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 과학기술 연구자의 소셜 미디어 활용 현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국내 과학기술 연구자의 소셜 미디어 활용 현황"

Copied!
4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 목 차 ❚

요 약

1. 서론 ··· 1

2. 소셜 미디어 개요 ··· 6

3. 소셜 미디어 활용 빈도 ··· 13

4. 연구자들의 공동연구 현황 ··· 17

5. 연구자 라이프사이클에서 소셜 미디어 활용 ··· 19

6. 공동연구를 위한 소셜 미디어 툴 ··· 20

7. 시사점 ··· 22

<참고문헌> ··· 23

<설 문 지> ··· 24

(4)
(5)

《 요 약 》

□ 소셜 미디어(socical media)는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과 의견, 경험, 관점 등 을 서로 공유하고 참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방화된 온라인 툴과 미디어 플랫폼으로, 가이드와이어 그룹(Guidewire Group)의 창업자인 크리스 쉬플 리(Chris Chipley)가 2004년 ‘The Blog on Conference'에서 처음 이 용어 를 사용함.

□ 소셜 미디어는 연구자에게 소셜 네트워킹, 정보관리 및 공유, 프로젝트 관 리 기능으로 활용되고 있음.

- 소셜 네트워킹은 개인의 정보를 인터넷에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의사소 통을 함으로써 인맥 관계를 강화시키고, 온라인을 통해 새로운 인맥을 쌓을 수 있게 도와줌. 소셜 네트워킹 도구로는 페이스북, 링크드인, 트위 터, 블로그 등이 있으며, 연구자에 초점을 맞춘 ResearchGate, Nature- Network 등이 있음.

- 정보관리 및 공유를 위해서는 소셜 태깅 및 북마킹,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공동저작 도구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온라인 상에서 북마크와 태 깅 정보를 공유하여 관심분야가 비슷한 연구자를 탐색할 수 있음. 정보 관리 및 공유를 위한 도구로는 딜리셔스, 디이고(소셜 태깅 및 북마킹), CiteULike, Connotea(서지 및 참고문헌 관리), 위키(공동저작도구)가 있음.

-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는 위키를 프로젝트 관리 툴, 특히 문서 의 공유와 편집에 활용하고 있으며, 잘 알려진 툴로는 스카이프와 어도 브 커넥트, 구글 스칼라 등이 있음.

□ 영국 정보행동⋅연구평가 센터(CIBER)의 2011년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자 들은 연구 라이프 사이클의 모든 단계에서 소셜 미디어를 중요하게 활용하 는 것으로 나타남.

□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정보서비스 제공 기관에서는 연구자들의 소셜 미디어 활용 행태를 조사하여 연구자들이 협업을 위해 주로 활용하는 소셜 미디어 툴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에 대한 서비스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6)

□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이공계 연구자들이 정보 공유와 공동 연구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음의 질문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음.

- 설문조사 표본수 : 국내 이공계 연구자 302명

- 소속기관 : 산업체 93명, 학계 : 100명, 연구계 109명 대상

- 주제분야 : 정보통신 > 전기전자 > 보건/의료/생명 > 항공/우주/국방 >

에너지/자원 > 화학/화공 순

□ 협업현황은 공동연구가 매우 일반적이며 같은 기관, 같은 분야 연구자와 협 업하는 경우가 다른 분야 혹은 다른 기관 연구자와 협업하는 경우보다 더 빈번함.

□ 소셜 미디어 유형 중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 고 있으며, 소셜 태깅 및 북마팅 도구의 이용도가 가장 낮음.

- 소셜 미디어 유형별 활용 정도는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 > 공 동저작도구/위키 > 프리젠테이션 및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 소셜 네트 워킹 및 미디어 >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 소셜 태깅 및 북마킹 공유 도구 순으로 활용되고 있음.

□ 소셜 미디어 사용자의 60% 이상은 대부분 같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연구자 들과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음.

-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 사용자의 85.7%가 정보 공유를 위해 소 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음.

□ 소셜 미디어 미사용자의 약 75% 이상은 향후 학술 연구 활동에 소셜 미디 어를 이용하겠다고 응답함.

□ 연구 환경에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할 때 어떤 유형의 툴을 함께 이용하는 지를 분석해 보면 공동저작도구/위키와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빈번함.

(7)

□ 소셜 미디어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소셜 미디어 이용 집단의 특징을 비교해 보면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를 사용하는 연구자 집단은 서지관리 도구/참고문헌 공유 도구를 이용할 확률이 거의 없음.

□ 연구자의 라이프사이클에서 연구 단계별 주로 활용하는 소셜 미디어가 달 라짐.

- 정보탐색 단계에서는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소셜 태깅 및 북마킹 공 유,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도구를 주로 사용하고, 연구실행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를 주로 활용함.

(8)
(9)

1. 서론

1) 배경 및 필요성

□ 사용자의 참여ㆍ공유ㆍ개방 등의 핵심가치를 근간으로 한 웹 2.0 시대가 도래하면서 웹 이용자가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거나 유통의 주체가 되는 소 셜 미디어가 주목을 받게 됨.

- 소셜 미디어(socical media)는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과 의견, 경험, 관점 등을 서로 공유하고 참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방화된 온라인 툴과 미 디어 플랫폼으로, 가이드와이어 그룹(Guidewire Group)의 창업자인 크리 스 쉬플리(Chris Chipley)가 2004년 ‘The Blog on Conference'에서 처음 이 용어를 사용함.

□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 UCL)의 정보행동·연구평가 센터(Centre for Information Behaviour and the Evaluation of Research, CIBER)에서 2011년 공개한 “Social media and research workflow" 보고서에 따르면, 연 구자들은 연구 라이프 사이클의 모든 단계에서 소셜 미디어를 중요하게 활 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해외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지식을 공유하고 관심 연구분야에 제기 된 이슈에 대한 반응을 표현하며 다른 연구자와 교류하는 등 연구를 위 한 수단으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연구자의 사례가 보고되고 있음.

-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연구자들은 스스로 정보를 생산하여 다른 연구 자들과 공유하는 생산자 역할을 수행하며 소셜 미디어를 정보의 확산 채널로 이용하고 있음.

□ 최근 국내에서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의 급속한 확산으로 기업이나 개인의 소셜 미디어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조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 는 추세이나 연구자들이 소셜 미디어 활용에 대한 조사는 미흡함.

- 이에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정보서비스 제공 기관에서는 연구자들의 소 셜 미디어 활용 행태를 조사하여 연구자들이 협업을 위해 주로 활용하 는 소셜 미디어 툴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에 대한 서비스 전략을 수립 할 필요가 있음.

