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9강 야생동물 1 - 조류 및 포유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9강 야생동물 1 - 조류 및 포유류"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자연자원의 이해

제9강 야생동물 1 - 조류 및 포유류

박찬열(국립산림과학원)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있으며 남해안과 서해안의 갯벌, 동해안의 푸른 바닷가, 백두산에 서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의 곡곡에 마을이 위치하여 다양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다양한 자연환경에 산새, 물새, 해조류, 고래류 등 다양한 야생동 물이 서식하고 있다. 자연숲, 도시, 농촌, 호수, 갯벌에서 살아가는 대표적 야생동물에게 어떻게 다가가는지 알아본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점점 사라져 가는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동물의 현황을 알아보고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한다.

1. 야생동물 정의

인간이 야생동물을 바라는 보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시각에 따라 다양하게 야생동물의 정의를 가질 수 있지만, 대체로 야생동물은 “자연환경에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며 길들여 지지 않은 척추동물(free and not tamed vertebrates)"로서 조류,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 어류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보통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야생조수라 하여 조류와 포유류만 을 지칭한다. 우리나라는 동물지리구상으로 구북구에 속하며 우리 나라에서 서식하거나 중간 기착지로 이용하는 야생동물은 조류의 경우 450 여종이며, 포유류는 80 여종이다.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 개발은 야생동물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대형 동물인 호랑이는 1922년 이래 자취를 감추었고 표범, 늑대, 승냥이, 여우, 곰도 거의 사라져 버렸다. 더구나 야생동물은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남획됨에 따라 그 수는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대 형포유류 및 고차포식자의 감소에 따라 소형, 중형 포유류가 증가하고 농작물과 경작지에 피해를 주고 있다. 들개와 들고양이는 일부 지역에서 무리를 지어 돌아다니며 덤불숲에 둥지를 짓는 소형조류 및 소형포유류 등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많 아지고 있다. 야생동물은 인간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생존하고, 숲에서 야생동물끼 리도 서로 긴밀한 상호작용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일부 동물 수가 증가하게 되어 다른 동 물이 이 수를 줄일 수 없거나 먹이사슬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증가한 동물의 수는 숲뿐 만 아니라 인간의 생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이렇게 급격히 그 수가 줄어들고 있는 야생동물은 인간에게 어떤 가치가 있을까?

야생동물의 가치는 긍정적 가치와 부정적 가치로 나눌 수 있는데, Ralph king(1947)의 분 류가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야생동물의 긍정적 가치는 심미적(Esthetic)가치,휴양적(Recreational)가치, 생태적

(2)

(Ecological) 가치, 교육 및 과학적 가치, 이용적(Utilitarian) 가치, 상업적(Commercial) 가 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심미적 가치는 수량화가 힘들지만 환경보전에 대한 가치를 부여하는 첫 번째 가치이다.

예를 들면, 치악산 상원사 절과 관련하여 유래된 은혜깊은 까치의 보은 이야기, 흥부와 제비 이야기 등에서 동물은 환경보전을 위한 상징적 가치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수렵장에서 수렵을 하거나 생태공원에서 조류를 관찰할 때 야생동물은 휴양적 가치 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생태적 가치인데, 야생동물은 숲 생태계에서 구성원의 안정과 건전한 기능을 유 지한다. 고차포식자의 개체군 조절 기능, 동박새와 직박구리의 수분매개, 종자를 먹는 조 류에 의한 종자의 전파 등이 그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야생동물은 인간의 생활양식, 윤리, 사회구조를 움직일 수 있는 가치를 가지 며 인간의 생존에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치로서 야생동물의 가금화를 통하여 가 축으로 이용할 수 있거나, 야생동물에서 의료용으로 쓸 수 있는 의약품을 개발하는 경우 가 여기에 해당된다.

상업적으로 야생동물을 이용하는 상업적 가치인데, 야생동물의 털 및 애완용 동물을 만 들어 직접 화폐로 만들 수 있는 가치를 말한다.

야생동물의 부정적 가치는 사고(Accidents), 피해(Damage), 질병(Disease) 등을 그 예 로 들 수 있으며 최근 그 가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사고는 비주기적으로 일어나는 경향이 강하며 인간의 생명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높으며, 멧돼지와 노루 등 중형 포유류와 차량의 충돌, 공항지역에서 조류와 항공기의 충돌로 인 한 것이 있다.

피해는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경향이 강하며 생명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낮고 농작물의 생산성을 감소하는 등 경제적인 면에서 피해를 준다고 할 수 있다. 멧돼지, 까치, 오리류 등의 밀도가 증가하고 인간의 활동영역이 점점 대상 동물의 서식지로 확장됨에 따라 서 로 피해를 주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

질병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광견병, 탄저열, 야토병, 조류보튤리즘(avian botulism), 블루셀라병, 유행성출혈열, 조류 인플루엔자 등이 야생동물과 관련이 있는 질 병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치를 갖는 야생동물은 지구상에 약1000만 종에 달하는 종이 살고 있다.

그렇게 많은 숫자의 야생동물을 다 살펴볼 수는 없는 일이고 여기서는 포유류와 조류에 한해 그 특징과 종류 등에 대해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포유류

포유류는 지구에서 혹한의 극지방에서부터 열대의 적도지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후 와 환경 속에서 살고 있으며 포유류가 다른 동물 분류군에 속한 동물들과 다른 특징은 첫째, 포유류는 체온을 따뜻하고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는 항온동물이다.

