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어수업이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영어수업이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opied!
8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 사 학 위 논 문

영어수업이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학교 1학년 학습자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이 경 화

2 0 0 1

(2)

영어수업이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학교 1학년 학습자를 중심으로- 지도교수 박 영 배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 논문으로 제출함

2002년 6월 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이 경 화

2 0 0 1

(3)

이경화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2년 6월 일

심사위원장 

심 사 위 원 

심 사 위 원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4)

목 차

1. 서 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 방법 ··· 3

1.3 연구의 제한점 ··· 4

2. 영어수업과 교수법

··· 5

2.1 영어 사용 수업의 필요성 ··· 5

2.2 교사의 목표언어 사용과 영어 숙달도 ··· 7

2.3 목표어 사용 교수법과 그 한계 ···11

3. 실 험

···17

3.1 기간, 대상, 교재 및 실험일정 ···17

3.2 사전평가 ···18

3.3 실험 절차 ···20

3.3.1 교재에 따른 수업 진행 계획 ···20

3.3.2 수업 모형 ···22

3.3.3 차시별 수업 절차 ···23

3.4 실험 결과 ···25

3.4.1 차시별 실험 결과표 ···25

3.4.2 비교반과 실험반의 차시별 결과 ···33

3.4.3 형성평가 결과 ···35

3.4.4 종합 분석 결과표 ···38

(5)

4. 분석 및 논의

···40

5. 결론 및 제언

···46

참 고 문 헌

···48

ABSTRACT

···51

부 록

···53

<부록- 1> ···53

<부록- 2> ···54

<부록- 3> ···55

<부록- 4> ···56

<부록- 5> ···57

<부록- 6> ···58

<부록- 7> ···59

<부록- 8> ···60

<부록- 9> ···61

<부록-10> ···62

<부록-11> ···66

<부록-12> ···70

<부록-13> ···71

<부록-14> ···72

<부록-15> ···73

<부록-16> ···74

(6)

<부록-17> ···75

<부록-18> ···76

(7)

<표 목차>

<표- 1> 실험일정 ···17

<표- 2> 사전평가 결과 ···18

<표- 3> 비교반과 실험반의 시간표 ···19

<표- 4> 교재에 따른 차시별 학습내용 ···20

<표- 5> 비교반과 실험반의 수업모형 ···22

<표- 6> 실험 1차시 수업모형 ···24

<표- 7> 1차시 실험 결과표 ···25

<표- 8> 2차시 실험 결과표 ···26

<표- 9> 3차시 실험 결과표 ···27

<표-10> 4차시 실험 결과표 ···28

<표-11> 5차시 실험 결과표 ···29

<표-12> 6차시 실험 결과표 ···30

<표-13> 7차시 실험 결과표 ···31

<표-14> 8차시 실험 결과표 ···32

<표-15> 비교반과 실험반의 차시별 결과표 ···33

<표-16> 비교반과 실험반의 차시별 결과 분석표 ···34

<표-17> 1차 형성평가 결과표 ···35

<표-18> 2차 형성평가 결과표 ···36

<표-19> 1, 2차 형성평가 실험 결과 분석표 ···37

<표-20> 사전평가 결과와 형성평가 결과 비교표 ···38

<표-21> 비교반과 실험반의 성적 종합표 ···39

(8)

< 그 림 목 차 >

<그림-1> 비교반과 실험반의 차시별 평가 결과 그래프 ···34

<그림-2> 1, 2차 형성평가 실험 결과 분석 그래프 ···37

<그림-3> 사전평가와 형성평가 결과 비교 그래프 ···38

<그림-4> 비교반과 실험반의 성적 종합 그래프 ···39

(9)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차 영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국제 공용어인 영어의 중요 성을 알게 하고 영어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지시키며 ‘학생들의 영어 의 사 소통능력’의 향상에 중점을 두게 됨에 따라 ‘생활 영어’와 ‘실용영어를 중시하고, 교수․학습 활동에서는 교사나 학생이 목표언어인 영어를 가급 적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의 내용도 개편하였다.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1~10학년)은 전체 학생의 수준에 맞게 기초적인 생활 영어를 중 심으로 쉽게 구성하고, 교과 선택 중심 수준별 교육과정(11~12학년)기간에 는 학생의 진로와 관심, 수준에 따라 교과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학문적인 언어 능력과 실무영어 구사 능력이 균형 있게 길러질 수 있 도록 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에 기초해서 교실 수업에서도 학생들이 실제로 의사 소 통을 영어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한 교사들의 교실 영어 사 용이 요구됨에 따라 교실 수업에 실제로 교사들이 영어를 사용하여 수업을 하게 되었다. 영어를 사용하여 수업을 하는 것은 실제로 영어를 사용하거 나 들을 기회가 적은 우리나라와 같은 상황에서는 굳이 외국인이 수업을 하지 않더라도 학생들이 영어를 익숙하게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되며 영어 로 대화를 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환경을 조성할 수가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10)

실제로 현실적인 많은 요구에 따라 교육과정이 변화하여 왔으며 또한 교사들은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실제로 수업현장에서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 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과연 학생들의 학습에 효 과적인지에 대한 여러 가지 실제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수업 을 받고 있는 학생들은 또한 이러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도 실제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학생들의 학습에 학습 한 내용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효과적인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학생 들은 이러한 영어 수업을 이해할 수준이 되는지, 또한 이렇게 영어로 학습 을 하는 환경이 학생들에게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를 연구해 보려고 하며 또한 이에 이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11)

1.2 연구 방법

이 논문은 사전평가를 통해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고 실험반 에서는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되 교사의 재량에 따라 여러 가지 활동을 추 가하는 방식으로 하였으며, 그에 따른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차 시별로 평가를 하여 성적의 향상도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수업 내용의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형성평가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 다. 이러한 실험을 바탕으로 결과표를 작성하고 분석하였다.

(12)

1.3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지므로 결과 적용이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첫째, 이 실험은 특정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실험반 두 학급과 비교반 두 학급으로 총 4학급(총원 132명, 한 학급당 평균 33명)으로 한정하였고, 실험 기간도 2주로 제한되어 실험 대상의 수가 한정되어 있었으며 실험 기간이 비교적 짧았다는데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학습내용과 학습에 대한 평가는 (주)도서출판 디딤돌에서 발행된

MIDDLE SCHOOL ENGLISH(1) 교과서에 있는 내용으로 한정하여

이루어졌다는데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셋째, 이 실험에서는 한 사람의 교사가 실험을 진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는데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13)

2. 영어수업과 교수법 2.1 영어 사용 수업의 필요성

영어 사용 수업의 필요성은 국가 정책적으로,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 는 실정이다. 이러한 영어 사용수업의 필요성이 요구된 것은 영어 사용 수 업을 함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우려에도 불구하고 영어를 사용해서 수업을 하는 것이 학생들의 영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이 이유 때문 이다. 이러한 영어 사용 수업을 하기까지 영어 교육의 확대 배경은 다음과 같다.

