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음운 현상의 종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음운 현상의 종류"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10-11주

음운 현상의 종류

음운 현상의 개념

음운 현상의 기술 방법

음운 현상의 유형

(2)

음운 현상_대치_평파열음화

음절 종성에 올 수 없는 장애음이 음절 종성에 오면 모두 평파열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으로, 이 현상은 음절 구조 제약 중 종성에 올 수 있는 자음의 종류를 제한하는 제약과 관련되어 있다.

앞에는[ ], 앞[ ], 앞도[ ], 앞까지[ ] 붙어[ ], 붙다[ ], 붙고[ ], 붙지[ ] 옷에는[ ], 옷[ ], 옷과[ ], 옷도[ ] 젖어[ ], 젖다[ ], 젖고[ ], 젖지[ ]

[함께 해 보기] 다음 자료의 발음을 적어 보고, 이 발음형들에 대해 어떤 설명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자.

맛+없다[ ] 멋+없다[ ] 옆+얼굴[ ] 맞+앉다[ ] 앞+어금니[ ] 옷+안[ ]

함께 해 봅시다

다음 자료의 발음형을 적어보고,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찾아보자.

(3)

음운 현상_대치_비음동화

평파열음 ‘ㅂ, ㄷ, 그’이 비음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으로, 이 현상은 자음의 조음 위치는 그대로이되 조음 방법만 바뀐다.

법+만[ ], 잎+만[ ], 붙+는[ ], 집 만들다[ ] 놓+는[ ], 빛+만[ ], 옷+만[ ], 쫓+는[ ] 꺼+는[ ], 국+만[ ], 막+는[ ], 책 넣다[ ] 다음 자료의 발음형을 적어보고,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찾아보자.

[함께 해 보기] ‘자음의 조음 위치는 그대로이되 조음 방법만 바뀐다’라는 말은 정확하게 무슨 뜻일까?

함께 해 봅시다

[함께 해 보기] 다음 자료에 공통적으로 적용된 음운 현상은 무엇이며, 이 들 발음형의 음절화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1) 닦+는[당는], 잎+만[임만], 웃는[운는]

(2) 읽+는[잉는], 닭+만[당만], 밟+는[밤는]

(3) 읊+는[음는]

함께 해 봅시다

(4)

음운 현상_대치_비음화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 ‘ㄹ’이 올 때 ‘ㄹ’이 ‘ㄴ’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이다. 고유 어에는 ‘ㄱ, ㄷ, ㅂ, ㄴ, ㅁ, ㅇ’ 뒤에 ‘ㄹ’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없기 때문에, 이 음 운 현상은 한자어나 외래어에서만 적용된다.

음운론[ ], 능력[ ], 담력[ ], 국론[ ] 독립[ ], 십리[ ], 백리[ ], 함량[ ] 홈런[ ], 업로드

다음 자료의 발음형을 적어보고,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찾아보자.

[함께 해 보기] 다음 자료에 적용된 음운 현상은 무엇인지, 이 발음형이 나오기 위해 어떤 음절화 과정을 거쳤는지 설명해 보자.

다섯 량[ ], 여섯 량[ ]

핫라인(hot line)[ ], 옷 로비[ ]

함께 해 봅시다

(5)

음운 현상_대치_유음화

‘ㄹ’과 결합하는 ‘ㄴ’이 ‘ㄹ’로 바뀌는 음운 현상. 결합 순서에 따라 순행적 유음 화와 역행적 유음화로 나눌 수 있다. 유음화는 ‘ㄹ’과 ‘ㄴ’이 어떤 순서로든 연쇄 하지 못한다는 음소 배열 제약과 관련된다.

별님[ ], 물난리[ ], 겨울눈[ ], 물놀이[ ] 가을 노래[ ], 물건을 넣다[ ], 심을 나무[ ] 권력[ ], 산란[ ], 변론[ ], 천리[ ]

다음 자료의 발음형을 적어보고,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찾아보자.

[함께 해 보기] 다음 용언의 활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의 차이를 설명해 보자.

