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동료장학 운영실태와 요구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동료장학 운영실태와 요구분석"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동료장학 운영실태와 요구분석

A Survey on the Realities of Colleague Supervision and the Needs Analysis of Teachers for the Mentally Retarded in

Special Schools

조 인 수 김 진 기* **1) Cho, In SooKim, Jin Ki

요 약

< >

이 연구는 정신지체특수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의 운영실태와 요구를 밝히는 조사연구 이다 연구대상은. 210명으로 성별 직위별 경력별 연령별로 분석하였으며 설문지구성은, , , , 동료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동료장학의 실태 동료장학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개 영역, , 3

개 문항으로 약 개월에 걸쳐 조사되었다

24 , 3 .

연구 결론은 첫째 정신지체특수학교 교사들은 동료장학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고 학, 교현장에서 꼭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현재 가장 많이 실시하는 동료장학의. , 형태는 연구수업 중심이고 가장 적절한 형태의 동료장학으로는 동료 간의 협동적 수업연, 구이다 셋째 동료장학이 필요하고 수업개선에 도움이 되는데도 현장에서 활성화되고 있지. , 못하고 있는데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의 관료적인 구조로 인한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 자율적인 활동이 가능한 교과별 과정별 동 학년별 동호회별 모임 티타임을, , , , 통한 수업개선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겠다 그리고 과중한 업무. 의 경감과 행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고 무엇보다도 교사들의 동료장학에 대한 , 수용태도와 수업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꾸준한 자기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핵심어: 동료장학 정신지체특수학교 특수학교 교사, ,

.

연구의 의의 1.

현대 사회는 정보의 홍수시대라 할 수 있을 만큼 하루가 다르게 많은 새로운 정 보들이 생성된다 이러한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아동들의 다양한 개성과 창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교수 교신저자

* ( : ischo@daegu.ac.kr)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울산 신은 중학교 교사

**

Ulsan Sin Eun Middle Schoo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4, No. 1, pp. 107 126, 2005.

(2)

성을 존중하면서 학습자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에 맞는 교육을 통해 시대상황, 에 맞는 가치의식과 행동양식을 지닌 인간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것이 우리가 추구해야할 교육의 핵심과제이다.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수업현장에서는 교사와 아동간의 적절한 피드백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자칫 수업이 장애 아동들의 잠재 능력을 극대화시 키는 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수업이 진행되어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정신지 체 장애아동들의 각각의 잠재된 능력을 최대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개인별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수업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학교 교육활동의 핵심이 수업이며 수업의 질은 교사의 자질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장학을 통한 수업기술은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켜. 주는 주요한 요인이며 교사가 갖추어야할 중요한 능력이다 그러나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교육현장에서는 교사와 아동간의 적절한 피드백이 없이 교사의 일방적인 교육방법과 교육기술로 인해 아동들이 수업 결손이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수업기술과 수업방법의 개선을 위한 동료교사와의 협의를 통한 실질적인 장학활동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교. 사들의 질 높은 수업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교육적 방법이 있겠지만 동료교사들 간의 협의를 통한 동료장학이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교육현장에서 교내 자율장학으로서의 동료장학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에 관한 운영 실태와 수업의 질적 향 상을 위한 동료장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개선할 점이 무엇인지를 밝혀 보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 2.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동료장학에 대한 인식수준과 동료장학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동료 장학의 개선점을 밝혀 효과적인 동료장학 통한 수업의 질적 발전을 도모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동료장학에 대한 인식수준을 밝힌다, . 둘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동료장학 실태를 밝힌다, .

셋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밝힌 다.

연구 방법 .

(3)

연구 대상 1.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소재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7개교에 30명씩 총2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지 배부 현황은 아래 표와 같. 다.

본 연구의 대상인 교사의 배경변인별 현황은 < 2-1>과 같다.

교사의 배경변인별 현황

< 2-1>

n=173

구분 표집 대상자수 비율(%)

성별 남 자 70 40.5

여 자 103 59.5

직위별 부장교사 34 19.7

교 사 139 80.3

경력별

년 이하

10 79 45.7

10 20 73 42.2

년 이상

20 21 12.1

연령별 20 30 110 63.6

대 이상

40 50 63 36.4

연구 도구 2.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박동진(2001), 김옥예(2001), 이경숙(2001), 김란희(2001), 박미희(2000), 이선숙(2001)의 조사지를 참고하여 연구자의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조사지 개발은 위의 선행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를 숙고한 후 연구자가 지도교수와 협의하여 조사지를 구성 했다.