곽노행(2000)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는 1955년 이후 미국과의 정치, 외 교, 경제적 관계를 고려하여 학교 교육이나 사회적인 일반 영어 교육에서 도 미국 영어 중심의 영어교육을 실시하여 왔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 터 우리의 국력이 신장되고, 외교관계의 폭이 넓어지며, 해외무역이 증가하 고, 미국과 영국, 캐나다 호주 등 영어 사용 국가는 물론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다른 나라 사람들의 왕래가 많아지며, 해외 여행이 빈번해 지면서 외국인과 의사소통 수단으로 영어를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급증하 게 되었다. 또한 1990년대 초부터 국제화․세계화․정보화의 물결이 우리 나라에 유입되면서 영어교육에서도 변화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1994년 유네스코(UNESCO)의 보고에 의하면 세계 중요 정보의 80%이 상이 영어로 전달되고, 세계 인구의 68%이상이 영어를 모국어나 공용어, 외국어로 사용하며, 세계 방송의 60%, 우편 70%, 국제 통화 85%, 컴퓨터 자료 80% 정도가 영어로 전달되고 있다. 현재는 인터넷 전자 상거래의

(14)

96%, 홈페이지의 80% 정도가 영어로 통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화 산업에서 얼마나 선진화를 이룰 수 있느냐의 정도가 경제적 경쟁력에 비례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비하기 위한 영어 교육이 필요하게 되 었다.1)

이와 같이 세계간의 교류가 증대됨에 따라서 영어가 국제 공용어로 사 용되게 되었고, 인터넷이나 방송과 같은 매체의 발달에 따라 국제간의 교 류는 더욱 증진되어 국제적으로는 여러 가지 국제 문제를 의논하기 위하 여, 국가적으로는 국가의 여러 가지 대소사를 세계에 알리고 국제사회의 문제와 변화에 대해 알고 대처하기 위하여, 기업의 측면에서 봤을 때는 국 제사회에서 경쟁력 있는 기업이 되기 위하여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여행, 학문연구 등등의 여러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어를 배워야 될 필요성이 더욱 증대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영어교육이 확대됨에 따라 학생들에게 영어교육을 효과 적으로 하게 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제기된 것이 영어로 수업을 하는 것이다. 7차 교육과정의 실행에 따라 그리고 여러 가지 국제적, 사회적 요 구에 따라 영어수업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1) 곽노행 2000에서 인용

(15)

2.2 교사의 목표언어 사용과 영어 숙달도

교실에서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교실영어에 대한 이해가 선 행되어야 할 것이다. 교사가 교실영어를 사용함에 있어서의 고려사항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선규수(1998)에 의하면 교사는 발화의 길이, 발화의 통사적 특성, 발화 의 전달 속도, 주제 선택, 어휘선택, 비언어적 자질의 사용, 발화의 전달방 법, 어조 등 많은 양상들을 세심하게 고려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 는데 전력해야 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외국인의 말에서도 나타난다. 외국인 의 말은 특정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이 그 언어를 배우고 있는 학습자나 그 언어의 사용 능력이 초보적인 수준의 사람과 대화할 때 사용 하는 말이다. 한편, 학생의 말은 특정 언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생들이 언 어습득의 단계에서 사용하는 말이다. 이 말이 바로 ‘중간언 어’(interlanguage)2)이다. 따라서 중간언어에 속하는 말을 하는 학생의 말 은 언어사용 능력이 완벽한 화자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단순화된 언어 형태 인 어머니의 말, 보모의 말, 교사의 말, 외국인의 말과 다르다. 어머니의 말, 보모의 말, 교사의 말 외국인의 말에서 언어 사용자는 언어능력이 갖추 어진 원어민이기 때문이다. 언어에 대한 완벽한 사용 능력을 갖추고 있는 원어민들은 청자의 수준에 맞추어 말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비

2) 중간언어란 용어는 Selinker가 1969년에 소개하였고 1972년에 좀더 정교하게 다듬어 발표하여 이것은 보다 영향력 있는 논문이 되었다. 그 논문의 제목이 언급 하는 것은 ‘분리된 언어체계’ 이것은 출력의 관찰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것은 (제 2언어) 학습자가 목표언어의 표준에 맞추어 발화를 시도하는 것을 관찰하여서 나 타난 것이다. 이런 언어 체계를 “중간언어" 라 부른 것이다.

(16)

해서, 학생의 말에서는 언어사용자들의 언어사용 능력이 표출되는 것일 뿐 이며, 학생들은 말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교사의 말의 사용 목적, 어휘와 구조의 이해 가능여부, 각종 교수자료의 사용에 따라서 학생 의 말을 다양하게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의 말은 학생의 말에 직접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여 교수를 하기 위해서 교사들은 학생들의 언어사용 능력 수준을 판단하고, 상황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여서 학생들이 언어를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는 교사의 언어가 언어를 배우는 단계에 있는 중간언어 사용자들인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영향을 생각하여 언어를 선별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선규수(1998)3)는 교사의 교실 언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원칙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실언어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단순화하여 사용한다.

둘째, 교실언어는 일관성과 다양성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사용하여야 한다.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이 점차 개발되어 가면, 교사의 교실언어 사용은 점차 교실수업에 다양성을 부여하고, 언어사용의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하고, 학습자의 호기심과 동기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 다. 셋째, 교실언어는 빈번하게 사용되어야 하며 한번에 반복적으로 사용되 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습자들은 교실언어의 의미를 더 잘 파악할 수 있고 나중에 이 언어를 무의식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넷째, 교실 수업에

3) 선규수(1998)는 교사의 목표언어(target language) 사용은 교실 수업의 교수요 목과 관련되며, 목표언어란 교사가 학생들에게 가르치고자 하는 언어를 말하고, 교 실언어(classroom language)란 목표언어를 가르치기 위해서 사용되는 언어를 지칭 한다고 하였다.

(17)

서 언어적인 요소와 비언어적인 요소와 결합될 때 언어 상황은 더욱 자연 스러워지고 학습자들은 더 쉽게 언어를 습득하게 된다. 따라서 교사는 교 실영어를 사용할 때 몸짓, 행동 등을 통해 교사가 의미하는 바를 이해시키 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교사는 교실에서 영어로 교수하기 위해서는 어떤 상황에서든 학습자를 고려한 영어로 교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항상 인식하여야 한다. 교사가 영어를 배우는 초기 단계의 학생들에게 일관성 없이 교사가 알고 있는 영어를 산발적으로 사용한다면 이러한 초기 단계의 학생들은 매 우 혼란스러워 할 것이다. 또한 교사는 다양한 언어를 배우고자하는 요구 를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에게는 어느 정도 다양한 언어를 사용할 능력 또 한 갖추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교사는 언어로 전달이 어려울 때에는 비언어적인 여러 가지 행동을 통해서라도 학생들을 이해시키기 위해 노력 을 해야 한다.

