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어린이 그림의 장면설정특징과 평면표현형식을 적용한 그림책 그림의 선호도와 감정 전달력 – 6 ~9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어린이 그림의 장면설정특징과 평면표현형식을 적용한 그림책 그림의 선호도와 감정 전달력 – 6 ~9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투고일_2019.08.10. 심사기간_2019.09.01-14. 게재확정일_2019.09.27. 어린이 그림의 장면설정특징과 평면표현형식을 적용한 그림책 그림의 선호도와 감정 전달력 – 6 ~9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 Preference and Emotional Communicative Ability of Pictures in Picture Books Applied with Scene Set-Up Feature and Two-Dimensional Expression Method of Children's Pictures - for children aged 6 to 9 권희은_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김면(교신저자)_성균관대학교 디자인학과 교수 Gwon, Hui Eun_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 Kim, Myoun(Corresponding author)_Design department, Sungkyunkwan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문제 제기 1.2. 연구 목적 1.3. 연구 대상 그림 3가지 1.4. 연구 대상 어린이 1.5. 조사 내용 2. 어린이 그림과 성인 그림에 관한 문헌 고찰 2.1. 어린이 그림과 성인 그림의 표현 형식 비교 2.2. 어린이 그림과 성인 그림의 장면 설정 특징 비교 3. 3가지 연구 대상 그림 선정 및 제작 3.1. 원본 그림 – 성인이 그린 그림책의 그림 선정 3.2. 어린이의 표현 형식, 장면 설정 특징을 반영한 그림 제작 3.3. 성인이 그린 그림책의 그림 중에서 같은 장면을 그린 제 3의 그림 3.4. 3가지 연구 대상 그림 비교표 4. 연구 결과 4.1. 해당 그림을 이전에 본 적이 있는 지 여부 4.2. 3가지 그림의 감정 전달력 4.3. 3가지 그림의 선호도 4.4 선호 이유 5. 결론 참고문헌.

(2) 어린이 그림의 장면설정특징과 평면표현형식을 적용한 그림책 그림의 선호도와 감정 전달력 – 6 ~9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 Preference and Emotional Communicative Ability of Pictures in Picture Books Applied with Scene Set-Up Feature and Two-Dimensional Expression Method of Children's Pictures - for children aged 6 to 9 권희은_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김면(교신저자)_성균관대학교 디자인학과 교수 Gwon, Hui Eun_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 Kim, Myoun(Corresponding author)_Design department, Sungkyunkwan University. 어린이 독자를 겨냥한 그림책의 그림은 주로 성인 작가가 그린다. 만약 어린이가 그림책의 그림을 직접 그린다 면 어린이 독자가 더 선호하거나 감정이입하여 그림의 정서를 잘 느낄 수 있을까? 라는 의문에서 이 연구를 진 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어린이 평면 표현형식의 특징과 장면 설정 방식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어린이가 그릴 법한 그림을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였다.(이후 ‘어린이 그림’으로 지칭) 그 그림을 기존의 성인 작가의 그림 어린이 평면 표현 형식 책의 그림 두 가지와 비교하여 6~9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독자 그림책 그림 장면 설정 (6~9세)는 성인작가가 그린 그림책의 그림보다 어린이 그림을 감상할 때 그림을 그린 사람이 의도한 감정을 조 어린이의 그림 선호도 금 더 정확하게 읽었다. 둘째, 위 3가지 그림의 선호도를 물었을 때, 어린이 그림을 가장 좋아한다고 선택한 비 어린이 그림의 감정 전달력 율은 49.9%로 가장 높았다. 셋째, 어린이 그림의 선호 이유 중 가장 많은 답은 등장인물의 외모인데, 어린이 그림책의 그림 표현형식 독자는 단순화 하여 평면적으로 그려진 그림의 등장인물의 모습을 선호했다. 장면의 상황이 좋아서는 두 번째로 많은 선호이유인데, 어린이들은 어린이가 직접 경험한, 이야깃거리가 많은 장면설정특징을 적용한 그림을 선호 했다. 이 외에도 성인 그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인 선호 이유로, 그림을 보고 해당 감정이 잘 느 껴져서(감정), 배경에 그려진 어떤 것이 좋아서(배경), 어린이 그림이 다른 성인들의 그림들에 비해 마음에 들어 서(그림)가 있었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면 어린이 그림 선호 이유 항목 중에 외모, 배경 항목은 어린이표현형식 이 주로 영향을 미쳤고, 장면, 감정 항목은 어린이 장면설정특징이 주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 린이가 직접 경험한 장면으로 장면 설정을 하는 것은, 작가의 감성을 조금 더 정확하게 느낄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고, 단순하고 평면적인 어린이표현형식이 적용된 그림은,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주인공의 외모나 배경 표현 형식을 정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요약 중심어. ABSTRACT Keyword Children's 2-Dimensional Expression Method Scene Set-Up for Picture Books Children's Preference for Pictures Emotional Communicative Abilities of Children's Pictures Expression Method of Pictures of Picture Books. Picture books for children are usually drawn by adult author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following question; if children draw pictures for their own picture books, would children readers prefer the picture books and feel the intended emotion? Based on the prior research on the feature of children's two-dimensional expression methods and the way scenes are set, the researcher produced the picture that children might draw (children's picture)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a survey conducted among children aged 6 to 9 about comparing the children's picture and two pictures by an adult author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the children readers (aged 6 to 9) read the emotion intended by authors more correctly when they watched the children's picture than the adult author's pictures. Second, when asked of preference, 49.9 %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liked children's picture. Third, the most reason why the children liked is related to appearance of characters in the picture, and they preferred the characters's appearance drawn in a two-dimensional and simplified way. The second most reason is that they liked the situation of the scene, meaning that children preferred the picture applied with the scene set-up features created with lots of stories that they had directly experienced. Other reasons for preferring the children's picture are as follows: because the picture made the children readers feel the emotion well (emotion), because they liked something on the background (background), and because they liked the children's picture more than the other pictures drawn by adults (pic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 the expression method mainly affected the result of the characters' feature and background, and the scene set-up feature mainly affected the result of the scene and emotion. Setting up scenes with the scene that children have directly experienced might help them feel the emotion intended by authors more correctly, and a picture applied with the simple and two-dimensional expression method of children's picture might be helpful for determining looks of characters or background preferred by children.. 56.