(1) 알+는[아는], 굴+는[구는], 몰+는[모는], 갈+는[가는], 물+는[무는]

(2) 앓+는[알른], 끓+는[끌른], 훓+는[훌른], 핧+는[할른], 뚫+는[뚤른]

함께 해 봅시다

(6)

[함께 해 보기] 다음에 제시된 단어들은 동일한 음운론적 환경 ‘ㄴ-ㄹ’ 연 쇄임에도 불구하고 ‘ㄹ’이 실현된 발음이 다르다.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1) 난로[날로], 신라[실라], 전력[절력], 분리[불리], 산란기[살란기]

(2) 의견란[의견난], 생산량[생산냥], 결단력[결단녁], 횡단로[횡단노]

함께 해 봅시다

(7)

음운 현상_대치_경음화(1)

(1) 평파열음 뒤 경음화

밥도둑[ ], 옆집 [ ], 돋보기 [ ], 밭갈이 [ ] 국솥 [ ], 깎다 [ ], 부엌도 [ ], 옷고름 [ ] 있고 [ ], 잊고 [ ], 꽃구름 [ ]

넓죽하다[ ], 값지다[ ], 읊조리다[ ] 닭장[ ], 넋받이[ ]

놓소[ ], 많소[ ]

경음이 아닌 평장애음 /ㅂ, ㄷ, ㄱ, ㅅ, ㅈ/가 일정한 환경에서 경음인 /ㅃ, ㄸ, ㄲ, ㅆ, ㅉ/로 바뀌는 음운 현상. 환경에 따라 경음화를 세분한다.

(8)

음운 현상_대치_경음화(2)

(2) 용언 어간말 비음 뒤 경음화

안다[ ], 안고 [ ], 안자 [ ], 안소[ ] 감다 [ ], 감고 [ ], 감자 [ ], 감소 [ ] 젊다[ ], 젊고 [ ], 젊지 [ ], 젊소[ ]

[함께 해 보기] 앞에 제시한 ‘안-, 감-, 젊-’ 외에 동일한 음운 현상의 예를 더 찾아보자.

함께 해 봅시다

[함께 해 보기] 동일한 음운 환경인데 발음형이 다르다. 이를 어떻게 설명 할 수 있을까?

(1) 안(hug)[안따] (2) 안다(know)[안다]

함께 해 봅시다

(9)

음운 현상_대치_경음화(3)

(3) 관형형 어미 {-을} 뒤 경음화

갈 곳이 없다[ ], 놀 데가 없다[ ] 내 알 바 아니다[ ], 그럴 수 있니[ ] 할 줄 모른다[ ]

내가 먹을 고구마도 있다[ ]

저 산이 내가 올라갈 동산이다[ ] 내가 먹을 밥이 없다[ ]

내가 만날 사람은 없다[ ] 내가 찾을 주소를 다오[ ]

관형형 어미 {-을} 뒤의 경음화 현상은 발화할 때 끊어 읽기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적용 여부가 달라진다.

(10)

음운 현상_대치_경음화(4)

(4) 한자어 ‘ㄹ’ 뒤의 경음화

갈등[ ], 철도 [ ], 골동품 [ ]

결사 [ ], 달성 [ ], 몰상식 [ ], 실수 [ ] 갈증 [ ], 멸종 [ ], 조물주 [ ]

다음 두 종류 자료의 발음형을 적어보고, 한자어 ‘ㄹ’ 뒤에서 경음화가 발생하는 환경을 찾아보자.

결과[ ], 물건 [ ], 발견 [ ], 설계[ ] 결박 [ ], 설비 [ ], 월부 [ ], 일반 [ ]

한자어 내부 /ㄹ/ 뒤에서 평음 /ㄷ, ㅅ, ㅈ/가 경음 /ㄸ, ㅆ, ㅉ/로 변한다

(11)

음운 현상_대치_경음화(5)

보름달[ ], 아침밥 [ ], 들쥐[ ], 손등[ ] 길거리 [ ], 술잔 [ ], 솔방울 [ ], 문고리 [ ] 합성 명사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경음화가 발생한다.

[함께 해 보기] 다음 자료는 동일하거나 비슷한 음운론적 환경임에도 경 음화 양상이 다르다. 이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1) 봄비[ ] ↔ 금비녀[ ] (2) 물고기[ ] ↔ 불고기[ ] (3) 손등[ ] ↔ 손발[ ]

함께 해 봅시다

(12)

음운 현상_대치_구개음화

밭이[ ] vs 밭에 [ ], 밭을[ ] 끝이[ ] vs 끝에 [ ], 끝을[ ] 솥이 [ ] vs 솥에 [ ], 솥을[ ] 굳이[ ], 흙받이[ ], 맏이[ ] 미닫이[ ], 해돋이[ ]

굳히다[ ], 닫히다[ ], 묻히다[ ]

다음 자료의 발음형을 적어보고, 음운 현상의 규칙화하여 설명해 보자.

