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보건복지 정책의 역사적 전개와국책연구기관의 역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보건복지 정책의 역사적 전개와국책연구기관의 역할:"

Copied!
29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보건복지 정책의 역사적 전개와 국책연구기관의 역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례를 중심으로

- 제2부 -

정경희 외

(2)

연구보고서 2020-02

보건복지 정책의 역사적 전개와 국책연구기관의 역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례를 중심으로

- 제2부 발 행 일

저 자

발 행 인 발 행 처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등 록

인 쇄 처

2020년 3월 정 경 희 조 흥 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147]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사회정책동(1~5층) 대표전화: 044)287-8000 http://www.kihasa.re.kr 1994년 7월 1일(제8-142호) 고려씨엔피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ISBN 978-89-6827-678-1 93330 웰다잉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공저) 2017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공저)

(3)

성명 소속

강혜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조성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강은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고숙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신윤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신화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오미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황남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곽윤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김수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김은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김회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송철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안수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오욱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이기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이상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임완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정은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주유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이선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문연구원

진재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문연구원

박형존

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문연구원

강소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전문원

강유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전문원

이연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전문원

이혜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전문원

이재윤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안형석

㈜ 아크릴 책임연구원

(4)
(5)

제2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활동의 변화 추이 분석 ···297

제1장 계량서지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활동 299 제1절 연구원 보고서로 살펴본 연구 활동과 활용 ···302

제2절 구성원의 학술 논문을 통해 본 연구 활동과 활용 실태 ···357

제3절 「보건사회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발행 학술지)를 통해 본 연구 활동과 활용 실태 ···387

제4절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생산한 조사 자료의 활용 실태 ···404

제5절 종합 ···439

참고문헌 ···444

제2장 언론 기사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활동 ··449

제1절 개요 ···452

제2절 인용된 언론 기사의 특성 ···460

제3절 인용된 언론 기사 주제의 패턴 ···483

제4절 종합 ···574

참고문헌 ···577

(6)

〈표 2-1-2〉 용어-연도 행렬의 일부분 ···306

〈표 2-1-3〉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 ···312

〈표 2-1-4〉 1기와 2기 연구 주제 차별어 ···320

〈표 2-1-5〉 3기와 4기 연구 주제 차별어 ···321

〈표 2-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의 학문 분야(대분류)별, 연도별 인용 횟수 ···324

〈표 2-1-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의 학문 분야(중분류)별, 연도별 인용 횟수 ···326

〈표 2-1-8〉 KCI 인용 횟수 상위 보고서 ···327

〈표 2-1-9〉 연도별 본 과제 당 위탁과제 건수 통계량 ···336

〈표 2-1-10〉 위탁과제가 20개 이상인 위탁 건수 최상위 과제 ···337

〈표 2-1-11〉 위탁과제 건수별 본 과제 수 ···338

〈표 2-1-12〉 연도별 위탁과제 건수와 수행 주체 유형별 비율(2011∼2019) ···341

〈표 2-1-13〉 각 수행 주체 유형별 위탁과제를 포함한 본 과제 건수 및 비율(2011∼2019) 343 〈표 2-1-14〉 연도별 위탁과제가 있는 본 과제의 위탁 수행 주체 조합 유형별 건수(2011∼2019) ·347 〈표 2-1-15〉 수행 기관별 위탁과제 건수와 성장 추이세(2011∼2019) ···350

〈표 2-1-16〉 동시 위탁 횟수 3회 이상 기관 간 네트워크에서 중심성별 상위 5개 기관 (2011∼2019) ···356

〈표 2-1-17〉 7회 이상 동일 본 과제의로부터 위탁과제를 수행한 클리크에 속한 위탁 기관 들과 이들이 동시에 위탁과제를 수행한 본 과제명(2011∼2019) ···358

〈표 2-1-18〉 게재 학술지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논문 수(2011∼2019) 360 〈표 2-1-1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학문 분야별 KCI 논문(2006~2018) ···362

〈표 2-1-2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KCI 논문을 인용한 학문 분야 (2006∼ 2018) ···367

〈표 2-1-21〉 각 학문 분야에 영향을 끼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주요 KCI 논문 ···

371

(7)

〈표 2-1-22〉 주제어 군집 관련 논문에으로부터 인용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주요 논문 ···378

〈표 2-1-2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외부 기관과의 공동연구 논문 발표 현황 386 〈표 2-1-24〉 「보건사회연구」 논문 저자의 연도별 주요 소속 기관(2007∼2018) ···391

〈표 2-1-25〉 「보건사회연구」 핵심 용어 군집별 관련 논문 ···395

〈표 2-1-26〉 「보건사회연구」 핵심 용어 군집별 상위 연구기관 및 기여도 ···398

〈표 2-1-27〉 학문 분야별 「보건사회연구」 연간 인용 횟수(2008∼2018) ···402

〈표 2-1-28〉 「보건사회연구」 게재 논문 중 인용 횟수 상위 20위 이내 논문 (2008∼2018) 404 〈표 2-1-29〉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현재 진행 중인 주요 연구 데이터 구축 현황 ····407

〈표 2-1-30〉 연구 데이터별 활용 논문 수와 추출된 용어 및 분석에 활용한 용어 종수 410 〈표 2-1-31〉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활용 연구 주제 동향(2007~2018) ···411

〈표 2-1-32〉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활용 논문의 핵심 용어 PNNC 군집화 결과 및 관련 대표 논문 ···417

〈표 2-1-33〉 한국의료패널 데이터 활용 연구 주제 동향(2011~2018) ···420

〈표 2-1-34〉 한국의료패널 데이터 활용 논문의 핵심 용어 PNNC 군집화 결과 및 관련 대표 논문 ···424

〈표 2-1-35〉 출산력조사 데이터 활용 연구 주제 동향(2006~2018) ···426

〈표 2-1-36〉 출산력조사 데이터 활용 논문의 핵심 용어 Ward 군집화 결과 및 관련 대표 논문 ·431 〈표 2-1-37〉 노인실태조사 데이터 활용 연구 주제 동향(2006~2018) ···432

〈표 2-1-38〉 노인실태조사 데이터 활용 논문의 핵심 용어 PNNC 군집화 결과 및 관련 대표 논문 ···437

〈표 2-1-39〉 장애인실태조사 데이터 활용 연구 주제 동향 (2006~2018) ···439

〈표 2-1-40〉 장애인실태조사 데이터 활용 논문의 핵심 용어 PNNC 군집화 결과 및 관련 대표 논문 ···443

〈표 2-1-4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 활동의 규모, 주제, 활용도 및 대외적 연계 ···446

〈표 2-1-42〉 주요 조사 데이터의 활용 실태 ···448

〈표 2-2-1〉 뉴스 기사 수집 대상 언론사 ···460

〈표 2-2-2〉 3종·/34종 감성 분류 ···463

(8)

〈표 2-2-6〉 연구보고서의 발행 연도 기준 기사화 상위 최대 5개 목록 ···481

〈표 2-2-7〉 정책보고서의 발행 연도 기준 기사화 상위 최대 5개 목록 ···484

〈표 2-2-8〉 기사 주요 키워드(2006~2018) ···488

〈표 2-2-9〉 주요 주제별 연도별 분석 ···512

〈표 2-2-10〉 기사 주요 키워드(소득 키워드 포함)(2006~2018) ···523

〈표 2-2-11〉 기사 주요 키워드(노인 키워드 포함)(2006~2018) ···534

〈표 2-2-12〉 기사 주요 키워드(의료 키워드 포함)(2006~2018) ···545

〈표 2-2-13〉 기사 주요 키워드(여성 키워드 포함)(2006~2018) ···555

〈표 2-2-14〉 기사 주요 키워드(복지 키워드 포함)(2006~2018) ···566

〈표 2-2-15〉 소득, 노인, 의료, 여성, 복지 키워드별 주요 주제 ···573

〈표 2-2-16〉 연령대별 주요 관심 주제 ···582

(9)

그림 목차

〔그림 2-1-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 성과 분석 개요도 ···301

〔그림 2-1-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에서 추출된 연도별 연구 주제 대표어 ···304

〔그림 2-1-3〕 1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에 의한 연구 주제 변화 추세 분석 ···306

〔그림 2-1-4〕 1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에 의한 연구 변곡점 분석 ···307