(3)

둘째, 포유류의 몸은 대부분 털로 덮여 있다. 털은 피부조직이 변형된 상태로 모양이나 색깔에 따라 그 동물의 특징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나 종에 따라서는 털 대신에 비늘, 가시, 강모 등을 가지기도 한다.

셋째, 포유류의 새끼들은 어미의 젖을 먹고 자란다. 포유류라는 생물학적인 이름이 붙여 진 것도 이 때문이다.

넷째, 포유류는 잘 발달되어 있는 뇌를 가지고 있다. 발달되어 있는 뇌 덕분에 포유류가 현재 지구상의 모든 지역에서 서식하고 번성할 수 있다.

다섯째, 두개골에 아래턱과 관절이 있어 또한 이빨이 있으므로 포유류는 다른 동물들과 는 달리 음식을 씹을 수 있다.

여섯째, 포유류는 2심방 2심실의 완전히 4개의 방으로 나누어진 심장을 가지고 있다.

일곱 번째, 대부분의 포유류는 걷거나 뛰기에 알맞게 적응되어 있는 4개의 다리를 가지 고 있다.

우리나라의 포유류는 80 여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산업화와 인구의 증가에 따른 산림면적의 감소와 자연환경의 파괴로 인해 호랑이, 여우, 늑대 등 많은 야 생동물들이 멸종했거나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종들을 보호하기 위해 멸종위기종, 보호대상종, 천연기념물 등으로 지정하여 이들 종의 보호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멧돼지, 고라니, 멧토끼와 같은 종들은 우리나라에 서 식개체수가 풍부하기 때문에 수렵 조수류로 지정되어 정해진 수렵구역 내에서는 사냥을 할 수 있다. 먼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로 지정된 종 중에서 포유류는 붉은박쥐, 늑대, 여우, 표범, 호랑이, 수달, 바다사자,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산양과 같은 종들이 있으며 보 호대상 야생동․식물로 지정된 종은 삵, 담비, 물개, 큰바다사자, 물범, 물범류, 하늘다람 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천연기념물로는 사향노루(216호), 산양(217호), 하늘다람쥐(328 호), 반달가슴곰(329호), 수달(330호), 물범(331호) 등을 지정하여 보호에 힘쓰고 있다. 전 세계에서 기록된 포유류의 종류는 5,000여종이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포유류는 식충목 10종, 토끼목 2종, 박쥐목 22종, 쥐목 15종, 개목 24종, 소목 7종으로 총 80종이며 북한에 서만 서식하는 종은 17종으로 남한에서 분포하는 종은 63종이다. 대형포유류는 현재 멸종 위기에 놓여 있으며 이는 일제강점기때 사람과 가축에 피해를 주는 야생동물 밀도를 줄 이기 위해 남획한 것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맹수를 토벌한 결과 인 축의 피해는 없어졌으나 우리나라 산림의 중․대형포유류의 멸종위기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후 우리나라에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서식지의 단편화 및 질적저하가 나타나, 최근 포유류상은 소형포유류 위주의 단순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유해조수라 할 수 있는 들개, 들고양이의 수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조류

전세계에 기록된 조류의 종류는 9,600여종이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조류는 약 450종으 로 아비목, 논병아리목, 슴새목, 사다새목, 황새목, 기러기목, 매목, 닭목, 두루미목, 도요

(4)

목, 비둘기목, 올빼미목, 다구리목, 참새목 등 18목 71과에 이른다.

척추동물 가운데 하나인 조류의 두드러진 특징은 몸에 깃털이 나 있고, 기온이 달라지는 것과 관계없이 체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포유동물인 사람은 체온이 36-37℃인데, 조류는 그 보다 높은 42-43℃이다), 딱딱한 부리와 비늘로 덮인 다리를 가지고 있다. 몸은 날기 에 좋은 구조로 되어 있고 뼈가 가볍고 가슴 근육이 몸무게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발 달되어 있다.

2. 야생동물 현황

1) 포유류

지구상에는 약 1,000만 종에 달하는 동물들이 살고 있으며 그 중 포유류는 4,000여종에 달하고 있다.

