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1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11장"

Copied!
3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11장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제11장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2)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è

개요(introduction)

- 지금까지 선택변수가 1개인 목적함수에 대한 최적화 문제를 다루었음.

- 본 장에서는 2개 이상의 선택변수를 가질 때 함수의 극값을 다룸.

- 경제학에서 다제품기업(multi-product firm)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제품의 최적산출량과

여러 생산요소의 최적결합을 선택해야 함.

- 다변수함수의 경우에도 주로 상대적 극값 문제를 다룸.

è

개요(introduction)

- 지금까지 선택변수가 1개인 목적함수에 대한 최적화 문제를 다루었음.

- 본 장에서는 2개 이상의 선택변수를 가질 때 함수의 극값을 다룸.

- 경제학에서 다제품기업(multi-product firm)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제품의 최적산출량과

여러 생산요소의 최적결합을 선택해야 함.

- 다변수함수의 경우에도 주로 상대적 극값 문제를 다룸.

(3)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함수 z=f(x)가 주어졌을 때 미분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음.

dz=f¢(x)dx

- 여기서 dz는 x가 x0에서 x0+⊿x로 변화함으로써

유발된 z의 실제변화 ⊿z의 근사값으로 사용할 수 있음.

- 만약 f¢(x)>0이면 dz와 dx는 서로 같은 부호를 가져야 함. 즉, [그림 11.1]에서 A점.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함수 z=f(x)가 주어졌을 때 미분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음.

dz=f¢(x)dx

- 여기서 dz는 x가 x0에서 x0+⊿x로 변화함으로써

유발된 z의 실제변화 ⊿z의 근사값으로 사용할 수 있음.

- 만약 f¢(x)>0이면 dz와 dx는 서로 같은 부호를 가져야 함. 즉, [그림 11.1]에서 A점.

(4)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그리고 만약 f¢(x)<0이면 dz와 dx는 서로 다른 부호를 가져야 함. 즉, [그림 11.1]에서 A¢점.

- [그림 11.1]에서 A와 A¢점은 정지점이 될 수 없으므로 z가 극값(정지값)이기 위한 필요조건은 dz=0이어야 함.

- 더 정확히 이 조건은 “임의의 0이 아닌 dx값에 관해서 dz=0”임.

- 왜냐하면 dx=0은 x가 전혀 변화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하기 때문에 이는 미분의 개념과 전혀 관계없음.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그리고 만약 f¢(x)<0이면 dz와 dx는 서로 다른 부호를 가져야 함. 즉, [그림 11.1]에서 A¢점.

- [그림 11.1]에서 A와 A¢점은 정지점이 될 수 없으므로 z가 극값(정지값)이기 위한 필요조건은 dz=0이어야 함.

- 더 정확히 이 조건은 “임의의 0이 아닌 dx값에 관해서 dz=0”임.

- 왜냐하면 dx=0은 x가 전혀 변화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하기 때문에 이는 미분의 개념과 전혀 관계없음.

(5)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그림 11.1]에서 z의 극소값은 B점에서 z의 극대값은 B¢점에서 발생함.

- 두 경우 모두 B점과 B¢점에서 접선은 수평이 되고, 즉 f¢(x)=0이 됨.

- dz(접선의 빗변을 이루는 삼각형의 수직변)는 실제로 0이 됨(dz=0).

- 따라서 1계도함수조건 f¢(x)=0은 1계미분조건 “임의의 0이 아닌 dx값에 관해서 dz=0”으로 바꿀 수 있음.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그림 11.1]에서 z의 극소값은 B점에서 z의 극대값은 B¢점에서 발생함.

- 두 경우 모두 B점과 B¢점에서 접선은 수평이 되고, 즉 f¢(x)=0이 됨.

- dz(접선의 빗변을 이루는 삼각형의 수직변)는 실제로 0이 됨(dz=0).

- 따라서 1계도함수조건 f¢(x)=0은 1계미분조건 “임의의 0이 아닌 dx값에 관해서 dz=0”으로 바꿀 수 있음.