(4)

조사지 구성 영역과 내용

< 2-2>

문항번

문항수 동 료 장 학 에

대한 교사의 인식

동료장학에 대한 이해정도

1

동료장학의 필요성 4

2

동료장학의 실시관점

3

동료장학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기대하는 교사

4

동 료 장 학 의 실태

현재 실시하는 동료장학의 형태

5

동료장학 운영방법의 문제점 4

6

동료장학으로 가장 적절한 운영방법

7

수업에 도움이 된 이유

8

동료장학의 문 제점 및 개선 방향

동료장학의 한계점 및 애로점

9

4 동료장학의 한계점 및 애로점의 개선방법

10

동료장학 실시 시 가장 큰 저해요인

11

․ 동료장학이 현장에서 적용되고 일반화되기 위한 최

우선 선결되어야 할 과제 12

12 12

조사지의 내용은 정신지체 특수학교교사의 동료장학에 대한 인식 동료장학의 실, 태, 동료장학의 문제점 동료장학의 개선방향으로 구성했다 조사지 구성영역, . 과 내용은 < 2-2>와 같다.

연구 절차 3.

본 연구의 조사지 문항작성을 위해 2004 1 2일부터 2004 1 20 까지 선행논문 및 문헌연구를 통해 기초작업을 하였다.

일부터 일 까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소재 개 정신

2004 1 3 1 20 7

지체 특수학교를 방문하여 조사지 문항을 수정과정을 거쳐 완성하였다.

일부터 일까지 전화와 인터넷을 통해 대구광역시와 경상 2004 2 1 2 5

북도 소재 7개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들에게 본 연구의 취지와 의의를 충 분히 설명하고 설문 요청을 하였다.

그 중 응답해 주기로 한 7개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각 학교 당 30부씩 3 일부터 일까지 우표를 붙인 반송용 봉투를 첨부한 조사지를 우편 10 3 31

으로 송부 및 수취하였으며 응하기로 하고 도착이 안된 경우 몇 차례에 걸, , 쳐 전화를 통해 조사지 작성을 독려하였다.

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와 인근학교 2개교에 직접 수업장학에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하고 조사지를 회수 하였다 회수된.

(5)

조사지를 정리해 나가며 불성실하게 답변된 자료는 제외하였다.

자료 처리 4.

수집된 연구 자료는 분석항목별로 성별 직위 교육경력 연령별에 따른 빈, , , (N) 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처리하였고 통계적 방법은 빈도와 비율에, 관한 차이를 추리하는 χ2(Chi-square) 검증, t검증과 F검증을 사용하여 집 단 간 차의 유의도를 검증하였고 모든 자료의 분석은, SPSS/PC+ 10.0 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도는 질문지의 문항. 에 대한 분석표에 p<.05 p<.01, p<.001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동료장학에 대한 인식 1.

여기서는 동료장학에 대한 이해정도 동료장학의 필요성 실시관점 교사의, , , 자세 기대하는 교사 동료장학에 대한 경험 등을 분석하였다, , .

동료장학의 이해정도 1)

동료장학에 대한 이해정도를 물은 결과는 < 3-1>과 같다.

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에

< 3-1> ,

대한 이해정도에 대한 전체 평균이 2.35(SD=.80)로 조금은 이해하고 있는 편으 로 나타났다 남자교사보다는 여자교사가 평교사보다는 부장교사가. , , 40대 이 상의 교사, 10-20년 사이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동료장학에 대해서 이해도 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성별 직위별 연령별 경력별 모두 통계적으로 유. , , , 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동료장학의 이해정도

< 3-1>

(6)

변 인 N 평 균 표준편차 t(F)

성별 70 2.29 .74

103 2.39 .84 -.82

직위 부장교사 34 2.41 .82

평교사 139 2.33 .80 .52 연령 20-30 110 2.30 .83

-1.01 대이상

40 63 2.43 .76

경력

년이하

10 79 2.32 .86

.26

10-20 73 2.40 .74

년이상

20 21 2.29 .85

합계 173 2.35 .80

매우 잘 이해하고 있다. 잘 이해하고 있다. 이해하고 있는 편이다. 조금은 이해

하고 있다. 전혀 이해하고 있지 않다.

동료장학의 필요성 2)

동료장학의 필요성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 3-2>와 같다.

동료장학의 필요성

< 3-2>

변 인 N 평 균 표준편차 t(F)

성별 70 1.87 .59

103 1.88 .70 -.12

직위 부장교사 34 1.91 .57

평교사 139 1.87 .68 .33 연령 20-30 110 1.79 .61

-2.35*

대이상

40 63 2.03 .72

경력

년이하

10 79 1.78 .63

1.49

10-20 73 1.96 .72

년이상

20 21 1.95 .50

합계 173 1.88 .66

매우 필요하다 필요한 편이다 보통이다 별로 필요하지 않다 전혀

* p < .05 . . . . 필요하지 않다.

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동료장학의 필요성에 대한 전체 평균이

< 3-2> ,

로 별로 필요하지 않다라고 나타났다 남자교사보다는 여자교

1.88(SD=.66) .