(3) 1. 서론 1.1. 문제 제기 어린이는 가정과 도서관,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에서 다수의 그림책을 접한다. 김정원, 전선옥, 이연규는 「유아문학교육」에서, 유아는 유아문학을 통해 다양한 인간 삶의 모습을 경험하게 되며, 희로애락의 정서를 이해하고, 자신과 타인을 연결하는 공감대의 형성 및 지식과 경험의 확대를 통해 전인적인 인간으로 성장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1)고 하였다. 연구자는 발신자(성인)와 수신자(어린이)가 다른 그림책의 그림이, 어린이가 쉽게 감정이입 하고 선호할 수 있는 그림일까? 궁금하였다. 성인이 그린 그림책의 그림들은 어린이들이 그린 그림과 다른 특징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가 해당 그림을 그린다면 과연 어떤 장면을 어떤 표현으로 그릴지, 그리고 어린이 독자는 성인이 그린 그림책의 그림과, 어린이들이 그리는 특징들이 적용된 그림 중에 어떤 그림을 더 선호할지, 그리고 어린이가 그림 감상을 통해 해당 감정을 더 잘 읽을 수 있는 것은 두 종류의 그림 중에 어떤 그림일지 연구 하였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책 작가가 그림의 장면을 선정하거나, 표현 형식을 정할 때 참고할만한 사항으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3. 연구 대상 그림 3가지 연구 대상 그림책은 ‘42가지 마음의 색깔’(크리스티나 누네스 페레이라 · 라파엘 R, 발카르셀 지음, 남진희 옮김, 2013, 레드스톤)을 선택하였다. 이 책은 국내 5대 대형 서점 2 군데 이상에 서 스테디셀러 목록에 오른 책 중에 선택한 것인데, 스테디셀러는 이미 판매량이라는 hard data로 선호도를 짐작할 수 있는 책이다.. <그림 1> 「42가지 마음의 색깔」의‘놀람’감정을 설명하는 장면. 본 연구의 설문은 그림책에서 한 장면의 그림을 따로 묻는 설문이 되어야 하기에, 맥락을 이해 해야 하는 도서는, 그 도서의 내용을 파악해야 하는 선결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한 장면이 독립적인 도서로 선택하였다. 또한 해당 책은 초등학교 2학년 국어 활동 교과서에 수록되어 인물의 마음을 생각하며 글을 읽을 수 있는 지 학습하는 데에 활용됨으로써 교육적인 가치가 검증된 책이다. 연구 대상 장면으로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 되지 않은 장면 중에서 설문 대상자의 어휘력을 1) 김정원, 전선옥, 이연규, 「유아문학교육」, 학지사, 2016, p.17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57.

(4) 고려하여 이해하기 쉬운 감정 중에 놀람, 부끄러움, 즐거움, 화를 선택하였다. (이후 원본 그림 이라 지칭) 한편 어린이가 그림책의 그림을 직접 그린다면 어떤 그림을 그릴까? 에 대해 추측하기 위해서, 기존 선행연구에서 6~9세 어린이 그림의 표현형식을 정리하였고, 어린이 그림의 장면 설정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 내용을 바탕으로 어린이가 그릴만한 그림을 연구자가 추측하여 제작하였다. 이 그림 은 원본 그림과 주인공 동물과 주조색을 일치시켰다.(이후 어린이 그림이라 지칭) 한 권의 그림책으로 연구 했을 때, 특정 그림책의 그림에 대한 결과가 되어 보편적인 결과로 보기 어렵기에, 원본 해당 장면을 대체 할 수 있는 다른 그림을 추가로 선정하였다. 원본 그림 과 같은 감정을 전달하는 장면, 같은 동물의 그림을 제 3의 그림책에서 골라서 연구자가 위의 두 가지 그림과 주조색과 배경색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하였다. (이후 제 3의 그림이라 지칭) 1.4. 연구 대상 어린이 설문 조사 대상은 그림책의 독자 연령, 설문에 답할 수 있는 능력과 연구 주제를 고려하여 6세~9세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서울, 경기 소재 어린이집의 5세~6세 어린이 52명(남자 26명, 여자 26명), 경기도 소재 초등 학생 8세~9세 어린이 47명(남자 23명, 여자 24명), 총 99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9세 어린이는 설문지에 직접 작성하였고, 6세 어린이는 직접 서술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어린이집 선생님이 대답을 듣고 적었다. 1.5. 조사 내용 첫 번째 질문은 그림을 본 경험이 있는지가 조사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해당 그림과 똑같은 그림을 그림책에서 본 적이 있는 지 물었다. 두 번째 질문은 어떤 그림이 어린이가 해당 그림 감상을 통해 다른 사람의 감정을 더 잘 읽을 수 있는지에 관한 것으로, 3가지 형식의 그림을 보여주고 느껴지는 감정을 객관식 보기(놀람, 화, 부끄러움, 즐거움) 중에 선택하게 하였다. 세 번째 질문은 같은 감정의 그림 세 가지(원본 그림, 어린이 형식, 제 3의 그림)의 선호하는 순서를 답하도록 질문하였다. 네 번째 질문은 세 번째 질문에서 가장 선호하는 그림을 선택한 이유를 주관식으로 물었다.. 2. 어린이 그림과 성인 그림에 관한 문헌 고찰 2.1. 어린이 그림과 성인 그림의 표현형식 비교 선행연구에서 여러 학자들이 6~9세 어린이들의 많은 그림들을 분석하여 평면표현형식을 정 리하였다. 이 시기는 로웬펠드의 ‘도식기’, 게이츠켈과 허위츠, 데이의 ‘상징표현단계’, 서울교 대교육연구회의 ‘분화적 상징기’에 해당한다.2) 첫째, 이 시기 어린이 그림의 형태는 도식적이다. 이런 특징을 어린이의 지각 능력과 연결하여 설명한, 굿이너프(1926)와 해리스(1963)는 아동 그림 속에 나타난 세부묘사의 정도가 그의 개념형성 정도를 나타낸다는 전제하에, 아동 그림에 나타나는 분화의 정도는 그들의 개념 성숙 과 관련되어 있다3)고 하였고, 아동의 지각이 보다 사실적으로 볼 수 있게 되면서 그들의 지각 분산력은 확대되고, 부분들 간의 관계에 대해 생각하는 능력도 발달한다.4)고 하였다. 즉 6~9 세 어린이들의 그림을 보면, 그들의 지각능력을 짐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식적이라는 말은 등장인물이나 모티브의 형태와 동작의 특징만을 간략하게 도식화 했다는 의미인데, 예컨대 어린이가 배경에 꽃을 그린다면 원이나 곡선을 사용해 꽃을 그리고, 선과 2) 이규선, 김동영, 류재만, 전성수, 최윤재, 권준범, 김정선,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2012, pp.145-171 3) 양경희, 「아동미술교육」, 학지사, 2013, p.29 4) 양경희, 「아동미술교육」, 학지사, 2013, p.28 58.