(6)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dz=f¢(x)dx ® =f¢(x), dx¹0이므로 dz=0 ® f¢(x)=0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dz=f¢(x)dx ® dz =f¢(x), dx¹0이므로 dz=0 ® f¢(x)=0 dx

(7)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z의 극값에 대한 2계충분조건은 도함수로 나타내면 정지점에서 f″(x)<0(극대값의 경우) 그리고 f″(x)>0 (극소값의 경우)이 됨.

- 이 조건들을 동치인 미분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미분의 미분, 즉 d(dz)로 정의되고, d2z로 표시되는 2계미분의 개념이 필요함.

- 즉, 주어진 dz=f′(x)dx에서 dz를 한번 더 미분하면 d2z를 구할 수 있음.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z의 극값에 대한 2계충분조건은 도함수로 나타내면 정지점에서 f″(x)<0(극대값의 경우) 그리고 f″(x)>0 (극소값의 경우)이 됨.

- 이 조건들을 동치인 미분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미분의 미분, 즉 d(dz)로 정의되고, d2z로 표시되는 2계미분의 개념이 필요함.

- 즉, 주어진 dz=f′(x)dx에서 dz를 한번 더 미분하면 d2z를 구할 수 있음.

(8)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유의해야 할 점은 여기서 dx는 상수로 취급함.

- 따라서 dz는 오직 f′(x)와 함께 변할 수 있는데 f′(x)가 x의 함수이므로 결국 dz는 x의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을 뿐임.

-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음.

d2zºd(dz)=d[f′(x)dx]

=[df′(x)]dx [여기서 dx는 상수]

=[f″(x)dx]dx=f″(x)dx2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유의해야 할 점은 여기서 dx는 상수로 취급함.

- 따라서 dz는 오직 f′(x)와 함께 변할 수 있는데 f′(x)가 x의 함수이므로 결국 dz는 x의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을 뿐임.

-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음.

d2zºd(dz)=d[f′(x)dx]

=[df′(x)]dx [여기서 dx는 상수]

=[f″(x)dx]dx=f″(x)dx2

(9)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앞의 식에서 지수 2는 전혀 다른 두 가지 의미를 가짐.

- 우선 좌변의 d2z에서 지수 2는 z의 2계미분을

의미하는 반면, dx2º(dx)2에서 지수 2는 1계미분 dx의 제곱을 의미함.

d2z=f″(x)dx2=f″(x)dx×dx

- 따라서 위 식은 d2z와 f″(x)간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줌.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앞의 식에서 지수 2는 전혀 다른 두 가지 의미를 가짐.

- 우선 좌변의 d2z에서 지수 2는 z의 2계미분을

의미하는 반면, dx2º(dx)2에서 지수 2는 1계미분 dx의 제곱을 의미함.

d2z=f″(x)dx2=f″(x)dx×dx

- 따라서 위 식은 d2z와 f″(x)간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줌.

(10)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여기서는 오직 0이 아닌 dx만 고려하기 때문에 항상 dx2항은 양(+)이 됨.

- 그러므로 d2z=f″(x)dx2(여기서 dx>0 ® dx2>0)에서 d2z와 f″(x)의 부호는 일치하게 됨.

- 따라서 다음의 관계가 성립함.

극대값의 경우 : d2z<0 « f″(x)<0 극소값의 경우 : d2z>0 « f″(x)>0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여기서는 오직 0이 아닌 dx만 고려하기 때문에 항상 dx2항은 양(+)이 됨.

- 그러므로 d2z=f″(x)dx2(여기서 dx>0 ® dx2>0)에서 d2z와 f″(x)의 부호는 일치하게 됨.

- 따라서 다음의 관계가 성립함.

극대값의 경우 : d2z<0 « f″(x)<0 극소값의 경우 : d2z>0 « f″(x)>0

(11)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u 미분을 이용한 최적화조건의 설명

è

미분조건 대 도함수조건

- 미분조건은 1개 선택변수(단일변수)에서 다수의 선택변수(다변수)로 일반화 시킬 수 있음.