2) 우리나라의 포유류

우리나라의 포유류는 80 여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산업화와 인구의 증가에 따른 산림면적의 감소와 자연환경의 파괴로 인해 호랑이, 여우, 늑대 등 많은 야 생동물들이 멸종했거나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종들을 보호하기 위해 멸종위기종, 보호대상종, 천연기념물 등으로 지정하여 이들 종의 보호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멧돼지, 고라니, 멧토끼와 같은 종들은 우리나라에 서 식개체수가 풍부하기 때문에 수렵 조수류로 지정되어 정해진 수렵구역 내에서는 사냥을 할 수 있다. 먼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로 지정된 종 중에서 포유류는 붉은박쥐, 늑대, 여우, 표범, 호랑이, 수달, 바다사자,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산양과 같은 종들이 있으며 보 호대상 야생동․식물로 지정된 종은 삵, 담비, 물개, 큰바다사자, 물범, 물범류, 하늘다람 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천연기념물로는 사향노루(216호), 산양(217호), 하늘다람쥐(328 호), 반달가슴곰(329호), 수달(330호), 물범(331호) 등을 지정하여 보호에 힘쓰고 있다. 전 세계에서 기록된 포유류의 종류는 4,000여종이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포유류는 식충목 10종, 토끼목 2종, 박쥐목 22종, 쥐목 15종, 개목 24종, 소목 7종으로 총 80종이며 북한에 서만 서식하는 종은 17종으로 남한에서 분포하는 종은 63종이다. 대형포유류는 현재 멸종 위기에 놓여 있으며 이는 일제강점기때 야생동물의 남획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15년부터 42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야생동물 남획현황 자료는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맹수를 토벌한 결과 인축의 피해는 없어졌으나 우리나라 산림의 중․대형포유류의 멸종위기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후 우리나라에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서식지의 단편화 및 질적저하가 나타나, 최근 포유류상은 소형포유류 위주의 단순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 며 유해조수라 할 수 있는 들개, 들고양이의 수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5)

기 간 호랑이 표범 늑대 멧돼지 노루 사슴

1915-1916 24 136 429 228 2,664 8,947 186

1919-1924 65 385

1933-1942 8 103 610 1,141 14,380 41,793 76

97 624 1,039 1,369 17,044 50,740 262

표 3-1. 일제강점기 야생동물 남획현황

3) 조 류

전세계에 기록된 조류의 종류는 9,600여종이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조류는 약 450종으 로 아비목, 논병아리목, 슴새목, 사다새목, 황새목, 기러기목, 매목, 닭목, 두루미목, 도요 목, 비둘기목, 두견이목, 올빼미목, 쏙독새목, 칼새목, 파랑새목, 딱다구리목, 참새목 등 18 목 71과에 이른다. 이 중 물새는 아비류, 논병아리류, 오리류, 기러기류, 물떼새류, 도요새 류, 맹금류, 물닭류, 백로류 등을 말하며, 전체 조류의 종의 54%에 이른다(이우신 등 2000 참조).

아시아에는 물새의 이동경로가 크게 중앙아시아경로(Central Asian Flyway), 동아시아 -호주 경로(East Asian-Australian Flyway), 서태평양 경로(West Pacific Flyway)로 나 눌 수 있다. 우리나라는 동아시아-호주경로에 속한다. 이 경로상에서 우리나라는 물새의 번식지(breeding site), 중간기착지(stopover site)나 월동지(wintering site)로 이용한다. 쇠 제비갈매기, 개개비사촌, 큰개개비를 비롯한 여름철새가 하구와 하천, 갈대밭과 자갈밭에 둥지를 틀기 위해 찾아온다. 도요․물떼새류가 주를 이루는 나그네새는 3-4월경 하구의 갯벌과 사구에서 잠시 머무르며 시베리아로 이동하기 위한 에너지를 얻는다. 또한, 시베 리아에서 번식을 마치고 9-10월경 다시 찾아오며 호주 등지로 날아가기 위한 먹이를 섭 취한다. 오리류, 기러기류, 고니류를 주로 하여 겨울철에 날아오는 겨울철새는 11월부터 우리나라 하구와 하천지역에 찾아들기 시작하여 이듬해 2월까지 머무르면서 갈대밭, 갯 벌, 하구 등의 다양한 생물을 먹이자원으로 이용하여 번식지에서 성공적인 번식을 위하여 영양분을 얻는다.

(6)

<그림 1 > East Asian-Australian Flyway의 중간 기착지로서 낙동강 하구

4) 주요 종별 특징

(1) 멧돼지

(가) 형태

몸은 굵고 길며 네 다리는 비교적 짧아서 몸통과의 경계는 확실하지 않다. 주둥이는 현 저하게 길며 원통형이다. 눈은 비교적 작고 머리 위로부터 어깨와 배면에 걸쳐서 긴 털이 많이 있다. 완성히 성숙한 멧돼지의 몸무게는 200-280kg에 이르고, 몸길이는 150cm 이상 이다. 암수 같은 색을 띠는데, 대개 검은색이지만 때로는 갈색이나 회색인 경우도 있다.

(나) 특징

날카로운 견치를 가지고 있어서 부상을 당하면 상대를 가리지 않고 용감하게 반격을 하 는 습성이 있다. 멧돼지는 늦은 가을 몸이 가장 기름진 때에는 피하지방 조직이 잘 발달 되어 3-5cm나 되며 눈 속의 식물뿌리를 캐어먹으면서 살아간다.

(다) 식성

본래 초식동물이지만 토끼, 들쥐 등의 작은 짐승으로부터 물고기, 곤충에 이르기까지 아 무거나 먹는 잡식성이다.

(라) 번식

교미 시기는 12월에서 1월 사이이며 교미 시기에는 암컷 1마리의 뒤를 수컷 여러 마리 가 뒤쫓으면서 쟁탈전이 벌어진다. 임신 4개월 뒤인 5월에 7-13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새

(7)

끼의 양육은 암컷이 담당한다.

그림 2. 멧돼지의 모습 그림 3. 멧돼지의 발자국

(2) 노루

(가) 형태

몸길이는 95-150cm 이고 꼬리길이는 20-40cm 이며 몸무게는 15-50kg 이다. 수컷은 짧 고 가는 뿔을 가지고 있으며, 여름털은 황갈적색이고 겨울털은연한 점토색을 나타내며 엉 덩이의 백색 반점이 크다.