사 평교사, 보다는 부장교사, 40대 이상의 교사 경력이, 10-20년 사이의 교사가 동료장학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성별 직위별 경력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 .

(7)

동료장학의 실시관점 3)

동료장학의 실시관점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 3-3>과 같다. 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동료장학의 실시관점에 대한 전체의 대답

< 3-3> ,

72.8%가 학습지도 방법의 향상에 있다고 나타났고 다음으로 생활지도, 방법의 향상 19.1%, 학급경영 관리의 향상 7.5%, 대인관계 관리의 향상

의 비율로 나타났다

0.6% .

동료장학의 실시관점

< 3-3>

변 인 학습지도 방법의 향상

생활지도 방법의 향상

학급경영 관리의 향상

업무관리 능력의향상

대인관계

괸리의향상 df χ2

42(60.0) 20

(28.6) 7(10.0) . 1(1.4) 70(100)

3 10.655*

84(81.6) 13

(12.6) 6(5.8) . . 103

(100)

부장교사 26(76.5) 5(14.7) 2(5.9) . 1(2.9) 34(100)

3 4.739 평교사 100(71.9) 28

(20.1) 11(7.9) . . 139

(100)

10 이하 57(72.2) 14

(17.7) 8(10.1) . . 79(100)

6 10.018

10-20 56(76.7) 14

(19.2) 3(4.1) . . 73(100) 년 이상

20 13(61.9) 5(23.8) 2(9.5) . 1(4.8) 21(100)

20-30 84(76.3) 18

(16.4) 8(7.3) . . 110

(100)

3 3.451 대 이상

40 42(66.7) 15

(23.8) 5(7.9) . 1(1.6) 63(100) 합 계 126(72.8) 33

(19.1) 13(7.5) . 1(0.6) 173 (100)

* p < .05

동료장학을 통한 수업개선을 위해 도움을 받고 싶은 사람 4)

동료장학을 통한 수업개선을 위해 도움을 받고 싶은 사람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 3-4>와 같다.

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동료장학을 통

< 3-4> ,

한 수업개선을 위해 도움을 받고 싶은 사람에 대한 전체의 대답은 81.5% 동료교사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부장교사, 11.6%, 장학사 및 교육 전문직 5.2%, 기타 1.7%의 비율로 나타났다 성별 직위별 경력별 연령별. , , ,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8)

동료장학을 통한 수업개선을 위해 도움을 받고 싶은 사람

< 3-4>

변 인 교장 및교감 부장교사 장학사 및

교육전문직 동료교사 기타 df χ2

. 10(14.3) 4(5.7) 56

(80.0) . 70

(100)

3 2.886

. 10(9.7) 5(4.9) 85

(82.5) 3(2.9) 103 (100)

부장 교사 . 7(20.6) 3(8.8) 24

(70.6) . 34

(100)

3 5.402

평교사 . 13(9.3) 6(4.3) 117

(84.2) 3(2.2) 139 (100)

년 이하

10 . 7(8.9) 4(5.1) 66

(83.5) 2(2.5) 79 (100)

6 7.093

10-20 . 9(12.3) 2(2.7) 61

(83.6) 1(1.4) 73 (100) 년 이상

20 . 4(19.0) 3(14.3) 14

(66.7) . 21

(100)

20-30 . 8(7.3) 4(3.6) 96

(87.3) 2(1.8) 110 (100)

3 7.474 대 이상

40 . 12(19.1) 5(7.9) 45

(71.4) 1(1.6) 63 (100)

합 계 . 20(11.6) 9(5.2) 141

(81.5) 3(1.7) 173 (100)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동료장학의 실태 2.

여기서는 동료장학의 형태 적절한 수업형태 동료장학의 운영방법 운영방, , , 법의 문제점, 적절한 운영방법, 수업장학에 도움여부, 수업개선에 도움이 된 이유 수업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은 이유 수업참관 인원 적절한 수업참, , , 관 인원 연간실시 횟수 적절한 연간 실시횟수 등을 분석하였다, , .

현재 실시하고 있는 동료장학의 형태 1)

현재 실시하고 있는 동료장학의 형태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 과 같다 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현 4-5> . < 3-5> ,

재 실시하는 동료장학의 형태 다중응답분석 에 대한 전체의 대답은( ) 71.5% 연구수업중심으로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동료 간의 수업연구, 15.1%, 의중심 10.0%, 교과동호회 1.7%, 일대일 1.7%의 비율로 응답했다.