(10)

□ 이공계 연구자를 대상으로 6가지 유형의 소셜 미디어로 분류하여 각 소셜 미디어 유형별, 연구의 주제분야별, 기간별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고자 하 였음.

- 연구 활용 정도와 목적, 활용하고 있는 툴의 종류을 조사하고 실증적 데 이터를 분석하고자 하였음.

- 과학기술 연구자들이 연구 활동과 공동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소셜미 디어를 얼마나 활용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소셜 미디어 툴을 사용하여 연구 활동에 도움을 받고 있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설 문을 설계하였음.

□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이공계 연구자들이 정보 공유와 공동 연구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음의 질문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음.

- 연구자들은 협업을 위해 소셜 미디어를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가?

- 소셜 미디어가 연구자의 연구 라이프 사이클에 영향을 끼치는가?

-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소셜 미디어 툴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2) 조사 내용 및 방법

□ 조사대상 및 내용

- 연구자들이 주로 활용하는 소셜 미디어 툴을 활용 목적과 제공하는 기 능의 특징에 따라 다음 <표 1>과 같이 6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유형별로 활용 여부와 더불어 공동연구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정도와 실제로 활용하고 있는 툴이 무엇인지를 조사하고자 하 였음.

- 이공계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의 협력방식, 소셜 미디어 활용 경험, 소 셜 미디어 활용 의사, 정보 공유 및 공동 연구에 소셜 미디어 활용 여부, 연구 라이프사이클에서 소셜 미디어 활용 단계,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 툴에 대해 조사함.

(11)

활용목적 소셜 미디어 유형 소셜 미디어 툴 커뮤니케이션

도구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Social networking and blogging) Facebook, LinkedIN, Twitter, Blog

협업 도구

소셜 태깅 및 북마킹 공유

(Social bookmarking tools) Springnote, Evernote, Diigo, del.icio.us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Social citation-sharing)

EndNote, RefWorks, Connotea, CiteULike, Zotero 공동저작도구/위키

(Collaborative authoring/wikis)

Google Docs, Wikipedia, MS Office Web, Zoho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

(Scheduling or conferencing) Skype, Adobe Connect, Messenger 콘텐츠 공유

도구

프리젠테이션 및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Multimedia data sharing) SlideShare, Flickr, Youtube, Livestream

<표 1> 소셜 미디어 유형별 분류

□ 조사방법

- 선정된 5개 기관의 담당자가 면대면 조사를 통해 1차 설문을 수행하고 2차로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2차 설문을 진행함.

- 조사기간은 총 3주간 진행됨.

∙1차 면대면 조사 : 2011. 7. 12 – 2011. 7. 25

∙2차 온라인 조사 : 2011. 7. 25 – 2011. 8. 2

□ 응답자 현황

- 1차 면대면 조사 : 한국과학기술원, 서울대학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 방과학연구소,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양대 구리 병원, 삼성전자, LG전자 등 9개 기관 소속 연구원 200명

- 2차 온라인 조사 :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 최근 1년간 정보 활용이 많은 연구기관 종사자 102명

□ 응답자의 인구통계학 특성

- 응답자들의 연구 활동의 배경을 파악할 수 있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2>와 같음.

(12)

- 응답자들은 2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 연구자가 전체의 80% 정도를 차 지하였고, 연구경력으로 보면 15년 이하의 연구원이 전체 설문응답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특히 연구 경력이 7년 이상이면서 15년 이하인 선임급 연구자들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음.

구분 항목 빈도(명) 구성비

성별

남성 238 78.8

여성 64 21.2

합계 302 100

연령

25세 이하 16 5.3

26세~35세 155 51.3

36세~45세 87 28.8

46세~55세 32 10.6

56세~65세 11 3.7

66세 이상 1 0.3

합계 302 100

연구경력

3년 이하 67 22.2

3년 초과~7년 이하 93 30.8

7년 초과~15년 이하 97 32.1

15년 초과~25년 이하 34 11.3

25년 초과 11 3.6

합계 302 100

<표 2>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전체 응답자는 정부출연 연구소와 민간기업 연구소에 소속된 연구자가 각 전체의 33%, 20%로 집계되었고, 연구개발 분야별로 살펴보면 전체의 40% 이상이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분야의 종사자로 나타났음.

(13)

<그림 1> 응답자의 소속기관 분포

구분 건설 교통

기계 재료

농림 수산 식품

보건 의료 생명

수학 물리

에너지 자원

전기 전자

정보 통신

항공 우주 국방

화학 화공

환경 해양 기타

빈도

(명) 6 11 11 41 12 24 56 69 31 16 7 18

구성비 2.0 3.6 3.6 13.6 4.0 8.0 18.5 22.9 10.3 5.3 2.3 6.0

<표 3> 응답자의 연구개발 분야 분포

(14)

2. 소셜 미디어의 개요

□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란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과 의견, 경험, 관점 등 을 서로 공유하고, 참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방화된 온라인 툴과 미디어 플랫폼으로, 가이드와이어 그룹(Guidewire Group)의 창업자인 크리스 쉬플 리(Chris Chipley)가 2004년 ‘The Blog on Conference'에서 처음 이 용어 를 사용함.1)

□ Bruce와 Susan의 ‘오픈다이어리(Open Diary)'라는 커뮤니티를 통해 온라인 으로 함께 공유하고 사용하는 다이어리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의 시작이 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가상 세계의 개념을 포함하여 컴퓨터 기반의 환경까지도 제공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소셜 미디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음.

□ 연구자에게 있어 소셜 미디어는 소셜 네트워킹, 정보관리 및 공유, 프로젝 트 관리를 위한 용도로 활용하는 것에 의미가 있음. 연구자들은 주로 자신 이 정보를 생산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동료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소 셜 미디어를 사용함.

- 특히, 소셜 미디어는 전문분야의 고급정보를 특별한 전문지식 없이도 배 포가 가능하기 때문에 연구자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정보 소비자가 아 닌 정보 생산자로서 연구자의 업적을 과거에 비해 빨리 전달할 수도 있 고, 그 파급력도 높다고 할 수 있음.

- 정보의 소비자 측면에서는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한 필터링이 용이하기 때문에 정보를 평가하는 이용자 개개인이 필터가 되는 ‘정보의 소셜화’

가 가능함.

□ 소셜 미디어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인적 네트워크 형성이라는 특성을 감안할 때 잠재적 협업 연구자를 발굴하고, 새로운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확 장시킬 수 있다는 점이 연구자에게 매력이 될 수 있음.

1), 2) 노경란, 유수현, 최현규. 2011. 효율적 연구를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서울:한국과학 기술정보연구원. pp.3.