즉, 모든 선택변수가 0의 값을 갖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1계조건과 2계조건이 다변수에서도 적용이 가능함.

è

미분조건 대 도함수조건

- 미분조건은 1개 선택변수(단일변수)에서 다수의 선택변수(다변수)로 일반화 시킬 수 있음.

즉, 모든 선택변수가 0의 값을 갖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1계조건과 2계조건이 다변수에서도 적용이 가능함.

(12)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서론(introduction)

- 1변수함수 y=f(x)의 극값은 2차원 평면에서 봉우리의 꼭대기(peak of a hill) 또는 골짜기의 바닥(bottom of a valley)으로 표시됨.

- 그러나 2변수함수 z=f(x, y)는 3차원 공간에서 곡면 (surface)이 되고, 극값은 여전히 봉우리의 꼭대기 또는 골짜기의 바닥에 해당하는데, 이는 이제 각각 둥근 지붕(domes)의 꼭대기와 사발모양(bowls)의 바닥이 됨.

è

서론(introduction)

- 1변수함수 y=f(x)의 극값은 2차원 평면에서 봉우리의 꼭대기(peak of a hill) 또는 골짜기의 바닥(bottom of a valley)으로 표시됨.

- 그러나 2변수함수 z=f(x, y)는 3차원 공간에서 곡면 (surface)이 되고, 극값은 여전히 봉우리의 꼭대기 또는 골짜기의 바닥에 해당하는데, 이는 이제 각각 둥근 지붕(domes)의 꼭대기와 사발모양(bowls)의 바닥이 됨.

(13)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서론(introduction)

è

서론(introduction)

(14)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서론(introduction)

- [그림 11.2] (a)의 A점은 둥근 지붕의 꼭대기로 극대를 나타냄. 왜냐하면 이 점에서의 함수값인 z의 값은 A점 근방에서 어떤 다른 점에서의 z값보다 더 크기 때문임.

- 반면 [그림 11] (b)에서의 B점은 사발모양의 바닥으로 극소를 나타냄. 왜냐하면 B점 근방의 모든 점에서

함수값인 z값이 B점에서의 값보다 더 크기 때문임.

è

서론(introduction)

- [그림 11.2] (a)의 A점은 둥근 지붕의 꼭대기로 극대를 나타냄. 왜냐하면 이 점에서의 함수값인 z의 값은 A점 근방에서 어떤 다른 점에서의 z값보다 더 크기 때문임.

- 반면 [그림 11] (b)에서의 B점은 사발모양의 바닥으로 극소를 나타냄. 왜냐하면 B점 근방의 모든 점에서

함수값인 z값이 B점에서의 값보다 더 크기 때문임.

(15)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함수 z=f(x, y)의 극값(극대값 또는 극소값)이 되기 위한 1계필요조건은 dz=0임.

- 그러나 위의 함수는 두 개의 독립변수를 갖고 있기 때문에 dz는 이제 전미분(total differential)을 해야 함.

dz=fxdx+fydy

- 따라서 1계필요조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음.

dz=fxdx+fydy=0, 여기서 dx¹0, dy¹0임.

® fx=fy=0 [∂z/∂x=∂z/∂y=0]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함수 z=f(x, y)의 극값(극대값 또는 극소값)이 되기 위한 1계필요조건은 dz=0임.

- 그러나 위의 함수는 두 개의 독립변수를 갖고 있기 때문에 dz는 이제 전미분(total differential)을 해야 함.

dz=fxdx+fydy

- 따라서 1계필요조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음.

dz=fxdx+fydy=0, 여기서 dx¹0, dy¹0임.

® fx=fy=0 [∂z/∂x=∂z/∂y=0]

(16)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그러나 이 1계조건은 함수의 극값이기 위한 필요조건 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님.

- [그림 11.3] (a)의 C점에서 보는 바와 같이 Tx와 Ty의 기울기는 모두 0이지만 이 C점은 극값이 아님.