(5) 타원으로 줄기와 잎을 그려 ‘꽃이 있음’을 표현한다. 둘째, 자기중심적, 주관적이다. 어린이 그림 안에는 주로 그리는 어린이 자신이 주인공이거나 자기가 보고 겪은 경험을 이야기하는 입장인 경우가 많다. 자신의 기억의 장면을 나열하여 그릴 때, 그림의 시점은 그림 안에 돌아다니고 있다. 그림을 그리는 순간 떠오르는 각도의 <그림 2> 전개도식 표현, 차도 위아래 선을 ㄷ자로 접으면 입 체적인 표현이 되는 경우, 3학 년 여아 「너의 그림에 대해 말해 주겠니?」, p136. 모습으로, 그림 하나에 여러 장면이나 모티브가 그려질 경우 그 각각의 시점은 독립적이다. 자신을 중앙에 놓고 종이를 돌려가면서 그리는 중앙원근법적 표현을 하거나, 두 선으로 표현한 길에 수직으로 나무나 풀, 집을 배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표현한 전개도식 표현을 하는 경우이다. 전개도식 표현은 두 선을 ㄷ자로 접으면 입체적인 표현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인물의 존재감으로 그 크기를 주관적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그림 3> 우리 아빠 (7세, 남 아), 「아동미술활동의지도와이 해」, p248 사람들의 형태, 땅의 돌, 하늘 의 구름, 나무를 도식적, 반복 적으로 표현함. 인물의 크기는 주관적으로 아 빠를 건물보다도 크게 그렸고, 새의 크기와 나무의 크기는 주 관적으로 그림.. <그림 4> 그림 내의 여러 곳에 공존하는 시점, 전개도식 표현 (8세 여아), 「아동 미술의 이론과 실제」, 2007, p70. 셋째, 시공간 관계에 질서가 있음을 발견하여 표현한다. 기저선(base line)을 그리거나 종이 끝 모서리(바닥쪽)를 기저선으로 활용하여, 모든 사물과의 상호관계를 표현하는 기준으로 한 다. 그리고 공존화 표현을 한다. 다른 시공간에서 일어난 일을 한 화면에 표현하는 것이다. 우주선, 건물, 배의 내부를 그리는 투시적(X-ray) 표현을 하기도 한다. 넷째, 입체 표현을 할 수 없어 평면적으로 그리는데, 얼굴이나 몸을 정면이나 정측면으로만 그린다. 입체적 표현을 할 수 있는 것은 소실점 없는 육면체(와 비슷한 것들, 그림 6 참고)나 기울여 내려다본 사각형을 사다리꼴로 그리는 정도에 한한다.. <그림 5> 거대한 유람선을 상 상하여 표현, 유람선의 내부 구 조를 밖에서 볼 수 있는 것처 럼 배 안에 수영장, 서점, 음식 점 등을 투시적 (X-ray)으로 표현, 「아동미술의 이론과 실 제」, p67. <그림 6> 6~10세 어린이들에게 정육면체 그림을 보여주고 그리게 한 그림, 「미술 교육학」, 2012, p151. 본 연구대상 나이인 9세 이후에는, 자신의 표현과 표현대상 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어 상징적, 도식적, 주관적 표현에서 급속하게 벗어나고자 하며 인물을 그릴 때도 더 이상 도식을 사용하지 않고 사실적인 표현을 한다고 한다.5) 성인의 그림은, 사실적, 입체적이며 어린이 그림에 비해 디테일하다. 위 어린이 그림의 특징들 (도식적/자기중심적, 주관적/공존화 표현/평면적 표현 등)이 없고, 그림을 보는 시점은 그림 밖 독자의 위치 한 곳에 있으며, 사진 한 장을 보는듯한 사실적 원근법이다. <표 1>은 일반적인 성인의 그림과 어린이 그림의 표현 형식을 비교한 것이다. 일반적인 성인 그림은 워낙 종류와 범위가 다양해서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성인 그림의 특징으로 정리 하였다.. 5) 이규선, 김동영, 류재만, 전성수, 최윤재, 권준범, 김정선,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2012, p.174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59.

(6) <표 1> 어린이 그림과 성인 그림의 표현 형식 비교. 성인의 그림 ⓐ. 도시적, 반복적인 모티브 없음. 6~9세 어린이의 그림6) 도식적, 반복적인 모티브 있음 기저선(땅이나 밑바닥, 바탕 등을 의미하는 선). ⓑ. 기저선 없음 (필요시 지평선, 수평선을 표현). ⓒ. (공간, 인물) 사실적 크기와 비율. (공간, 인물) 주관적 크기와 비율. 입체적 (3D 표현). 평면적 – 정측면, 정면을 주로 그림. 입체적 표현의 제약 없음. 한정된 입체 표현 – 육면체, 내려다본 사각형에 한함. 사실적 원근법. 원근의 표현이 없는 경우가 많음7). ⓓ ⓔ ⓕ. 그림 밖 독자 위치의 시점(한 군데) / 전개도식 표현 없음. 있음 – 모든 사물과의 상호관계를 표현하는 기준. 그림 내부에서 서 있거나, 돌아다니며 바라본 시점, 기억 장면의 시점이 혼재 (여러 군데이거나 한 군 데) / 전개도식 표현. ⓖ. 디테일함. 디테일 하지 않음. ⓗ. 성별을 표현하는 방법이 국한돼지 않음. 리본, 치마 등으로 성별 표시. ⓘ. 투시적(X-ray) 표현 없음. 투시적(X-ray) 표현에 의한 공존화 표현. 2.2. 어린이 그림과 성인 그림의 장면 설정 특징 비교 최재영은 「아동 미술 활동의 지도와 이해」에 서 유치원기 아동화는 주로 공상이나 상상이 표 현의 중심이 되며 소재는 일상생활에서 경험하 고 느낀 것이 주가 된다고 하였다. 아동의 눈에 보이는 현상에 의해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알고 있는 경험적인 지각에 의해서, 자기에게 편리한 방법과 판단을 이용하여 가장 기억이 되 고 감동을 주었던 느낌을 중심으로 표현이 이루 어지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다.8). <그림 7> 수영 (7세, 여아), 「아동미술활동의지도와이해」, p84. 또한 6~9세 어린이들은 자신이 그린 장면에 대. 수영을 하면서 즐겁게 놀고 있는데 물고기들이 자기네 왕국을. 해 주로 한 편의 이야기 서술이 가능하다. 이 부. 침범하였다고 떼지어 자기를 공격하더라는 것이다...(책 내용 중 그림에 대한 어린이의 설명 중에서). 분은 「미래인을 키우기 위한 아동 미술 활동의 지도와 이해」9) 외의 여러 권의 문헌에서 그림의 어린이 설명 부분들을 보고 연구자가 도출한 특징이다. 그림 안에 그리는 어린이 자신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신의 가족, 친구를 표현하기도 한다. <표 2> 어린이 그림과 성인 그림의 장면 설정 특징 비교. 어른의 그림. 어린이의 그림. 필요한 장면을 구성하여 그림, 작가가 직접 겪은 장면. 주로 어린이가 직접 겪은 장면, 때때로(간접 경험을. 을 주로 그리지는 않음. 바탕으로) 상상한 장면. 한 장면에 대한 이야깃거리는 어린이 그림에 비해 적다.. 장면에 대해 이야깃거리가 많다.. 작가 자신이나 가족, 친구를 그리는 경우는 특별히 의 도된 경우(해당 장면의 전달 내용이 그럴 경우)에 한한 <그림 8> 산에 오르기 시작하 여 산을 내려오기까지의 시간 적인 과정을 의식하고 그린 경 우이다.「아동미술 활동의 지도 와 이해」, p296. 다. 그림의 목적 - 보여주기. 그림에 자신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고, 자신의 가족, 친구를 그리는 등 인간관계를 표현하기도 한다. 그림의 목적 - 이야기하기. 성인이 그린 그림책의 그림은 필요한 장면을 구성하여 그린 것인데, 성인 작가가 직접 겪거나 상상한 장면을 주로 그리지는 않는다. 또한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많은 그림들이 한 장면 에 대한 설명(이야깃거리)은 어린이 그림에 비해 짧게 끝날만하다. 또한 그림 안에 그림 작가 6) 이규선, 김동영, 류재만, 전성수, 최윤재, 권준범, 김정선,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2012, pp.145-171 7) 최재영, 「미래인을 키우기 위한 아동 미술 활동의 지도와 이해」, 창지사, 2001, pp.95-97 8) 최재영, 「미래인을 키우기 위한 아동 미술 활동의 지도와 이해」, 창지사, 2001, pp.60-61 9) 최재영, 「미래인을 키우기 위한 아동 미술 활동의 지도와 이해」, 창지사, 2001, p.284 60.