(15)

1) 소셜 네트워킹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사회적 관계 개념을 인터넷 공간으로 옮겨온 것으 로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 맺기를 통해 인적 네트워크 형성을 지원하며 개인 의 정보를 인터넷에서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역할을 함.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은 오프라인에서 알고 있었던 이 들과의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온라인을 통해 새로운 인맥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임.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개인 프로필 관리, 사진과 파 일의 등록 및 공유, 댓글과 참여하기, 주제토론을 위한 공간조성, 다양한 메 시징 서비스 등이 있음.

- 이러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다른 집단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다 양한 툴을 제공하기 때문에 소셜 네트워킹 툴이 어떤 역할과 기능을 하 는지 일반화 시키는 것은 어려움.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웹을 단순한 검색 수단이 아닌 연구자가 자신 의 의견을 제시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상호교류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음.

<그림 2>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이용 통계

* 출처 2009. 9 comScore global, Morgan Stanley Research.

(16)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페이스북(facebook.com), 링 크드인(linkedin.com), 트위터(twitter.com), 블로그 등이 있으며, 스마트 기 기의 발전으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로의 접근성이 훨씬 좋아짐.

- 페이스북은 사교적인 성격이 매우 강하며 2004년 2월에 오픈하여 2011 년 현재까지 7년 동안 6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성공적인 사례임.

- 링크드인의 경우는 현재 200여개 나라에서 1억 3,500만 명이 가입한 비 즈니스 중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로써 전문가 인맥 관리 및 직업 정 보 제공, 입사지원 등의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음.

- 트위터는 140자 이내의 단문으로 개인의 의견이나 생각을 공유하고 소 통하는 사이트로 2006년 3월에 오픈하여 2011년 현재 이용자가 2억 명 을 넘어서고 있음.

- ResearchGate, NatureNetwork 등 연구자에 초점에 맞춘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개발되었지만 활성화가 두드러지지 않음.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활성화 된 가장 큰 이유는 다양한 서비스로의 연 계가 가능하다는 점이며, 정보를 전파하는 속도가 일반 뉴스보다 훨씬 빠르 기 때문임.

<그림 3> CNN의 소셜 커넥트 서비스

(17)

2) 정보 관리 및 공유

□ 소셜 미디어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인 정보 관리 및 정보 공유를 위해서는 소셜 태깅 및 북마킹,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공동저작도구 등을 활용할 수 있음.

□ 소셜 북마킹 서비스는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북마크하고, 저장/태깅/

정리/공유/검색할 수 있으며, 이를 다른 사람들의 개인 영역에 북마크 할 수 있도록 지원함.

- 이러한 기능을 통해 몇 사람이 북마크를 했는지를 분석하여 해당 사이 트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고, 태킹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태깅을 공유함으로써 묻힐 수 있었던 지식을 발견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소셜 북마킹 서비스는 다양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와도 연동되기 때문 에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통해 나와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된 다른 사 람과 북마킹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소셜 북마킹 서비스로 대표적인 것은 딜리셔스(del.icio.us)와 디이고(diigo) 가 있음.

- 딜리셔스(del.icio.us)는 2003년에 개발되어 2005년 야후가 인수하면서 현 재 야후에서 제공하는 하나의 서비스가 되었음.

- 딜리셔스(del.icio.us)는 즐겨찾기를 저장하고,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공유 하고, 다른 이용자들의 즐겨찾기를 볼 수 있는 웹사이트이며 사용법이 비교적 단순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임.

- 디이고(diigo.com)는 2006년도 베타 서비스로 오픈하어 현재는 북마크뿐 만 아니라 다양한 편의 기능이 제공되면서 이용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 의 소셜 북마킹 서비스임.

- 디이고(diigo.com)는 사용 방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스마트폰에 서도 북마크 정보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이 더욱 확대될 것 으로 보임.

(18)

<그림 4> Diigo 활용의 예

□ 서지 관리 및 참고문헌 공유 서비스는 연구자들이 논문 서지정보를 관리하 고 그것을 다른 연구자와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소셜 미디어를 의미함.

- 서지정보 관리시스템과 소셜 북마킹 기능이 결합된 형태가 일반적임.

- 연구자가 속한 그룹에서 관련 있는 문헌의 탐색이 가능하고 탐색한 문 헌을 다른 연구자와 공유할 수 있으며, 특히 다른 그룹에 속해 있는 다 른 연구자와 정보 연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 대표적인 서지관리 및 참고문헌 도구로는 CiteULike, Connotea, Zotero 등 이 있음.

- CiteULike(citeulike.com)는 2004년에 Richard Cameron에 의해 개발되었 으며, 개발의 취지는 모든 연구자들이 논문을 인용하기 위해 여러 사이 트를 이동하지 않고 한 공간에서 자유롭게 논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 록 하는 것임.

- CiteULike는 인용정보의 상세한 서지사항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동료들 과 공유하며 나의 정보에 관심을 보인 다른 연구자가 누구인지까지 알 수 있게 하기 때문에 관심분야의 동료 연구자들과의 인적 네트워크 형 성을 기대할 수 있음.

- CiteULike는 저장된 서지 정보를 BibTex나 Endnote 형식으로 반출하는 것이 가능함.

- Connotea는 2004년 Nature 출판사에서 개발한 온라인 참고문헌 관리서 비스로 연구자들의 정보를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서지정 보의 관리뿐만 아니라 링크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19)

- 또한 해당문헌의 이용횟수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연구영역에서 어떤 문 헌이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 수 있음.

<그림 5> CiteULike 활용의 예

□ 공동저작도구는 연구자가 공동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툴 중에 하 나로서 위키의 방식을 따르는 경우가 많음.

- 위키는 웹 브라우저에서 간단한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 해 공동 문서를 작성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내용을 추가할 수 있는 방 식을 의미하며, 형태적으로는 인터넷 포럼, 토론장, 레포지토리, 메일 시 스템, 공동 작업장 등이 있음.2)

3)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

□ 프로젝트 관리 및 일정관리/회의도구는 위키나 블로그 등의 다른 소셜 미 디어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 연구자들은 프로젝트 관리 도구와 함께 위키를 통해 문서를 공동 편집 하고 블로그를 통해 회의 내용을 전달하기도 함.

- 예를 들면, WIPO 특허정보 표준 제정을 위해 위키 방식을 활용하고 있 는데 복잡한 표준 제정 프로세스에서 다양한 국가의 의견을 수렴하기에 효과적임.

2) 네이버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4488>

(20)

- 이것은 공동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사용해 왔던 기존의 메일링 서비스 와 오프라인 미팅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이라 할 수 있음.