왜냐하면 yz평면을 배경으로 보면 극소점이지만 xz평면을 배경으로 보면 극대점이 되기 때문임.

- 이와 같이 2중적인 특성을 갖는 점을 안정점(saddle point)이라 함.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그러나 이 1계조건은 함수의 극값이기 위한 필요조건 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님.

- [그림 11.3] (a)의 C점에서 보는 바와 같이 Tx와 Ty의 기울기는 모두 0이지만 이 C점은 극값이 아님.

왜냐하면 yz평면을 배경으로 보면 극소점이지만 xz평면을 배경으로 보면 극대점이 되기 때문임.

- 이와 같이 2중적인 특성을 갖는 점을 안정점(saddle point)이라 함.

(17)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마찬가지로 [그림 11.3] (b)의 D점에서 Tx와 Ty는 수평 이지만 극값은 아님. 왜냐하면 비틀린 곡면 위에

위치한 D점은 yz평면 또는 xz평면에서 보면 변곡점 (inflection point)이기 때문임.

- 따라서 1계조건은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님.

- 그러므로 충분조건을 전개하기 위해서 2계편도함수와 관계가 있는 2계전미분을 검토해야 함.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 마찬가지로 [그림 11.3] (b)의 D점에서 Tx와 Ty는 수평 이지만 극값은 아님. 왜냐하면 비틀린 곡면 위에

위치한 D점은 yz평면 또는 xz평면에서 보면 변곡점 (inflection point)이기 때문임.

- 따라서 1계조건은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님.

- 그러므로 충분조건을 전개하기 위해서 2계편도함수와 관계가 있는 2계전미분을 검토해야 함.

(18)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è

1계조건(first-order condition)

(19)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편도함수(second-order partial derivatives)

- 함수 z=f(x, y)에서 다음과 같이 2개의 1계편도함수를 구할 수 있음.

fxº 및 fyº

- 위 식에서 fx는 그 자체가 x와 y의 함수이므로 fx를 x에 대해 한번 더 미분한 값은 y값이 고정되어 있다는

전제로 한 x값의 변화에 따른 fx의 변화량이라 할 수 있음.

- 위 식에서 fy도 그 자체가 x와 y의 함수이므로 동일함.

è

2계편도함수(second-order partial derivatives)

- 함수 z=f(x, y)에서 다음과 같이 2개의 1계편도함수를 구할 수 있음.

fxº 및 fyº

- 위 식에서 fx는 그 자체가 x와 y의 함수이므로 fx를 x에 대해 한번 더 미분한 값은 y값이 고정되어 있다는

전제로 한 x값의 변화에 따른 fx의 변화량이라 할 수 있음.

- 위 식에서 fy도 그 자체가 x와 y의 함수이므로 동일함.

∂z

∂x

∂z

∂y

(20)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편도함수(second-order partial derivatives)

- 따라서 특정한 2계편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음.

fxxº (fx)= ( )=

fyyº (fy)= ( )=

- 한편, fx는 y의 함수도 되고, 그리고 fy는 x의 함수도 되기 때문에 추가로 다음과 같은 2개의 2계편도함수도 고려할 수 있음.

è

2계편도함수(second-order partial derivatives)

- 따라서 특정한 2계편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음.

fxxº (fx)= ( )=

fyyº (fy)= ( )=

- 한편, fx는 y의 함수도 되고, 그리고 fy는 x의 함수도 되기 때문에 추가로 다음과 같은 2개의 2계편도함수도 고려할 수 있음.

∂x

∂x

∂z

∂x

2z

∂x2

∂y

∂y

∂z

∂y

2z

∂y2

(21)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편도함수(second-order partial derivatives)

- 어떤 1계편도함수의 ‘타’변수에 관한 변화율은 교차 (또는 혼합)편도함수(cross or mixed partial derivatives) 라고 함.

- 이에 대한 2계편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냄.

fxyº ( )=

fyxº ( )=

- 영의 정리(Young’s theorem)에 의해 fxy=fyx임.