현재 실시하는 동료장학의 형태 다중응답분석

< 3-5> ( )

(9)

변 인 동료간의

수업연구 협의중심 일대일 연구수업

중심 교과 동호회

중심

6(8.3) 12(16.7)) 3(4.2)) 51(70.8)) . 7(100)

21(19.6) 6(5.6) . 77(72.0) 3(2.8) 107

(100)

부장 교사 7(19.4) 4(11.1) . 23(63.9) 2(5.6) 3(100) 평교사 20(14.0) 14(9.8) 3(2.1) 105(73.4) 1(0.7) 14

(100)

년 이하

10 12(14.6) 2(2.4) 3(3.7) 64(78.1) 1(1.2) 8(100)

10-20 15(19.7) 14(18.4) . 45(59.3) 2(2.6) 7(100) 년 이상

20 . 2(9.5) . 19(90.5) . 21

(100)

20-30 15(13.0) 7(6.1) 3(2.6) 89(77.4) 1(0.9) 115 (100) 대 이상

40 12(18.8) 11(17.2) . 39(60.9) 2(3.1) 64

(100) 27(15.1) 18(10.0) 3(1.7) 128(71.5) 3(1.7) 179

(100)

현재 실시하는 동료장학의 운영방법의 문제점 2)

현재 실시하는 동료장학의 운영방법의 문제점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 3-6>과 같다.

현재 실시하는 동료장학의 운영방법의 문제점

< 3-6>

변 인

수업개선의 의미보다 형식에 많이 치우쳐 있다

학습환경 및 자료 지도 안을 구성 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수업참관 교사의 참관 시 학생들의 주의산만과 수업방해

동료교사 끼리 도와 주는 협동심

부족

학습자료 및 교육 기자재의

부족

df χ2

39(55.7) 19(27.1) 4(5.7) 6(8.6) 2(2.9) 70 (100)

4 16.144**

72(69.9) 30(29.1) . 1(1.0) . 103

(100)

부장 교사 22(64.7) 6(17.6) 3(8.8) 2(5.9) 1(2.9) 34 (100)

4 10.984* 평교사 89(64.1) 43(30.9) 1(0.7) 5(3.6) 1(0.7) 139

(100)

10 이하 47(59.5) 27(34.2) 1(1.3) 4(5.0) . 79 (100)

8 24.168**

10-20 53(72.6) 17(23.3) . 1(1.4) 2(2.7) 73 (100) 년 이상

20 11(52.4) 5(23.8) 3(14.3) 2(9.5) . 21 (100)

20-30 67(60.9) 38(34.6) 1(0.9) 3(2.7) 1(0.9) 110 (100)

4 8.656 대 이상

40 44(69.8) 11(17.5) 3(4.8) 4(6.3) 1(1.6) 63 (100)

합 계 111

(64.2) 49(28.3) 4(2.3) 7(4.0) 2(1.2) 173 (100)

** p < .01, * p < .05 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동료장학의 운영방법의 문제점에 대한 전

< 3-6> ,

(10)

체의 대답은 64.2%가 수업개선의 의미보다 형식에 많이 치우쳐 있다라고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학습 환경 및 자료 및 지도안을 구성하는 시, 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가 28.3%, 동료교사 끼리 도와주는 협동심 부족

수업참관 교사의 참관 시 학생

4.0%, 들의 주의산만과 수업방해 2.3%, 학습자

료 및 교육기자재의 부족 1.2%의 비율로 응답했다.

동료장학으로 가장 적절한 운영방법 3)

동료장학으로 가장 적절한 운영방법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 과 같다

3-7> .

동료장학으로 가장 적절한 운영방법

< 3-7>

변 인 수업관찰 후

피드백 제공, 문제점 협의

후 평가회수업관찰

수업계획을협동적 세우고 문제 해결을 위한

협의회

수업관찰후 정리된 자 료를 수업 자가 분석

평가

수업관찰후 각자 평가서제출

df χ2

11(15.7) 4(5.7) 51(72.9) 1(1.4) 3(4.3) 70 (100)

4 7.018 27(26.2) 7(6.8) 67(65.0) 2(1.9) . 103

(100)

부장교사 6(17.6) 2(5.9) 25(73.6) . 1(2.9) 34 (100)

4 1.639 평교사 32(23.0) 9(6.5) 93(66.9) 3(2.2) 2(1.4) 139

(100)

10 이하 22(27.8) 4(5.1) 52(65.8) 1(1.3) . 79 (100)

8 14.48 6

10-20 15(20.5) 7(9.6) 46(63.0) 2(2.7) 3(4.2) 73 (100)

20 이상 1(4.8) . 20(95.2) . . 21

(100)

20-30 27(24.5) 5(4.5) 76(69.2) . 2(1.8) 110 (100)

4 7.762

40 이상 11(17.5) 6(9.5) 42(66.7) 3(4.7) 1(1.6) 63 (100) 합 계 38(22.0) 11(6.4) 118

(68.2) 3(1.7) 3(1.7) 173 (100)

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동료장학으로 가장 적절한 운영방법에

< 3-7> ,

대한 전체의 대답은 68.2%가 협동적 수업계획을 세우고 문제해결을 위한 협 의회를 한다라고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수업관찰 후 피드백 제공, , 문제점 협의 22.0%, 수업관찰 후 평가회 6.4%, 수업관찰 후 정리된 자료를 수업자가 분석 평가 1.7%, 수업관찰 후 각자 평가서 제출 1.7%의 비율로 응 답했다.