□ 프로젝트 관리 및 일정관리/회의도구로 가장 잘 알려진 스카이프(skype.com) 는 일대일 IP 전화 이외에 최대 25명이 스크린을 공유하여 참여할 수 있는 그룹회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연구자들의 관심을 끔.

<그림 6> 스카이프(skype) 활용의 예

- 스카이프(skype.com)는 2003년에 공개되었으며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동료 연구자와의 회의 및 협업이 가능하고, 연구 데이터를 습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자들의 이용이 확대되고 있음.

- 이 밖에도 웹 컨퍼런스, 온라인 프리젠테이션, 이용자 데스크 탑 공유가 가능한 상용제품인 어도브 커넥트(Adobe Connect), 동료 연구자의 일정 을 공유할 수 있는 구글 캘린더(Google Calendar) 등의 서비스가 있음.

(21)

3. 소셜 미디어 활용 빈도

□ 연구자들이 주로 활용하는 소셜 미디어 툴은 <그림 7>과 같음. 그림에서 보듯이 각 소셜 미디어 툴의 활용 비율을 합하면 그 값이 100이 넘는데 한 사람이 동시에 여러 유형의 소셜 미디어 툴을 이용하기 때문임.

-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 도구, 공동저작도구/위키, 프리젠테이션 및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도구와 같이 등장한 지 비교적 오래 되고 일반적 인 소셜 미디어 툴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음.

- 소셜 네트워킹 도구,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소셜 태깅 및 북마킹 공유 도구 등 비교적 최근에 등장하였고, 논문 작성과 같은 연구자의 특정 목 적을 지원하기 위해 특화된 툴은 상대적으로 활용도가 낮았음.

<그림 7>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 툴별 이용 및 인지도

□ 연구자들의 소셜 미디어 인식도는 높은 편이지만, 실제로 소셜 미디어 툴을 사용하고 있는 활용도와는 상당한 격차가 존재함.

- 소셜 미디어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인지하고 있었지만, 그 중 절반 정 도의 응답자만이 실제로 활용하고 있다고 답하였음.

- 인지도와 활용도는 비례하지 않으며 인지도가 높은 소셜 미디어 툴이 활용도가 높은 것은 아님.

- 서지관리 및 참고문헌 공유 도구나 소셜 태깅 북마킹 공유 툴이 인지도 가 가장 낮은 소셜 미디어 툴임.

(22)

□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1~2가지 유형의 소셜 미디어 툴을 사용하고 있었으 며 2가지 유형의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연구자가 가장 많았음.

- 전체 응답자의 80% 이상이 1가지 이상의 소셜 미디어 툴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어떤 유형의 소셜 미디어도 사용하지 않는 연구자도 17.2%를 차지했음.

- 아주 극소수의 연구자들만이 8개 유형의 소셜 미디어 툴을 모두 이용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8> 연구자의 소셜 미디어 활용 개수(소셜 미디어 유형수 : 연구자 비율)

□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는 비율을 소속기관 유형별로 살펴보면, 소셜 미 디어 활용 정도는 기관의 유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지만 활용 하고 있는 소셜 미디어의 유형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음.

- 민간기업 연구소나 기업체의 경우 주로 논문 작성에 활용되는 서지관리/

참고문헌 공유 도구보다는 공동 연구에 필요한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 회의도구나 공동저작도구의 활용이 월등이 높음.

- 병원, 대학, 정부출연 연구소에 소속된 연구자의 경우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도구의 활용이 다른 기관에 비해 빈번함.

-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도구의 경우에는 기관의 유형과 상관없이 고 르게 활용되고 있음.

(23)

소속기관 유형 소셜 미디어 유형

민간기업

연구소 대학 기업체 정부기관 병원 정부출연

연구소

전체 응답자수 59 86 21 10 25 101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42.4 39.5 42.9 40.0 32.0 39.6

소셜 태깅 및 북마킹 공유 13.6 14.0 19.0 30.0 4.0 9.9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18.6 37.2 0.0 30.0 68.0 21.8 프리젠테이션 및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55.9 50.0 52.4 30.0 36.0 33.7

공동저작도구/위키 67.8 55.8 52.4 40.0 16.0 35.6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 69.5 44.2 61.9 40.0 44.0 40.6

평균 44.6 40.1 38.1 35.0 33.3 30.2

<표 4> 소속기관별 소셜 미디어 활용 현황(소셜 미디어 활용 비율)

□ 소셜 미디어 활용에 있어 연령별 차이가 존재하였음.

- <그림 9>는 6가지 소셜 미디어 툴 유형 중 한 종류라도 이용하는 연구 자를 연령대별 분포로 보여주는 그림으로 대체로 35세 이하 연구자들은 모든 유형의 소셜 미디어 툴을 고루 사용하는데 그 중에서도 공동 연구 를 진행하는 멤버들과 공동 저작을 할 수 있는 위키 등의 도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음.

- 46세 이상의 고참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 성과를 관리할 수 있는 서지 관리/참고문헌 관리 도구나 프로젝트 관리/회의 도구들을 사용하는 빈도 가 높음.

<그림 9> 연령대별 소셜 미디어 이용

(24)

□ 연구경력이 7년 이하인 젊은 연구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가장 많이 활용하 고 있었으며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 유형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음.

- 연구경력에 따른 소셜 미디어 활용빈도를 보면 3년 초과~7년 이하의 연구경력을 가진 연구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가장 활발히 사용하고 있으 며 모든 툴에 대해 고른 사용 분포를 보이고 있음.

<그림 10> 연구경력별 소셜 미디어 활용빈도

□ 현재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지 않는 연구자들 대부분은 향후 학술 연구 활 동에 소셜 미디어를 사용할 의사가 있음.

- 소셜 미디어 미사용자의 약 75% 이상은 향후 학술 연구 활동에 소셜 미디어를 이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음.

<그림 11> 소셜 미디어 사용의사

(25)

4. 연구자들의 공동연구 현황

□ 연구자들은 공동연구가 매우 일반적이며 같은 기관, 같은 분야의 연구자와 협업하는 경우가 다른 분야 혹은 다른 기관 연구자와 협업하는 경우보다 더 빈번함.

<그림 12> 연구자들의 공동연구 현황

<그림 13> 공동연구에 활용하는 소셜 미디어 유형

□ 연구자들은 공동 연구나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필요한 프로젝트 및 일정관 리/회의도구나 공동저작도구/위키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음.

- 전체 응답자의 36.8%가 하나 이상의 소셜 미디어 툴을 활용하고 있는데, 활용 빈도 순으로 보면 <그림 13>과 같음.

-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다고 답한 연구자들 중에서 다른 연구자와 정보 공유나 협업을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응답자는 76.2%로 대부분

(26)

의 연구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목적은 다른 연구자와의 정보 공유나 협업을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음.

