, 숙주대이식 편질환(host-versus-graft disease), 자가면역질환 등에 연관되어 있다.12,13 Fas 항원은 다양한 세포에 존재 하지만 Fas 리간드는 주로 활성화된 T 림프구에서 발현된다.14

최근에 아포토시스를 조절하는 세포표면단백질인 사람 Fas 항원에 대한 cDNA가 복제되었고, 이런 분 자 복제(molecular cloning)로 Fas 항원이 조직괴사 요소수용체, 신경성장물질(nerve growth factor)수용 체, B세포 CD40 항원과 T세포 OX40 항원을 포함하 는 수용체 군에 포함된다는 것이 알려졌다.

만성 간염 환자의 간세포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의 제거는 숙주의 면역반응에 좌우되며 특히 바 이러스 항원과 감염된 간세포에 발현된 HLA Class I 항원의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15이 중요하며 또한 세포독성 T 림파구가 표적 간세포를 인식하여 아포 토시스를 유발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16,17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만성 B형과 C형 간염 환자 들의 간조직을 검사한 결과 B형, C형 각각에서 큰 차이 없이 75% 정도에서 Fas 항원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다른 연구자들4,5의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간세포 내 Fas 항원의 분포를 보면, 세 포막에서는 B형 간염이 89%, C형 간염이 100%, 세 포질에서는 각각 B형 간염이 87%, C형 간염이 76%

로서 세포막과 세포질에서 모두 높은 발현율을 보 였는데, Fas 항원이 주로 세포막에서 발현된다는 종 래의 보고와는 차이가 있었다.5 이는 Fas 항원이 감 염된 간세포의 세포질에서 만들어져 세포막으로 이 동되어 나타나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Fas 항원 양성 간세포의 간조직 내 분포는Table 3에서 보듯이 B형 간염, C형 간염 각각의 Fas 항원 의 발현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B형 간염인 경우 문 맥역 주위에서 Fas 발현율이 C형 간염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이나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이는 아마 도 C형 간염인 경우 B형 간염에 비해 문맥역 주위 염증반응이 경하다고 알려진 것과 상관관계가 있는 듯하나 본 연구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어 앞으 로 더 많은 예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으 로 생각한다. 그러나, 문맥역 주위에서 관찰된 예가 B형 간염에서 56%, C형 간염 47%로서 간염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 문맥 주위에 위치함을 알 수 있었고, B형 간염, C형 간염 모두에서 문맥역 주위의 소위 Fig. 5. The correlation between Fas antigen expression (grade) and

histological activity index (HAI).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s grade and HAI (r=0.633, p<0.05).

(7)

65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4, No. 5, 1999

조각괴사(piecemeal necrosis) 부위에 림프구가 많이 침윤된 곳에서 Fas 항원의 발현이 주로 나타났다.

이것은 아마도 조직 실질 내로의 염증성 침윤이 간 세포 괴사의 한 형태인 아포토시스와 밀접한 관계 를 이루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B형, C형 간염 모두에서 만성 활동성 간염 의 Fas 발현이 만성 지속성 간염보다 의미 있게 높 게 나타난 것은 다른 연구자들5,6 결과와 일치하며 이러한 사실은 염증 정도가 심하게 진행할수록 Fas 항원의 발현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더욱이 간염 활성 정도를 나타내는 Knodell 간염활성지수 (HAI)8와 Fas 항원 발현 정도 사이에는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r=0.623, p<0.05).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Fas 항원 양성인 간세포 주 위에 침윤된 림프구가 존재함을 발견하였으며 이것 은 Fas 항원과 Fas 리간드의 상호작용으로 세포독성 림프구에 의해 아포토시스가 조절된다는 것을 시사 하며18 Fas 항원을 가진 간세포가 표면에 Fas 리간드 를 발현하는 세포독성 림프구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아포토시스를 유발함을 의미한다.10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맥역 주위에서 주로 간세포의 염증반응이 관찰되고 Fas 항원 양성 간세 포가 같은 부위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보아서 이러한 Fas 항원의 간세포에서의 발현은 B형 간염, C형 간 염 모두에서 큰 차이 없이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에 서의 병리적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 된다.

요 약

목적: 만성 간염 환자의 간조직에서 Fas 항원의 발현을 관찰함으로써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에서 간 세포 손상의 병리학적 기전에 Fas 항원의 매개에 의 한 아포토시스가 관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만성 B형과 C형 간염 환자의 간조직 을 대상으로 Fas 항원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 행하여 Fas 항원 양성 간세포의 간소엽 내 분포 양 상을 파악하고 간조직의 조직학적 활성도와 비교하 였다. 결과: Fas 항원이 양성인 간세포의 발현 빈도 는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의 75.5%에서 관찰되

었고 그 중에서 B형 간염은 75.0%, C형 간염은 77.2%에서 발현되었다. 간세포 내 Fas 항원의 발현 위치를 보면 B형 간염에서 세포막이 89.5%, 세포질 이 87.5%이었고 C형 간염에서는 세포막이 100%, 세포질이 76.4%이었다. Fas 항원이 양성인 간세포 의 간조직 내 분포를 보면 문맥역 주위에서 가장 많 았고 다음으로는 소엽 내였으며 중심정맥역 주위가 가장 적었다. 또한 발현 양상은 국소적인 발현이 가 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산재성이었고 미만성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B형과 C형 만성 간염에서의 Fas 항 원의 발현 정도는 만성 지속성 간염(68.8%, 73.3%) 에서보다 만성 활동성 간염(100%, 100%)에서 더 의 미 있게 높았으며, Fas 항원의 발현 정도는 조직학 적 활성도와 서로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만성 바이 러스성 간염에서 Fas 항원은 주로 문맥역 주위의 간 세포에서 발현되며, 그 발현 정도와 조직학적 활성 도 사이에는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므로, Fas 항원에 연관된 간세포 아포토시스가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의 병리학적 기전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색인단어: 만성 간염, Fas 항원, 면역조직학적 검출