(7) 가 직접 등장하는 경우는 메타픽션의 특수한 상황이 아니고서는 좀처럼 없으며, 자신의 가족이나 친구를 표현하는 것도 의도된 경우(해당 장면의 전달 내용이 그럴 경우)에만 가 능하다. 연구자는 이런 특성들을 어린이의 그림의 목적은 ‘이야기하기’이고 성인 그림의 목적은 ‘보여 주기’라고 요약하였다.. 3. 3가지 연구대상 그림 선정 및 제작 3.1. 원본 그림 – 성인이 그린 그림책의 그림 선정 ‘42가지 마음의 색깔’ 그림책의 그림 4 장면 (놀람, 부끄러움, 즐거움, 화를 설명하는 text 옆의 그림) – 모두 동물이 주인공 3.2. 어린이의 표현 형식, 장면 설정 특징을 반영한 그림 제작 어린이가 그릴만한 장면이 어떤 것인 지 설문 조사 대상 어린이가 아닌 어린이를 대상으로, 그림책 장면에 그릴 장면에 대한 의견을 인터뷰 하였다. 놀람, 부끄러움, 즐거움, 화를 설명하 는 text 옆에 들어갈 장면을 연상하게 하여 설문조사 결과, 많이 나온 응답은 <표 3>과 같았다. <표 3> 6세, 9세 감정별 떠오르는 장면 사전 조사 결과. 6세가 많이 언급한 내용. 놀람. . 날 놀라게 할 때.  . 소방 훈련 사이렌 코피. . 딸꾹질할 때처럼 점프가 됨 – 그림에 장면 적용. 부끄. .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할 때 – 그림에 장면 적용. 러움. . 머리위에 검은색이 생김. . 웃긴 표정을 볼 때. . 엄마 아빠랑 놀 때(어린이 그림 –돗자리 위 다람쥐들. 즐거 움. 화. 9세가 많이 언급한 내용 . 두 언급된 선물을 놀람 그림으로 작성하여 장면 . 혼란을 야기) 짜잔 / 멋진 풍경을 볼 때. . 뒤에서 놀라게 할 때. . 발표 / 실수 / 나를 주목 – 그림에 장면 적용. .  로 – 간접적 표현)  놀이터(어린이 그림 – 땅 속 미끄럼 형상화 – 간접적.  . 산타 할아버지한테 선물 받았을 때 알록달록 무지개가 떠오른다.. . 내 장난감을 친구가 빼앗아 갈 때. . 눈, 머리 입에서 불이 나는 것 같다– 그림에 장면 적용. 표현)에서 놀 때. 선물 – 그림에 장면 적용(놀람과 즐거움에서 모. 친구 / 놀 때 / 현장학습 – 그림에 장면 적용 생일선물 (놀람과 즐거움에서 모두 언급된 선물 을 놀람 그림으로 작성하여 장면 혼란을 야기). . 놀이기구. . 놀림 / 형제자매 / 친구 / 억울. . 짜증 / 싸움 / 뿔. . 불 /내 물건 가져갈 때 – 그림에 장면 적용. 그 결과로 3.2의 장면을 선정하였고, 어린이 평면표현형식으로 그렸으며, 변인통제를 위해 원 본 그림과 재료와 기법, 주조색과 배경색, 주인공 동물의 종류와 기본 특징, 그림 크기 등을 일치 시킨 채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3.3. 성인이 그린 그림책의 그림 중에서 같은 장면을 그린 제 3의 그림 3.1, 3.2의 그림만을 놓고 조사했을 때, 특정 그림책의 그림에 대한 결과가 되어 보편적인 특징 으로 보기 어렵기에, 해당 장면에 그려질 수 있는 장면 중에서 3.1을 대체할 수 있을만한 그림 을 추가로 찾아서 설문 문항 보기에 포함 시켰다. 3.1과 같은 종류 동물 주인공의 그림을 제 3의 그림책에서 찾아서 변인통제를 위해 연구자가 3.1, 3.2와 주조색, 배경색을 일치시켰다. (이후 제 3의 그림이라 지칭) ‘놀람’ 장면의 주인공은 호랑이이고, ‘놀라는 장면의 호랑이’ 그림을 다른 그림책에서 찾았다. ‘줄줄이 꿴 호랑이’(권문희 글, 그림, 사계절, 2005) 중에서 장면을 선정하였다.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61.