- 소셜 미디어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활용 빈도가 높을수록 공동 연구에 활용하는 빈도도 높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도구 의 경우에만 예외적임.

-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도구는 사용 목적이 다른 사람과의 공유 목적보 다는 개인적인 정보 관리 도구로 활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는 연구자들은 같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연구자 들과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음.

-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연구자의 60% 이상은 다른 연구자와의 정보 공유나 협업을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음.

- 특히 가장 많은 활용되는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 사용자의 85.7%가 공동 연구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같은 프로젝트에 참 여한 연구자들과의 정보 공유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는 것 으로 판단됨.

<그림 14> 공동연구에 활용하는 비율

□ 연구 환경에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할 때 어떤 유형의 툴을 함께 이용하는 지를 분석해 보면 공동저작도구/위키와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빈번함.

(27)

- 다음 <표 5>는 소셜 미디어 유형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매트릭스임.

- 빈번히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끼리 높은 상관계수 값을 가지며 상관계수 값이 작을수록 두 소셜 미디어가 거의 함께 이용되지 않음을 의미함.

- 연구자들이 가장 빈번하게 함께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 유형은 공동저작 도구/위키와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와 프리젠테이션/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도구임.

□ 소셜 미디어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소셜 미디어 이용 집단의 특징을 비교해 보면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를 사용하는 연구자 집단은 서지관리 도구/참고문헌 공유 도구를 이용할 확률이 거의 없음.

구분

소셜 네트워킹/

미디어

소셜 태깅/

북마킹 공유

서지관리 참고문헌공유

프리젠테이션 /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공동저작도구 /위키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

회의도구 소셜

네트워킹/ 미디어

0.114** 0.000 0.296** 0.030 0.149*

소셜 태깅/

북마킹 공유 0.114** 0.016 0.105** 0.099** 0.108**

서지관리

참고문헌공유 0.000 0.016 0.032 0.013 0.064

프리젠테이션/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0.296** 0.105** 0.032 0.087 0.210**

공동저작도구/

위키 0.030 0.099** 0.013 0.087 0.320**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

회의도구

0.149* 0.108** 0.064 0.210** 0.320**

(p: 람다계수, ** p < 0.01, * p< 0.05)

<표 5>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 활용(상관관계 매트릭스 람다계수)

□ 소셜 미디어 활용하는 목적을 성별에 따라 분석해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공동연구나 정보 공유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빈번함.

(28)

여성 남성

공동연구에 활용 94.5 75.7

그외 목적으로 활용 5.5 24.3

<표 6> 성별에 따른 소셜 미디어 활용

□ 소셜 미디어를 수용하여 공동연구나 정보 공유에 활용하는 연구자 집단과 공동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집단을 연구자의 주제 분야별로 비교해 보면 의미 있는 차이가 존재하였음.

- 환경/해양, 에너지/자원, 항공우주/국방 분야의 연구자 그룹이 정보/통신, 전기전자 분야 연구자 그룹에 비해 공동 연구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 용하는 비율이 높았음.

공동연구에서 소셜 미디어의 이용

아니오

건설/교통 30.6 69.4

기계/재료 22.7 77.3

농림수산식품 30.3 69.7

보건의료/생명 24.8 75.2

수학/물리학 29.2 70.8

에너지/자원 13.2 86.8

전기전자 34.2 65.8

정보/통신 37.9 62.1

항공우주/국방 17.2 82.8

화학/화공 26.0 74.0

환경/해양 9.5 90.5

기타 25.9 74.1

전체 28.0 72.0

<표 7> 주제분야별 소셜 미디어 활용

□ 연구경력에 따라 소셜 미디어의 활용 수준은 큰 차이를 보였지만 소셜 미 디어의 활용 목적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

-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목적은 연구의 경력에 상관없이 공동연구나 정 보 공유를 위한 목적이 대부분이었음.

(29)

<그림 15> 연구경력별 소셜 미디어 활용 목적

(30)

5. 연구 라이프사이클에서 소셜 미디어 활용

□ 이 설문조사는 두 가지의 주요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현재 소셜 미 디어를 이용하는 연구자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연구 환경에 서 어떤 소셜 미디어 툴을 활용하는지에 대해 조사하는 것임.

- 연구자의 라이프사이클은 1) 연구 아이디어 발굴 2) 공동연구자 탐색 3) 연구비 확보 4) 문헌조사 5) 연구데이터 수집 및 분석 6) 연구결과 유통 의 과정으로 이루어 짐.

- 이번 조사에서는 연구자의 라이프사이클을 크게 1) 연구기획 2) 정보탐 색 3) 연구실행 및 협력 4) 결과 배포 및 공유의 4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서 어떤 소셜 미디어 툴을 무슨 목적으로 이용하는지에 대해 조 사하였음.

□ 소셜 미디어 유형별로 종합해 보면 연구자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정도 는 라이프사이클 단계마다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라이프사이클 단계마다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임.

- 라이프사이클 단계에서 연구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단계는 정보 탐색 단계(전체의 42.9%)였으며 연구결과물 배포/공유 단계 에서 가장 활용도(전체의 11.1%)가 적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16> 연구단계별 소셜 미디어 활용 목적

(31)

□ 6개 유형의 소셜 미디어를 4단계의 연구 라이프사이클별로 질문하였는데 각 연구단계별로 주로 활용하는 소셜 미디어 유형이 다르게 나타남.

- 정보탐색 단계에서는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소셜태킹 및 북마킹 공 유,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도구를 주로 사용하였음.

- 연구실행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를 주로 활용함.

<그림 17> 연구단계별 소셜 미디어 활용 현황

(32)

6. 공동연구를 위한 소셜 미디어 툴

□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소셜 미디어 툴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소셜 미디어 유형에 따라 가장 많이 알려진 툴을 제시하여 가장 인기 있는 툴을 조사함.

□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툴은 일반 이용자들 사이에서도 주로 이용 되는 위키피디아(Wikipedia), 메신저(Messenger), 구글닥스(Google Docs), 유투브(Youtube)와 같이 매우 익숙한 일반적인 툴임.

-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툴은 총 30여종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툴은 전 체 사용비율 중 10% 정도를 차지하였고 상위 10개의 툴 사용을 보면 1%~2% 정도의 미미한 차이만을 보이고 있어 전체적으로 고른 이용 분 포를 보였음.

<그림 18> 주요 소셜 미디어 도구

□ 소셜 미디어 유형별로 1-2개 정도의 툴에 이용이 집중되어 있었음.

-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도구에서는 페이스북(Facebook), 블로그(Blog), 트위터(Twitter)가 가장 인기 있는 툴임.