(나) 특징

겨울에는 눈 위에서 잠을 자기도 하는데 음지나 한지에서 서식하는 이유 중 하나는 노 루 등에 서식하는 등애의 유충에 의한 가려움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수컷의 경우 만 1년 이 되면 뿔이 나기 시작하며 만 3년만에 가지가 돋아난다. 매년 12월에 뿔이 떨어지고 이 듬해 1월초에 다시 돋아난다. 달리는 능력은 매우 탁월해서 한번에 6-7m를 뛴다.

(다) 식성

해 진 뒤나 새벽에 활동하며 주로 연한 풀을 먹고 겨울에는 마른풀이나 나무의 순을 먹 는다.

(라) 번식

교미 시기는 10월이며 이듬해 6월에 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그림 4. 노루의 모습 그림 5. 노루의 발자국

(8)

(3) 고라니

(가) 형태

고라니는 노루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몸길이는 약 90cm, 몸무게는 약 9-15kg으로 노루 보다 작다. 고라니는 암수 모두 뿔이 없으며, 견치가 송곳니나 예리한 칼 모양으로 길게 자라서 끝이 구부러져 있으며 입 밖으로 나와 있으며 수컷은 위턱에서 입 밖으로 길게 노출되어 있으나 암컷은 송곳니가 작아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털은 거칠고 굵으며 목 과 허리의 털은 길고 등의 색은 담갈적색이다.

(나) 특징

고라니의 성격은 보통 노루와 달라서 크게 놀라지 않으며 토끼와 같이 멀리 떠나지 않 고 되돌아오는 습성이 있다. 3월말부터 6월 말경에 여름털로 갈리고 8월 10일경부터 10 월 중순에 걸쳐 겨울털로 갈린다.

(다) 식성

먹이는 연한 풀이며 겨울에는 나뭇가지 끝이나 보리의 연한 끝을 잘라먹는다. 물을 좋아 하여 하루에 보통 두 번은 물가에서 물을 먹고 헤엄도 친다.

(라) 번식

교미 시기는 12월이며 이듬해 6월 상순에 2-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4) 오소리

(가) 형태

몸길이는 53-79cm 이며, 꼬리길이는 14.5-18.5cm 이고 몸무게는 10-12kg이다. 머리는 몸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작은 구멍도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털은 거칠고 끝이 가늘며 뾰족하다. 네 다리는 굵고 앞 뒷발의 발톱은 길며 날카롭고 귀는 작다. 몸 윗면은 흑갈색 바탕에 백색의 서리가 온 것처럼 보인다. 몸 아래면은 연한 갈색을 띤 회백색이다.

(나) 특징

죽은 시늉을 잘 하는 것이 매우 큰 특징이다. 위급한 경우를 당하든지 심한 충격을 받으 면 죽은 시늉을 하고 있다가 기회를 엿보아 역습을 하거나 도망친다.

(다) 식성

과실, 여러 가지 종자와 감자, 벌과 개미 등의 곤충, 개구리, 쥐 등이다. 11월 말 또는 12 월초부터 동면하지만 따뜻한 날에는 굴 밖으로 나오기도 한다.

(라) 번식

교미시기는 10월경이며 이듬해 5월경에 2-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가 태어 난지 20 일 이전에 새끼를 건드리는 경우에는 새끼를 잡아먹거나 깔고 앉아 죽여 버린다.

(9)

그림 6. 고라니의 모습 그림 7. 오소리의 모습

(5) 족제비

(가) 형태

꼬리는 길고 몸길이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수컷의 몸길이는 28-46cm 이며, 꼬리길이 는 15-21cm 이고, 몸무게는 650-820kg 이다. 암컷의 몸길이는 25-30cm 이며, 꼬리길이 는 13-16cm 이고 몸무게는 360-430kg 이다. 몸 윗면, 네 다리, 꼬리는 황색을 띠며 이마 는 거무스레한 갈색, 뺨과 몸 아래면은 짙은 황토색을 띤다. 입술과 아래턱 사이에 뚜렷 한 백색 무늬가 있다.

(나) 특징

모피가 매우 부드럽고 색깔이 좋아 방안용으로 뛰어나 과거에는 겨울털(冬毛)의 값이 상 당히 고가에 거래가 되었다. 많은 개체수가 인간에 의해 포획되었으며 1960년대에는 한 해에 10만 마리 이상이 포획되기도 하였다.

(다) 식성

일반적으로 집쥐와 들쥐, 개구리를 잡아먹으므로 매우 유익한 동물이나 가끔 양어장의 물고기나 인가의 닭, 야생조류의 알을 잡아먹어 피해를 주기도 한다.

(라) 번식

2-3월에 교미하여 3월에서 5월에 2-10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그림 8. 족제비의 모습

(10)

그림 9. 족제비의 배설물 그림 10. 족제비의 발자국

(6) 너구리

(가) 형태

몸길이는 50-60cm이며 꼬리길이는 13-25cm이며 체중은 보통 4-6kg이다. 몸의 색깔은 대체로 검은색에 가깝고 등 정중앙의 띠, 눈 밑의 반점, 앞다리의 띠는 검은색이 짙다. 털 은 길어서 등의 긴 털은 길이가 90mm나 된다.