(8) ‘부끄러움’ 장면의 주인공은 양이고, ‘부끄러워 하는 양’ 그림을 다른 그림책에서 찾았다. ‘LA CHAUSSETTE JAUNE’ (작가 Helene Riff, 출판사 Albin Michel) 중에서 장면을 선정하였 다. 원서에는 양이 소변을 보다가 성기를 돼지에게 들키는 그림인데, 연구자가 성기를 지웠다. 설문지는 컬러이고, 양의 얼굴이 빨갛기 때문에 부끄러운 장면이 잘 전달될 것이라고 연구자가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즐거움’의 주인공은 다람쥐이고, ‘즐거워하는 다람쥐’ 그림을 다른 그림책에서 찾았다. ‘일곱 마리 눈먼 생쥐가 만난 동물은?’ (이상교 글, 남주현 그림, 톡톡수리토리 느낌표 수학동화, 2012) 중에서 장면을 선정하였다. 원본 그림에는 여러 마리의 다람쥐가 등장하는데, 해당 책 에는 한 장면에 여러 마리의 다람쥐가 나오는 장면이 없어서 여러 페이지에 있는 다람쥐를 한데 모아서 편집하였다. ‘화’의 주인공은 새이고, ‘화난 표정으로 날고 있는 새’ 그림을 다른 그림책에서 찾았다. ‘Mon Ami Jim’ (저자 Crowther, Kitty, Ecole des Loisirs, 2017) 중에서 장면을 선정하 였다. 3.4. 3가지 연구 대상 그림 비교표 본 연구의 대상인 성인이 그린 그림책 「42가지 마음의 색깔」의 그림도 어린이 독자를 타겟으 로 하여 그림이 그려져 있기에, 일반적인 성인의 그림보다는 비교적 평면적이고 단순한 일러스 트로 그려져 있지만 어린이의 그림에 비해서는 상당한 특징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표 4>는 세 가지 연구 대상 그림의 평면표현형식의 특징과 장면 설정의 특징을 정리한 것이다. 표현 형식 특징은 <표 1>에서 정리한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표 4>‘즐거움’그림 3가지. 어린이 형식. 원본 그림. 제 3의 그림. 그 림. ⓐ 도식적 반복적 표현 - 꽃, 나무. ⓐ 도식적 반복적 표현 없음. ⓑ 기저선 있음. ⓑ 지평선(기저선 아님) – 영역을 나누는 어 ⓑ 기저선 아님 - 영역을 나누는 어린이들. ⓐ 도식적 반복적 표현 없음. 표. ⓒ 주관적 크기와 비율 - 곤충. 린이들의 기저선과 다름, 선 위에 나무도. 의 기저선과 다름, 원본 그림과 컬러를. 현. ⓓ 평면적 - 전체, 그림자 없음, 한정된 입. 있고 하늘도 있음. 일치시키기 위해 연구자가 배경을 컬러. 형. 체 표현(돗자리). ⓓ 평면적 표현이지만 그림자 있음 - 다람. ⓔ 비사실적 원근법 - 전체. 특. ⓕ 시점 혼재 - 김밥, 돗자리, 앉은 다람쥐, ⓔ 원근법 – 배경 원경 표현 – 다람쥐보다 ⓕ 시점 - 그림 밖 독자의 위치. 징. 곤충 ⓗ 리본으로 성별 표시 - 땅 속 다람쥐. 쥐. 영역으로 나누었음. 식. 작은 크기의 나무를 상단에 표현. ⓒ 입체적 (3D 표현) ⓖ 디테일 함. ⓕ 시점 - 그림 밖 독자의 위치. ⓘ 투시적(X-ray) 표현 – 땅 속 다람쥐. 장. 현장학습 중인 장면 – 땅위. 도토리 묘기 장면. 텀블링 하는 장면. 공놀이 하는 장면 – 땅속. → 어린이들이 직접 겪어보지 못한 장면. → 어린이들이 대부분 직접 겪어보지 못한 장면. 면 특. → 어린이들이 ‘즐거움’에 떠올리는 장면 –. 징. 현장 학습, 친구와 놀 때 → 어린이들이 직접 겪어본 장면. 62.

(9) <표 5>‘놀람’그림 3가지. 어린이 형식. 원본 그림. 제 3의 그림. 그 림. 표 현. ⓐ 도식적 반복적 표현 - 꽃, 별. ⓐ 도식적 반복적 표현 없음. ⓐ 도식적 반복적 표현 없음. ⓑ 기저선 있음. ⓑ 기저선 없음. ⓑ 기저선 아님 - 영역을 나누는 어린이들. ⓒ 주관적 크기와 비율 - 호랑이의 신체 비 ⓓ 평면적 표현이지만 비교적 사실적인 신체 율. 비례 적용, 그림자 있음. 일치 시키기 위해 연구자가 배경 컬러를. 특. ⓓ 평면적 - 정면만 그림. 징. ⓓ 제한적 입체적 표현 – 선물 상자. ⓒ 비교적 사실적인 신체 비례 적용. ⓗ 리본으로 성별 표시 -호랑이. ⓕ 시점 - 그림 밖. 장. 선물이 갑자기 나타나 깜짝 놀라는 장면. 나누었음. 물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이 반전된 색으로 삼킨 동물을 먹자마자 배설하는 장면 보이는 장면. 면 특. ⓕ 시점 - 그림 밖, 한 곳. 의 기저선과 다름, 원본 그림과 컬러를. → 어린이들이 겪어본 장면. → 어린이들이 겪어보지 못한 장면. → 어린이들이 겪어보지 못한 장면. 징. <표 6>‘화’그림 3가지. 어린이 형식. 원본 그림. 제 3의 그림. 그 림. ⓐ 도식적 반복적 표현 - 꽃. ⓐ 도식적 반복적 표현 없음. ⓐ 도식적 반복적 표현 없음. ⓑ 기저선 있음. ⓑ 기저선 없음. ⓑ 기저선 아님 - 선이 있으나 영역을 활용하. 표. ⓒ 주관적 크기와 비율 - 새와 꽃. ⓒ 새 머리는 비교적 사실적, 나머지는 추상적. 현. ⓓ 평면적 - 새- 정측면, 정면을 그림. 특. ⓖ 디테일 없음. 으로 표현. 지 않음 ⓒ 비교적 사실적 비율. ⓓ 입체적 표현(색채 원근법 – 새 머리(근경 - ⓓ 평면적 표현이지만 양 날개의 중첩표현 저채도)와 날리는 붉은 깃털(전경- 고채 ⓕ 시점 - 그림 밖, 한 곳. 징. 도) ⓕ 시점 - 그림 밖, 한 곳 친구, 형제가 나의 것을 빼앗아 가는 장면. 장 면 특 징. 새가 불을 뿜으며 화난 표정으로 날아가는 새가 화난 얼굴로 날아가는 장면 장면. → 어린이들이 겪어본 장면. → 상황이 설명되지 않고, 표정만 화가나 있 → 어린이들이 겪어보지 못한 장면. 는 새의 모습은, 상황으로 읽혀지는 그림보 다 감정이 덜 느껴졌다. 또한 표정만 화가나 있는 그림이기에, 멋있게 날아가는 모습 등 으로 읽는 어린이도 소수 있었다..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63.