Willis(1981)에 의하면 교사가 수업 시간에 사용하는 교실 영어는 'English for teaching purpose'혹은 'specialist' classroom English와 'general' English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교사가 교실 영어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눈다고 가정했을 때 교사는 학생들에게 언어를 학습시키기 위해서 형식적으로 체계화된 교실영어를 사 용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실제로 학생들에게 여러 가지 실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언어를 가르쳐 주기 위해서는 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한 영어가 아닌 학생들과 실제로 대화할 수 있고 학생들이 실제로 사용 할 수 있는 영어를 사용하면서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나누 는 것 또한 중요하다.

(18)

또한 실제로 영어 사용 수업을 실시하게 되면서 교사의 영어의 숙달도 가 어느 정도가 되는지가 중요하며 교사의 영어 숙달도 문제는 많은 논란 의 대상이 되어왔다. 비 원어민 영어교사가 교실영어 수업을 위한 중요한 자질을 갖추는 방법 중의 한 가지는 영어 사용의 숙달도를 높이는 것이다 (Brewster et al., 1991)4). 또한 선규수(1999)에 의하면 영어교사는 영어 사 용의 숙달 정도를 높이는 동시에 교실에서 모형으로 제공되는 영어의 진정 성(authenticity) 그리고 ‘의사소통의 진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즉 교사들 이 사용하는 교실영어의 진정성은, 유사한 상황들에서 원어민들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는 말을 자신들이 수행하고 학생들에게도 사용할 때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수업에서 사용하는 영어의 개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 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Are the dogs blue?" 와 같은 질문은 학생들에게 개의 그림에 파란색을 칠한 아동에게는 진정한 의 사소통적 질문이 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언어 연습을 위한 질문에 불가하다. 따라서 교사는 사실적이고 진정한 질문을 하는 노력과 아울러, 교실영어 수업에서 교실영어를 포함한 교수 언어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전략과 기술을 개발하는데 전력하여야 한다.

교사들이 영어 숙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학습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어를 배우고 여러 가지 학습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여 러 가지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과 아울러 교사 개개인의 여러 가지 노력이 있어야 다양한 학습상황에 대처하며 충분한 숙 달도를 갖춘 교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 Brewster et al. 1991에서 재인용

(19)

2.3 목표어 사용 교수법과 그 한계

실제로 전통적으로 외국에서 사용되었던 교수법 중에 목표어만을 사용 하여 교수를 했던 대표적인 교수법 중에는 직접식 교수법이 있는데 그 내 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독일인 학자 F. Franke(1884)는 목표어의 언어 형태와 의미 사이의 직 접적 연상에 관한 심리학적 원리에 대해 글을 써서, 목표어 만을 사용하여 언어를 가르치는 접근 방법이 이론적으로 타당함을 보여주었다. Franke에 의하며, 언어는 교실에서 활동적으로 사용할 때 가장 잘 배울 수 있다. 교 실에서 언어를 가르칠 때 문법 규칙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분석적 인 절차를 사용하기보다, 교사는 학생들이 교실에서 외국어를 직접적, 자발 적으로 사용하도록 격려해야 한다. 그러면 학습자들은 문법 규칙을 추론해 낼 수 있게 된다. 교사는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 교과서의 역할을 대신하였 다. 말하기는 발음에 대한 체계적인 관심과 함께 시작되었고, 이미 알고 있 는 단어들은 새로운 단어들을 가르치기 위해 몸짓, 실물 제시, 그림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었다. 이러한 자연적 학습 원리는 자연적 교수법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직접식 교수법에 대한 기초를 제공했다. 직접식 교수법 의 열렬한 옹호자들은 이 교수법을 프랑스와 독일에 소개했으며, Sauveur 와 Maximiliam Berlitz가 성공적인 몇몇 사립 언어 학교에서 이 교수법을 사용함으로써 미국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실제로, 직접식 교수법5)은 다음과 같은 원리와 과정을 따른다.

5) 사실 Berlitz는 직접식 교수법이라는 용어를 결코 사용하지 않고, 그의 학교에 서 사용된 교수법을 Berlitz 교수법이라고 칭했음.

(20)

1. 교실수업은 전적으로 목표어로 이루어진다.

2.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와 문장들을 가르쳐야 한다.

3. 구두 의사 소통 기술은 소규모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들 사이의 질문 대답으로 조직되어, 주의 깊게 등급화 된 단계에 따라 개발된다.

4. 문법은 귀납적으로 가르친다.

5. 새로운 교수 요점은 구두로 도입한다.

6. 구체적인 단어는 실물 제시 및 그림을 통해서 가르치며, 추상적인 단어는 개념의 연상 작용을 통해서 가르친다.

7. 말하기와 듣기 이해 둘 다 가르친다.

8. 정확한 발음과 문법이 강조된다.

이들 원리들은 구어를 가르치는 다음과 같은 지침에서 볼 수 있는데, 현대 Berlitz 학교들에서도 여전히 따르는 원리들6)이다. 그 원리들은 다음 과 같다.

번역하지 말고, 사물을 보여주라 설명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주라 연설하지 말고, 질문을 하라.

실수를 모방하지 말고, 잘못을 바로잡아라 낱개의 단어들을 말하지 말고, 문장을 이용하라

6) Titone 1968에서 재인용

(21)

교사가 너무 많이 말하지 말고, 학생들에게 말을 많이 하도록 시켜라

책을 사용하지 말고, 교사 자신의 수업 지도안을 이용하라 건너뛰지 말고, 자신의 수업 계획대로 진행하라

수업 진도를 너무 빨리 하지 말고, 학생과 보조를 맞추어라 너무 느리게 말하지 말고, 정상적으로 말하라

너무 빨리 말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말하라 너무 크게 말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말하라 성급하지 말고, 여유 있게 하라

직접식 교수법은 Berlitz 학교 같은 사립 언어 학교에서도 매우 성공적 이었는데 이것은 돈을 내고 배우는 학생들이 높은 동기를 갖고 있었으며, 이들 학교에서 외국어를 구사할 줄 아는 교사를 채용하는 것이 기준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지지하는 사람들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공립 중등학교 교육에서 이 교수 방법을 실행하기란 어려웠다. 이는 직접 식 교수법이 자연적인 모국어 학습과 교실에서의 외국어 학습 사이의 유사 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왜곡시켜서, 교실의 실제적인 제약을 고려하지 못 했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직접식 교수법에는 응용 언어학의 확고한 이론적 기초가 부족했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더욱 더 이론적으로 바탕을 둔 개 혁 운동 지지자들에 의해 흔히 비판을 받았다.