è

2계편도함수(second-order partial derivatives)

- 어떤 1계편도함수의 ‘타’변수에 관한 변화율은 교차 (또는 혼합)편도함수(cross or mixed partial derivatives) 라고 함.

- 이에 대한 2계편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냄.

fxyº ( )=

fyxº ( )=

- 영의 정리(Young’s theorem)에 의해 fxy=fyx임.

∂x

∂z

∂y

2z

∂x∂y

∂y

∂z

∂x

2z

∂y∂x

(22)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편도함수(second-order partial derivatives)

예 : 함수 z=x3+5xy-y2에 대한 4개의 2계편도함수는?

이 함수의 1계편도함수는 다음과 같음.

fx=3x2+5y 및 fy=5x-2y

- 위의 1계도함수로부터 다음과 같이 4개의 특정한 2계편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음.

fxx=6x, fyy=-2, fxy=5, fyx=5

- 위에서 영의 정리에 의해 fxy=fyx는 일치함.

è

2계편도함수(second-order partial derivatives)

예 : 함수 z=x3+5xy-y2에 대한 4개의 2계편도함수는?

이 함수의 1계편도함수는 다음과 같음.

fx=3x2+5y 및 fy=5x-2y

- 위의 1계도함수로부터 다음과 같이 4개의 특정한 2계편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음.

fxx=6x, fyy=-2, fxy=5, fyx=5

- 위에서 영의 정리에 의해 fxy=fyx는 일치함.

(23)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전미분(second-order total differential)

- 이제 dz=fxdx+fydy에서 dz를 한번 더 미분함으로써 2계전미분 d2z를 구할 수 있음.

- 여기서 유의할 점은 dz=fxdx+fydy에 있는 기호 dx와 dy는 변수 x, y의 주어진 변화 또는 임의의 변화를 표시하기 때문에 미분과정에서 상수로 취급함.

- 결과적으로 dz는 오직 fx와 fy에만 의존하며, fx와 fy 그 자체는 x와 y의 함수이므로 dz도 x와 y의 함수임.

è

2계전미분(second-order total differential)

- 이제 dz=fxdx+fydy에서 dz를 한번 더 미분함으로써 2계전미분 d2z를 구할 수 있음.

- 여기서 유의할 점은 dz=fxdx+fydy에 있는 기호 dx와 dy는 변수 x, y의 주어진 변화 또는 임의의 변화를 표시하기 때문에 미분과정에서 상수로 취급함.

- 결과적으로 dz는 오직 fx와 fy에만 의존하며, fx와 fy 그 자체는 x와 y의 함수이므로 dz도 x와 y의 함수임.

(24)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전미분(second-order total differential)

- 이제 dz=fxdx+fydy에서 d2z를 구하면 다음과 같음.

d2zºd(dz)= dx+ dy

= (fxdx+fydy)dx+ (fxdx+fydy)dy

=(fxxdx+fxydy)dx+(fyxdx+fyydy)dy

=fxxdx2+fxydydx+fyxdxdy+fyydy2

=fxxdx2+2fxydydx+fyydy2 [영의 정리 : fxy=fyx]

è

2계전미분(second-order total differential)

- 이제 dz=fxdx+fydy에서 d2z를 구하면 다음과 같음.

d2zºd(dz)= dx+ dy

= (fxdx+fydy)dx+ (fxdx+fydy)dy

=(fxxdx+fxydy)dx+(fyxdx+fyydy)dy

=fxxdx2+fxydydx+fyxdxdy+fyydy2

=fxxdx2+2fxydydx+fyydy2 [영의 정리 : fxy=fyx]

∂(dz)

∂x

∂(dz)

∂ ∂y

∂x

∂x

(25)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전미분(second-order total differential)

예 : 주어진 함수 z=x3+5xy-y2에서 dz와 d2z를 구하라.

dz=(3x2+5y)dx+(5x-2y)dy d2z=6xdx2+10dxdy-2dy2

- 여기서 dz와 d2z는 모두 x와 y의 함수이므로 예를 들어 x=1과 y=2이면 다음과 같음.