(11)

동료장학이 수업개선에 도움이 된 이유 4)

동료장학이 수업개선에 도움이 된 이유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 3-8>

과 같다.

동료장학이 수업개선에 도움이 된 이유

< 3-8>

변 인

사전 교제 연구에 도움이되었다

교수방법기술에 도움이되었다

학습자료제작과 활용에도움이 되었다

교수용어와 사용에도움이 되었다

수업기술에

도움이되었다 df χ2

8(12.9) 21(33.9) 26(41.9) . 7(11.3) 62 (100)

4 5.642 12(14.6) 33(40.2) 34(41.5) 1(1.2) 2(2.4) 82

(100)

부장 교사 8(28.6) 8(28.6) 8(28.6) . 4(14.2) 28 (100))

4 11.397* 평교사 12(10.3) 46(39.7) 52(44.8) 1(0.9) 5(4.3) 116

(100)

10 이하 5(8.1) 24(38.7) 32(51.6) . 1(1.6) 62 (100)

8 19.726*

10-20 14(21.2) 24(36.4) 23(34.8) 1(1.5) 4(6.1) 66 (100)

20 이상 1(6.3) 6(37.4) 5(31.3) . 4(25.0) 16 (100)

20-30 11(12.4) 29(32.6) 44(49.4) 1(1.1) 4(4.5) 89 (100)

4 7.039

40 이상 9(16.4) 25(45.4) 16(29.1) . 5(9.1) 55 (100) 합 계 20(13.9) 54(37.5) 60(41.6) 1(0.7) 9(6.3) 144

(100)

* p < .05

동료장학이 수업개선에 도움이 된 이유에 대한 전체의 대답은 41.6%가 학 습자료 제작과 활용에 도움이 되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교수방, 법 기술에 도움이 되었다 (37.5%), 사전 교제연구에 도움이 되었다 (13.9%), 수업기술에 도움이 되었다 (6.3%), 교수용어와 사용에 도움이 되었다

의 순으로 나타났다

(0.7%) .

(12)

정신지체 특수학교 동료장학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3.

여기서는 동료장학의 한계점 및 애로점 개선방법 저해요인 저해요인 개선의, , , 우선사항 동료장학 활성화를 위한 지원 동료장학에 선행되어야할 조건 등을 분석하, , 였다.

동료장학의 한계점 및 애로점 1)

동료장학의 한계점 및 애로점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 3-9>와 같 다.

동료장학의 한계점 및 애로점

< 3-9>

* p < .05

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동료장학의 한계점 및 애로점에 대한 전

< 3-9> ,

체의 대답은 39.4%가 학교의 관료적 구조로 자율적인 활동의 어려움으로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의견대립이나 비판으로 인간관계가 어려워질 수 있, (22.0%), 업무부담으로 인한 시간부족 (16.9%), 시설 설비 정부지원 등, , 의 교육환경이 부적절 (12.1%), 교사들의 동료장학에 대한 인식부족 (9.9%)

변 인

학교의 관료적구조로 자율적인활동의

어려움

의견대립이나 인간관계가비판으로 어려워 질수

있음

시설 설비, , 정부지원등의 교육환경이

부적절

으로 인한업무부담 시간부족

교사들의 동료장학 에 대한 인식부족

df χ2

30(42.9) 17(24.3) 11(15.7) 9(12.9) 3(4.3) 70(100)

4 6.647 38(36.9) 21(20.4) 10(9.7) 20(19.4) 14(13.6) 103(100)

부장 교사 13(38.2) 6(17.6) 4(11.8) 6(17.6) 5(14.8) 34(100)

4 1.421 평교사 55(39.6) 32(23.0) 17(12.3) 23(16.5) 12(8.6) 139(100)

10 이하 31(39.2) 20(25.3) 10(12.7) 10(12.7) 8(10.1) 79(100)

8 11.611

10-20 31(42.5) 9(12.3) 10(13.7) 16(21.9) 7(9.6) 73(100)

20 이상 6(28.6) 9(42.9) 1(4.7) 3(14.3) 2(9.5) 21(100)

20-30 47(42.7) 24(21.8) 18(16.4) 13(11.8) 8(7.3) 110(100)

4 11.755*

40 이상 21(33.3) 14(22.2) 3(4.8) 16(25.4) 9(14.3) 63(100) 합 계 68(39.4) 38(22.0) 21(12.1) 29(16.9) 17(9.9) 173(100)

(13)

의 순으로 나타났다.