〔그림 2-1-5〕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 측정 개념도 ···309

〔그림 2-1-6〕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 변화 추세와 연구 변곡점 ···310

〔그림 2-1-7〕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에 의한 연구 시기 구분 ···311

〔그림 2-1-8〕 연구 시기 구분과 연도별 1위 대표어 ···312

〔그림 2-1-9〕 연구 변곡점 전후 전환기 10년 동안의 하락 주제와 상승 주제 ···314

〔그림 2-1-10〕 연구 시기별 차별 용어 ···318

〔그림 2-1-11〕 연구 시기 대표 차별어 4종의 연도별 출현 횟수 ···320

〔그림 2-1-12〕 연도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인용 횟수 ···321

〔그림 2-1-13〕 10회 이상 인용된 보고서 15편의 연도별 인용 횟수 ···325

〔그림 2-1-14〕 KCI 논문에 인용된 보고서의 동시 인용 네트워크 ···326

〔그림 2-1-15〕 가장 큰 컴포넌트에 속한 보고서 346건의 상세 네트워크 ···327

〔그림 2-1-16〕 다문화 관련 보고서가 고립된 컴포넌트를 이루는 사례 1 ···329

〔그림 2-1-17〕 다문화 관련 보고서가 고립된 컴포넌트를 이루는 사례 2 ···329

〔그림 2-1-18〕 연도별 위탁과제 건수 ···331

〔그림 2-1-19〕 연도별 본 과제 한 건당 위탁과제 건수 평균 ···332

〔그림 2-1-20〕 위탁과제 건수별 본 과제 수의 분포도 ···336

〔그림 2-1-21〕 위탁과제 건수가 c건 이상인 본 과제 누적 건수의 분포도 ···337

〔그림 2-1-22〕 위탁과제 수행 주체 유형별 건수(2011~2019) ···338

〔그림 2-1-23〕 각 위탁 수행주체 유형을 포함하는 본과제 건수(2011~2019) ···341

〔그림 2-1-24〕 각 위탁 수행 주체 유형을 포함하는 본 과제 비율(2011~2019) ···341

〔그림 2-1-25〕 위탁과제가 있는 본 과제 1230건 중 유형별 위탁과제 포함 건수 및 비율 (2011∼2019) ···343

(10)

〔그림 2-1-29〕 위탁과제 수행 상위 기관 전략 다이어그램(2011∼2019) ···349

〔그림 2-1-30〕 10회 이상 위탁과제를 수행한 91개 기관의 동시 위탁 네트워크 (2011∼2019) ···350

〔그림 2-1-31〕 동시 위탁 횟수가 3회 이상인 기관 간 네트워크(2011~2019) ···351

〔그림 2-1-32〕 동시 위탁 횟수가 7회 이상인 기관 간 네트워크(2011∼2019) ···353

〔그림 2-1-3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연도별 KCI 논문 수와 인용 횟수 (2006∼2018) ···360

〔그림 2-1-3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CI 논문이 인용된 학문 분야(대분류)별 비율 (2006∼2018) ···361

〔그림 2-1-3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CI 논문이 인용된 학문 분야(중분류)별 비율 (2006∼2018) ···362

〔그림 2-1-3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CI 논문이 학문 분야별로 인용된 횟수 (2006∼2018) ···363

〔그림 2-1-37〕 대분류 분야별 인용 횟수의 연도별 추이(2006∼2018) ···366

〔그림 2-1-38〕 대분류 분야별 인용 비율의 연도별 추이(2006∼2018) ···366

〔그림 2-1-39〕 중분류 분야별 인용 횟수의 연도별 추이(2006∼2018) ···367

〔그림 2-1-40〕 인용 관계로 연결된 인용 정체성, 인용 이미지, 인용 이미지 구축자 ···370

〔그림 2-1-4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KCI 논문이 영향을 끼친 주제 ···372

〔그림 2-1-4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KCI 논문이 영향을 끼친 대주제 ···373

〔그림 2-1-43〕 주제어 대군집 1-‘심리’에 속한 6개 소군집에 영향을 끼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핵심 논문 ···378

〔그림 2-1-44〕 주제어 대군집 2-‘결혼, 출산, 고령화’에 속한 2개 소군집에 영향을 끼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핵심 논문 ···379

〔그림 2-1-45〕 주제어 대군집 3-‘빈곤과 복지’에 속한 3개 소군집에 영향을 끼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핵심 논문 ···379

(11)

〔그림 2-1-46〕 주제어 대군집 4-‘건강과 장애’에 속한 4개 소군집에 영향을 끼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핵심 논문 ···380

〔그림 2-1-47〕 주제어 대군집 5-‘의료 체계’에 속한 2개 소군집에 영향을 끼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핵심 논문 ···380

〔그림 2-1-48〕 주제어 대군집 6-‘노인’에 속한 2개 소군집에 영향을 끼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핵심 논문 ···381

〔그림 2-1-49〕 주제어 대군집 7-‘세대 특성, 빅데이터’에 속한 3개 소군집에 영향을 끼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핵심 논문 ···381

〔그림 2-1-50〕 주제어 대군집 8-‘음주·흡연, 외국인’에 속한 3개 소군집에 영향을 끼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연구자의 핵심 논문 ···382

〔그림 2-1-51〕 공동연구 논문의 양과 인용 영향력 ···385

〔그림 2-1-52〕 소군집별 인용 영향력의 10% 이상을 점유하는 공동연구기관 ···386

〔그림 2-1-53〕 「보건사회연구」에 12년 동안 4편 이상 게재한 65개 기관 공저 네트워크 (2007∼2018) ···389

〔그림 2-1-54〕 군집 크기 변동계수를 통한 적정 군집 수 결정 ···390

〔그림 2-1-55〕 「보건사회연구」의 주제 용어 네트워크와 군집 ···391

〔그림 2-1-56〕 「보건사회연구」의 연도별 인용 횟수(2008∼2018) ···397

〔그림 2-1-57〕 「보건사회연구」를 인용한 학문 영역별 비율(2008~2018) ···398

〔그림 2-1-58〕 「보건사회연구」 게재 논문 중 인용 횟수 상위 20위 이내 논문이 인용된 주요 분야(2008∼2018) ···402

〔그림 2-1-59〕 연구 데이터 5종을 활용한 연도별 논문 편수(2008~2018) ···405

〔그림 2-1-60〕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KCI 논문의 용어 전략 다이어그램 ···411

〔그림 2-1-61〕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활용 논문의 핵심 용어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및 PNNC 군집화 결과 ···412

〔그림 2-1-62〕 한국의료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KCI 논문의 용어 전략 다이어그램 ···418

〔그림 2-1-63〕 한국의료패널 데이터 활용 논문의 핵심 용어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및 PNNC 군집화 결과 ···419

〔그림 2-1-64〕 출산력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KCI 논문의 용어 전략 다이어그램 ···424

(12)

〔그림 2-1-67〕 노인실태조사 데이터 활용 논문의 핵심 용어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및

PNNC 군집화 결과 ···431

〔그림 2-1-68〕 장애인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KCI 논문의 용어 전략 다이어그램 ···436

〔그림 2-1-69〕 장애인실태조사 데이터 활용 논문의 핵심 용어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및 PNNC 군집화 결과 ···437

〔그림 2-2-1〕 주요 키워드 유사어 분석 결과 예시 ···460

〔그림 2-2-2〕 기사의 연도별 빈도(2006~2018) ···462

〔그림 2-2-3〕 기사의 월별 빈도(2006~2018) ···463

〔그림 2-2-4〕 댓글의 연도별 빈도(2006~2018) ···464

〔그림 2-2-5〕 댓글의 월별 빈도(2006~2018) ···465

〔그림 2-2-6〕 연구보고서 기사화 빈도 상위 10개 ···472

〔그림 2-2-7〕 정책보고서 기사화 빈도 상위 10개 ···473

〔그림 2-2-8〕 수시보고서 기사화 빈도 상위 10개 ···474

〔그림 2-2-9〕 다년도 연구·정책보고서 인용 수 상위 10개 ···475

〔그림 2-2-10〕 기사 주요 키워드의 연도별 빈도 변화(2006~2018) ···485

〔그림 2-2-11〕 네트워크(2006~2018) ···487

〔그림 2-2-12〕 소득 키워드가 기사에서 차지하는 비율 ···516

〔그림 2-2-13〕 소득 키워드가 포함된 연도별 기사 빈도 ···517

〔그림 2-2-14〕 기사 주요 키워드(소득 키워드 포함)의 연도별 빈도 변화(2006~2018) ···518

〔그림 2-2-15〕 4개년도(2006년, 2009년, 2014년, 2018년) 네트워크 분석 결과 (소득 키워드 포함) ···523

〔그림 2-2-16〕 4개년도(2006년, 2009년, 2014년, 2018년) ‘소득’ 키워드 유사어 비교 ·· 525

〔그림 2-2-17〕 노인 키워드가 기사에서 차지하는 비율 ···526

〔그림 2-2-18〕 노인 키워드가 포함된 연도별 기사 빈도 ···527

〔그림 2-2-19〕 기사 주요 키워드(노인 키워드 포함)의 연도별 빈도 변화(2006~2018) ···529

(13)