[함께 해 보기]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날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구개음화가 적용되지 않는 예들을 각자 세 개 이상 찾아보자.

함께 해 봅시다

[함께 해 보기]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날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구개음화가 적용되지 않는 예들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방법을 찾아보자.

함께 해 봅시다

(13)

음운 현상_대치_활음화

피+어서[ ], 끼+어서[ ], 기+어서[ ] 치+어[ ], 지+어서[ ]

이기+어서[ ], 붐비+어서[ ], 다니+어서[ ] 저미+었다[ ], 삼키+었다[ ]

J활음화 : 단모음 ‘이’가 활음 ‘j’로 바뀐다.

보+아서[ ], 추+어서[ ], 오+어서[ ] 주+어서[ ], 두+었다[ ], 놓+아서 [ ] 맞추+어서[ ], 겨누+어서[ ]

미루+었다[ ], 부수+었다[ ] w활음화 : 단모음 ‘오/우’가 활음 ‘w’로 바뀐다.

활음화는 활음과 성격이 유사한 단모음이 성절성을 잃어버리는 음운 현상으로, 활음화가 적용되면 음절이 하나 줄어드는 대신 보상으로 장음화가 수반된다.

(14)

음운 현상_대치_움라우트

아기[ ], 밥이[ ], 호랑이[ ], 지팡이[ ] 어미[ ], 돌덩이[ ], 먹이다[ ]

고기[ ], 도련님[ ], 구경[ ], 죽이다[ ]

후설모음이 후행하는 모음 ‘이’나 활음 ‘j’에 동화되어 전설모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으로, 이모음 역행동화라고도 한다.

[함께 해 보기] 움라우트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여러 조건들이 만족되어야 한다. 아래 예들은 움라우트가 일어나지 않는 단어들이다. 위 예들과 아래 예들을 비교해 움라우트의 조건들을 만들어보자.

(1) 아이, 오이, 구이, 모이 => 조건 1

(2) 가지, 만지다, 던지다, 쑤시다, 맛이, 멋이, 간이 => 조건 2 (3) 감기, 왕비, 가랑비, 앞니 => 조건 3

함께 해 봅시다

(15)

음운 현상_탈락_자음군단순화

ㄳ : 넋[ ], 넋도[ ], 넋만[ ] ㄵ : 앉다[ ], 앉고[ ]

ㄶ : 많네[ ], 많소[ ] ㄺ : 흙[ ], 흙도[ ]

맑다[ ], 맑지[ ], 맑네[ ] 맑게[ ], 맑고[ ]

ㄻ : 삶다[ ], 삶네[ ]

ㄼ : 넓다[ ], 넓고[ ], 넓네[ ] 밟다[ ], 밟네[ ]

ㄽ : 외곬[ ]

ㄾ : 핥고[ ], 핥네[ ] ㄿ : 읊고[ ], 읊네[ ] ㅀ : 뚫네[ ]

ㅄ : 값[ ], 값도[ ], 값만[ ]

음절말에 두 개의 자음이 놓일 때 이 중 한 자음이 탈락하는 음운 현상이다.

종성에 자음이 하나밖에 올 수 없다는 음절 구조 제약을 반영한 음운 현상이다.

어떤 자음이 탈락하는지는 자음군의 종류와 방언에 따라 다르다.

(16)

음운 현상_탈락_/ㅎ/탈락

좋은[ ], 좋아서[ ], 좋았다[ ]

낳은[ ], 낳아서[ ], 낳았다[ ]

싫은[ ], 싫어서[ ], 싫었다[ ], 싫음[ ] 않은[ ], 않아서[ ], 않았다[ ], 않음[ ]

용언 활용에서 /ㅎ/로 끝나는 어간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를 만날 때 어간 말 자음 /ㅎ/가 필수적으로 탈락한다.

[함께 해 보기] 다음도 /ㅎ/이 탈락하는 한 예이다. 위에서 설명한 용언의

‘ㅎ’ 탈락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을까?

외할머니, 대학, 영향, 문화, 실현, 결혼

함께 해 봅시다

(17)

음운 현상_탈락_/ㄹ/탈락

버들+나무→[ ], 딸+님 →[ ], 불+삽 →[ ], 바늘+질 →[ ], 솔+나무 →[ ]

알+느냐 →[ ], 갈+는 →[ ], 헐+는 →[ ],

어간 말에 위치한 ‘ㄹ’이 ‘ㄴ, ㅅ, ㅈ’ 등과 같은 설정성 자음 앞에서 탈락한다.