dz=(3x2+5y)dx+(5x-2y)dy=13dx+dy

d2z=6xdx2+10dxdy-2dy2=6dx2+10dxdy-2dy2

è

2계전미분(second-order total differential)

예 : 주어진 함수 z=x3+5xy-y2에서 dz와 d2z를 구하라.

dz=(3x2+5y)dx+(5x-2y)dy d2z=6xdx2+10dxdy-2dy2

- 여기서 dz와 d2z는 모두 x와 y의 함수이므로 예를 들어 x=1과 y=2이면 다음과 같음.

dz=(3x2+5y)dx+(5x-2y)dy=13dx+dy

d2z=6xdx2+10dxdy-2dy2=6dx2+10dxdy-2dy2

(26)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1변수의 경우에 정지점에서 d2z<0이면 그 점은 2차원 공간에서 봉우리의 꼭대기가 됨.

- 2변수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d2z<0이면 그 점이 3차원 공간에서 둥근 지붕의 꼭대기가 됨.

- 한편, 1변수의 경우에 정지점에서 d2z>0이면 그 점은 2차원 공간에서 골짜기의 바닥이 됨.

- 2변수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d2z>0이면 그 점이 3차원 공간에서 사발의 바닥이 됨.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1변수의 경우에 정지점에서 d2z<0이면 그 점은 2차원 공간에서 봉우리의 꼭대기가 됨.

- 2변수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d2z<0이면 그 점이 3차원 공간에서 둥근 지붕의 꼭대기가 됨.

- 한편, 1변수의 경우에 정지점에서 d2z>0이면 그 점은 2차원 공간에서 골짜기의 바닥이 됨.

- 2변수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d2z>0이면 그 점이 3차원 공간에서 사발의 바닥이 됨.

(27)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편의를 위하여 2계미분조건을 2계도함수조건으로 전환함. 즉, 이는 2계편도함수 fxx, fxy 및 fyy의 부호에 제약을 가하는 것을 의미함.

- 이와 같은 전환은 2차형식(quadratic form)에 관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만 여기서는 그 결과만 다루기로 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재 11.3 이차형식 : 보론 을 참조하기 바람).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편의를 위하여 2계미분조건을 2계도함수조건으로 전환함. 즉, 이는 2계편도함수 fxx, fxy 및 fyy의 부호에 제약을 가하는 것을 의미함.

- 이와 같은 전환은 2차형식(quadratic form)에 관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만 여기서는 그 결과만 다루기로 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재 11.3 이차형식 : 보론 을 참조하기 바람).

(28)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2계충분조건은 둘 다 0이 아닌 임의의 dx와 dy에 대해 다음이 성립함.

d2z<0 « fxx<0, fyy<0 및 fxxfyy>(fxy)2

즉, (x, y)=(x*, y*)에서 fxx<0, fyy<0 및 fxxfyy-(fxy)2>0이면 f(x*, y*)는 극대값임.

d2z>0 « fxx>0, fyy>0 및 fxxfyy>(fxy)2

즉, (x, y)=(x*, y*)에서 fxx>0, fyy>0 및 fxxfyy-(fxy)2>0이면 f(x*, y*)는 극소값임.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2계충분조건은 둘 다 0이 아닌 임의의 dx와 dy에 대해 다음이 성립함.

d2z<0 « fxx<0, fyy<0 및 fxxfyy>(fxy)2

즉, (x, y)=(x*, y*)에서 fxx<0, fyy<0 및 fxxfyy-(fxy)2>0이면 f(x*, y*)는 극대값임.

d2z>0 « fxx>0, fyy>0 및 fxxfyy>(fxy)2

즉, (x, y)=(x*, y*)에서 fxx>0, fyy>0 및 fxxfyy-(fxy)2>0이면 f(x*, y*)는 극소값임.

(29)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앞의 2계충분조건에서 다음과 같은 경우를 고려해 볼 수 있음.

첫째, fxxfyy<(fxy)2 즉, fxxfyy-(fxy)2<0이라면 f(x*, y*)는 극값이 될 수 없음.