동료장학의 한계점 및 애로점 개선방법 2)

동료장학의 한계점 및 애로점 개선방법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 3-10>

과 같다 개선방법에 대한 전체의 대답은. 59.5%가 교과별 과정별 동호회별 모임의 활성화로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개인 교육활동 평가 반성을 위한 자, 체 평가도구 개발 활용 27.2%, 각종 기자재 및 연구정보의 확충 8.1%, 동료 장학 활동 우수교사 인사 상 우대방안 강구 3.5%, 동료장학에 대한 교장, 교감의 협조적인 자세 1.7%의 순으로 나타났다.

동료장학의 한계점 및 애로점 개선방법

< 3-10>

동료장학에 대한 교장, 교감의 협조적인

자세

교과별, 과정별, 동호회별

모임의 활성화

개인 교육 활동 평가 반성을 위한

자체 평가 도구 개발

활용

동료장학 활동 우수 교사 인사상 우대 방안

강구

각종 기자재 및 연구정보의

확충

df χ2

3(4.3) 37(52.9) 18(25.7) 2(2.9) 10(14.3) 70(100)

4 11.086* . 66(64.1) 29(28.2) 4(3.9) 4(3.9) 103(100)

부장 교사 . 20(58.8) 12(35.3) . 2(5.9) 34(100)

4 3.489 평교사 3(2.2) 83(59.7) 35(25.2) 6(4.3) 12(8.6) 139(100)

10 이하 3(3.8) 47(59.5) 21(26.6) 3(3.8) 5(6.3) 79(100)

8 8.228

10-20 . 45(61.6) 20(27.4) 3(4.1) 5(6.9) 73(100)

20 이상 . 11(52.4) 6(28.6) . 4(19.0) 21(100)

20-30 3(2.7) 68(61.8) 25(22.7) 5(4.5) 9(8.2) 110(!00)

4 5.188

40 이상 . 35(55.6) 22(34.9) 1(1.6) 5(7.9) 63(100) 합 계 3(1.7) 103(59.5) 47(27.2) 6(3.5) 14(8.1) 173(100)

* p < .05

동료장학 실시에 가장 큰 저해요인 3)

동료장학 실시에 가장 큰 저해요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 과 같다

3-11> .

(14)

동료장학 실시에 가장 큰 저해요인

< 3-11>

변 인 교사들의폐쇄적인 사고방식

교사들의 무관심과도움부족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

동료장학 자료부족에 대한

동료장학에 대한 행정적

지원부족 df χ2

29(41.4) 23(32.9) 12(17.1) 4(5.7) 2(2.9) 70(100)

4 5.619 38(36.9) 49(47.6) 8(7.8) 5(4.9) 3(2.9) 103

(100)

부장교사 13(38.2) 14(41.2) 5(14.7) . 2(5.9) 34(100)

4 3.879 평교사 54(38.8) 58(41.7) 15(10.8) 9(6.5) 3(2.2) 139

(100)

년 이하

10 25(31.6) 40(50.6) 7(8.9) 7(8.9) . 79(100)

8 21.098**

10-20 36(49.3) 21(28.8) 9(12.3) 2(2.7) 5(6.8) 73(!00) 년 이상

20 6(28.6) 11(52.4) 4(19.0) . . 21(100)

20-30 40(36.4) 49(44.5) 12(10.9) 9(8.2) . 110

(100) 4 15.054**

대 이상

40 27(42.9) 23(36.5) 8(12.7) . 5(7.9) 63(!00) 합 계 67(38.7) 72(41.6) 20(11.6) 9(5.2) 5(2.9) 173

(100)

**p < .01 동료장학 실시에 가장 큰 저해요인에 대한 전체의 대답은 41.6%가 교사들 의 무관심과 도움부족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교사들의 폐쇄적인, 사고방식 38.7%,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 11.6%, 동료장학에 대한 자료부족

동료장학에 대한 행정적 지원부족 의 순으로 나타났다

5.2%, 2.9% .

동료장학에서 최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조건 4)

동료장학에서 최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조건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 < 3-12>와 같다.

동료장학에서 최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조건에 대한 전체의 대답은

39.9% 교사들의 장학에 대한 수용태도가 선행되어야 한다라고 가장 높게 나타 났고 다음으로, 교사들의 꾸준한 자기발전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관리자의 장학에

(37.6%), 대한 의식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12.1%), 교육기 자재 및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선 행되어야 한다(7.5%), 동료장학에 대한 전문 적 지식과 기술이 선행되어야 한다(2.9%)의 순으로 나타났다.