〔그림 2-2-20〕 4개 연도(2006년, 2009년, 2014년, 2018년) 네트워크 분석 결과

(노인 키워드 포함) ···533

〔그림 2-2-21〕 4개년도(2006년, 2009년, 2014년, 2018년) ‘노인’ 키워드 유사어 비교 ·· 535

〔그림 2-2-22〕 의료 키워드가 기사에서 차지하는 비율 ···536

〔그림 2-2-23〕 의료 키워드가 포함된 연도별 기사 빈도 ···537

〔그림 2-2-24〕 기사 주요 키워드(의료 키워드 포함)의 연도별 빈도 변화(2006~2018) ···539

〔그림 2-2-25〕 4개년도(2006년, 2009년, 2014년, 2018년) 네트워크 분석 결과 (의료 키워드 포함) ···543

〔그림 2-2-26〕 4개년도(2006년, 2009년, 2014년, 2018년) ‘의료’ 키워드 유사어 비교 ·· 545

〔그림 2-2-27〕 여성 키워드가 기사에서 차지하는 비율 ···546

〔그림 2-2-28〕 여성 키워드가 포함된 연도별 기사 빈도 ···547

〔그림 2-2-29〕 기사 주요 키워드(여성 키워드 포함)의 연도별 빈도 변화(2006~2018) ···549

〔그림 2-2-30〕 4개년도(2006년, 2009년, 2014년, 2018년) 네트워크 분석 결과 (여성 키워드 포함) ···554

〔그림 2-2-31〕 4개년도(2006년, 2009년, 2014년, 2018년) 여성 키워드 유사어 비교 ···556

〔그림 2-2-32〕 복지 키워드가 기사에서 차지하는 비율 ···557

〔그림 2-2-33〕 복지 키워드가 포함된 연도별 기사 빈도(2006~2018) ···558

〔그림 2-2-34〕 기사 주요 키워드(복지 키워드 포함)의 연도별 빈도 변화(2006~2018) ···560

〔그림 2-2-35〕 4개년도(2006년, 2009년, 2014년, 2018년) 네트워크 분석 결과 (복지 키워드 포함) ···563

〔그림 2-2-36〕 4개년도(2006년, 2009년, 2014년, 2018년) 복지 키워드 유사어 비교 ···565

〔그림 2-2-37〕 주요 키워드의 연도별 댓글 ‘부정’ 비율 ···567

〔그림 2-2-38〕 주요 키워드의 연도별 댓글 ‘싫음’ / ‘안타까움’비율 ···568

〔그림 2-2-39〕 2018년 주요 키워드별 성별 추론 결과 ···569

〔그림 2-2-40〕 2018년 주요 키워드별 연령대 추론 결과 ···569

(14)
(15)

활동 변화 추이 분석

제1장 계량서지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활동

제2장 언론 기사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활동

2

(16)
(17)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활동

제1절 연구원 보고서로 살펴본 연구 활동과 활용

제2절 구성원의 학술 논문을 통해 본 연구 활동과 활용 실태 제3절 「보건사회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발행 학술지)

를 통해 본 연구 활동과 활용 실태

제4절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생산한 조사 자료의 활용 실태 제5절 종합

1

(18)
(19)

이 장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성과를 〔그림 2-1-1〕과 같이 연구보고서, 연구 논문, 발행 학술지, 조사 자료의 4가지 측면으로 살펴 본다. 주요 분석 관심사는 양적인 성과, 연구 주제를 통해 살펴본 질적인 변화, KCI 영향력 등을 통해 살펴본 외부 영향력, 공동연구 실태를 통해 파악한 협력 체계이다.

〔그림 2-1-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 성과 분석 개요도

계량서지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활동

1 〈〈

(20)

유형 발행 연도 제목

서지 목록

2010 (1963-1989) 발간자료 Collection DVD II 2009 (1990-2008) 발간자료 Collection DVD 2011 (2009-2011) 발간자료 Collection DVD III 1985 1981-1984년 한국의 인구 및 가족계획에 관한 서지

연차 보고서 및 사료집

1986 1985 KIPH Research Abstract 1983 1982년도 연구결과요약종합보고서 1993 1992년도 연구 결과 요약 종합보고서 2008 2008년 연차보고서(국문)

2014 2014년 연차보고서 국문 2008 2008 Annual Reports 2014 2014 Annual Reports 2009 2009 업무보고

1972 가족계획연구원 연보 1971

〈표 2-1-1〉 연구 추세 분석에서 제외된 보고서 유형별 사례

제1절 연구원 보고서로 살펴본 연구 활동과 활용

1. 보고서에 나타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활동 추세 변화 가. 연도별 대표어 분석

이 분석에서는 1971년 이후 2018년까지 발간된 4564개 보고서

1)

중 에서 서지 목록 자료, 연차 보고서나 세미나 자료집과 같이 해당 연도의 특정 연구 주제를 반영한다고 보기 어려운 보고서는 제외하였다(<표 2-1-1> 참조).

1) 간행물 마스터 파일 기준의 보고서 수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홈페이지의 변화 및 시스템 의 변화 과정에서 유실되거나 중복 입력된 경우 등이 발생하여 Research@kihasa를 통 하여 파악한 보고서 수와는 다를 수 있다.

(21)

유형 발행 연도 제목 1974 가족계획연구원 연보 1974 1981 가족계획연구원 10년 1971~1981 1982 1976-1980 - 계획, 성취, 평가 201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년사

원본이 있는 요약 보고서

2009 외국인 지역가입자 건강보험 제도 개선방안(요약) 2011 일반질지표 평가체계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요약) 1985 전국민 의료보험실시를 위한 제도연구 -요약보고서 1982 전국 보건의료망 편성을 위한 조사연구 요약보고서

회차만 제시된 세미나 자료

2009 제8차 원내세미나 2009 제9차 원내세미나 2010 제23차 원내세미나

2011 한국보건행정학회 국제세미나

각 보고서 제목에서 자동 색인을 통해 용어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용어

중에서 ‘연구’나 ‘동향’ 등 주제성이 없는 불용어는 제거하였다. 불용어

제거 후 7회 이상 출현한 빈도 상위 290개 용어가 1971년부터 2018년

까지 48년 동안 각 연도의 보고서 제목에 출현한 횟수를 파악하여 크기가

290×48인 용어-연도 행렬을 구축하였다. 용어-연도 행렬의 각 열은 그

연도의 연구 동향을 대표하는 연도 프로파일이 된다.

(22)

용어 1971 1972 1973 1974 1975 ... 2014 2015 2016 2017 2018

복지 0 0 0 0 0 ... 18 7 7 15 1

저출산 0 0 0 0 0 ... 7 10 7 7 3

건강 0 1 2 0 0 ... 10 5 10 7 1

가족계획 6 3 13 16 11 ... 0 0 0 0 0

보건 0 0 1 1 0 ... 7 3 3 2 1

의료 0 0 0 2 0 ... 7 11 8 5 2

인구 0 0 3 4 2 ... 9 6 2 1 3

지역 0 0 1 2 0 ... 5 9 5 2 0

서비스 0 0 0 0 0 ... 7 7 7 8 4

가족 0 0 0 0 0 ... 8 3 7 3 2

국가 0 0 0 0 0 ... 3 3 1 2 0

보건의료 0 0 0 0 0 ... 6 7 2 3 0

장애인 0 0 0 0 0 ... 2 2 1 4 0

노인 0 0 0 0 0 ... 6 2 5 8 2

보건복지 0 0 0 0 0 ... 5 7 4 4 0

장애 0 0 0 0 0 ... 5 4 2 3 1

교육 0 0 1 1 0 ... 2 3 1 1 0

출산 0 0 3 1 0 ... 3 4 14 4 1

사회보장 0 0 2 0 0 ... 7 10 8 7 0

통계 0 1 0 0 1 ... 2 7 4 3 1

사회복지 0 0 0 0 0 ... 3 2 2 1 0

고령화 0 0 0 0 0 ... 0 5 0 2 0

모니터링 0 0 0 0 0 ... 3 5 4 4 1

고령사회 0 0 0 0 0 ... 5 6 2 6 3

빈곤 0 0 0 0 0 ... 0 2 3 3 2

재정 0 0 0 0 0 ... 5 7 4 2 1

여성 0 0 0 1 0 ... 7 1 2 1 0

〈표 2-1-2〉 용어-연도 행렬의 일부분

〔그림 2-1-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에서 추출된 연도별 연구 주제 대표어

주: 1위 주제어가 2개 이상인 연도에는 2위 주제어를 제시하지 않음.