- 소셜 태깅 및 북마킹 공유 도구에서는 스프링노트(Spingnote), 에버노트 (Evernote), 딜리셔스(Del.icio.us)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음.

-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도구에서는 엔드노트(EndNote)의 사용이 월등 히 높게 나타남.

(33)

- 프리젠테이션 및 멀티미디어 공유 도구에서는 유투브(Youtube)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슬라이드쉐어(Slideshare)와 플리커(Flickr)도 인기 있는 툴임.

- 공동저작도구/위키 도구에서는 위키피디아(Wikipedia), 구글 닥스(Google Docs)가 비슷하게 많이 활용되고 있음.

-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는 메신저(Messenger), 구글 캘린더(Google Calendar), 스카이프(Skype) 순으로 고르게 사용되고 있음.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도구> <소셜 태깅 및 북마킹 공유 도구>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도구> <프리젠테이션 및 멀티미디어 공유 도구>

<공동저작도구/위키>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

<그림 19> 소셜 미디어 툴 활용 현황 요약

(34)

□ 소셜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 <표 8>와 같음.

소셜 미디어 유형

소셜 미디어 사용 소셜 미디어 미사용

주로 활용하는 연구단계

주로 활용하는 소셜 미디어 툴 사용자 공동연구에

활용 미사용자 향후

사용의사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120명 (39.6%)

87명 (72.5%)

183명 (60.6%)

136명

(74.7%) 정보탐색

페이스북(58%), 블로그(57%), 트위터(35%) 소셜 태킹

및북마킹 공유

38명 (12.5%)

27명 (71.1%)

264명 (87.4%)

202명

(76.5%) 정보탐색

Springnote(42%), Evernote(37%), Delicouus(18%)

서지관리/참고 문헌 공유

85명 (28.1%)

55명 (64.7%)

217명 (71.5%)

180명

(82.9%) 정보탐색

EndNote(76%), Refworks(16%), Scholar's aid(14%) 프리젠테이션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133명 (43.9%)

103명 (76.7%)

169명 (55.0%)

141명 (83.4%)

정보탐색, 연구결과물

배포/공유

Yout ube( 74%) , SlideShare(41%), Flicker(39%)

공동저작도구/ 위키

143명 (47.2%)

110명 (76.9%)

159명 (52.6%)

120명 (75.5%)

정보탐색, 연구실행 /협력

Wikipedia(67%), Google Docs (53%), MS Web App(17%) 프로젝트

및일정 관리/회의도구

148명 (48.8%)

126명 (85.8%)

154명 (51.3%)

124명 (80.5%)

연구실행 /협력

Messenger(58%), Google Calendar (73%),Skype(27%)

<표 8> 소셜 미디어 이용현황 주요 조사결과 요약

(35)

7. 결론 및 시사점

□ 국내 과학기술연구자의 소셜 미디어 활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음.

- ① 오래된 소셜 미디어 툴의 강세, ② 기관 유형별/연령/성별에 따른 소 셜 미디어 이용의 차이, ③ 협업을 위한 소셜 미디어 이용, ④ 연구단계 에 따른 소셜 미디어 이용의 차이 등이 논의될 수 있음.

□ 국내 연구자들은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 도구, 공동저작도구/위키, 프 리젠테이션 및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도구와 같은 비교적 등장한 지 오래 된 소셜 미디어 툴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음.

- 소셜 미디어 툴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으나, 실제 이용은 절반 정도로 나 타나 인지도 높은 소셜 미디어 툴이라고 해서 활용도가 높은 것은 아님.

- 전체 응답자의 절반 정도는 1-2가지 유형의 소셜 미디어 툴을 사용하고 있었음.

□ 소셜 미디어는 연구자의 소속기관마다 차이가 있는 양상을 보였는데 민간 기업 연구소나 기업체 연구자들은 공동연구에 필요한 프로젝트 및 일정관 리, 회의도구나 공동저작도구의 활용이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 대학, 정부 출연연구소의 연구자들은 논문 작성에 활용되는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도구의 활용이 높게 나타났음.

□ 연령대별로는 35세 이하 연구자들은 고른 사용을 보였는데 그 중에도 공동 저작을 할 수 있는 위키 등의 도구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반면 46세 이상의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 성과 관리를 위해 서지관리/참고문헌 관리 도구나 프로젝트 관리/회의 도구의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났음.

□ 주제 분야별로는 수학/물리학, 정보통신, 건설/교통, 전기전자 분야에서 소셜 미디어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소셜 미디어를 공동연구에 활용함에 있어서 기계/재료, 농림수산식품, 정보통신, 전기전자 분야가 높게 나타났음.

- 이 중 특이한 사항은 기계/재료, 농림수산식품 분야의 경우, 소셜 미디어 활용도는 낮으나, 소셜 미디어의 공동연구 활용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36)

반면 소셜 미디어 활용도가 높게 나타난 수학/물리학 분야의 경우, 공동 연구 활용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주로 개인 연구 성과 활용에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 국내 연구자들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목적으로 다른 연구자와의 정보 공유나 협업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도구의 경 우, 개인적인 정보 관리 도구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음.

□ 연구단계에서 연구자들은 소셜 미디어를 정보탐색단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 하였으며, 배포/공유의 단계에서 활용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음.

□ 마지막으로 소셜 미디어 미사용자의 상당수는 향후 연구 활동에 소셜 미디 어 활용 의사를 보여 앞으로 연구자의 소셜 미디어 활용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됨.

(37)

<참고문헌>

노경란, 유수현, 최현규. 2011. 효율적 연구를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서 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식리포트 22호.

노경란, 최현규 역. 2011. 연구자들의 소셜 미디어 이용, 서울:한국과학기술 정보연구원. 지식리포트 21호

경태원, 김경훈, 공공기관의 소셜 미디어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한국 콘텐츠학회 제9권 제1호, p.13~17

Andreas M. Kaplan, Michael Haenlein, 2010. Users of the world, unite!

The Challenge and Opportunities of Social Media. Business Horizons v.53, pp.59-68.

Allan Cann, Konstantia Dimitriou, and Tristram Hooley. 2011. Social Media : A guide for researchers

CIBER. 2010. Social media and research workflow. University College London. Emerald Group Publishing Ltd.

comScore global. 2009. Morgan Stanley Research.

네이버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4488>

(38)

국내 학술연구자의 소셜 미디어 활용 현황에 대한 조사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은 국내 과학기술계 연구자들이 동료 연구자와 학술정보를 공유하고, 공동연구 (협업)를 수행함에 있어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조 사입니다.

귀하가 응답해 주신은 내용은 학술연구에 귀중한 정보로 활용되오니, 잠시 시간을 내시어 설문에 응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설문에 응답해 주시는 분들께는 문화상품권(1만원)을 증정해 드립니다.