(나) 식성

먹이는 들쥐, 파충류, 양서류, 곤충이고 나무 위에 올라가서 여러 가지 종류의 과실 같은 것도 잘 따먹는다. 야생조류, 물고기, 달팽이, 곡물 등을 즐겨 먹는 잡식성이다.

(다) 번식

3월경에 교미하기 시작하며 임신기간은 62일이고 한번에 6-10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그림 11. 너구리의 발자국

그림 12. 너구리의 배설물

그림 13. 너구리의 모습 그림 14. 멧토끼의 모습

(11)

(7) 멧토끼

(가) 형태

몸길이는 보통 43-46cm이며, 귀 길이는 8-10cm이고 꼬리길이는 5-11cm 이다. 발가락은 4개가 있으며 발다닥에는 털이 나있다. 털색은 일반적으로 회색을 띠며 허리와 꼬리 부분 의 털끝은 담회갈색이다.

(나) 특징

외부의 조그만 소리와 변화를 감지하는 예민한 감각기관이 발달하였으며 반사적으로 활 동할 기민성을 가지고 있고, 아침과 저녁에 주로 활동한다.

(다) 식성

나무 껍질, 연한 가지, 풀 등이며 가을에는 콩밭의 콩을 먹기도 하여 산림이나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경우도 있다.

(라) 번식

1년에 2, 3회 정도로 한번에 2 내지 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그림 15. 멧토끼의 발자국

그림 16. 멧토끼의 배설물

(8) 청설모

(가) 형태

몸은 가늘고 길며 몸길이는 보통 22cm 정도이며 꼬리의 길이는 몸통 길이의 2분의 1 이 상이다. 몸 윗면의 털색은 회갈색, 아래면은 백색이며 꼬리의 기부는 몸 웟면의 색깔과 같으나 끝으로 갈수록 흑색이며 아래면은 암회색이다.

(나) 특징

(12)

늦은 가을에 월동을 하기 위하여 도토리, 밤, 잣 등 단단한 열매를 바위 구멍이나 땅속 에 저장해 두는 습성이 있다. 버섯은 나뭇가지에 꿰어 말려 놓기도 한다.

(다) 식성

잣나무, 가래나무, 가문비나무, 상수리나무, 밤나무 등의 종자, 낙화생 등 여러 종류의 과 실, 나뭇잎, 나무 껍질 등을 잘 먹으며 야생 조류의 알이나 어미 새도 잡아먹는다.

(라) 번식

교미는 1월 상순에 시작되는데 교미 뒤 암수가 약 3주간 동거한다. 그 뒤 암컷은 수컷을 추방하고 바위 이끼, 짐승의 털 등 부드러운 재료로 보금자리를 만든다. 임신 기간은 약 35일로 5마리 정도의 새끼를 낳는다.

그림 17. 청설모의 모습 그림 18. 청설모의 발자국

(9) 다람쥐

(가) 형태

몸 길이는 15.5-16.4cm 이며 꼬리 길이는 10-13.2cm이고 몸무게는 70-115g이다. 납작한 꼬리는 몸통 길이보다 짧으며 긴 털로 덮여 있다. 눈은 크고 흑색이며 짧은 귀에는 긴 털 이 없다. 몸 윗면에 5줄의 암흑색 줄무늬가 있으며 중앙부의 무늬 줄이 가장 길어 머리 위에서 꼬리 기부까지 달한다.

(나) 특징

낮에만 활동하는데 나무를 타고 올라가 먹이를 구하고, 밤에는 나무구멍, 바위 구멍에서 휴식을 취한다. 겨울이 되면 땅속 굴이나 바위 구멍에서 반수면 상태로 동면을 한다. 늦 은 가을에는 월동을 위하여 뺨주머니에 5-8g 씩의 먹이를 넣어 먹이 저장창고에 저장하 여 두고 겨울에는 때때로 먹이를 찾아 먹는다. 9월 하순에 평균기온이 8-10℃가 되면 굴속에 들어가 동면을 시작한다. 3월 중순이 되면 동면에서 깨어 일어나 먹이를 얻기 위 하여 매우 활발히 활동을 시작하므로 숲의 여러 곳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찌익 찌익’하 고 우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다) 식성

먹이로는 밤, 도토리, 잣, 피나무, 개암나무 등의 종자 또는 옥수수, 호박, 수박 등의 종 자를 좋아한다.

(라) 번식

(13)

3월 중순경에 동면에서 깨어나면 다람쥐는 곧 교미하기 시작하며 임신 기간은 24-25일 이고 한 번에 4 - 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분만횟수는 연 2회이다.

그림 19. 다람쥐의 모습 그림 20. 고슴도치의 모습

(10) 고슴도치

(가) 형태

몸길이는 12.5025cm이며 꼬리 길이는 2-3cm 이고 몸무겐느 400-1,100g 이다. 몸체는 둥 그스름하며 눈과 귀가 잘 발달되어 있고 주둥이는 뾰족하며 다소 길쭉하게 나와있다. 몸 의 등은 짧고 둥근 비늘과 같은 가시 털로 덮여 있으며 발가락은 5개이다. 몸 윗면은 암 갈색의 환반점과 전백침으로 덮여 있으며 머리는 흑갈색이다. 어깨, 몸 옆면, 다리 및 꼬 리는 갈색이고 몸 아래면은 담갈색이다.