둘째, fxxfyy=(fxy)2 즉, fxxfyy-(fxy)2=0이면 극값 여부를 판정할 수 없음.

- 따라서 d2z의 부호는 fxx와 fyy에 의해서 결정될 뿐만 아니라 교차편도함수 fxy에 의해서도 결정됨.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앞의 2계충분조건에서 다음과 같은 경우를 고려해 볼 수 있음.

첫째, fxxfyy<(fxy)2 즉, fxxfyy-(fxy)2<0이라면 f(x*, y*)는 극값이 될 수 없음.

둘째, fxxfyy=(fxy)2 즉, fxxfyy-(fxy)2=0이면 극값 여부를 판정할 수 없음.

- 따라서 d2z의 부호는 fxx와 fyy에 의해서 결정될 뿐만 아니라 교차편도함수 fxy에 의해서도 결정됨.

(30)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상대적 극값의 조건 : z=f(x, y)

* 1계필요조건이 만족된 후에만 적용할 수 있음.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상대적 극값의 조건 : z=f(x, y)

* 1계필요조건이 만족된 후에만 적용할 수 있음.

조건 극대 극소

1계필요조건 fx=fy=0 fx=fy=0

2계충분조건* fxx, fyy<0 및 fxxfyy>(fxy)2 fxx, fyy>0 및 fxxfyy>(fxy)2

(31)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예 1 : 함수 z=f(x, y)=8x3+2xy-3x2+y2+1의 극값은?

- 우선, 1계편도함수와 2계편도함수는 다음과 같음.

fx=24x2+2y-6x, fy=2x+2y fxx=48x-6, fyy=2, fxy=2

- 1계조건은 fx=fy=0이므로 다음과 같음.

24x2+2y-6x=0

2y+2x=0 (® y=-x)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예 1 : 함수 z=f(x, y)=8x3+2xy-3x2+y2+1의 극값은?

- 우선, 1계편도함수와 2계편도함수는 다음과 같음.

fx=24x2+2y-6x, fy=2x+2y fxx=48x-6, fyy=2, fxy=2

- 1계조건은 fx=fy=0이므로 다음과 같음.

24x2+2y-6x=0

2y+2x=0 (® y=-x)

(32)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y=-x를 첫 번째 방정식에 대입하면 24x2-8x=0이므로 8x(3x-1)=0임.

- 따라서 다음과 같은 한 쌍의 해를 구할 수 있음.

x1*=0 [따라서 y1*=-x1*=0]

x2*=1/3 [따라서 y2*=-1/3]

- 우선 x1*=y1*=0일 때 fxx=-6, fyy=2이므로 fxxfyy<0임.

여기서 fxxfyy-(fxy)2<0이므로 2계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므로 극값은 존재하지 않음(® 안장점).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y=-x를 첫 번째 방정식에 대입하면 24x2-8x=0이므로 8x(3x-1)=0임.

- 따라서 다음과 같은 한 쌍의 해를 구할 수 있음.

x1*=0 [따라서 y1*=-x1*=0]

x2*=1/3 [따라서 y2*=-1/3]

- 우선 x1*=y1*=0일 때 fxx=-6, fyy=2이므로 fxxfyy<0임.

여기서 fxxfyy-(fxy)2<0이므로 2계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므로 극값은 존재하지 않음(® 안장점).

(33)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다음으로 x2*=1/3, y2*=-1/3일 때 fxx=10, fyy=2 그리고 fxy=2임.

- 여기서 fxx=10(>0), fyy=2(>0) 그리고 fxxfyy-(fxy)2

(10×20)-(2)2>0이므로 극소값을 가질 2계조건이 충족됨.

- 그러므로 주어진 함수 z=8x3+2xy-3x2+y2+1에 x=1/3, y=-1/3을 대입하면 z의 극소값은 z*=23/27임.

- 이 예에서는 오직 하나의 상대적 극소값이 존재하고 이것은 3중 순서쌍인 (x*, y*, z*)=(1/3, -1/3, 23/27)임.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다음으로 x2*=1/3, y2*=-1/3일 때 fxx=10, fyy=2 그리고 fxy=2임.