- 조사기간 : 2011. 7. 12 ~ 7. 25(2주간)

- 담당자 : KISTI 정보서비스실 현미환 선임연구원 - 담당자 연락처 : 02-3299-6212/mhhyun@kisti.re.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서비스실

STEP-1. 일반사항 1. 소속기관 유형

□ 대학 □ 병원 □ 정부기관 □ 기업체

□ 공공/정부출연 연구소 □ 민간기업 연구소

□ 기타 ( )

2. 연령대

□ 25세 이하 □ 26세~35세 □ 36세~45세

□ 46세~55세 □ 56세~65세 □ 65세 이상

3. 성별

□ 여성 □ 남성

4. 연구경력

□ 3년 이하 □ 4년~7년 □ 8년~15년 □ 16년~25년 □ 26년 이상

(39)

5. 주제분야

□ 건설/교통 □ 기계/재료 □ 농림수산식품 □ 보건의료/생명

□ 수학/물리학 □ 에너지/자원 □ 전기전자 □ 정보/통신

□ 항공우주/국방 □ 화학/화공 □ 환경/해양

□ 기타 ( )

6. 연구 협력방식을 묻는 질문입니다. 귀하는 주로 어떤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 하십니까? 각각에 차지하는 비중을 체크해 주십시오.

연구 협력방식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① 혼자 단독으로 연구한다.

② 같은 기관, 같은 분야에 소속된 연

구자와 함께 연구한다.

③ 같은 기관이지만 다른 분야에 소속

된 연구자와 함께 연구한다.

④ 다른 기관에 소속된 연구자와 함께

연구한다.

STEP-2. 소셜 미디어 활용 경험

1. 학술연구에서 소셜 미디어의 활용 경험을 묻는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에 나열된 소셜 미디어들을 학술연구에 사용해 보신 경험이 있습니까?

소셜 미디어 카테고리 전혀모름 알고는 있지만 사용안함

사용해 본 적 있음

①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e.g. Facebook, LinkedIN, Twitter, Blog)

② 소셜 태깅 및 북마킹 공유

(e.g. Springnote, Evernote, Diigo, del.icio.us)

③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e.g. EndNote, RefWorks, Connotea, CiteULike, Zotero)

④ 프리젠테이션 및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e.g. SlideShare, Flickr, Youtube, Livestream)

⑤ 공동저작도구/위키

(e.g. Google Docs, Wikipedia, MS Office Web, Zoho)

⑥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

(e.g. Skype, Adobe Connect, Messenger)

(40)

2. 학술연구에서 소셜 미디어의 활용 목적을 묻는 질문입니다.

귀하는 같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다른 연구자와의 정보공유 등의 목적으 로 다음에 나열된 소셜 미디어들을 활용하고 계십니까?

소셜 미디어 카테고리 아니오

①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e.g. Facebook, LinkedIN, Twitter, Blog)

② 소셜 태깅 및 북마킹 공유

(e.g. Springnote, Evernote, Diigo, del.icio.us)

③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e.g. EndNote, RefWorks, Connotea, CiteULike, Zotero)

④ 프리젠테이션 및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e.g. SlideShare, Flickr, Youtube, Livestream)

⑤ 공동저작도구/위키

(e.g. Google Docs, Wikipedia, MS Office Web, Zoho)

⑥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

(e.g. Skype, Adobe Connect, Messenger)

3. 학술연구에서 소셜 미디어의 활용 단계를 묻는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에 나열된 소셜 미디어들을 연구의 어느 단계에서 주로 활 용하고 계십니까?

소셜 미디어 카테고리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사용 연구 안함

기획

정보 탐색

연구 실행 협력

결과 배포 공유

①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e.g. Facebook, LinkedIN, Twitter, Blog)

② 소셜 태깅 및 북마킹 공유

(e.g. Springnote, Evernote, Diigo, del.icio.us)

③ 서지관리/참고문헌 공유

(e.g. EndNote, RefWorks, Connotea, CiteULike)

④ 프리젠테이션 및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e.g. SlideShare, Flickr, Youtube, Livestream)

⑤ 공동저작도구/위키

(e.g. Google Docs, Wikipedia, MS Office Web)

⑥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도구

(e.g. Skype, Adobe Connect, Messenger)

(41)

STEP-3. 소셜 미디어 툴 활용

다음 설문은 위 설문에서 응답하신 카테고리별로 현재 사용하고 계신 소 셜 미디어 툴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입니다.

[소셜 네트워킹 및 미디어 (Social networking and blogging tools)]

1. 귀하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소셜 네트워킹 도구 및 미 디어는 무엇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 Facebook □ LinkedIN □ Twitter □ Blog

□ 기타 ( )

□ 현재 사용 안함, 향후 사용의사 없음

□ 현재 사용 안함, 향후 사용의사 있음

[소셜 태깅 및 북마킹 공유 (Social bookmarking tools)]

2. 귀하가 온라인 자원의 수집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소셜 태깅 및 북마킹 공유 도구는 무엇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 Springnote □ Evernote □ Diigo □ del.icio.us

□ 기타 ( )

□ 현재 사용 안함, 향후 사용의사 없음

□ 현재 사용 안함, 향후 사용의사 있음

[서지관리 및 참고문헌 공유 (Social citation-sharing)]

3. 귀하가 논문 작성이나 학술정보 공유를 위해 주로 사용하는 서지관리 및 참고문헌 공유 도구는 무엇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Zotero

□ Connotea □ CiteULike □ Mendeley

□ 기타 ( )

□ 현재 사용 안함, 향후 사용의사 없음

□ 현재 사용 안함, 향후 사용의사 있음

(42)

[프리젠테이션 및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Multimedia data sharing)]

4. 귀하가 연구 활동이나 기타의 목적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프리젠테이션 및 멀티미디어 자료 공유 도구는 무엇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 SlideShare □ Flickr □ Youtube □ Livestream

□ 기타( )

□ 현재 사용 안함, 향후 사용의사 없음

□ 현재 사용 안함, 향후 사용의사 있음

[공동저작도구/위키 (Collaborative authoring tools or wikis)]

5. 귀하가 공동 연구 수행에 있어 문서 작성와 편집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공동저작도구는 무엇입니까?(복수선택 가능)

□ Google Docs □ Wikipedia □ MS Office Web App □ Zoho

□ 기타 ( )

□ 현재 사용 안함, 향후 사용의사 없음

□ 현재 사용 안함, 향후 사용의사 있음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 도구 (Scheduling or conferencing)]

6. 귀하가 공동연구나 공동 프로젝트 수행시 주로 사용하는 프로젝트 및 일정관리/회의 도구는 무엇입니까?(복수선택 가능)

□ Skype □ Adobe Connect □ Messenger

□ Google Calendar □ iCal

□ 기타 ( )

□ 현재 사용 안함, 향후 사용의사 없음

□ 현재 사용 안함, 향후 사용의사 있음

7. 앞선 1~6)문항에서 열거되지 않은 소셜 미디어 툴 중 귀하가 공동연구 나 학술 정보 공유를 위해 활용하고 있거나 사용할 의사가 있는 도구나 웹사이트가 있다면 자유롭게 기재해 주십시오.