직접식 교수법은 계몽적 아마추어 정신의 산물로 나타났지만, 여기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첫째, 직접식 교수법은 외국어를 사용하는 원어민이나 원어민과 같은 수준의 유창도를 가진 교사를 필요로

(22)

했다. 직접식 교수법은 주로 교과서보다는 교사의 능력에 의존했는데, 모든 교사들이 이 교수법의 원리에 충실할 수 있을 만큼 외국어에 능숙한 것은 아니었다. 비평가들은 직접식 교수법 원리를 엄격하게 고집하는 것이 역작 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왜냐하면, 때때로 학생들이 사용하는 모 국어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훨씬 이해하는 데 효과적일 수도 있는 것을 교 사들은 모국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온갖 노력을 다해야 했기 때문이다.7)

우리는 이와 같이 영어를 사용해 수업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과거에 외 국에서도 이와 같은 교수법이 없었던 것이 아니며 이러한 교수법이 가질 수 있는 단점들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목표어를만을 사용해서 수업을 하는 것을 비판해서 문 제점을 지적한 학자들도 있으며 목표어만을 사용하기보다는 우리말과 목표 어를 적당히 혼용하는 것이 적당하다는 학자들도 있었다. 그 내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하버브대 심리학자인 Roger Brown(1973)은 엄격한 직접식 교수법 교수 기술에 대한 유사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일본어 단어들의 의미를 전 달하려는 시도에서 번역이 사용하기에 훨씬 더 효율적인 기술이었지만 교 사가 목표어로 장황하게 설명하는 것을 관찰할 때에 느낀 그의 좌절을 기 술했다.8)

배두본(2000)도 학생들의 능력과 수준을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하면서 교사 언어로서의 영어를 사용해야 하며, 수업의 특성으로 보아 듣기와 말 하기 시간에는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읽기와 쓰기

7) Richards, Jack C. & Rodgers, Theodore S. 1986에서 인용 8) Richards, Jack C. & Rodgers, Theodore S. 1986에서 재인용

(23)

시간에는 우리말과 영어를 혼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경우가 많다고 하였 다.

Willis(1981)는 목표어보다 모국어가 더 바람직하거나 더 효율적일 때가 있다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1. 새로운 단어의 의미나 쓰임을 설명하는데 긴 시간이 걸릴 때 2. 수업이나 다음 활동의 목표를 설명하는데 모국어가 더 빠른

경우

3. 제시 단계 이후 이해를 확인 할 경우

4. 초급과 중급 단계의 중간 수준의 학급에서 읽기 활동을 위해 짝과 함께 읽기 자료의 요지를 파악하고자 협의할 때

Atkinson(1993)은 목표어와 모국어간에 적절한 균형이 있을 수 있는가 에 대하여 영어는 어떤 교실에서도 대부분의 시간에 쓰여져야 하는 언어이 긴 하지만, 그 양자간의 정확한 비율이 있다고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으 며, 그것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말한다.

1. 학생의 선행 경험 (the student's previous experience) 2. 수준 (level)

3. 과정의 단계 (the stage of the course) 4. 단원의 단계 (the stage of the lesson)9)

9) 곽노행 2000에서 재인용

(24)

이와 같이 영어 사용 수업을 권장하더라도 전적으로 영어로 수업을 진 행하기보다는 학습자에 대한 여러 가지 고려가 선행되어야 하며, 부분적으 로는 모국어로 설명을 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일 수 있다는 점을 교사는 인 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봤을 때에는 원어민 교사보다는 모국 어를 구사할 수 있는 교사가 언어를 교수하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설이 설득력을 가진다. 실제로 7차 교육과정에서도 교사가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기는 하지만 문법적인 내용을 설명할 경우에는 우리말을 혼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25)

3. 실 험 3.1 기간, 대상, 교재 및 실험일정

연구기간은 2002년 4월 12일부터 2002년 4월 25일 까지 약 2주간에 걸 쳐 실시하였으며 본 실험은 ○○중학교에 재학중인 1학년 총 4학급(총원 132명, 한 학급당 평균 33명)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교재는 (주)도서출판 디딤돌에서 발행된 MIDDLE SCHOOL

ENGLISH(1) 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전평가 성적을 바탕으로 하여 비교반

과 실험반으로 나누었다. 실험 일정은 아래 <표-1>관 같다.

<표-1> 실험 일정

4.12-14 4.16-4.24 4.23-4.25

실험반 사전평가 1차시-8차시 수업과 평가 형성평가

비교반 사전평가 1차시-8차시 수업과 평가 형성평가

(26)

3.2 사전평가

실험을 하기 이전에 학생들의 영어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전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전평가는 현재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는 (주)도서출판 디딤돌에서 발행된 MIDDLE SCHOOL ENGLISH(1)를 중 심으로 하여 출제하였으며 현재 학생들의 학습능력을 고려하여 주관식 10 문항으로 출제하였다. 다음 <표-2>는 사전 평가 결과이다.

<표-2> 사전평가 결과

학 급 별 A반

(실험반)

B반 (비교반)

C반 (실험반)

D반

(비교반)

33 33 33 33 132

33 33 33 33 132

64 71 75 72

91 ~ 100 5 9 6 5 25

81 ~ 90 4 2 7 7 20

71 ~ 80 4 7 6 5 22

61 ~ 70 6 5 7 5 23

51 ~ 60 3 0 4 3 10

41 ~ 50 2 4 0 3 9

40 이 하 9 6 3 5 23

33 33 33 33 132

(27)

사전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반을 점수가 낮은반 한 반 과 높은반 한 반으로, 비교반도 이와 마찬가지로 점수가 낮은반 한 반 과 높은반 한 반 으로 나누었다. 이렇게 2반씩 각각 비교반과 실험반으로 나눈 것은 비교반 2반이 모두 영어를 잘하는 반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험반 2반이 모두 영 어를 잘하는 반으로 구성되어서 실험이 편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비교반과 실험반은 총 4개 반으로 구성되어있으며 2개 비교반과 2개 실험 반의 시간표는 다음과 같다.

<표-3> 비교반과 실험반의 시간표

1 102

실험반 103 실험반

105 비교반

2 102

실험반

102 실험반

104 비교반

3 103

실험반 102 실험반

104 비교반

105 비교반

4 104

비교반 105 비교반

103 실험반

5 104

비교반

103 실험반

6 105

비교반

(28)

3.3 실험 절차

3.3.1 교재에 따른 수업 진행 계획

실험반에서는 교과서 본문에 있는 내용을 가지고 영어로만 수업을 진행 하였고, 비교반에서는 영어와 우리말을 모두 사용해서 수업을 진행하는 것 으로 계획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업 진행은 (주)도서출판 디딤돌에서 발행

된 MIDDLE SCHOOL ENGLISH(1) 과정 중에 포함되어 있는 Lesson

3. Shall we play basketball? 의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29)

<표-4> 교재에 따른 차시별 학습내용

학습 활동 제목 학습내용

1차시Warm up, Listen

& Check, Listen &

Act 듣기 -약속 정하기, 제안하기, 소 망․의지 묻기 등의 내용을 듣 고 이해하기

2차시 Let's Talk 말하기 -주간 계획 말하기

-자신과 함께 할 친구를 찾아 약속 정하기

3차시Dialogue, Work together 듣기,

말하기

-약속을 정하는 대화문 이해하 기

-약속을 정하는 chant 익히기 4차시 Read & Think

읽기

-읽기 전 활동: 약속을 정하는 상황에 대해 생각하기

-읽기 중 활동: 메모 글 읽고 순서 배열하기

-읽기 후 활동: word map, 메 모글 읽고 순서 배열하기, 메 모 쓰기

5차시 Read & Act

6차시Write it right, Work together 쓰기,

듣기

-필기체 쓰기

-구두법에 맞게 쓰기

-전화 메시지 듣고 내용 이해 하기, 듣고 받아 쓰기

-필기체로 받아 쓰기 7차시 Language focus 듣기,

말하기읽기, 쓰기

-be going to와 조동사 will에 대한 이해와 문제 풀이

-형성평가 문제 풀이

8차시 Your choice

-대화 완성하기, 대화 내용에 맞는 메모 글 쓰기

-듣고 그림 배열하기, 대화 순 서 맞추기

-미국 예약 문화 이해하기

(30)