[함께 해 보기] 위와 같은 ‘ㄹ’ 탈락을 보여주는 예 다섯 개를 찾아보자.

함께 해 봅시다

음운 현상_탈락_/으/탈락

크+어서→커서, 쓰+어도 →써도, 담그+아→담가 모으+아라→모아라, 따르+아서 →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어간 말의 ‘으’가 탈락한다.

(18)

음운 현상_축약_유기음화

놓고[ ], 놓다[ ], 놓지[ ], 싫고[ ], 많다[ ], 많지[ ],

각하[ ], 맏형[ ], 법학[ ], 앉히다[ ] 이웃하다[ ], 숱하다[ ], 옷 한 벌[ ]

‘ㅎ’이 평장애음 ‘ㄱ, ㄷ, ㅂ, ㅈ’가 인접할 때 두 음이 합쳐져 유기음으로 실현되 는 현상이다. ‘ㅎ’과 평장애음의 연쇄 순서에 상관 없이 유기음화가 실현된다.

X A B Y → 1 3 4 1 2 3 4 [+자질]

(19)

음운 현상_첨가_/ㄴ/첨가

솜이불[ ], 콩엿[ ], 업신여기다[ ], 막일[ ] 들일[ ], 솔잎[ ], 불여우[ ], 물엿[ ]

색연필[ ], 맨입[ ], 늦여름[ ] 그럼요[ ], 하는군요[ ], 집요[ ]

자음으로 끝나는 형태소 뒤에 단모음 ‘이’나 반모음 ‘j’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올 때 그 사이에 ‘ㄴ’이 첨가되는 현상이다.

[함께 해 보기] 다음 밑줄 친 단어들은 동일한 음운론적 환경인데 실현된 발음형은 다르다. 각각 어떤 음운 현상이 적용된 것인지 설명하고 왜 다른 음운 현상이 적용되었는지 설명해보자.

(1) 오늘은 밭이랑[반니랑]을 갈아야 해 (2) 솥이랑[소치랑] 주걱이랑 씻어 두어라

함께 해 봅시다

[함께 해 보기] 여러분은 ‘옷 입어라’를 어떻게 발음하나요? 아마도 두 가 지 발음형 [오디버라]와 [온니버라]가 가능할 것입니다. 이 두 발음형의 실 현을 음운론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함께 해 봅시다

(20)

음운 현상_첨가_활음 첨가

피+어서[ ], 되+어도[ ], 개+어서[ ] 꾸+어도[ ], 쏘+아서[ ], 두+어라[ ]

모음으로 끝나는 형태소와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결합할 때 반모음이 첨 가되는 현상이다.

명환+아[ ], 예슬+아[ ] 준호+아[ ], 은지+아[ ]

호격 조사 ‘아’가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서 ‘야’로 실현된다.

음운 현상_도치

두 개의 음운이 자리를 서로 바꾸는 음운 현상이다. 그 규칙성이 극도로 떨어져 사례가 몹시 적고 일반화를 할 수도 없다.

참조

관련 문서

교육 관련서비스를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제공 하는 서비스로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수교육과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개념

우선 농업생산이 증대되면 무엇 보다 북한 주민이 겪고 있는 인도적 문제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종자혁명도

결연과정의 확대는 심생과 처녀의 만남에서부터 결연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자연스 럽게 보여줌으로써 서사의 긴밀한 연관성을 드러내고 있다 임금님의 거둥을 보기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신빈곤층 가정 청소년이 경험한 경험세계를 통해 신빈 곤층 가정 청소년의 욕구경험 등 개인 내적인 문제와 사회내적인 문제를 함께 고찰

이러한 지진해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의 구축 뿐 아니라 지진해일에 대한 지식과 교육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 책은 지진해일에 관한

그럼에도 탈식민적 사유는 지속되어야 한다. 사유란 역사적 현장성과 장 소성을 완전히 떨쳐버릴 수 없는 노릇이기에 탈식민적 사유는 중요한 사상 의

식물원은 식물의 연구나 식물에 관한 지식을 보급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식물을 모아 기르는 곳입니다.. 또한 공원이나 유원지 등과 같이

ㅇ (민간 작은 생활문화공간 지원) 인천시의 브랜드 사업인 ‘천 개의 문화오 아시스 사업 ’ 등 민간의 작은 생활문화공간 지속 발굴 및 활동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