(43)

◆ 상품권을 수령하신 분께서는 수령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 이메일주소 : ( ) 서명 : ( )

설문에 응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44)

현 미 환 ⋅KISTI 정보서비스실 선임연구원

⋅mhhyun@kisti.re.kr

이 혜 진 ⋅KISTI 정보서비스실 선임연구원

⋅hyejin@kisti.re.kr

김 혜 선 ⋅KISTI 정보서비스실 선임연구원

⋅hskim@kisti.re.kr

박 민 수 ⋅KISTI 정보서비스실 선임연구원

⋅msp@kisti.re.kr 최 현 규 ⋅KISTI 정보서비스실장

⋅hkchoi@kisti.re.kr

KISTI 지식리포트 제29호

국내 과학기술 연구자의 소셜 미디어 활용 현황

인 쇄 2011년 12월 00일 발 행 2011년 12월 00일

펴낸곳

펴낸이 박영서

편집장 최희윤 편집간사 노경란 주 소 대전시 유성구 과학로 245

전화 042-869-1234, 팩스 042-869-1091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전화 02-3299-6114 등 록 1991. 2. 12, 제5-258호 ISBN 978-89-6211-925-1-93500 인쇄처 승림디엔씨

(45)

1 학술지 수집 정책 수립을 위한 국내 현황 분석 이재윤, 김혜선, 이혜진 2009.06.11

2 국내 과학기술지식의 글로벌 확산 전략 서태설, 최현규 2009.09.04

3 국가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KISTI의 전략적 정보자원 개

발방안 황혜경, 최호남, 윤희윤 2009.09.21

4 학술논문 오픈 액세스를 위한 공공접근정책 방향 서태설, 허 선, 노경란 2009.10.23

5 과학데이터의 공유와 활용 이상환, 심원식 2009.11.10

6 E.infrastructure기반 국가 R&D 정보서비스의 지능화 방안 송인석, 오세홍 2009.12.04 7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서비스(KSCI)의 현황 및 발전 전략 최선희, 이재윤 2010.01.29 8 학술정보센터의 새로운 서비스 모델 : 오픈 액세스 출판 노경란, 이혜진 2010.02.11

9 과학기술정보의 아카이빙 체제 구축 황혜경, 이선희, 최호남,

서혜란 2010.02.16 10 세계 주요 과학기술 정보기관의 최근 동향 이상환, 노경란, 김혜선,

황혜경, 정은경 2010.03.02 11 과학기술 정보자료 보존관리 : 현황분석 및 미래예측 이선희, 황혜경, 류범종,

윤희윤, 김석영 2010.06.30

12 리포지터리 사례분석 및 시사점 도출 이상기, 정영미 2010.10.07

13 디지털 콘텐츠 유통을 위한 저작권 쟁점 분석 유수현 2010.10.07

14 이공계 대학 교수의 과학기술정보 이용 현황 김환민, 김재훈 2010.12.02 15 계량서지적 분석용 공개 소프트웨어 활용 방안 최선희, 김희정, 이재윤 2011.01.24 16 2010년도 한국 과학자의 SCI 논문 계량분석 김완종, 노경란, 박민수,

최현규 2011.04.06

17 국내 과학기술정보 이용실태 조사 분석 박민수, 이상환, 최현규,

정정수 2011.04.08 18 국내 과학기술정보 이용자 니즈 및 형태 연구 박민수, 이상환, 최현규,

정정수 2011.04.08 19 학술지 유통환경 변화와 국내 학술지의 국제화 서태설, 김규환, 최현규 2011.06.07 20 우리나라 SCI급 논문의 영향력 분석

: NCR for Korea 1981-2010을 기준으로

김완종, 노경란, 최현규,

박민수 2011.08.17

21 연구자들의 소셜 미디어 이용 노경란, 최현규 2011.10.19

22 연구자를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가이드 노경란, 최현규 2011.10.19

23 서비스 사이언스 기반 과학기술 콘텐츠 서비스 방안 김지영, 신기정, 황혜경,

조부연 2011.10.26 24 효율적 연구를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노경란, 유수현, 최현규 2011.11.09 25 SEO(검색엔진최적화)를 통한 검색순위 올리기 전략 현미환, 이태석, 문영수,

권정혁 2011.11.11

26 연구자 협업지원형 정보서비스 사례연구 이혜진, 현미환, 김혜선,

박민수, 최현규 2011.12.01 27 과학기술 R&D 라이프사이클 연구 : 생명공학 및 나노분

야를 중심으로

김혜선, 권나현, 정은경,

이정연, 최현규 2011.11.30 28 웹사이트의 사용성 개선을 위한 단계별 전략 현미환, 박민수, 이태석,

최 현 규 2011.12.07

참조

관련 문서

첫째, 새로운 서베이 연구방법(설문지-자기 기입식)과 자료 분석 기법이 개발되어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의 필요, 동기 충족요인을 탐색할 수 있었기 때문이며,.

광고 성수기는 4Q 콘텐츠가 미디어 산업 Value Chain의 중심에 있지만, 미디어 산업을 움직이는 동력은

[r]

&lt;익살마진 대머리&gt;를 에로․그로․넌센스가 각광을 받던 당대 유행에 비등(沸 騰)시킨 것은 식민지 조선의 대중이었다. 대중 역시 전근대적 연희 양식을 닮은

이 무렵을 전후로 세계적으로 UCC(User Created Contents) 또는 UGC(User-Generated Contents)라는 용어가 알려지기

-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통해 범죄자와 관련된 소셜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범죄자 집단에 대한 감시 시스템 마련6. ■ 다양한 데이터

- 어떤 집단의 구성원이 지닌 사유, 정보 교환, 행동, 생활 등 그 집단에서 습득하여 계승해 온 양식.. 문화에 대한 이해는 개인의 충돌 뿐 아니라

- 기계적 생산 이전의 이미지는 고유함에 근거하여 문화적 가치를 획득한 반면, 기계적으로 복제된 이미지는 재생산성, 잠재적 유통성, 매스미디어 의 역할 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