3.3.2 수업 모형

본 실험에서는 실험반과 비교반의 수업모형을 분리하지 않았다. 비교반 과 실험반의 수업 방식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3.3.1의 교 재에 따른 수업 진행 계획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비교반과 실험반 진행상의 차이점은 실험반은 수업을 전적으로 영어로 진행하였으며 비교반의 경우 영어와 우리말을 섞어서 진행하였다는 것이다.

<표-5> 비교반과 실험반의 수업모형

과정 학습 내용 보조

자료

도입

․인사

․출석 확인하기

․전 시간에 공부한 내용 확인하기

․학습 목표 제시하기

교과서 5‘

전개

․학습 목표에 따른 오늘의 학습 내용 설명하기

․첫 시간에는 새로운 어휘 정리하기

․교과서를 보고 오늘의 학습내용 이해하기

․보조자료를 이용해서 학습하기 (CD듣고 이해하기)

․들은 내용 파악하고 정리하기

․들은 내용을 가지고 Role play 해보기

․자신의 상황에 적용시켜보기

․적용시킨 내용을 가지고 대화해보기

․유사한 상황을 가지고 연습해보기

․배운 내용을 가지고 쓰기 활동하기

․배운 내용을 잘 습득했는지 평가하기

교과서, CD

35‘

정리 ․공부한 내용중 주요 어휘 및 문장 정리하기

․인사

교과서, CD 5‘

(31)

3.3.3. 차시별 수업 절차

실험반에서는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이 이해를 하지 못한다고 느끼 는 부분에서 영어로 부연 설명을 하였고 학생들이 충분히 이해했다고 생각 했을 때까지 설명을 하였으며 학생들의 반응을 살피면서 수업을 진행하였 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어로 설명한 부분을 이해했다고 생각했을 때 다음 내용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새로운 단어나 문 구를 제시할 때에는 flash card와 CD에서 제공되는 그림을 이용하여 혼란 이 없도록 하였다. 영어로 학생에게 질문을 할 때에는 당일의 수업이 어느 정도 일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영어 문장으로 설명을 하거나 질문을 할 때에는 순서가 어느 정도 반복이 되게 하였다. 또한 사용하는 영어 문장도 학생들이 어느 정도 알아들었다고 생각될 때까지 반복해서 제 시하였다.

비교반에서는 학생들이 이해하지 못할 경우에 간단한 우리말로 설명하 여 주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비교반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단어나 문구를 flash card와 CD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비교반에서의 설명이나 질문은 영어로 먼저 제시하고 학생들이 잘 이해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우리말로 간 단히 설명해 주었다.

수업은 8 차시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실험을 시작하기에 앞서서 사전 평가가 이루어졌다. 각 차시의 평가 문제는 (주)도서출판 디딤돌에서 발행

된 MIDDLE SCHOOL ENGLISH(1)의 내용과 매 차시 배운 내용을 바

탕으로 하여 출제하였으며 형성평가는 마지막 수업인 8차시에 이루어졌다.

차시별 수업 모형은 다음과 같다.

(32)

<표-6> 실험 1차시 수업 모형

차시 과정 수업내용

1 차시

도입 ․인사하기

․출석 확인하기

전개

-Warm up

․그림을 보고 그림의 내용이 무엇인가 다음과 같이 질문을 한다.

․약속을 정하는 표현을 말하게 한다.

․교사가 하는 말을 듣고 시간과 장소를 정하는 말을 구분하게 한다.

․교사가 단어를 말하면 학생들은 그 단어의 철자를 말하도록 한다.

․교과서에 제시된 그림을 보며 각각의 장소가 어디인지를 확인한다.

․CD를 들으면서 그림 아래 해당하는 번호를 쓰게 한다.

․정답을 확인한다.

-Listen & Check

․새로운 단어를 설명하기 위해서 flash card를 이용한다.

․각각의 대화를 듣고 그림을 고르게 한다.

․각각의 대화를 들려주면서 내용 확인하다.

․Role play를 해본다.

-Listen & Act

․각각의 사진을 보고 간단히 질문한다.

․대화를 듣고 그림과 일치하는 답을 쓰도록 한다.

․들은 내용을 상기시키며 내용을 확인한다.

․교과서에 있는 표를 보고 이해하도록 간단한 질문을 한다.

․CD의 내용을 들으면서 표와 일치하는지 답을 쓰도록 한다.

․평가 문제 풀도록 한다.

정리 ․차시 학습 예고

․인사

(33)

3.4 실험 결과

3.4.1 차시별 실험 결과표

차시별로 실험을 진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각 차시별로 다음과 같은 결 과가 있었다. 그 내용을 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7> 1차시 실험 결과표

1차시

수업 내용

․영어로 질문을 하는 부분에서 교사가 사용하는 영어 의 단어나 어휘가 생소해서 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 도 있었음.

․학생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림에 있는 몇 가지 예를 보여주고 공통되는 바를 찾아내도록 함.

수업 참여도

․주로 이용해서 하는 활동이었기 때문에 학생들은 교 재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매우 적극적이었음.

․실험반 비교반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함.

실험의 결과

․비교반 실험반 모두 평가의 결과는 사전 평가를 했을 때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성적에 큰 변화는 없었음.

(34)

<표-8> 2차시 실험 결과표

2차시

수업 내용

․2차시에는 새로운 어휘를 익히고 본문에 있는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Role play를 진행.

․Role play의 자체가 영어로 진행하는 활동이었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보다는 학생들의 활동이 많았음.

․교재의 내용이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있었고 그림이 많아서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내용이 용이했음.

수업 참여도

․학생들은 Role play에 비교적 적극적으로 참여함.

․성적이 우수한 C반(실험반) 학생들이 가장 적극적이었음.

실험의 결과

․1차시에는 점수가 낮았던 A반(실험반)이 가장 큰 상승을 하였음.

․성적의 변화가 가장 적은 반은 B반(비교반)이었음.

(35)

<표-9> 3차시 실험 결과표

3차시

수업 내용

․3차시에는 본문의 내용에 있는 대화문을 이해하는 내용이었음.

․대화문의 내용을 물어보는 질문을 했을 때 답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있었음.