(나) 식성

먹이는 잡식성으로 주로 곤충과 그 유충을 잡아먹지만 작은 쥐나 어린 새, 작은 뱀, 도 마뱀, 개구리 등 작은 척추 동물도 잡아먹으며 나무 열매, 버섯, 잡초의 뿌리, 여러 가지 과실을 잘 먹는다.

(다) 특징

겨울이 되면 잡목의 뿌리 밑, 숲 속의 넘어진 고사목과 피해목 사이에 화본과와 사초과 식물들의 마른 잎과 바위이끼를 이용하여 보금자리를 둥글게 만들고 동면을 하기 시작하 여 다음해 3월 하순에 깨어난다. 적을 만나면 달아나지 않고 주둥이와 네 다리를 모아 밤 송이 같이 만든 뒤 움직이지 않는다.

(라) 번식

교미는 1년에 한 번하고 6월에서 7월 사이에 2 내지 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11) 두더지

(가) 형태

몸은 원통형으로 생겼으며 비만형이고 어깨가 너무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목이 짧아졌 다. 눈은 바늘구멍 같이 작고 때때로 피막으로 덮여 있고 주둥이는 원통형으로 길고 밑으 로 향하고 있다. 외형상 귀가 드러나 있지 않으며 땅속생활을 하기 때문에 앞다리가 흙을

(14)

파기에 알맞게 되어 있으며 현저하게 몸에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나) 특징

땅의 진동을 매우 민감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가까이 가기 전에 땅속으로 숨어 버리 기 때문에 잘 발견되지 않는다. 야간에 가끔 땅 위에 나타나므로 종종 올빼미의 먹이가 된다. 두더지는 항상 먹이를 찾기 위해 계속적으로 움직이며 낮에는 지하에서 곤충을 찾 고 밤에는 땅 위에 나와서 먹이를 찾는다.

(다) 식성

지역과 계절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주로 번데기, 거미, 지렁이, 풍뎅이, 민달팽이, 지 네, 개구리, 달팽이, 기타 곤충과 그의 유충, 번데기 등의 동물성 먹이를 잡아먹는다. 대식 가이므로 10-12시간만 먹이를 먹지 못하면 죽는다. 또 물도 잘 먹으며 헤엄도 잘 한다.

(라) 번식

두더지는 고독한 생활을 하다가 번식기에만 암수가 한곳에 모인다. 다부일처로서 일년에 1회 4, 5월에 땅속 5 내지 15cm 깊이에 보금자리를 만들고 2 내지 6마리의 새끼를 낳는 다.

그림 21. 두더지의 모습

(15)

2) 조 류

박새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이며, 몸길이는 14센티미터 정도이다.

형태

머리꼭대기와 목은 검은색이고 뺨은 흰색이다. 배 가운데에는 검은색 세로줄이 긴 넥타이 모양으로 있으며 수컷은 암컷보다 검은색의 폭이 넓고, 어린새는 불명확하다. 날개는 어 두운 회색으로 한 개의 흰색 띠가 있다.

생태

주로 낙엽활엽수림에서 서식하고 번식기에 암수가 함께 세력권을 형성한다. 비번식기에는 박새류와 쇠딱다구리 동고비와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둥지는 나무구멍, 돌담의 틈, 건 물의 틈을 주로 이용하며 인공새집도 잘 이용한다. 산란기는 4월부터 7월까지이며 연 2회 번식을 한다. 알은 흰색 바탕에 붉은 갈색의 작은 얼룩무늬가 있으며 4-13개 정도 낳는 다. 먹이는 곤충류가 주식이며 식물의 종자나 열매도 먹는다.

(16)

직박구리

우리나라의 도시의 공원과 정원, 인가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이며 몸길이는 20센티 미터이다.

형태 몸은 전반적으로 회갈색을 띠도 있으나 머리는 푸른색을 띤 회색, 귀깃은 밤색이다.

부리는 가늘고 곧으며, 부리 및 다리는 검은색이다. 날개와 꼬리는 광택이 있는 암갈색이 다. 종종 회색의 머리깃을 세우며 경계한다.

생태 비번식기에는 큰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기도 하며, ‘삐-잇, 삐-잇’ 하는 소리를 내며 매우 시끄럽게 운다. 내륙의 산림과 도심,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도서지역에서도 서식한 다. 나뭇가지 위해 작은 식물성 재료를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들어 번식하며, 붉은빛이 도는 흰색 알에 적갈색 반점이 있는 알을 4-5개 낳는다.

(17)

참새

우리나라의 도시와 농촌의 인가 주변, 농경지, 개활지 등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이 며, 몸길이는 14.5센티미터이다.

형태 머리와 등은 갈색이며, 등과 날개에는 검은색 세로줄무늬가 있다. 아랫면은 황백색 이며, 목과 뺨에는 검은색의 점이 있다. 부리는 검은색이지만, 겨울철에는 약간 노란색을 띤다. 다리는 갈색이다.