(10) <표 7> ‘부끄러움’ 그림 3가지. 어린이 형식. 원본 그림. 제 3의 그림. 그 림. ⓒ 주관적 크기와 비율 - 주인공 양, 놀리 ⓒ 비교적 사실적 크기와 비율 - 주인공 양 ⓐ 도식적 반복적 표현 없음 는 양의 주관적 크기. 표 현 특 징. 을 제외한 나머지 양. ⓓ 평면적 - 전체, 그림자 없음. ⓑ 지평선 (기저선 아님). ⓔ 비사실적 원근법 - 전체. ⓓ 평면적 표현이지만 그림자 있음. ⓕ 전개도식 표현 - 주인공 양의 좌우를 접 ⓔ 원근법 - 원경과 근경 표현 으면 입체감이 표현되는 형태. ⓕ 시점 - 그림 밖. ⓕ 시점 혼재 - 내려다본 책상의 모습과 정. ⓑ 지평선 (기저선 아님) 영역을 나누는 어린이들의 기저선과 다름. ⓒ 비교적 사실적 크기와 비율 - 동물들의 신체 비율 ⓓ 평면적 표현이지만 그림자 있음 ⓔ 원근법 - 원경 표현. 면 상반신의 양들. ⓕ 시점 - 그림 밖. ⓗ 치마로 성별 표시 - 주인공 양 친구들 앞에서 발표할 때 실수해서 부끄러워 자기 몸에만 털이 없는데, 다른 양들이 둘러 돼지에게 뭔가를 들켜서 부끄러워하는 장면, 하는 장면. 장 면 특 징. → 어린이들이 겪어본 장면. 싸서 구경하는 장면. ‘남녀가 수줍게 대화 한다’, ‘돼지가 무얼 숨. → 어린이들이 겪어보지 못한 장면. 기고 있다’고 읽은 어린이도 있었다.. (이 그림을 선호한다고 선택하여 선호이유를 → 둘 뿐인 상황에서 부끄러운 것은 어린이 적은 것 중에서는, ‘웃겨서’가 14회, 부끄러 들이 겪어본 장면이었으나, 여러 명의 친구 울 것 같다는 2회였다. 이 그림은 부끄러운 들 앞에서 부끄러워하는 감정이 훨씬 부끄 감정보다 재미있다는 감정으로 많이 읽히고 러운 경험이었기에, 어린이 형식에 비해 부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짐작할 수 있었다.) 끄러운 감정이 덜 느껴지는 결과가 나왔다.. 4. 연구 결과 4.1. 해당 그림을 이전에 본 적이 있는 지 여부 ‘해당 그림과 똑같은 그림을 그림책에서 본 적이 있습니까?’라는 첫 번째 질문에 ‘본적 있다’고 답한 사람이 해당 그림의 선호도와 이해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무관하다’라는 결론이 나왔다. 이 문항의 결과는 다소 신뢰하기 힘들었다. 응답자 절반에 해당하는(99명 중 47명) 9세 응답 자들은 현재 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서, 2학년 국어활동 교과서에 실린 원본 그림책의 다른 페이지에 수록된 그림을 보여줬는데도(본 연구 원본 그림 4가지) 대부분 본적 없다는 대답이이어서 대부분이 그림책 독서를 하지 않았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연구자가 새롭 게 그린 그림과 번역된 적 없는 외국 그림책의 그림에도 ‘본적 있다’에 표시하는 사람이 소수 있다는 것은 해당 그림이 어린이들이 접할 수 있는 다른 매체로 ‘봤음 직한’ 그림이라고 짐작할 수 있었지만, 신뢰하기 어려운 부분이었다. 본적 있다고 한 그림이 선호도에서 특별히 선호, 비선호 결과에 유의미하게 이어지지 않았고, 또한 장면 설정 문항에서도 본 적 있다고 답한 그림이 해당 감정을 느끼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2. 3가지 그림의 감정 전달력 그림을 보여주고 느껴지는 감정을 고르는 4지선다 문항의 오답자 수이다. 어린이 그림과 원본 그림, 제3의 그림 중에 오답률이 가장 낮은 것은 1명 차이로 어린이 그림이었다. 어린이 그림 은 ‘놀람’을 제외하고는 낮은 오답률을 보이고 있다. 어린이 그림은 그림을 통한 감정 전달이. 64.

(11) <표 8> 그림에서 느껴지는 감정 오답자 수 – 오답자 수가 적은 그림이 감상을 통해 감정이 잘 읽어지는 (발신자 의도대로 수신자 가 느낀) 그림으로 보았다.. 놀람 합계 9세 9세 6세 6세. 여 남 여 남. (24명) (23명) (26명) (26명). 47 7 10 18 12. 어린이 그림 부끄러 화 즐거움 움 20 15 5 87 2 1 0 5 3 0 8 5 2 5 6 3. 놀람 20 1 3 7 9. 원본 그림 부끄러 화 즐거움 움 22 21 25 88 2 2 2 8 8 7 8 5 7 4 6 9. 놀람 35 3 8 13 11. 제 3의 그림 부끄러 화 즐거움 움 36 31 7 109 6 1 0 10 6 2 10 12 2 10 12 3. 합계 284 27 70 97 90. 성인이 그린 다른 그림에 비해 조금 더 정확히 이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린이 형식의 ‘놀람’은 그림에서 한 가지 감정을 고르기 힘들었다.(표 5, 왼쪽) 커다란 선물이 풍선을 타고 내려와서 놀라는 그림인데, 47명 오답자 중에 39명이 ‘즐거움’으로 답하였기 때문 이다. 이 부분은 감정별 떠오르는 장면 사전 조사 결과(표 3)에서 놀람과 더불어 ‘즐거움’ 항목 에도 ‘선물’이 있었으나 연구자가 간과한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그림, 원본 그림, 제3의 그림의 감정 오답자 수는 각각 87명, 88명, 109명이다. 원본 그림은 감정 하나하나를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책의 목적에 맞게 전체적으로 낮은 오답률을 보였고, 어린이 형식은 ‘놀람’ 그림을 제외하고는 가장 낮은 오답률이 나왔다. 제 3의 그림은 각각 다른 그림책의 스토리 중의 한 장면으로, 높은 오답률을 보였는데, 처음 그림 선택 시 원본 그림책의 동물과 감정이 일치하는 그림책을 다른 책 중에서 장면을 찾아서 발췌한 것이어서 한계가 있었다. 어린이 형식과 원본 그림은 한 가지 감정의 이해를 위해 제작 된 그림이지만, 제 3의 그림은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을 하는 스토리 안에서 해당 감정의 장면 을 발췌한 것인데, 그림이 한 가지 감정을 깨끗하게 표현하는 다른 선택지에 비해 바로 감정을 전달하는 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그림이 조금 더 오답률이 낮은 이유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묻지 않았기에, 오답자 수를 그림별로 분석하고, 선호이유에 작성된 사항들을 참고 하였다. 감상을 통해 감정이 잘 읽히는 그림은, 그 장면이 비교적 한 가지 감정을 느낄 수 있는 그림이다. 오답률이 높은(발신자의 의도와 다르게 수신자가 느낀) 그림을, 다른 질문(4.3선호 이유)의 주관식 답안을 참고하여 정리하자면, 장면이 두 가지 이상의 감정을 수반할 때(선물 때문에 놀람과 즐거움), 등장인물의 감정과 독자가 느끼는 감정이 분리가 되는 그림일 때(똥 싸며 놀라는 호랑이를 보고 즐거운 독자), 또한 직접 겪어보지 못한 장면을 보았을 때(먹자마자 배설하는 장면), 등장인물의 표정을 동작이 뒷받침 해주지 못할 때(화가 나서 눈꼬리는 올라갔 지만, 새부리의 모양은 사람 입과 달라 화난 표정인지 정확하지 않고, 편한 옷을 입고 멋지게 날아 내려가는 모습이 즐거운 것으로 보이기도 함), 상황을 여러 가지로 볼 수 있을 때(부끄러 운 얼굴을 한 양이 들켜서 놀란 감정으로 생각 되거나, 부끄러워하며 대화를 나누는 것이 즐거 운 상황이라고 느낌)이다. 그러나 이 주관식 선호이유를 통해 간접적으로, 그 그림 상황의 잘 모르겠는 감정을 자신이 겪었던 경험 중에 공통점이 있었던 경험과 연결 시켜 답을 찾으려 했던 어린이의 시도를 엿볼 수 있었다. 즉 ‘감정이 잘 읽힌 그림’은 어린이들이 ‘직접 겪어본’ 장면의 그림이다. ‘즐거움’ 그림의 경우 도토리 묘기를 부리는 장면이나 텀블링을 하는 장면보다 소풍 가서 돗자 리 위에서 가족과 함께 김밥을 먹는 장면을, 또한 ‘부끄러움’ 그림의 경우 털이 없어서 주목 받는 양이나, 돼지 앞에서 부끄러워하는 양보다는 교실에서 주목받고 놀림 당하는 그림을, ‘화’ 그림에서도 화가 난 분위기와 표정인 원본 그림이나 눈꼬리가 올라간 표정의 제 3의 그림 보다는 다른 새가 모자를 빼앗아 가는 그림에서 화난 감정을 더 잘 읽었다. 한편 연령별, 성별 오답률에서는 9세 여아, 9세 남아, 6세 여아, 6세 남아가 각각 27명, 70명, 97명, 90명으로 9세 여아가 눈에 띄게 낮은 오답률을 보였다. 9세 여아가 (발신자의 의도대 로) 그림의 감정을 가장 잘 읽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65.