(23)

연도별 프로파일에서 빈도 1위 용어를 그 연도의 연구 주제 대표어로 선정하였다. 〔그림 2-1-2〕는 연도별 1위와 2위 용어를 제시한 것인데, 1 위 대표어가 둘 이상이면 2위 대표어는 제시하지 않았다.

연도별 연구 주제를 보면 1971년부터 1981년까지는 1976년 한 해를 제외한 10년 동안 가족계획이 1위 대표어로 나타났다. 마을 건강 사업의 영향으로 1982년에 (보건진료원) 교재가 일시적으로 1위 대표어가 된 후 1980년대 중반까지 보건과 의료보험이 번갈아 1위 대표어로 꼽혔다.

1988년부터 1990년까지는 3년 연속으로 인구가 1위 대표어로 나타났 다.

1990년대 전반에는 사회복지나 복지

2)

가 1위를 차지했으며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까지 의료와 건강, 영양조사 등 건강과 관련된 용 어가 1위 연구 주제로 부상하였다. 2000년대 초반에는 시대적 이슈인 의 약분업과 식품이 반짝 1위로 등장했지만 전반적으로는 체계, 시설, 지원 등 사회복지 시스템과 관련된 용어가 1위를 차지했다. 2006년 이후에는 저출산, 복지, 의료, 지원

3)

이 1위를 번갈아 차지하였다.

2) 대체적으로 대상별 복지와 관련된 경우로 아동복지, 노인복지 등이 대표적이다.

3) 지원은 공적 지원 정책 마련과 관련된 연구를 의미한다. 지원이라는 용어가 포함된 대표 적인 보고서로는 ‘희귀질환자에 대한 보호지원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2006 금연사업 지원 및 평가’, ‘노숙자 자활지원체계 개선방안 연구’ 등이 있다.

(24)

나. 연구 주제 단기 변화 추세 분석–1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

1위 용어의 변화에만 주목하면 전체적인 연구 방향이 변화한 시기를 특정하기 어렵다. 290개 주요 용어의 출현이 해마다 변화한 정도를 전체 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연도 프로파일이 해마다 어느 정도 변화했는가를 나타내는 1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를 피어슨 상관계수로 측정하였다. 1 년 전 연구와 1년 후 연구가 완벽하게 일치할 경우 1년 전후 연구 주제 상 관도는 1.0이 되고 완벽하게 불일치하면 –1.0이 되며, 전년도와 후년도의 연구 주제에 상관성이 없으면 1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가 0에 가깝게 측정된다. 이 방법은 유영준, 이재윤(2016)이 연구 전환기를 파악하기 위 해 연도 프로파일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를 측정한 방식을 응용하되, 벡터 코사인 공식 대신 피어슨 상관계수를 적용한 것이다. 코사인 유사도 공식 대신 피어슨 상관계수 공식을 적용한 이유는 코사인 유사도가 두 벡터 사 이 용어 빈도의 일치도를 주로 고려하는 데 반해, 피어슨 상관계수는 두 벡터 사이에 일치도와 불일치도를 동시에 고려하기 때문이다.

〔그림 2-1-3〕 1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에 의한 연구 주제 변화 추세 분석

(25)

1971년부터 2018년까지 48년 동안의 1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 47 개 수치 변화를 〔그림 2-1-3〕에 제시하였다. 이를 보면 1971~1972년부 터 1984~1985년까지는 0.6 이상의 상관도를 보이는 시기가 드문드문 나타나지만 1985년부터 2005년까지는 모두 0.6 미만의 상관도를 보여 해마다 연구 주제의 변화가 다소 커졌다가 2006~2007년부터 연구 주제 상관도가 0.6 전후로 다시 상승하였다.

연구 주제 상관도가 특별히 낮게 나타난 시기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활동에 일시적인(1년 단위의)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림 2-1-4〕에서 1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가 주변 연도에 비해서 유 난히 낮은 네 번의 시점을 특정하고 이 시기의 연대기적 특징과 연도별 대표 용어의 차이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1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가 낮은 시점을 단기 연구 변곡점으로 간주하였다.

〔그림 2-1-4〕 1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에 의한 연구 변곡점 분석

〔그림 2-1-4〕를 보면 연구 주제 상관도가 0.213으로 가장 낮게 나타

난 시점인 1997~1998년은 1997년 말에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

(26)

융을 요청했기 때문임이 분명하다. 실직자가 대량 발생하는 등 우리 사회 전반에 막대한 충격이 가해진 소위 IMF 사태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 구 주제에 단기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외환위기 이전의 1980년대까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혁에서 볼 수 있는 명칭과 정체성의 변화가 단기적인 연구 변곡점으로 나타난 것으 로 보인다. 1976년 4월 한국보건개발연구원이 설립되면서 1975년과 1976년 사이의 연구 주제에 큰 차이가 났고, 1981년 7월 한국보건개발 연구원과 가족계획연구원이 통합하여 한국인구보건연구원이 발족하면서 1981년과 1982년의 연구 주제도 변화가 뚜렷하였다. 한국인구보건연구 원이 1989년 12월 3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으로 개칭되면서 1990년과 1991년의 연구 주제도 크게 변화하였다.

다. 연구 주제 장기 변화 추세 분석–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

앞서 살펴본 1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로는 연구 주제의 단기 변화만 포착된다. 외환위기 전후인 1997년과 1998년의 연구 주제 상관도가 주 변 시기에 비해 일시적으로 급감하였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한국보 건사회연구원의 연구 주제가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로 달라졌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이에 장기적인 연구 주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 유영준과 이재윤

의 연구(2016)와 마찬가지로 5년을 단위로 하여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

관도를 측정하였다(〔그림 2-1-5〕 참조). 예를 들어 1981~1982년 연구

주제 상관도는 1977년부터 1981년까지 연도 프로파일 벡터 5개를 더하

여 직전 5년 프로파일 벡터로 삼고, 1982년부터 1986년까지 연도 프로

파일 벡터 5개를 더하여 직후 5년 프로파일 벡터로 삼아서 두 벡터 사이

(27)

의 피어슨 상관계수를 산출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1년 단위의 단기 변화 는 희석되어 추세 곡선이 평활화되고 장기적인 변화의 기점이 되는 변곡 점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림 2-1-5〕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 측정 개념도

(Y년은 X+1년)

비교 시점 상관도 비교 시점 상관도 비교 시점 상관도 비교 시점 상관도 1971:1972 0.811 1983:1984 0.796 1995:1996 0.461 2007:2008 0.642 1972:1973 0.824 1984:1985 0.791 1996:1997 0.542 2008:2009 0.687 1973:1974 0.903 1985:1986 0.751 1997:1998 0.517 2009:2010 0.700 1974:1975 0.904 1986:1987 0.613 1998:1999 0.526 2010:2011 0.699 1975:1976 0.892 1987:1988 0.687 1999:2000 0.601 2011:2012 0.671 1976:1977 0.914 1988:1989 0.634 2000:2001 0.598 2012:2013 0.664 1977:1978 0.833 1989:1990 0.526 2001:2002 0.544 2013:2014 0.693 1978:1979 0.752 1990:1991 0.520 2002:2003 0.470 2014:2015 0.724 1979:1980 0.675 1991:1992 0.544 2003:2004 0.430 2015:2016 0.769 1980:1981 0.587 1992:1993 0.528 2004:2005 0.429 2016:2017 0.781 1981:1982 0.564 1993:1994 0.448 2005:2006 0.416 2017:2018 0.487 1982:1983 0.719 1994:1995 0.450 2006:2007 0.509

〈표 2-1-3〉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

주: 1971년부터 1974년까지는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이전 연도가 5년보다 짧으므로 이전 연 도 프로파일을 통합할 때 가능한 한 최대 범위를 잡아서 경계 앞 1년, 2년, 3년, 4년을 각 각 적용하였고, 2015년부터 2018년까지는 이후 연도가 5년보다 짧으므로 이후 연도 프로 파일을 통합할 때 경계 뒤 4년, 3년, 2년, 1년을 각각 적용하였음.