수업 참여도

․영어로 수업을 진행 시에 학업 성적이 비교적 높은 학생들이 더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음.

․영어로 진행하는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소수의 학 생들은 비교적 소극적으로 참여함.

․학생들은 질문을 영어로 했을 때 영어로 대답하는 것을 즐거워함.

․많은 수의 학생들이 교사가 학생들이 모르는 영어를 사용했을 때 신기해하며 관심을 가지고 참여함.

실험의 결과

․3차시 실험의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성적에 큰 변화는 없었음.

․2 차시에는 성적에 변화가 없었던 B반(비교반)의 평균이 2점 상승한 것이 가장 큰 변화였음.

․A반(실험반)과 C반(실험반)은 점수에 변화가 없었음.

(36)

<표-10> 4차시 실험 결과표

4차시

수업 내용

․4차시에는 모둠별 활동이 많아서 학생들이 직접 참 여할 수 있는 수업이었음.

수업 참여도

․학생들은 비교적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편이었으나, 비교적 이런 모둠별 활동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학생 들도 있었음.

․모둠별 활동에서는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소극적인 학생들과 적극적인 학생들을 적당히 섞어서 배치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것을 느낌.

실험의 결과

․4차시에는 학생들의 평균점수가 약간 떨어졌음.

․학생들의 성적이 전반적으로 떨어진 것은 시험 문제의 난이도가 비교적 높은 것에 기인한 것임.

․4차시에 성적이 1점이나 2점씩 떨어졌고, D반(비교반)은 성적의 변화가 없었음.

(37)

<표-11> 5차시 실험 결과표

5차시

수업 내용

․5차시에는 주로 메모의 순서를 배열하고 메모를 직 접 남겨보는 내용.

․차시가 진행될수록 실험반에서는 교사가 사용하는 영어에 익숙해지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었음.

․교사가 많은 설명을 하지 않아도 설명하는 내용을 금방 이해하고 대답하였음.

․교실이라는 곳으로 공간이 한정되어 있지만, 실제 로 상황을 설정하여 이용하려고 유도함.

수업 참여도

․실제 상황과 비슷한 상황을 만들며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언어를 가르쳐 주었을 때 많은 관심 보이며 적극적으로 참여함.

․교사가 사용하는 영어를 이해하지 못하던 학생들의 수가 줄었고 소극적인 학생들도 조금씩 참여함.

실험의 결과

․5차시에는 비교반의 경우 B반은 성적이 올랐음.

․D반은 성적이 떨어졌으며 실험반의 경우는 두 반 모두 성적이 향상했음.

(38)

<표-12> 6차시 실험 결과표

6차시

수업 내용

․6차시에는 주로 수업 내용이 쓰기 위주로 진행되 었음.

․쓰기 위주의 활동을 할 때에는 교사가 비교적 설 명하는 시간이 적었음.

․실험반에서는 영어 수업 시간에는 영어로 말해야 한다는 인식 때문인지 학생들이 대답을 할 때에도 영어로 대답을 하는 횟수가 처음보다 더 많아졌음.

수업 참여도

․쓰기 활동을 할 때에는 비교적 여학생들이 적극적 으로 참여함.

․남학생들은 쓰기 활동에는 별 관심 없는 학생들이 많았음.

․특히 실험반에서는 학생들이 질문도 영어로 하며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실험의 결과

․6차시에는 전체적으로 성적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 6차시에 가장 많이 향상이 된 반은 A반(실험반)이었음.

․가장 향상이 적게 된 반은 B반(비교반)이었음.

(39)

<표-13> 7차시 실험 결과표

7차시

수업 내용

․7 차시의 내용은 대부분이 앞의 내용을 복습하는 식의 내용이어서 학생들은 별로 어려워하지 않았음.

․실험반의 학생들 중 많은 수의 학생들은 교사가 영어로 질문하는 내용을 올바로 이해하였으나 이해 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있었음.

․7 차시에는 실험반이나 비교반이나 그 당시의 학 습 상황으로 교사의 의도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 는 것처럼 보였음.

수업 참여도

․영어로 간단한 질문을 할 때에는 적극적으로 대답 함.

․세부사항을 질문을 했을 때에는 어려워하며 비교 적 소극적인 학생들도 많이 있었음.

실험의 결과

․7 차시에도 성적은 전반적으로 향상하였음.

․가장 많이 향상된 반은 A반(실험반)이었음.

․가장 적게 향상된 반은 B반(비교반)이었음.

(40)

<표-14> 8차시 실험 결과표

8차시

수업 내용

․학생들을 수업에 직접 참여시켜야 학생들이 지루 해 하지 않는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었음.

․8 차시의 수업 내용은 보충, 심화 내용으로 내용 이 조금 어려워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몇 있었 음.

․8차시에는 이전에 배웠던 내용을 다시 한번 반복 해 주었음.

․공부한 내용을 반복할 때 학생들은 자신들이 공 부한 내용을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즐거워하였음.

수업 참여도

․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있는 활동이 많아서 비교 적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음.

․교실에서 발표하기를 꺼려하는 비교적 내성적인 학생들도 모둠별 활동을 할 때에는 적극적으로 참 여하였음.

․비교반보다 실험반에서 더 많은 수의 학생들이 모둠별 활동 때에도 영어를 사용함.

실험의 결과

․8 차시에는 7 차시보다 시험문제가 어려웠음.

․A반(실험반)과 C반(실험반)은 평균1점 성적이 떨어졌음.

․비교반 중에서 B반은 1점이 올랐고 D반은 성적에 변화가 없었음.

(41)

3.4.2 비교반과 실험반의 차시별 결과

차시별 학생들의 점수의 변화를 알아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차시별 평 균 점수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15> 비교반과 실험반의 차시별 결과표 학급

영역

A반 (실험반)

B반 (비교반)

C반 (실험반)

D반

(비교반)

재 적 33 33 33 33 132

응 시 33 33 33 33 132

1차시

평균점수 66 74 76 74

2차시

평균점수 67 74 78 75

3차시

평균점수 67 76 78 76

4차시

평균점수 65 74 77 76

5차시

평균점수 66 76 79 75

6차시

평균점수 70 77 80 77

7차시

평균점수 74 78 83 80

8차시

평균점수 73 79 82 80

(42)

비교반과 실험반의 성적을 종합하여 결과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표-16> 비교반과 실험반의 차시별 결과 분석표

차시

1차시 평가 결과

2차시 평가 결과

3차시 평가 결과

4차시 평가 결과

5차시 평가 결과

6차시 평가 결과

7차시 평가 결과

8차시 평가 결과 비교반 74.00 74.50 76.00 75.00 75.50 77.00 79.00 79.50 실험반 71.00 72.50 72.50 71.00 72.50 75.00 78.50 77.50

<그림-1> 비교반과 실험반의 차시별 평가 결과 그래프

(43)

3.4.3 형성평가 결과

실험이 끝난 후 영어학습의 향상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2차례에 걸쳐서 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형성평가는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여 (주)도서출판 디딤돌에서 발행된 MIDDLE SCHOOL ENGLISH(1) 교과서에 있는 내 용과 수업시간에 중요하게 다루었던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하였다. 형성 평 가의 결과표는 다음과 같다.