참 고 문 헌

1. Kerr JF, Wyllie AH, Currie AR. Apoptosis: a basi biological phenomenon with wide-ranging implica tions in tissue kinetics. Br J Cancer 1972;26:239 257.

2. Raff MC. Social controls on cell survival and cel death. Nature 1992;356:397-400.

3. Steller H. Mechanisms and genes of cellular suicide Science 1995;267:1445-1449.

4. Mochizuki K, Hayashi N, Hiramatsu N, et al. Fa antigen expression in liver tissues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J Hepatol 1996;24:1-7.

5. Hiramatsu N, Hayashi N, Katayama K, et al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Fas antigen in liver tissue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Hepatology 1994;19:1354-1359.

6. Nagata S, Golstein P. The Fas death factor. Science 1995;267:1449-1456.

(8)

Nam, et al. Fas Antigen in Chronic Viral Hepatitis 651

7. Searle J, Harman BV, Bishop CJ, Kerr JFR. The significance of cell death by apoptosis in hepato- biliary disease. J Gastroenterol Hepatol 1987;2:77- 96.

8. Knodell RG, Ishak KG, Black WC, et al. Formula tion and application of a numerical scoring system for assessing histological activity in asymptomatic chronic active hepatitis. Hepatology 1981;1:431-435.

9. Tsutsumi M, Urashima S, Takada A, Date T, Tanak Y. Detection of antigens related to hepatitis C viru RNA encoding the NS5 region in the livers o patients with chronic type C hepatitis. Hepatology 1994;19:265-272.

10. Itoh N, Yonehara S, Ishii A, et al. The polypeptid encoded by the cDNA for human cell surface antigen Fas can mediate apoptosis. Cell 1991;66 233-243.

11. Nagata S. Fas and Fas ligand: a death factor and it receptor. Adv Immunol 1994;57:129-144.

12. Alderson MR, Armitage RJ, Maraskovsky E, et al Fas transduces activation signals in normal human T lymphocytes. J Exp Med 1993;178:2231-2235.

13. Mysler E, Bini P, Drappa J, et al. The apoptosis- 1/Fas protein in human systemic lupus erythema- tosus. J Clin Invest 1994;93:1029-1034.

14. Higaki K, Yano H, Kojiro M. Fas antigen express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apoptosis in human hepa tocellular carcinoma and noncancerous tissues. Am J Pathol 1996;149:429-437.

15. Fukusato T, Gerber MA, Thung SN, Ferrone S Schaffner F. Expression of HLA class I antigen on hepatocytes in liver disease. Am J Pathol 1986;123 264-270.

16. Patel T, Gores JG. Apoptosis and hepatobiliary disease. Hepatology 1995;21:1725-1741.

17. Chu CM, Shyu WC, Kuo RW, Liaw YF. HLA clas I antigen display on hepatocyte membrane in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ts role in the pathoge nesis of chronic type B hepatitis. Hepatology 1987 7:1311-1316.

18. Arends MJ, Wyllie AH. Apoptosis: mechanism and roles in pathology. Int Rev Exp Pathol 1991;32 223-254.

수치

Fig. 1. Tissue sections from a patient with chronic hepatitis B. The Fas antigen was expressed by scattered pattern and discovered in the cytoplasm and membrane of hepatocytes (ABC stain, ×200).
Table 1. Expression of Fas Antigen in Chronic Viral Hepatitis B
Table 3. Distribution of Expression of Fas Antigen in Viral Hepatitis

참조

관련 문서

• Cdt는 DNA분해효소로 상피세포, 치은 섬유모세포와 림프구를 포함한 여러 세포의 세포분열을 억제하여 세포분열이 억제된 일부 세포에서는

그림 6.33 체절극성 유전자인 engrailed(en)과 wingless(wg)의 발현 모델... 그림 6.34 Wingless/Hedgehog 신호전달중심에

 이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의학적 손상 중심의 사정을 통해 장애 등록 여부와 장애 등급을 결정하고 있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 의학적

중추 신경계 손상 수전증, 기억 상실증 몸의 균형 감각 저하

스마트 키의 배터리 상태에 이상이 없는데 대기 상 태 안내가 계속될 경우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 템을 사용하지 마시고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비반세포 활성 질환 은 비반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 및 침윤, 과도한 매개물질 분비를 특징으로 하며 인체의 모든 기관을 침범할 수 있다.. 이 질환

Pennel 등 36) 은 비구 골절의 임상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골절양상,체중 부하 부위의 손상 정도,치유시의 전위 정도,골반환의 동반 손상 여부,환자의 나

아이디어를 쉽게 시각화 하는 디자인의 창의적 발상기법을 아 예 비즈니스의 전략이나 신규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워크샵 형 태로 제공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이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