- 여기서 fxx=10(>0), fyy=2(>0) 그리고 fxxfyy-(fxy)2

(10×20)-(2)2>0이므로 극소값을 가질 2계조건이 충족됨.

- 그러므로 주어진 함수 z=8x3+2xy-3x2+y2+1에 x=1/3, y=-1/3을 대입하면 z의 극소값은 z*=23/27임.

- 이 예에서는 오직 하나의 상대적 극소값이 존재하고 이것은 3중 순서쌍인 (x*, y*, z*)=(1/3, -1/3, 23/27)임.

(34)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예 2 : 함수 z=f(x, y)=x2+xy+y2-3x-3y의 극값은?

- 우선, 1계편도함수와 2계편도함수는 다음과 같음.

fx=2x+y-3, fy=x+2y-3 fxx=2, fyy=2, fxy(=fyx)=1

- 1계조건은 fx=fy=0이므로 다음과 같음.

2x+y-3=0 x+2y-3=0

- 위의 방정식을 풀면 x*=1, y*=1임.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예 2 : 함수 z=f(x, y)=x2+xy+y2-3x-3y의 극값은?

- 우선, 1계편도함수와 2계편도함수는 다음과 같음.

fx=2x+y-3, fy=x+2y-3 fxx=2, fyy=2, fxy(=fyx)=1

- 1계조건은 fx=fy=0이므로 다음과 같음.

2x+y-3=0 x+2y-3=0

- 위의 방정식을 풀면 x*=1, y*=1임.

(35)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l 다변수함수의 극대와 극소

u 2변수함수의 극값 u 2변수함수의 극값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x1*=y1*=1일 때 fxx=2(>0), fyy=2(>0)이므로 fxxfyy>0임.

그리고 (fxy)2=12이고 fxxfyy-(fxy)2=(2×2)-(1) 2>0이므로 2계조건을 충족함.

- 따라서 (x*=1, y*=1)일 때 함수값 f(1, 1)=-3이 됨.

여기서 함수값 -3은 상대적 극소값이 됨.

(x*, y*, z*)=(1, 1, -3)

è

2계조건(second-order condition)

- x1*=y1*=1일 때 fxx=2(>0), fyy=2(>0)이므로 fxxfyy>0임.

그리고 (fxy)2=12이고 fxxfyy-(fxy)2=(2×2)-(1) 2>0이므로 2계조건을 충족함.

- 따라서 (x*=1, y*=1)일 때 함수값 f(1, 1)=-3이 됨.

여기서 함수값 -3은 상대적 극소값이 됨.

(x*, y*, z*)=(1, 1, -3)

참조

관련 문서

 오로지 조직을 생산과 효율성의 도구로만 인식 (Organization as Machine)..  One Best Way in

따라서 변수 X와 Y 사이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은 인과관계의 필요조건이지 충 분조건은 되지 못한다. 특히 ③번 조건인 허구변수를 밝히는데

- 차익을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구분 표시하는데 의사결정자가 이를 알면 경제적 의사결정에 도움이

• Cdt는 DNA분해효소로 상피세포, 치은 섬유모세포와 림프구를 포함한 여러 세포의 세포분열을 억제하여 세포분열이 억제된 일부 세포에서는

즉 편차들의 제곱합인 총변동은 원래 각 모집단의 평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고 또는 각 모집단내 관측치들의 무작위적 변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이 연구문제의 해결방법은 2가지 즉 하나는 모집단 모두를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는 방법, 다른 하나는 모집단을 대표할 학생을 뽑아서 평균을 구한

 대상포진(herpes zoster, shingles)은 바이러스가 감각 신경절(sensory ganglia)에 잠복해 있다가 재활성화로 인하여

 유형자산의 감가상각(depreciation) 처럼 내용연수가 유한한(finite) 무형자산의 상각대상금액도 상각을 통해 비용화.. 영업권과 그 외 무형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