(12) 4.3. 3가지 그림의 선호도 3가지 표현형식의 그림을 4가지 감정. <표 9> 그림 별 선호 응답자수 (여50, 남49, 합계 99명 중) 표현. 여 합계. 남 합계. 총 합계. 순위. 놀람. 36. 23. 59. 1. 화. 32. 17. 49. 2. 부끄러움. 27. 16. 43. 3. 즐거움. 25. 18. 43. 3. 감정. 설문지 그림. 별로 묶어서 보여주고, 선호하는 그림 을 골라 순서대로 적게 한 설문의 결과 이다. (표 9) 부분적으로 무응답도 있 었다. 선호하는 순서 3가지 중에 첫 번 째로 선택한 그림(가장 선호)의 선택자 수이다. 어린이 그림, 원본 그림, 제 3의 그림의 총 선호자 수는 각각 194명(49.9%),. 어린이 그림, 연구자. 90명(23.1%), 105명(27%)명으로 어 린이 형식의 선호도가 뚜렷하게 높게 나왔다. 반면에 하위권에는 원본 그림의 3가지 그림(‘즐거움’, ‘부끄러움’, ‘화’), 제 3. 총합 (%). 의 그림의 ‘놀람’이 있었다.. 120 74 194 (61.5) (38.1) (49.9). 1. 어린이 그림을 선호하는 여아, 남아는 120, 74명으로서 여자 어린이가 특히. 놀람. 7. 19. 26. 7. 화. 10. 13. 23. 10. 부끄러움. 11. 13. 24. 9. 즐거움. 7. 10. 17. 11. 선호하며, 9세, 6세는 각각 96, 87명으 로 비율로 9세 어린이가 조금 더 선호 하였다. 원본. 4.4. 선호 이유. 그림. 선호 이유는 전체(3가지 그림) 선호 이 유와 어린이 형식의 선호 이유로 구분 하였다.(표 10) 주관식 답안이기에, 부 분적으로 무응답과 복수 응답(두 가지 이상의 선호 이유를 서술한 응답의 경. 총합 (%). 우 모두 결과에 포함 했다.)이 있었다. 어린이가 그림책의 그림을 선호하는 전. 35 55 90 (17.9) (28.4) (23.1). 3. 놀람. 5. 6. 11. 12. 화. 6. 19. 25. 8. 부끄러움. 11. 20. 31. 6. 즐거움. 18. 20. 38. 5. 체적인 이유는 등장인물의 외모의 어떤 면이 좋아서(외모), 그 장면의 상황이 좋아서(장면), 그림을 보고 해당 감정이 잘 느껴져서(감정), 배경에 그려진 어떤 것이 좋아서(배경), 해당 그림이 다른. 제 3 의 그림. 그림보다 마음에 들어서(그림) 순서였 다(외모, 장면, 감정, 배경, 그림 순). 어린이 그림을 선호하는 사람이 눈에 띄게 많은 가운데, 선호 이유는 어린이, 성인 그림이 모두 ‘외모’이다. 본 연구. 총합 (%). 40 65 105 (20.5) (33.5) (27). 2. 에서 어린이 그림의 주인공 ‘외모’는 어린이 표현형식과 관계가 깊다. 어린이들은 단순화 하여 평면적(정면, 정측면)으로 그려졌거나, 성별을 리본이나 치마로 표현한 어린이 그림의 주인공 의 모습을 귀여워서(27회), 외모 때문에(13회), 예뻐서(10회) 선호하였다. 장면의 상황이 좋아서는 두 번째로 많은 선호이유인데, 어린이들은 어린이가 직접 경험한, 이야깃거리가 많은 장면설정특징을 적용한 그림을 선호한다. 어린이의 장면 설정 특성을 적용 한 그림은 어린이의 감정이입을 통해 발신자의 감정이 정확하게 읽혀지는데 기여하였고, ‘감 66.