(28)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의 변화 추세는 〔그림 2-1-6〕과 같으며, 주 변에 비해 상관도가 뚜렷하게 낮은 변곡점 세 곳이 파악된다.

〔그림 2-1-6〕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 변화 추세와 연구 변곡점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를 기준으로 발견한 연구 변곡점을 1년 전 후 연구 주제 상관도 기준에서 발견한 변곡점과 비교하면 1981~1982년 만 일치하고 나머지는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외환위기의 영향으로 1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던 1997~1998년은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 기준으로는 두드러지게 낮은 시점이 아니다. 이는 외환 위기에도 불구하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전반적인 연구 방향이 급전환 된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다만 외환위기가 촉발한 한국 사회의 변화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주제에도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는 점 을 부인하기 어렵다. 이 점을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 변화 추세에서 살펴보았다.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를 기준으로 연구 주제 변곡점으로 파악된

(29)

1981~1982년, 1993~1994년, 2005~2006년의 세 시점을 기준으로 하 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시기를 1기(1971~1981년), 2기 (1982~1993년), 3기(1994~2005년), 4기(2006년~현재)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 2-1-7〕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에 의한 연구 시기 구분

라. 연구 변곡점으로 구분한 네 시기의 대표어 분석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5년 전후 연구 주제 상관도를 기준으로 한국보

건사회연구원의 연구 방향이 세 번의 변곡점을 거쳤음이 드러났다. 특히

마지막 변곡점인 2005~2006년은 그 이전인 2002~2003년,

2003~2004년, 2004~2005년을 포함하여 노무현 정부가 출범한 2003

년부터 4년 연속으로 0.5 이하의 낮은 연구 주제 상관도를 보이는 대전환

기의 마지막 시기이다. 2006년 이후는 연구 주제 상관도가 급상승하여

최근까지 0.7 전후의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2003년부터

2005년 사이의 대전환기를 거친 후 2006년부터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의 연구가 장기적인 지속성을 보이며 이전보다 더욱 일관되게 추진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앞에서 추출한 연도별 1위 용어를 연구 추세 변화와 함께 제시하면 〔그 림 2-1-8〕과 같다. 이를 보면 1981년까지의 1기는 가족계획, 2006년 이 후의 4기는 저출산이 대표 연구 주제임이 뚜렷이 드러난다.

〔그림 2-1-8〕 연구 시기 구분과 연도별 1위 대표어

마. 연구 변곡점 전후 전환기의 추세 전환 용어 분석

세 번의 변곡점을 경계로 직전 5년부터 직후 5년까지 10년 동안의 연

구 전환기에 상승 추세와 하락 추세가 크게 나타난 용어를 파악해 보았

다. 해당 시점이 5년 전후 연구 주제의 변화가 뚜렷한 변곡점이라면 변곡

점 전후 총 10년 동안 연구가 뚜렷하게 급증하거나 급감하여 연구 주제

상관도가 낮게 산출되도록 작용한 대표적인 주제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려

는 시도이다.

(31)

이를 위해 10년 동안의 전환기 전반 5년과 후반 5년 동안 용어의 출현 확률을 각각 구한 후 전환기 전체의 10년 동안 해당 용어 출현 확률과의 Kullback-Leibler 다이버전스[KL 다이버전스(Kullback & Leibler, 1951)]를 산출하였다. 이 방법은 어떤 용어 집합에서 다른 용어 집합에 비해 뚜렷하게 많이 출현한 용어인 차별어(김하수, 손현정, 이재윤, 강범 일, 2013)를 포착하는 방법을 응용한 것이다. 차별어 포착에 사용하는 KL 다이버전스는 원래 확률 분포의 차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KL 다이버 전스 공식을 응용하여 용어 

의 전환기 하락 강도 





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





  





 × log 

  







여기서 





는 전환기 전반 5년 동안 용어 i가 출현할 확률이고,

   



 는 전환기 전체 10년 동안 용어 i가 출현할 확률이다. 전

반 5년 출현 확률과 후반 5년 출현 확률의 차를 직접 측정하지 않는 이유 는 분모에 들어가는 확률이 0일 때는 값을 산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용어 

의 전환기 상승 강도 





 를 구하는 공식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log 

  







여기서 





 는 전환기 후반 5년 동안 용어 i가 출현할 확률이고

   



는 전환기 전체 10년 동안 용어 i가 출현할 확률이다.

(32)

이런 공식을 사용해 전환기 하락 강도가 높은 주요 용어를 ‘전환기 하 락 용어’라고 명명하고, 전환기 상승 강도가 높은 주요 용어를 ‘전환기 상 승 용어’라고 명명하였다. 두 개념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전환기 하락 용어

: 전환기 변곡점 직전 5년 연구에서 자주 다루어지다가 전환기 직후 5 년 연구에서는 현저하게 미미해지거나 없어진 용어.

․ 전환기 상승 용어

: 전환기 변곡점 직전 5년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가 없거나 미미했으나 전환기 직후 5년 동안 두드러지게 증가한 용어.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세 번의 변곡점을 중심으로 한 전환기마다 연구 추 세 전환을 이끌어 낸 대표적인 전환기 하락 용어 4개와 전환기 상승 용어 4개를 제시하면 〔그림 2-1-9〕와 같다.

〔그림 2-1-9〕 연구 변곡점 전후 전환기 10년 동안의 하락 주제와 상승 주제

(33)

1기에서 2기로 전환하는 시기에는 가족계획, 병원, 피임, 출산 등과 같 이 가족계획 관련 용어가 급감한 반면, 1기에는 거의 없던 보건진료원 교 재 관련 용어가 2기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1기와 2기의 연구 주 제 전환은 가족계획 관련 연구로부터 마을 건강 사업의 일환인 보건진료 원 교재 관련 연구로의 중심축 전환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2기에서 3기로 전환하는 시기에는 인구, 인구정책, 모자보건 등과 같 은 개발도상국가 수준의 인구정책 관련 연구가 급감한 대신 복지, 건강, 산업, OECD, 식품과 같이 선진국을 지향하는 보건복지 관련 연구가 3기 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초점이 정 부 정책의 관점에서 하향식으로 전개되는 연구로부터 시민 생활과 산업 활동 분석 등 상향식으로 전개되는 연구로 전환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런 차이는 소위 문민정부로 불리는 김영삼 정부가 1993년에 출범한 것과도 관련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3기에서 4기로 전환하는 시기에는 국민 건강, 영양조사, 보육, 사회복 지시설 등과 같은 건강과 보육 위주의 정책 연구가 4기 전반에 들어서면 서 급감하였다. 반면에 저출산, 저출산 고령사회, 복지정책, 복지정책 평 가와 같이 저출산 대책과 복지정책의 전환을 도모하는 연구가 4기에 접 어들면서 급증하였다.

바. 연구 변곡점으로 구분한 네 시기의 차별어 분석

세 번의 연구 변곡점으로 구분한 시기마다 앞서 살펴보았던 대표 용어 는 해당 시기에 가장 많이 다룬 연구 주제를 반영하지만 같은 주제가 다 른 시기에도 적지 않게 연구되었을 수 있다.

시기마다 수행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주제 중에서 다른 시기와

(34)

비교해 상대적으로 많이 다룬 주제가 그 시기를 차별화하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즉, 각 시기의 연구가 다른 시기와 차별화되는 주제를 별도로 포 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앞서 사용한 KL 다이버전스 공식을 응용하여 각 시기의 차별어를 도출하였다.

KL 다이버전스 공식을 응용하여 용어 

가 시기 

를 차별화하는 정도인  

 

 를 구하는 공식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 



  



 × log 





여기서 



는 용어 

가 시기 

의 연구보고서 제목에서 출

현할 확률이고 

 는 용어 

가 전체 연구보고서 제목에서 출현

할 확률이다. 시기별 상위 차별어를 〈표 2-1-4〉와 〈표 2-1-5〉에 제시하

였다.