생태 나뭇구멍, 인공새집이나 건물의 틈, 처마 밑 등에 둥지를 만들어 번식한다. 한배산 란수는 4-8개 정도이며, 알은 황갈색 바탕에 적갈색의 무늬가 있다. 주로 인가 근처에서 소규모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지만, 겨울에는 큰 무리를 이루어 개활지와 농경지의 덤불 등에서 집단으로 생활하기도 한다.

(18)

까치

우리나라 산림의 경계 지역, 도시와 시골의 평지 및 농경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이 며, 몸길이는 46센티미터이다.

형태

몸 전체가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며, 녹색광택이 있는 긴 꼬리가 있다. 흰색의 어깨깃과 배를 제외한 몸 전체가 검은색이며, 날 때는 흰색의 첫째날개깃이 뚜렷하게 보인다. 여름 철에 털갈이를 할 때는 머리의 털이 상당히 없어 보인다. 새끼는 부모에 비해 전체적으로 작고, 꼬리와 부리가 많이 짧고 부리 색깔이 부모에 비해 검지 않다.

생태

매우 공격적이며 맹금류나 개, 고양이 등에게도 덤빈다. 비번식기에는 무리를 이룬다. 일 부일처제이며, 2월에서 7월 사이에 번식을 한다. 번식기에 특히 영역성이 강하여 이웃한 개체 간에 빈번하게 싸움이 벌어진다. 영역 내 높은 나무나 전신주 등에 나뭇가지를 얽어 둥근 형태의 둥지를 짓는다. 이전에 썼던 둥지를 다시 쓰기도 하고 쓰던 둥지 위에 새로 짓거나 다른 나무에 짓기도 한다. 암수가 함께 둥지를 짓는다. 평균 5-6개의 알을 낳는 다. 푸른빛이 도는 하얀 바탕에 갈색 점이 박힌 모양이다. 암컷만이 알을 품는다. 이 기간 에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물어다주거나 영역을 방어한다. 둥지 밖을 나오면 한동안은 부모를 따라다니며 먹이를 받아먹다 7월이 되면 부모를 떠나 또래의 무리에 합류한다. 암 수가 함께 새끼를 돌본다. 먹이는 주로 설치류, 뱀, 곤충류, 과일, 열매, 음식 찌꺼기, 썩은 고기 등을 먹는다.

(19)

쇠딱다구리

우리나라 산림과 평지의 숲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이며, 15센티미터 크기의 딱따구리 류이다.

형태 가장 크기가 작은 딱다구리이며, 어두운 갈색의 머리에 흰색의 눈썹선과 뺨선이 있 다. 등에는 흰색의 가로줄무늬, 배와 옆구리에는 갈색의 세로줄무늬가 뚜렷하며 귀깃은 어두운 갈색이다. 수컷 머리에 붉은 점이 있으나 야외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 비번식기에 는 박새류 등과 흔히 혼성군을 이룬다. 부리는 원추형으로 단단하며 푸른 빛을 띤 회색이 다.

생태 단단한 꼬리깃으로 몸을 지탱하여 나무줄기에 세로로 앉거나 주위를 빙빙 돌면서 기어 오른다. 나무줄기를 부리 끝으로 쪼아 구멍을 만들고 긴 혀를 이용하여 곤충를 잡아 먹는다. 둥지는 나무줄기에 구멍을 파서 직접 만들고, 알은 흰색이며 5-7개 낳는다.

기타

(20)

붉은머리오목눈이

흔히 뱁새라고도 불리우고 북한에서는 부비새라고 하는 13센티미터 정도의 텃새이다.

형태

암수 모두 이마와 머리꼭대기 등 몸 윗면은 붉은 갈색이며 배는 노란 갈색이고 부리는 짧고 굵으며 꼬리는 길다. 몸 아랫면은 우중충한 크림색이며, 부리는 굵고, 심하게 만곡되 어 있다. 위부리와 아래부리는 어두운 갈색으로 끝은 회색이다. 다리는 몸에 비해 비교적 튼튼하고 회색이다.

생태

둥지는 풀숲이나 관목림 속의 낮은 나뭇가지 위에 마른 풀, 풀뿌리 등을 주재료로 하고 거미줄로 엮어서 작은 항아리 모양으로 튼튼하게 만든다. 먹이는 곤충류, 거미류 등이며 매우 시끄럽게 ‘비, 비, 비’ 하고 낸다.

(21)

멧비둘기

우리나라의 산림, 개활지, 농경지, 공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이며, 몸길이는 33센티 미터이다.

형태

암수 모두 이마와 머리꼭대기는 잿빛으로 뒷머리와 목은 포도주색을 띤 잿빛 갈색이다.

날개와 등의 깃털 가장자리에는 붉은색 띠가 있으며, 검은색의 꼬리 끝에는 흰 띠가 있 다. 어린새는 목에 가로띠 얼룩무늬가 없으며 등의 붉은색 띠가 약하고 흰색이 많다. 부 리는 어두운 푸른 빛이 도는 잿빛이고 다리는 적자색이다.

생태

번식기에는 암 수 한쌍이 주로 생활하며 둥지는 소나무, 전나무 등의 나뭇가지에 날개를 수평으로 한 채 활공하기도 한다. 소리는 낮고 탁하게 ‘구, 구, 쿠-, 쿠-’ 하고 운다. 한배 산란수는 2개이며 둥지는 나뭇잎과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엉성하게 만들며 깊이가 5-6센 티미터 정도로 만든다. 먹이는 땅위에서 낟알을 포함하여 식물의 씨와 열매, 벼 낟알, 콩 등을 즐겨 먹는다.