(15)

동료장학에서 최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조건

< 3-12>

변 인

동료장학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

선행

교사들의 장학에 대한수용태

도가 선행

관리자의 장학에 대한 의식 전환이

선행

교사의 꾸준한 자기 발전을 위한 노력이 선행

교육기자재 및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선행

df χ2

3(4.3) 28(40.0) 14(20.0) 21(30.0) 4(5.7) 70(100)

4 9.080 2(1.9) 41(39.8) 7(6.8) 44(42.7) 9(8.7) 103(100)

부장 교사 . 13(38.2) 5(14.7) 16(47.1) . 34(100)

4 5.675 평교사 5(3.6) 56(40.3) 16(11.5) 49(35.2) 13(9.4) 139

(100)

10 이하 2(2.5) 29(36.8) 11(13.9) 34(43.0) 3(3.8) 79(100)

8 11.643

10-20 3(4.1) 32(43.8) 7(9.6) 21(28.8) 10(13.7) 73(100)

20 이상 . 8(38.1) 3(14.3) 10(47.6 . 21(100)

20-30 5(4.5) 41(37.3) 11(10.0) 42(38.2) 11(10.0) 110

(100) 4 7.032

40 이상 . 28(44.4) 10(15.9) 23(36.5) 2(3.2) 63(100) 합 계 5(2.9) 69(39.9) 21(12.1) 65(37.6) 13(7.5) 173

(100)

성별 직위별 경력별 연령별 모두 동호회 모임의 활성화를 동료장학에서, , , 최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조건으로 꼽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에 대한 인식수준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동 료장학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고 수업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교사들의 적극적인 자세 인간적인 유대관계 허, , 용적인 분위기 속에서 동료장학을 활성화시키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했 다.

현재 실시하고 있는 동료장학의 실태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교사들이 형식적 이고 보여주기 위한 일회성의 연구수업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지도안과, 자료를 준비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다고 지적했으며 또한 수업개선과 지, 도조언을 해줄만한 동료교사가 없다는데 주목하고 있다 그 해결방안으로 협. 동적인 수업계획을 세우고 협동적인 학습자료를 통한 동료장학준비와 교사 들 스스로가 동료장학과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개발 노력을 하여 교사들 개 개인이 실질적인 장학 전문가적 자질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 다.

동료장학이 수업개선에 필요한데도 현장에서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로 학

(16)

교의 관료제적인 풍토와 교사자신들의 무관심 때문이라고 대답했으며 개선 방안으로 과중한 업무 경감과 행 재정적 지원 무엇보다 최우선적으로 교사자신 , 이 수업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잠재능력을 향상시키겠다는 꾸준한 자기발전의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결론 및 제언 .

1. 결 론

교사의 첫째 사명은 아동이 변화하는 수업지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 다. 수업지도는 아동의 전체적이고 발달 적인 변화를 바라며 조직되어진 것 이다 특히 장애학생을 위한 수업은 교사의 역량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므. 로 교사의 판단과 선택에 의한 역량 있는 수업전개는 정신지체 아동의 요구 와 발달가능성에 따른 공감적인 수업이 이루어 졌을 때 가능하다.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는 정신지체 아동과 교사와의 대화의 단절과 적절한 피드 백 없는 수업으로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신. 지체 특수학교에서는 동료교사들이 수업에 대한 정보와 수업기술을 공유하 여 교실 수업향상을 통한 학습결손을 방지하기 위한 동료장학의 중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 운영실태와 요구를 분석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들은 동료장학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고 동료장학, 은 정신지체 학교현장에서 꼭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동료장학의 실시관. 점은 학생들의 학습지도 향상에 두고 있다 동료장학을 통해 학습지도향상을. 위한 수업개선에 도움을 받고 싶은 사람으로는 경험이 풍부한 동료교사를 선 호하고 있으며 학교현장에서 동료장학의 경험정도는 적은 편으로 동료장학이 실 질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둘째 현재 실시하고 있는 동료장학의 형태로는 연구수업중심으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고 현재 실시하고 있는 동료장학의 문제점으로는 수업개선의 의미보다, 는 형식에 많이 치우쳐 있으며 학습환경 및 자료와 지도안을 구성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지적하고 있다.