(35)

순위 1기(1971~1981)

순위 2기(1982~1993)

차별어 KLD 차별어 KLD

1 가족계획 0.4612 1 보건 0.0721

2 가족계획사업 0.0677 2 의료보험 0.0643

3 피임 0.0583 3 인구 0.0634

4 마을 건강 사업 0.0528 4 보건진료원 0.0629

5 인구 0.0394 5 교재 0.0544

6 가족계획사업 평가 0.0371 6 모자보건 0.0438

7 보건 0.0337 7 보건진료원 교재 0.0380

8 출산력 0.0295 8 가족보건사업 0.0293

9 출산력조사 0.0294 9 지역 0.0291

10 병원 0.0278 10 도시 0.0287

11 가족계획 요원 0.0270 11 보건 요원 0.0277

12 지역 0.0242 12 일차 보건의료 0.0263

13 주민 0.0213 13 보건 교육 0.0235

14 임신중절 0.0194 14 인구정책 0.0213

15 보건진료원 0.0173 15 모자보건사업 0.0189

16 보건 요원 0.0169 16 인구 이동 0.0189

17 모자보건 0.0167 17 의료 0.0159

18 시술 0.0167 18 가족계획 0.0157

19 출산율 0.0164 19 피임 0.0155

20 인공 0.0161 20 영양 0.0133

〈표 2-1-4〉 1기와 2기 연구 주제 차별어

(36)

순위 3기(1994~2005)

순위 4기(2006~2018)

차별어 KLD 차별어 KLD

1 국민 건강 0.0200 1 저출산 0.0124

2 영양조사 0.0199 2 고령사회 0.0062

3 보육 0.0144 3 복지정책 0.0051

4 국민 건강 증진 0.0123 4 복지 0.0048

5 의약분업 0.0101 5 사회서비스 0.0046

6 사회복지시설 0.0088 6 건강 영향 평가 0.0045

7 장애 0.0087 7 고령화 0.0044

8 정신보건 0.0084 8 사회 통합 0.0044

9 OECD 0.0082 9 저출산 고령사회 0.0042

10 보육시설 0.0081 10 아동 0.0039

11 의료 0.0072 11 빈곤 0.0037

12 노인 0.0069 12 모니터링 0.0035

13 인터넷 0.0068 13 복지정책 평가 0.0034

14 건강 증진 0.0067 14 재정 0.0033

15 건강 정보 0.0066 15 지방자치단체 0.0032

16 최저생계비 0.0065 16 한국복지패널 0.0032

17 의약품 0.0062 17 보건복지 0.0030

18 보건 통계 0.0061 18 건강보험 0.0029

19 수급 계획 0.0059 19 출산 0.0028

20 자활 0.0057 20 서비스 0.0025

〈표 2-1-5〉 3기와 4기 연구 주제 차별어

〔그림 2-1-10〕 연구 시기별 차별 용어

(37)

〔그림 2-1-10〕에는 KL 다이버전스 기준으로 시기별 상위 5위까지의 차별어를 제시하였다. 이를 보면 1기는 가족계획 연구, 2기는 보건과 의 료보험 연구, 3기는 국민건강과 보육 연구, 4기는 저출산 대책과 사회서 비스 연구가 차별화된 대표 주제임을 알 수 있다. 또 1기부터 4기까지 시 기별로 차별값(KL-Divergence)이 가장 큰 대표적인 차별어가 연도별로 어떻게 보고서 제목에 등장하는지 살펴본 결과는 〔그림 2-1-11〕과 같다.

1기 연구를 특징짓는 차별어인 가족계획은 1기에 매년 5건 이상의 보 고서 제목에 등장했는데 1기 후반인 1977~1979년에 가장 많았다. 가족 계획은 2기에 줄어들긴 했으나 2기 중반인 1990년까지는 조금씩 보고서 에 출현하였다.

2기 연구를 특징짓는 차별어인 의료보험은 1기 중반인 1997년에 처음 나타나 3기 중반인 2000년까지 지속적으로 출현했다.

4)

3기 연구를 특징짓는 차별어인 영양조사는 3기 중후반에만 사용되었 고 다른 시기에는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

4기 연구를 특징짓는 차별어인 저출산은 1986년부터 간헐적으로 사용 되었으나 3기 마지막 해인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됐다. 저출산은 2005년 이후 매년 5회 이상 사용되면서 2011년을 중심으로 전후 3년 동 안 집중적으로 다루어졌으나 이후에는 다소 주춤한 상태다. 전체적으로 차별어를 살펴보면 전반기인 1990년까지는 인구정책과 관련된 가족계획 이, 2005년 이후에는 저출산이 다루어지는 경향이 뚜렷하게 대비된다.

4) 공적 영역에서의 ‘의료보험’은 2000년에 ‘건강보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바뀐 것도 일부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건강보험은 2006년 이후인 4기에 차별어 18위에 불과할 정도여서 관련 연구가 2기에 집중되었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38)

〔그림 2-1-11〕 연구 시기 대표 차별어 4종의 연도별 출현 횟수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가 학술 논문에 미친 영향력 분석

가. 보고서의 인용 횟수 및 인용 분야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는 KCI 논문 791편에서 총 1364회 인용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KCI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는 KCI 학술지 논

문이 인용된 사례 위주로 구축되다가 2010년 이후에야 보고서가 참고문

헌으로 인용된 사례가 제대로 검색된다. 따라서 2009년 이전에는 연 1,

2회만 인용이 파악되므로 2010년 이후의 추세만 〔그림 2-1-12〕에 제시

하였다. 연도별 인용 횟수는 연평균 22.1% 증가하여 2010년 51건에서

2018년에는 252건으로 약 5배가 되었다.

(39)

〔그림 2-1-12〕 연도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인용 횟수

주: 2009년 이전은 KCI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에서 보고서가 참고문헌에 거의 입력되지 않았음.

학문 분야

(대분류)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합계 비율 사회과학 2 1 46 53 80 116 129 183 181 207 219 1217 89.2%

복합학 2 5 7 9 14 21 9 14 81 5.9%

자연과학 5 6 4 1 1 17 1.2%

인문학 2 1 6 6 15 1.1%

의약학 4 1 4 2 3 14 1.0%

공학 1 3 6 10 0.7%

예술체육학 6 1 3 10 0.7%

총합계 2 1 51 59 88 131 155 197 205 223 252 1364 100.0%

〈표 2-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의 학문 분야(대분류)별, 연도별 인용 횟수

(4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를 인용한 연구는 대분류 기준으로 89.2%

가 사회과학 분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분류 기준으로는 사회복 지학 분야에서 절반에 가까운 49.7%의 인용이 발생하였다. 즉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보고서가 KCI 논문에 끼치는 영향력의 90% 정도는 사회과 학 분야에 대한 것이다. 그중에서도 사회복지학 분야에 끼치는 영향력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고서의 인용은 나중에 살펴볼 소속 연구자의 KCI 논문이나 「보건사회연구」 게재 논문의 인용에 비해 대분류 수준으로는 사회과학에 집중되었고 사회과학 내 중분류 수준으로 는 사회복지학에 집중되었다. 소속 연구자의 KCI 논문을 인용한 비중은 사회과학에서 61.3%, 사회복지학에서 26.9%였다. 「보건사회연구」 게재 논문을 인용한 비중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66.2%, 사회복지학에서 29.9%이다.

10회 이상 인용한 분야 중에서 인용 성장지수를 기준으로 보고서 인용

증가 추세가 두드러지는 분야는 국제·지역개발, 기타 사회과학, 경제학이

다(<표 2-1-7> 참조). 반면에 법학과 정책학 분야는 인용 성장지수가 0.5

미만으로 나타나 인용이 오히려 감소하였다. 인용 성장지수는 0~1의 값

으로 성장 추세를 나타내는 지표인 성장지수(이재윤 외, 2011)를 연도별

인용 횟수에 적용한 것으로서 인용이 분석 기간 중 마지막 해에 모두 발생

하면 1로, 첫해에 모두 발생하면 0으로 측정된다. 그 값이 0.5보다 크면

인용이 성장하는 추세이고, 작으면 인용이 감소하는 추세임을 나타낸다.