(22)

멸종위기야생동․식물(시행규칙 제2조관련) 1. 포유류

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Ⅰ급

번 호 종 명

1 2 3 4 5 6 7 8 9 10 11 12

늑대 Canis lupus coreanus

대륙사슴 Cervus nippon hortulorum 바다사자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a 반달가슴곰 Ursus thibetanus ussuricus 붉은박쥐 Myotis formosus chofukusei

사향노루 Moschus moschiferus parvipes 산양 Naemorhedus caudatus

수달 Lutra lutra 시라소니 Lynx lynx

여우 Vulpes vulpus peculiosa 표범 Panthera pardus orientalis 호랑이 Panthera tigris altaica

나.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Ⅱ급

번 호 종 명

1 2 3 4 5 6 7 8 9 10

담비 Martes flavigula

무산쇠족제비 Mustela nivalis 물개 Callorhinus ursinus 물범 Phoca largha 물범류 Phoca spp.

삵 Prionailurus bengalensis 작은관코박쥐 Murina ussuriensis 큰바다사자 Eumetopias jubatus 토끼박쥐 Plecotus auritus

하늘다람쥐 Pteromys volans aluco

(23)

2. 조 류

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Ⅰ급

번 호 종 명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검독수리 Aquila chrysaetos

넓적부리도요 Eurynorhynchus pygmeus 노랑부리백로 Egretta europhotes 노랑부리저어새 Platalea leucorodia 두루미 Grus japonensis

매 Falco peregrinus 저어새 Platalea minor 참수리 Haliaeetus pelagicus 청다리도요사촌 Tringa guttifer 크낙새 Dryocopus javensis 혹고니 Cygnus olor 황새 Ciconia boyciana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나.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Ⅱ급

번 호 종 명

1 2 3 4 5 6 7 8 9

가창오리 Anas formosa 개구리매 Circus aeruginosus 개리 Anser cygnoides

검은머리갈매기 Larus saundersi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검은목두루미 Grus grus

고니 Cygnus columbianus 긴점박이올빼미 Strix uralensis 까막딱다구리 Dryocopus martius

(24)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느시 Otis tarda

독수리 Aegypius monachus 뜸부기 Gallicrex cinerea 말똥가리 Buteo buteo 먹황새 Ciconia nigra 물수리 Pandion haliaetus 벌매 Pernis ptilorhychus 붉은가슴흰죽지 Aythya baeri 붉은해오라기 Gorsachius goisagi 비둘기조롱이 Falco amurensis

뿔쇠오리 Synthliboramphus wumizusume 뿔종다리 Galerida cristata

삼광조 Terpsiphone atrocaudata 새홀리기 Falco subbuteo

솔개 Milvus lineatus

쇠황조롱이 Falco columbarius 수리부엉이 Bubo bubo

시베리아흰두루미 Grus leucogeranus 알락개구리매 Circus melanoleucus

알락꼬리마도요 Numenius madagascariensis 올빼미 Strix aluco

재두루미 Grus vipio

잿빛개구리매 Circus cyaneus 적호갈매기 Larus relictus 조롱이 Accipiter gularis 참매 Accipiter gentilis 큰고니 Cygnus cygnus 큰기러기 Anser fabalis

큰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eurhythmus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40 41 42 43 44 45 46 47 48

털발말똥가리 Buteo lagopus 팔색조 Pitta nympha

항라머리검독수리 Aquila clanga 호사비오리 Mergus squamatus 흑기러기 Branta bernicla 흑두루미 Grus monacha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흰이마기러기 Anser erythropus 흰죽지수리 Aquila heliaca

참조

관련 문서

관찰과 실험을 통하여 도형의 구성요소나 성질의 분석 수준으로 도형의 성질들 사이의 관계성은 인식이나 명확한 정의를 내리지 못한다. 모든 각이 직각이다 등과

- GDP의 국가갂 비교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미국 영국보다는 낮지만 스웨덴이나 프랑스보다 높습니다. 1) 우리나라는 선짂국보다 물가가 낮은 편입니다.. •

현재 기독교 신학계를 지배하고 있는 신학 의 역사적 배경 및 그 사상적, 철학적 계보 및 배경, 신학적 의미를 연구 분석 비평을 통하여 정확한

- 축산업으로 인한 환경부담을 낮추고, 사회로부터 인정받아야 중장기적으로 축산업 성장 가능 - 주요과제: 가축분뇨 적정 처리, 온실가스 저감, 축산악취 저감

Our analysis has shown that automation is already widespread among both domestic and foreign investors in Vietnam, and that both groups plan to continue investing

이는 아직 지부지사에서 확인 및 승인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 지부지사에서 보완처리 및 승인처 리 시

이에 STEAM 수업을 통해 우리 주변에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이를 활용하여 실 제 음식 만들기 활동을 함으로써 에너지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에너지를

1 차적인 의미 중심의미 끼리만 유의관계를 ( ) 형성하기도 하지만 중심의미와 주변의미 간에도 유의관계를 형성하는 일이 많다고 보고 이러한 유형을 나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