동료장학을 하기에 가장 적절한 운영방법으로는 동료교사와 함께 협동적 수업 계획을 세우고 문제해결을 위한 협의회를 하는 것을 선호하고 대부분의 교사

(17)

들이 동료장학이 수업개선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셋째 이처럼 동료장학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교육현장에서 활성화하기, 어려운 한계점과 애로점으로 학교의 관료적 구조로 자율적인 활동의 어려움 이 있고 의견대립이나 비판으로 인간관계가 어려워질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개선방법으로 교과별, 과정별 동호회별 모임의 활성화와 티타임과 같은 자율적인, 모임의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고 동료장학을 실시하기에 가장 큰 저해요인으, 로는 교사들의 무관심과 도움부족 교사들의 폐쇄적인 사고방식이 가장 큰, 것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므로 동료장학이 활성화되기 위한 최우선적 선행조. 건으로는 교사들의 장학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가 선행되어야 하고 교사 자 신의 꾸준한 자기 발전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2. 제 언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동료장학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소극적인 자세가 적극적인 자세로 우선적으, 로 바뀌어야 한다 경험이 풍부한 교사로부터의 수업기술이나 방법을 조언받. 기 위해서 인간적인 유대관계가 강화되어야하고 동료장학이 수업개선에 실질 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도 조언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허용 적인 분위 기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연구수업중심의 동료장학을 지양하고 늘 열려있는 동료 간의 지도 조, 언을 해줄 수 있는 동료장학을 활성화 시켜야 하고 학습환경 및 자료와 지 도안의 구성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도록 협동적 수업계획을 세 우고 문제해결을 위한 협의회를 자주 가져야 한다.

셋째 자율적인 활동이 가능한 교과별 과정별 동 학년별 동호회별 모임 티타임, , , , , 을 통한 수업개선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교환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교를 개방적인 분위기로 만들어야겠다 그리고 무엇보다 최우선적으로 교사들의. 동료장학에 대한 수용태도와 교사자신이 수업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능력을 향상시켜야겠다는 꾸준한 자기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수업동료장학에 대한 질적 연구가 더욱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 다.

수치

표 조사지 구성 영역과 내용&lt;2-2&gt; 영 역 내 용 문항번 호 문항수 동 료 장 학 에 대한 교사의 인식 동료장학에 대한 이해정도․ 1동료장학의 필요성 4․2동료장학의 실시관점․3 동료장학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기대하는 교사 ․ 4 동 료 장 학 의 실태 현재 실시하는 동료장학의 형태․ 5동료장학 운영방법의 문제점 4․6 동료장학으로 가장 적절한 운영방법 ․ 7 수업에 도움이 된 이유 ․ 8 동료장학의 문 제점 및 개선 방향 동료장학의 한계점
표 동료장학을 통한 수업개선을 위해 도움을 받고 싶은 사람&lt;3-4&gt; 변 인 교장 및 교감 부장교사 장학사 및교육전문직 동료교사 기타 계 df χ 2 성 별 남
표 동료장학 실시에 가장 큰 저해요인&lt;3-11&gt; 변 인 교사들의폐쇄적인 사고방식 교사들의무관심과도움부족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 동료장학자료부족에 대한 동료장학에대한 행정적지원부족 계 df χ 2 성 별 남 29(41.4) 23(32.9) 12(17.1) 4(5.7) 2(2.9) 70(100) 4 5.619여38(36.9)49(47.6)8(7.8)5(4.9)3(2.9)103 (100) 직 위 부장교사 13(38.2) 14(41.2) 5(14.7)
표 동료장학에서 최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조건&lt;3-12&gt; 변 인 동료장학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 선행 교사들의장학에 대한수용태도가 선행 관리자의 장학에 대한의식 전환이선행 교사의 꾸준한 자기발전을 위한노력이 선행 교육기자재및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선행 계 df χ 2 성 별 남 3(4.3) 28(40.0) 14(20.0) 21(30.0) 4(5.7) 70(100) 4 9.080 여 2(1.9) 41(39.8) 7(6.8) 44(42.7)

참조

관련 문서

이경옥( 1990) 은 정신지체 아동의 읽기 영역 중에서 단어 재인에 초점을 두고 아동들이 인쇄된 단어를 재인할 때 사용하는 재인 단서들 중

무용 수업의 활성화 방안에서 무용 전담 교사의 필요성과 무용 수업을 실시 할 수 있는 전용무용실과 무용수업의 교과 내용의 다양화와 여러 장르의 무용 을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통사적 특징을 살피고, 한국어 학습자들의 사용 오류 양상 및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토대로 이들

본 논문을 통해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현장에서 적절하 게 사용할 수 있는 전문 프로그램의 효율성 등을 가늠해 볼 수 있도록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미술치료는 제한된 지적 기능과 그로 인하여 주변 환경의 사회적 요구 에 반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정신지체 장애인들에게 새로운 활동에 대한 두려움

셋째,본 연구에서는 다요소 중재를 통해 특수학교의 교실 환경에서 실행되었 다는 점에서 직접 교수할 수 있는 시간적,물리적 여건의 확보가 용이하였다.긍 정적

이런 지역의 인적자원개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방자치단 체장이나 해당지역의 인적자원개발 고위정책결정자의 효과적인 리더십이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검도도장의 문제점과 타 도장간의 경쟁 에 있어 검도도장이 우위를 점하고 보다 활성화가 되기 위한 방안으로 검도도장 의 마케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