<표-17> 1차 형성 평가 결과표 학급

영역

A반 (실험반)

B반 (비교반)

C반 (실험반)

D반

(비교반)

재 적 33 33 33 33 132

응 시 33 33 33 33 132

총 점 2355 2375 2700 2605 10035

평 균 71.36 71.96 81.81 78.93

91 ~ 100 8 8 14 7 37

81 ~ 90 6 6 6 9 27

71 ~ 80 2 7 3 6 18

61 ~ 70 5 1 2 5 13

51 ~ 60 4 4 5 3 16

41 ~ 50 2 1 3 2 8

40 이 하 6 6 0 1 13

33 33 33 33 132

(44)

<표-18> 2차 형성 평가 결과표 학급

영역

A반 (실험반)

B반 (비교반)

C반 (실험반)

D반

(비교반)

재 적 33 33 33 33 132

응 시 33 33 33 33 132

평 균 2355 2375 2700 2605 10035

평 균 71.36 71.96 81.81 78.93

91 ~ 100 10 10 12 10 42

81 ~ 90 4 4 6 6 20

71 ~ 80 7 3 3 5 18

61 ~ 70 4 4 6 3 17

51 ~ 60 2 5 3 6 16

41 ~ 50 2 2 1 1 6

40 이 하 4 5 2 2 13

33 33 33 33 132

(45)

<표-19> 1, 2 차 형성평가 실험 결과 분석표

비교반 실험반

1차 형성평가 75.44 76.58

2차 형성평가 75.60 78.33

<그림-2> 1.2차 형성평가 실험 결과 분석 그래프

(46)

3.4.4 종합 분석 결과표

종합적으로 실험을 분석해보기 위해서 <표-20> 에서는 사전평가와 형 성평가의 결과를 비교하였고 <표-21>에서는 사전평가부터 형성평가까지의 성적을 종합하여보았다.

<표-20> 사전평가 결과와 형성평가 결과 비교표

비교반 실험반

사전평가 71.50 69.50

형성평가 75.52 77.45

<그림-3> 사전평가와 형성평가 결과 비교 그래프

(47)

<표-21> 비교반과 실험반의 성적 종합표

사전 평가

1차 평가

2차 평가

3차 평가

4차 평가

5차 평가

6차 평가

7차 평가

8차 평가

1차 형성 평가

2차 형성 평가 비교반 71.50 74.00 74.50 76.00 75.00 75.50 77.00 79.00 79.50 75.44 75.60

실험반 69.50 71.00 72.50 72.50 71.00 72.50 75.00 78.50 77.50 76.58 78.33

<그림-4> 비교반과 실험반의 성적 종합 그래프

(48)

4. 분석 및 논의

지금까지 각 차시에 따른 실험 결과를 먼저 분석하고 난 후 사전평가 결과와 비교하여 보고 최종적으로 형성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 이 실험 을 하면서 문제시되었던 부분이나 본 연구자가 실험을 하면서 알 수 있었 던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하여 보고자 한다.

우선 <표-2>에 있는 사전 평가 결과를 분석해 보면 성적이 가장 좋은 반은 75점을 기록한 C반(실험반)이고 성적이 가장 낮은 반은 64점을 기록 한 A반(실험반)으로 두반의 점수차이는 11점으로 비교적 큰 편이었다. B반 (비교반)과 D반(비교반)의 점수는 각각 71점과 72점으로 1점 차이였다. <

표-22>에 있는 차시별 실험의 결과를 분석해보면 전체적으로 성적이 가장 많이 오른 반은 A반(실험반)이다. 그러나 C반(실험반)과 D반(비교반)의 성 적을 비교해 봤을 때는 두 반의 성적 향상의 거의 같은 수준으로 진행되어 실험반이 성적이 더 많이 올랐다고 일반화를 시키기는 힘들다. 그렇지만 실험반의 성적이 비교반보다 많이 오른 것은 사실이다.

이렇게 실험반의 성적이 오를 수 있었던 것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학생들이 교사가 영어로 진행하는 내용을 너무 어려워한다거 나 많은 부분을 이해하지 못했다면 실험반의 성적이 이 시험에서와 같이 많이 향상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차시별 성적 결과표의 결과값으로 추출 해 낼 수 있는 결과는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오른반은 A반(실험반)이고 성적이 가장 적게 오른 반은 B반(비교반)이었다. <표-16>에서 비교반과 실험반의 차시별 결과를 비교반과 실험반으로 나누어 분석해 봤을 때 실험 반의 점수가 비교반 보다는 평균 1점이 더 올랐다.

(49)

공부한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는데 형성 평가는 단원 전체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형성 평 가의 결과는 단원 전체의 내용 즉, 지금 까지 공부한 전반적인 내용을 잘 이해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형성평가의 결과 자체를 놓고 보면 C반 (실험반)이 상위권의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전체적으로도 학생들의 성적이 좋은 편이었다. C반(실험반)은 실험을 하는 동안에도 학습 환경이 비교적 좋은 편이어서 실험 결과에도 이러한 C반(실험반)의 학습 환경이 반영된 것처럼 보인다. C반(실험반)의 경우에는 영어 성적이 비교적 높은 학생들 이 많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수업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 될 수 있었다. 1차 형성평가와 2차 형성평가를 비교하여 보면 비교반에 비하여 1차 때보다 조금 더 향상한 것을 <그림 -2>의 그래프에서 확인하여 볼 수가 있다.

<표-20>에서는 사전평가 결과와 형성평가의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비교 반은 평균 4.02점이 향상되었고 실험반은 평균 7.95점이 향상되었다. <표 -21>의 결과를 보면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성적이 더 많이 향상되었다는 증거를 볼 수가 있는데 가장 첫 시간에 실시한 사전평가의 점수와 가장 마 지막에 실시한 형성평가의 결과를 비교해 봤을 때 비교반의 경우는 점수가 4.10향상되었고 실험반의 경우는 8.83점 향상되었다. <표-21>에서 사전 평 가를 제외하고 비교해 봤을 때에도 비교반의 경우는 1차시 평가부터 마지 막 형성평가까지 평균 1.60점 향상되었고 실험반의 경우는 평균 7.33점 향 상되었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로 봤을 때 실험반의 성적이 비교반보다 더 향상되 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로써 작용한 것은 실험반에서는

(50)