(13) 정’(43회) 항목은 어린이 그림의 선호 이유로 성인 그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어린이가 언급한 중요한 특징이었다.(60%) 즉 장면 설정 특성은 선호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린이들은 어린이 그림이 특정 감정이 잘 느껴지기 때문에(34회), 즐겁고 행복해 보여서(9회) 선호 했다. <표 10> 선호 이유 (총 99명이 각자 선택한 선호 그림 4가지(감정별)에 대한 이유를 서술형으로 답변) 선호 이유. 외 모. 장 면 감 정 배 경 그 림 기 타. 전체 선호 이유/. 어린이그림 선호. 합계. 이유 / 합계. 귀여워서 외모 표정 예뻐서 멋져서 (화 그림)불꽃이 멋져서 장면 (상황 +동작) 재미있어서 (웃겨서) 그림 속 장면이 신기해서 그림에서 해당 감정이 잘 느껴져서 ‘즐거움’ 그림 外 즐거워(행복해) 보여서. 56 42 33 17 25 5 100 38 3 60 12. 배경(배경에 그려진 것들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음). 20. 마음에 들어서 (다른 그림보다) 표현이 좋아서 (부끄러움 그림)양이 많아서 (제 3의 책 부끄러움)돼지가 좋아서 나와 개인적인 공통요소가 있어서 기타. 11 7 4 11 3 6. 178. 141. 72 20 18. 24. 27 13 4 10 3 1 34 8 1 34 9 10 7 4 1 0 0 2. 58. 43. 43 11 11. 3. 어린이그림 선호 이유의 (상대적) 비율(%) 48.2 31 12.1 32.6 58.8 12 20 34 21 30.5 33.3 56.7 60 75 50 63.6 57.1 25 0 0 0. 55 61. 13. ‘그림’ 항목은 다른 그림보다 좋아서, 표현을 잘해서 등 선호이유를 쓴 답변이다. 이 답변을 쓴 사람들은 ‘그려진 무엇’ 때문이 아니라 그림 자체(전체)에 대하여 선호하는 응답이고, 그 상대적 비율은 61%로 다른 그림에 비해 높았다. 그 중에서 ‘어린이 그림 선호 이유의 상대적 비율’은 감정(43회), 그림(11회), 배경(11회) 항목에서 높았는데, 어린이 그림은 성인의 다른 그림처럼 외모(58회), 장면(43회) 때문에 선 호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렇지만 그림을 보고 해당 감정이 잘 느껴져서, 그 그림이 다른 그림에 비해 마음에 들어서, 배경에 그려진 어떤 것이 좋아서 선호 하는 사람은 다른 그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이다. ‘배경’이 좋다는 선호 이유는 어린이 그림 중 ‘놀람’ 그림에서 6명이 언급 했는데(꽃이 예뻐서 4명, 달이 좋아서 1명, 배경이 좋아서 1명), 그 비교대상으로 꽃과 풀이 그려져 있는 원본 ‘놀람’ 그림은 선호이유로 배경을 2명이 언급하였다. (물이 맑아서 1명, 숲속이 좋아서 1명)이 있었다. 도식적인 꽃이나 나무를 충분한 개수로 그린 어린이 그림 ‘즐거움’은 그 배경을 선호이유로 적은 사람이 3명 있었다. 그 비교대상 원본 그림 ‘즐거움’은 배경에 조금 단순화한 나무가 작게 한 그루만 있었기에 그 개수 차이로 인해 정확한 비교 대상이 되기 어려웠고, 그 원본 그림에 대해 배경을 선호 이유로 언급한 사람은 없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어린이 그림의 배경을 선호한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는 확실하게 알기엔 부족했다. 어린이 표현형식으로 그린 배경(도식화된 꽃, 나무, 나비 등)을 좋아하는 지의 여부를 좀 더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사실적인 꽃, 나무, 나비가 배경에 그려진 그림과, 어린이 그림의 모티브 개수와 크기 등이 비슷한 그림으로 비교 설문을 하여야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그림책의 그림 연구에서 표현방식의 선호도에 관한 선행 연구는 많았다. 하지만 모두 이미 출판되었고, 스토리와 호흡을 주고받는 그림책의 그림을 발췌하여 기법, 컬러 등을 분류하고,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67.

(14) 선호도를 물은 연구들이기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42가지 마음의 색깔」그림책 은 한 스프레드(장면)마다 다른 감정을 소개하고 설명하는 책이어서 각 장면이 분리 가능한 그림이었기에, 장면의 감정을 읽는 연구를 하기 적합하였다. 6~9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어린이 독자(6~9세, 수신자)는 성인작가가 그린 그림책의 그림보다 어린이 그림(어린 이의 장면 설정 특징과 표현형식을 적용한 그림)을 감상할 때 발신자(그림을 그린 사람)가 의도한 감정을 조금 더 정확하게 읽었다. 둘째, 위 3가지 그림의 선호도를 물었을 때, 어린이 그림을 가장 좋아한다고 선택한 비율은 49.9%로 가장 높았다. 셋째, 어린이 그림의 선호 이유 중 가장 많은 답은 등장인물의 외모인데, 어린이 독자는 단순화 하여 평면적(정면, 정측면)으로 그려진 그림의 등장인물의 모습을 선호했다. 장면의 상황이 좋아서는 두 번째로 많은 선호이유인데, 어린이들은 어린이가 직접 경험한, 이야깃거리가 많은 장면설정특징을 적용한 그림을 선호했다. 이 외에도 성인 그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인 선호 이유로, 그림을 보고 해당 감정이 잘 느껴져서(감정), 배경에 그려진 어떤 것이 좋아서(배경), 어린이 그림이 성인의 다른 그림에 비해 마음에 들어서(그림)가 있었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면 선호 이유 항목 중에 외모, 배경 항목은 어린이표현형식이 주로 영향을 미쳤고, 장면, 감정 항목은 어린이 장면설정특징이 주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린이가 직접 경험한 장면으로 장면 설정을 하는 것은, 어린이들이 작가의 감성을 조금 더 정확하게 느낄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고, 전체적으로 단순하고 평면적인 어린이 표현형식이 적용된 그림은,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주인공의 외모나 배경 표현 형식을 정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권문희 글, 그림, 『줄줄이 꿴 호랑이』, 사계절, 2005 2. 김정원, 전선옥, 이연규, 『유아문학교육』, 학지사, 2016 3. 백중열, 최현이, 이승춘, 『아동미술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7 4. 신현경, 『너의 그림에 대해 말해 주겠니?』, 청년사, 2001 5. 양경희, 『아동미술교육』, 학지사, 2013 6. 이규선 김동영 류재만 전성수 최윤재 권준범,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2012 7. 이상교 글, 남주현 그림, 『일곱마리 눈먼 생쥐가 만난 동물은?』, 톡톡수리토리 느낌표 수학동화, 2012 8. 최재영, 『미래인을 키우기 위한 아동 미술 활동의 지도와 이해』, 창지사, 2001 9. 크리스티나 누네스 페레이라·라파엘 R, 발카르셀, 남진희 옮김, 『42가지 마음의 색깔』, 레드스톤, 2013 10. Crowther, Kitty, 『Mon Ami Jim』, L’Ecole des Loisirs, 1996 11. Helene Riff, 『LA CHAUSSETTE JAUNE』, Albin Michel, 1995. 68.

(15)

참조

관련 문서

그렇지 않으면 어린이 보조 좌석 에 앉아 있는 어린이가 늘어져 있는 안전벨트를 잡 아당겨 몸에 압박을 당해서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 어린이

다른 자산에 비해 어떤 자산의 기대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 면, 그 자산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 다른 자산에 비해 어떤 자산의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비록 어린이 발육부진 수준이 낮은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성인 비만율을 보이 고 있다고 하더라도 많은 국가들에서 어린이 발육부진과 성인 비만율 모두 높다는

그림을 보고 보기와 깉이 제시하는 단어를 이용해서

[r]

단순히 필요한 제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사용할 사람을 중심에 두고 왜 필요한지, 어떤 습관 때문에 불편한지 등을 이해하게 되는

이번 수업에서는 자연으로부터 지혜를 얻은 기술들에 대해 알아보고, 어린이 생체모방공학자가 되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형극은 흥미 호기심 자극 강력한 도구 어린이 , 학부모 , 시민 위한 과학문화 확산. 예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