(41)

학문 분야

(중분류)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합계 비율 인용 성장지수 (‘10~’18) 사회복지학 2 19 28 28 67 59 105 110 122 138 678 49.7% 0.678 사회학 6 14 4 8 17 19 4 11 12 95 7.0% 0.534 사회과학 일반 3 2 1 7 17 9 10 20 2 71 5.2% 0.623

정책학 4 26 2 7 7 13 3 5 67 4.9% 0.493

행정학 1 8 12 6 10 5 12 8 62 4.5% 0.615

학제 간 연구 4 8 6 9 16 9 7 59 4.3% 0.669

경제학 4 1 5 7 11 1 15 44 3.2% 0.736

기타 사회과학 1 1 1 3 6 9 2 6 15 44 3.2% 0.738

교육학 1 6 2 5 7 11 4 36 2.6% 0.701

국제·지역개발 1 2 1 5 3 3 10 9 34 2.5% 0.746

법학 14 1 6 3 2 2 2 3 33 2.4% 0.322

여성학 2 1 5 5 5 7 25 1.8% 0.675

생활과학 5 6 4 1 1 17 1.2% 0.353

지역학 2 2 1 3 3 1 12 0.9% 0.469

경영학 1 1 1 2 1 2 8 0.6% 0.734

예방의학 4 1 1 1 1 8 0.6% 0.375

심리과학 2 4 1 7 0.5% 0.732

(기타 분야) 2 8 11 1 5 13 23 63 4.6% 0.758 총합계 2 1 51 59 88 131 155 197 205 223 252 1364 100.0% 0.647

〈표 2-1-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의 학문 분야(중분류)별, 연도별 인용 횟수

나. 보고서별 인용 분석

10회 이상 인용된 영향력 상위 보고서 15편은 〈표 2-1-8〉과 같다. 25 회 이상 인용된 영향력 최상위 보고서는 3편이다. 1위는 29회 인용된 ‘베 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2위는 27회 인용된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3위는 25회 인용된 ‘2014년도 노인실태조 사’이다.

인용 횟수 상위 보고서 15편이 연도별로 인용된 횟수는 〔그림 2-1-1

3〕에 제시하였다. 성장지수를 이용하여 상위 논문의 인용 성장 추세를 살

펴보면 2014년 실태조사 보고서인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와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가 0.9 이상으로 최근 인용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42)

이들보다는 낮지만 인용 성장 추세가 0.8 이상인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자살급증원인과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가족구조 변화와 정책적 함 의: 1인 가구 증가현상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대한 연구: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과제’ 등 3편이다. 이들 보고서는 2010 년대에 더욱 뚜렷해지고 있는 자살 증가, 1인 가구 증가, 계층 갈등과 같 은 주요 사회문제의 실태와 대책을 다뤘다.

순위 인용 횟수

인용

성장지수 보고서

1 29 0.666 정경희 외(2010).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2 27 0.641 강신욱 외(2005).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3 25 0.924 정경희 외(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4 17 0.612 김안나 외(2008).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배제계층 지원방안 연 구: 사회적 배제의 역동성 및 다차원성 분석을 중심으로.

5 16 0.825 정경희 외(2012). 가족구조 변화와 정책적 함의: 1인 가구 증가현 상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6 15 0.493 정경희 외(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6 15 0.673 정경희 외(2012).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8 13 0.685 김승권 외(2010).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8 13 0.746 이삼식 외(2005). 저출산 원인 및 종합대책 연구.

10 12 0.900 김성희 외(2014).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10 12 0.583 김혜련 외(2004). 건강수준의 사회계층간 차이와 정책 방향.

10 12 0.667 허순임 외(2009). 미충족 의료수준과 정책방안에 대한 연구.

13 10 0.830 이상영 외(2012). 우리나라의 자살급증원인과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13 10 0.780 이삼식 외(2010). 저출산정책 효과성 평가 연구.

13 10 0.820 노대명 외(2011).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대한 연구: 사회통합을 위 한 정책과제.

〈표 2-1-8〉 KCI 인용 횟수 상위 보고서

(43)

〔그림 2-1-13〕 10회 이상 인용된 보고서 15편의 연도별 인용 횟수

(44)

다. 보고서 동시 인용 분석

KCI 논문에 영향을 끼치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의 주제 영역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두 편의 보고서가 동일한 KCI 논문에 인용 되면 주제적인 관계가 있다고 가정하는 동시 인용 분석(Small, 1973)을 하였다. KCI 논문에 한 번이라도 인용된 보고서는 635편이며, 이 중 다 른 보고서와 한 번이라도 동시에 인용된 보고서는 493편이다. 493편의 동시 인용 네트워크를 시각화하면 〔그림 2-1-14〕와 같다. 그림의 왼쪽에 346편의 보고서가 연결되어 있는 가장 큰 컴포넌트가 자리 잡고 있으며, 오른쪽에 분리된 작은 컴포넌트들이 자리했다.

〔그림 2-1-14〕 KCI 논문에 인용된 보고서의 동시 인용 네트워크

주: 동시 인용되지 않은 보고서는 그림에서 제외.

(45)

보고서 동시 인용 네트워크에서 가장 큰 컴포넌트만 별도로 확대하여 제시하면 〔그림 2-1-15〕와 같다. 네트워크의 구성 집단을 세분하기 위해 서 Girvan-Newman 알고리즘(Girvan & Newman, 2002)을 적용하였다.

〔그림 2-1-15〕 가장 큰 컴포넌트에 속한 보고서 346건의 상세 네트워크

주: 노드 크기는 인용 횟수에 비례하며, 색상은 Girvan-Newman 알고리즘의 집단 구분에 따 라 차별 표시함.

그림 중앙의 가장 큰 1번(‘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과 그 옆의 22번(‘베이비붐 세대 실태조사 및 정책 현황 분석’)은 베이비붐 세대 의 실태를 다룬 보고서로서 여러 주제를 연결하는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보고서에서부터 이어진 짙은 청색의 우측 하단 집단에는 9번(‘저출 산 원인 및 종합대책 연구’)과 14번(‘저출산정책 효과성 평가 연구’)을 중 심으로 저출산 정책 관련 보고서가 자리 잡고 있다.

1번 보고서의 왼쪽 중앙에는 짙은 녹색으로 표시된 3번(‘2014년도 노

(46)

인실태조사’), 6번(‘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7번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등 노인 실태와 관련된 보고서가 다수 포함되 었다.

그림의 왼쪽에는 밝은 청색으로 표시된 2번(‘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4번(‘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배제계층 지원방안 연 구: 사회적 배제의 역동성 및 다차원성 분석을 중심으로’)과 같은 사회적 배제 관련 보고서를 중심으로 10번(‘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16번 (‘2005년도 장애인실태조사’)과 같은 장애인 관련 보고서가 연결되어 있다.

그림의 왼쪽 위에는 빨간색으로 표시된 12번(‘미충족 의료수준과 정책 방안에 대한 연구’), 19번(‘의료비 과부담이 빈곤에 미치는 영향’), 28번 (‘2006년 차상위계층 실태분석 및 정책제안’)과 같은 의료비와 빈곤 문제 를 다룬 보고서가 모여 있다.

그림의 오른쪽에는 연한 초록색으로 표시된 18번(‘노인장기요양서비 스의 질 관리체계 개선방안’), 23번(‘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 방 안’), 26번(‘한국의 사회서비스 쟁점 및 발전전략’)과 같은 사회서비스 관 련 보고서가 모여 있다.

한편 연구보고서의 주요 주제 중 하나인 다문화 관련 보고서는 여타 주

제 보고서와 잘 연결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고립된 조그만 컴포넌트를 이

루고 있다. 보고서 동시 인용 네트워크 전체가 제시된 〔그림 2-1-14〕에

서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두 개의 고립된 컴포넌트를 확대하면 〔그림

2-1-16〕, 〔그림 2-1-17〕과 같다. 여기에는 각각 23개와 5개의 보고서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다문화와 관련된 보고서이다.