영어로만 수업을 진행하였지만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반복해서 설 명하고 그림을 많이 이용하려고 했으며 비슷한 상황을 제시하여서 학생들 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실험반 성적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본 실험은 중학교 1학년인 만 11-12세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런 중학교 1학년 수준에서는 반복학습 또한 중요하며 교사가 일관성을 유지해주는 것 또한 중요하다. 영어로 된 내용을 진행할 때에도 어느 정도 기간 동안에는 질문내용이나 설명을 하는 내용을 반복을 해야 학생들이 혼 란에 빠지지 않는다. 여러 가지 내용을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것도 중요하 지만 교사가 너무 다양하게 수업을 진행하게 되면 학생들은 혼란스러워 한 다. 본 실험에서 학생들이 영어로 진행하는 내용을 어려워하지 않고 이해 하고 적응할 수 있었던 것도 어느 정도의 일관성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또 한 영어로 수업을 진행할 때에 교사가 주의해야 할 점에는 여러 가지가 있 겠지만 발음이나 억양에도 많은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었다. 학생들은 교사가 하는 억양이 무조건 바르다고 생각하고 모방하려 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실험을 하기 전에는 학생들이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까 하는 염려에 반해서 학생들이 초등학교 때부터 영어를 공부했기 때 문에 중학교 1학년생의 수준이 예측했던 것 보다 높았으며 수업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되는 학생들이 많이 있었고 처음에는 이해 하지 못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많이 이해하게 되었다. 또한 실제 상황 과 비슷한 상황을 제시해서 질문을 하면 학생들이 보다 더 쉽게 이해 할 수가 있었는데 교실이라는 한정된 장소이지만 비슷한 상황을 제시하려는

(51)

교사의 노력이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렇게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의 장점 중의 하나라고 한다면 교사 가 수업 시간에 영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학생들도 영어 수업 시간에는 영 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을 하게 되 면서 처음에는 우리말로만 대답을 하던 학생들도 점차적으로 영어로 대답 을 하게 되었는데, 학생들이 이런 생각을 하게 됨에 따라 처음에는 영어를 하기 두려워했던 학생들도 점차 영어에 익숙해져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직 접 영어를 해 볼 수 있는 기본적인 환경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의 영 어 학습에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겠다.

차시가 진행될수록 학생들은 본 연구자가 사용하는 언어에 익숙해 졌으 며 처음에 몰라서 따라하지 못했거나 수업 진행상에 어려워했던 내용을 점 차 많이 이해하였다. 하지만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에게 늘 사용하던 말을 사용하기보다는 조금씩 표현을 바꾸어 사용할 필요도 있다는 것을 느 꼈다. 그 이유는 처음에 모르는 어휘를 사용했을 때 학생들 중에는 어려워 하는 학생들도 있었지만 새로운 어휘에 대해서 알고 싶어하고 신기해하는 학생들도 많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학생이 이와 같은 반응을 보 인 것은 아니었다. 학생들 중에는 가끔식 우리말로 설명해달라고 요구하는 학생도 있었다. 그럴 경우에는 실험반에서는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이해를 시킬 수 있도록 질문을 하고 예를 들어 설명하고 그림을 가지고 설 명하는 등의 방식의 이용해서 설명을 하였는데 이러한 수업 방식이 실험반 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한 것 같다.

실험을 하면서 한가지 느낄 수 있었던 것은 수업을 하기 위한 교재와

(52)

보조자료가 매우 잘 구성되어져 있다는 것이었다. 교사가 CD와 같은 학습 보조자료를 잘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보조자료의 역할로 인해서 교사의 역할이 다소 축소된 것도 사실이다. 교사가 설명을 하지 않고 보여 만 주어도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교과서도 학생중심 의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교사가 일방적으로 설명을 해야 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는 시험 문제의 난이도와 수업시간의 배치, 교사의 수업 진행 방법, 교재의 난이도, 교사와의 상호작용, 학생들의 수업 분위기 등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실험결과를 종합해 봤을 때에 영어 로만 수업을 진행한 실험반이 우리말과 영어를 모두 사용하여 진행한 비교 반보다 수업내용을 덜 이해하지는 않았다는 결과를 유추해 낼 수가 있다.

오히려 성적은 영어로만 수업을 진행한 실험반이 더 향상되었다.

그러나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문제점도 있었다. 소수의 영어성적이 비교적 낮은 학생들은 영어로 수업을 하는 내용이나 질문내용을 어려워하 기도 했다. 이러한 학생들을 고려했을 때에는 영어로 진행하는 것이 모든 학생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도 영어 보다는 우리말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될 때가 있었는데 그러한 경우는 새로 운 단원에 관하여 설명할 때, 문법에 관해 자세하게 설명을 해야 할 때, 학 생들 개개인이 질문을 했을 때 세부적인 예를 들어가며 질문에 답해줘야 할 때 등이었다.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부분은 자연스럽게 학생들이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 인해서 영어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학생들도 자연스럽게 영어를 사용하

(53)

게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 실험을 하면서 얻은 효과중의 하나가 실험 반에서는 많은 수의 학생들이 영어를 말하는 것을 매우 자연스럽게 생각하 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영어로 수업을 하는 환경은 긍정적으 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교사는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을 어려워하는 소수의 학생들도 있다는 학생들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이 이 실험에서는 좋은 효과를 거두었지만 모든 학생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 내용 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는 오히려 영어 수업이 더 부담스러운 수업 환경 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교사도 영어로 적절한 표현을 찾기가 힘든 경우도 있었는데 그와 같은 때에는 우리말로 설명을 하는 것이 더 효 과적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4)

5. 결론 및 제언

영어로 수업을 하는 것이 과연 학습에 도움을 줄 수가 있을 것인가 하 는 의문에 대해서 본인의 연구에서는 전체적인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 측 면으로 보았을 때에는 학습에 충분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그러나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을 어려워하는 소수 의 학생들이 있었다는 사실을 교사는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학생 들에게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은 교육적으로 부정적인 학습환경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영어로 수업을 진행한 실험반에서 얻을 수 있었던 효과는 영어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차시가 진행될 수록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자발적으로 영어를 사용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봤을 때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은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이 실험 자체를 놓고 보았을 때에는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이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학습효과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실험의 과 정을 생각해 보았을 때 영어로 진행되고 있는 수업 내용을 어려워하는 학 생들도 있었다는 것은 모든 학생들에게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이 긍정적으 로 작용한 것은 아니었다는 것으로 보았을 때 많은 수의 학생들에게는 영 어로 진행하는 수업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지만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 을 어떤 상황에서, 어떤 학습자들에게 적용하든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가 져온다고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참조

관련 문서

따라서 동 산업들에서 “ 수입국의 환경규제수준이 높으면 수출국의 수출총량은 증가한다” 는 가설 1은 모두 채택되었으며,“ 수입국의 환경규제수준이 높으면 수

2) 류상원, “정부혁신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쪽... 첫째,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혁신문화와 정서적

The paper has suggested characters that can elevate cognition on family restaurant brands, and it examines effects of characters upon brand cognition through

직장인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소진의 매개효과, 상사와 관계(LMX)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 심으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Basic Books. 신제품 개발에 있어서 감성디자인 요소가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 대학교 공업디자인대힉원 석사학위논문. 36)

가설 4의 전환 장벽이 DMB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서 전환 장벽을 독립 변수로 DMB태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전환 장벽이 DMB태도

메이커스(1인 창조기업)의 창의성과 심리적 특성이 기술사업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세먼지의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