(47)

〔그림 2-1-16〕 다문화 관련 보고서가 고립된 컴포넌트를 이루는 사례 1

〔그림 2-1-17〕 다문화 관련 보고서가 고립된 컴포넌트를 이루는 사례 2

(48)

보고서 동시 인용 네트워크 분석 결과 KCI 논문에 영향을 끼친 한국보 건사회연구원 보고서의 주요 주제는 베이비붐 세대 실태, 저출산 정책, 노인 실태, 사회적 배제 및 장애인, 의료비와 빈곤, 사회서비스, 다문화 등이다. 다문화 관련 주제를 제외하면 이런 주요 주제를 다룬 보고서들은 서로 동시 인용 관계로 약간씩이라도 얽혀서 인용되고 있으므로 한국보 건사회연구원이 국내 학술 연구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주요 주제는 서로 얽힌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다만 다문화 관련 보고서는 다른 주제 보고서 와 같이 인용되는 경우가 드물어서 다른 주제와 분리되어 고립된 영향력 만 국내 연구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위탁과제 분석 가. 위탁과제 건수 분석

1) 연도별 위탁 건수 동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는 원내 연구진뿐만 아니라 원외 연구진의 참여를 통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공동연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위탁 과제의 건수와 수행 주체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위탁과제가 포함된 본 과제 1242건을 분석하였다.

5)

2010년에는 위탁 연구가 이루어진 116개 중 극히 일부인 12건만 입력이 이루어졌으므로, 연도별 분석에서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9년 동안의 본 과제 1230

5) 이 분석에 기술된 연도별 과제와 연도별 발간 보고서의 수에는 차이가 있다. 연구가 시작 된 시점과 보고서가 발간된 시점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과제로 진행되었으나 보 고서가 발간되지 않거나, 다수의 보고서가 발간된 경우도 있다. 한편, 연구과제가 여러 해에 걸쳐 진행되는 경우 등이 있어서 위탁이 이루어진 시점과 보고서가 발간된 시점이 상이할 수도 있다.

(49)

건과 그 위탁과제만 살펴보았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 9년 동안 1건 이상의 위탁과제를 포함하는 본 과제 1230건에서 위탁된 과제는 총 3673건이며, 연도별 위탁과제 건 수는 〔그림 2-1-18〕과 같다. 그림에서 보듯이 위탁과제는 2015년까지 연 400건 미만이다가 2016년에 급증하여 500건을 넘었으며 2019년까 지 매년 400건 이상이 수행되었다.

〔그림 2-1-18〕 연도별 위탁과제 건수

연도별로 위탁과제가 있는 본 과제 한 건의 위탁과제 건수 평균을 살펴

보면 〔그림 2-1-19〕와 같다. 평균 위탁 건수는 2014년까지는 3회 미만

이다가 2015년부터 3회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2016년에 일시적으로 평

균 4회 이상으로 급증하였다.

(50)

〔그림 2-1-19〕 연도별 본 과제 한 건당 위탁과제 건수 평균

연도별 위탁과제 건수 통계는 〈표 2-1-9〉와 같다. 이 표에서 보듯이

위탁과제 건수는 위탁과제가 있는 본 과제별로 평균 2.99건이다. 평균 위

탁 건수는 2014년까지는 3건 미만이다가 2015년부터 3건 이상으로 증

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 연도별 위탁과제 건수의 3사분위수도

2014년까지는 3건이다가 2015년부터 4건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위탁과

제가 4건 이상인 경우가 2014년 이전에는 위탁이 있는 본 과제 전체의

25% 미만이었는데 2015년 이후에는 25%를 초과하여 위탁 건수가 많은

본 과제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51)

본 과제 연도

위탁과제 건수

최솟값 1사분위수 중앙값 3사분위수 최댓값 평균

2011 1 1 2 3 24 2.37

2012 1 1 2 3 21 2.48

2013 1 1 2 3 40 2.91

2014 1 1 2 3 12 2.70

2015 1 1 2 4 35 3.12

2016 1 2 3 4 77 4.01

2017 1 1 2 4 24 3.20

2018 1 1 2 4 15 3.03

2019 1 1 2 4 15 3.06

전체 1 1 2 3 77 2.99

〈표 2-1-9〉 연도별 본 과제당 위탁과제 건수

2) 위탁 건수 상위 본 과제 분석

하나의 본 과제에서 위탁된 과제의 수가 20개를 넘는 경우는 〈표 2-1-10〉과 같다. 대상 기간에 위탁과제가 가장 많은 본 과제는 2016년 의 ‘주요국 사회보장제도 연구’로 77개 과제를 대학(58건), 연구소(13 건), 정책 기관(6건) 등에 소속된 연구자에게 위탁하였다. 또 공동 2위인

‘출판물 발간 및 홍보’도 2016년 과제였다.

6)

연도별 위탁과제 건수가 2016년에 급증한 것은 이처럼 각국의 사회보장제도를 분석하는 위탁과 제와 출판물 발간 및 홍보를 위한 위탁과제를 전략적으로 기획하여 한꺼 번에 발주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볼 수 있다. 2013년은 40개 과제를 위 탁한 경우가 최대였고, 2015년은 35개 과제, 2011년과 2017년은 24개 과제, 2012년은 21개 과제를 위탁한 경우가 최대였다. <표 2-1-10>에는 위탁과제가 20개 이상인 상위 과제를 표기하였다.

6) 1순위인 ‘주요국 사회보장제도 연구’는 나남과 함께 12권으로 구성된 ‘주요국의 사회보장 제도 총서’(한국보건사회연구원‧나남, 2018)의 발간으로 이어졌다. 또 공동 2위인 ‘출판물 발간 및 홍보’는 연구 기획 관점에서 진행한 것이라는 특징이 있다.

(52)

위탁

건수 본 과제 연구

책임자 연구 시작일 연구 종료일 77 주요국 사회보장제도 연구 노대명 2016. 6. 1. 2016. 12. 31.

40 향후 5년간 사회보장분야의 기본방향 및 핵심과

제 발굴 신영석 2013. 2. 18. 2013. 11. 29.

40 출판물 발간 및 홍보 신현웅 2016. 1. 1. 2016. 12. 31.

35 고령화 및 생산가능 인구 감소에 따른 대응 전

략 마련연구 이삼식 2015. 7. 20. 2015. 12. 15.

24 빈곤정책 제도 개선 방안 이태진 2011. 2. 15. 2011. 12. 13.

24 출산율 반등세로의 전환을 위한 대응전략 마련

연구 이삼식 2015. 6. 9. 2015. 11. 30.

24 제3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심층평가 및

보완 과제 검토지원사업 김종훈 2017. 5. 26. 2017. 12. 31.

21 IUSSP 세계인구총회 조직위원회 사무국 운영1) 이삼식 2012. 1. 1. 2012. 12. 31.

20 2013년도 사회보장통계 생산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이태진 2013. 4. 24. 2013. 11. 29.

〈표 2-1-10〉 위탁과제가 20개 이상인 위탁 건수 상위 과제

주: 제27차 정기총회(2013. 8. 26.) 실시.

3) 위탁 건수별 본 과제 수 분포 분석

위탁과제가 1건인 본 과제는 총 420건이며 2건인 본 과제는 337건, 3

건인 본 과제는 180건 등으로 위탁과제 건수가 증가하면 그에 해당하는

본 과제의 수는 감소한다. 위탁과제 건수별로 그에 해당하는 본 과제 수

를 모두 파악하면 〈표 2-1-11〉과 같다.

참조

관련 문서

임의 과제를 통해 이러한 성과

현재 기독교 신학계를 지배하고 있는 신학 의 역사적 배경 및 그 사상적, 철학적 계보 및 배경, 신학적 의미를 연구 분석 비평을 통하여 정확한

북한농업 동향 북한의 대외 교역 동향 대북 지원 및 교류 협력 동향 북한의 경제 및 농업 관련 연구 부록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NORTH KOREA..

북한농업 동향 북한의 대외 교역 동향 대북 지원 및 교류 협력 동향 북한의 경제 및 농업 관련 연구 부록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 식품 정책의 방향 제시와 농업의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가공식품 소비행 태를 다각도에서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관련 연구 및 정책에 기초자료로 제공할 필요가

 요소기술의 통합적인 연구 및 적용을 통해 효율적인 에너지 자립화 가능...

이렇게 작품안의 시선들은 관객과의 질문을 통한 교감의 중요한 요소가 되며 연구자의 작품에 자주 나타난다 현대의 익명적 공간 안에 우리의. 모습을 들여다보는 창으로써

우리나라의 인공태양 KSTAR를 실제로 견학해보고, KSTAR 소개 기사에 넣을 내용 을 연구자의 설명을 메모하거나 개별 질문을 통해 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