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 시급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 시급 *"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요 약]

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은 구조조정과 해외진출을 통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 력을 높여왔으나, 중소기업은 혁신자원의 부족으로 글로벌 스타기업의 출현이 부진함.

2 0 0 2 ~ 2 0 0 6년 동안 미국에 진출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해 본 결과, 글로 벌 역량의 축적은 글로벌 경영성과에 긍정적으로 기여함.

- 그러나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은 5점 척도를 기준으로 2 . 2 1점에 머물고 있 어 중소기업 전반에 걸쳐 글로벌 역량의 강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긴요함 을 시사하고 있음.

정부의 중소기업정책 목표는 글로벌 S M E나 혁신형 S M E보다 한 차원 높은 글 로벌 기반 혁신형 S M E의 육성에 두고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글로벌 역량의 강화를 적극 지원해야 할 것임.

- 정부는 글로벌 혁신이 중심이 되는 글로벌화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해외진출 중소기업이 글로벌 기반 혁신형 S M E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 정부는 주요국에 설립되어 있는 지원기관들을 중심으로 현지 혁신활동에 관 한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글로벌 혁신정보에 관한 중소기업의 접근성을 높여 야 할 것임.

- 중소기업은 글로벌화 과정에서 학습한 경험과 혁신자원을 체계적으로 축적하 여 성장동력 기반으로 활용하는 선순환 시스템을 구축・활용할 필요가 있음.

제3 9 6호 (2008-22) 2008. 4. 25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 시급 *

* 이영주 외,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 방안」,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 12의 주요 결과를 정리한 것임.

(2)

글로벌 역량 강화의 필요성

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은 구조조정과 해외진출을 통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경 쟁력을 높여왔으나, 중소기업은 혁신자원의 부족으로 글로벌 스타기업의 출 현이 부진함.

중소기업의 글로벌화를 위해서는 글로벌 혁신자원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성장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필수적이나,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 에 초점을 맞춘 정책 설계나 실적 평가는 많지 않음.

중소기업의 글로벌화에 대응하여 이론적으로 제시된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 량 수준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중소기업의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함.

- 실증분석은 미국 진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 0 0 2~2 0 0 6년 기간 동안 수 행한 글로벌화 활동에 관한 설문조사(2007. 10. 24~11. 19)에 기초함.

중소기업 글로벌화의 위상 변화

2 0 0 2~2 0 0 6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글로벌화 변화를 살펴보면, 여전히 넛크래커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중소기업의 수출규모는 2 0 0 6년에 처음으로 1 , 0 0 0억 달러를 넘어서는 성 과를 보였으나, 2002~2 0 0 6년 기간 동안 수출기업 수 감소, 수출비중 하 락, 수출시장 보유 중소기업 비율 하락 등 글로벌화 위상이 약화됨(<표 1>

참조) .

<표 1> 중소기업 글로벌화의 위상 변화 및 주요 특징

자료:중소기업청, 수출입은행, 중소기업중앙회, 한국무역협회.

2 0 0 2년 → 2 0 0 6년 주요 특징 수출 규모 6 8 3억 달러→1 , 0 4 1억 달러 최초 1 , 0 0 0억 달러 초과

수출 비중 42.0% → 3 2 . 0 % 수출비중 하락 및

수출저변 약화 수출 중소기업 수 3 0 , 5 3 8개사 → 2 4 , 6 9 0개사

1 0 0만 달러 미만의 수출업체 수 비중 7 0 . 9 % ( 2 0 0 6년) 수출구조의 영세성 수출시장 보유 제조업체 비중 18.1% → 1 6 . 3 % 글로벌 시장 기반 약화

주력 수출시장 미국, 중국 → 중국, 아세안 개도국 시장에 주력

주력 수출업종 전기전자, 섬유류 → 전기전자, 기계류 중화학공업 주도 해외투자 건수 비중 61.8% → 4 8 . 0 %

투자 규모의 영세성 해외투자 금액 비중 25.9% → 3 0 . 8 %

(3)

- 이는 수출 중소기업들이 중국 등 후발개도국의 추격에 따른 해외시장 상 실과 함께 원/달러 환율의 급락, 원자재 수급 불안, 유가 급등 등 외부 환 경 요인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임.

중소기업 글로벌 역량의 수준 평가

2 0 0 2~2 0 0 6년 기간 동안 글로벌화 위상 저하가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 약화로 이어지고 있는지를 보기 위해 글로벌 역량에 관한 분석을 실시함.

- 이를 위해 글로벌 역량을 구성하는 2 4개 자원을 선별하고 이 기간 중 자 원변화의 정도에 기초하여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을 식별하는 주성분 요인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함.

- 분석 결과,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은 현지학습 및 본사와의 협력 역량, 글로벌 경영자 역량, 자원보유 역량, 외부자원 활용 역량, 현지사업 역량 등 다섯 개 유형으로 나타남(<그림 1> 참조) .

1 )

0 3

1) 주성분요인분석 결과는 이 영주 외,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 방안」, 108쪽 참조.

<그림 1> 글로벌 역량의 유형화

글로벌 기회/위협 식별

경쟁우위 자원 보유

현지 부가가치 활동 전개

보완 자산의 학습, 개발, 공유

부족 자원의 외부 조달 활용

글로벌 경영자 역량

자원보유 역량

현지 사업 역량

현지학습 및 본사와의 협력 역량

외부 자원 활용 역량

글로벌 역량

2 0 0 2~2 0 0 6년 기간 동안 글로벌화 과정에서 중소기업 글로벌 역량의 변화 는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남(<표 2> 참조) .

2 0 0 6년 기준으로 중소기업 글로벌 역량을 측정한 결과는 5점 만점 중 2 . 2 1 점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글로벌 역량의 배양을 위한 중소기업과 정

(4)

부의 노력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함(<표 3> 참조) .

- 5개 세부 역량 중 글로벌 경영자 역량이 2 . 4 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현지 학습 및 본사와의 협력 역량은 글로벌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큼에도 불구하고 수준이 2 . 0 5점으로 낮게 나타남.

<표 2> 글로벌 역량의 변화가 글로벌 경영성과

1 )

에 미치는 영향(다중회귀분석 결과)

주:1) 글로벌 경영성과는 수출규모, 점유율, 수익성 등을 측정한 결과에 대해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

주:2) 2002~2 0 0 6년 동안 글로벌 기반 혁신활동의 유무로 구분한 더미변수.

주:3) 선진국 시장에서 학습한 기술, 지식 등이 본사 혁신활동에 도움을 준 정도로 5점 척도로 측정.

주:4) 불리함(foreignness), 새로운 시장진출에 따른 불리함(newness), 규모의 영세성( s m a l l n e s s )에 따른 불리함 등을 고려한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

주:5) 추정 값의 유의확률 수준:* * *는 1% 이하, *는 10% 이하를 각각 의미.

베타 계수5) 다중공선성 검증

공차한계 팽창계수(VIF)

상수항 - - -

글로벌 역량

현지 학습 및 본사와의 협력 역량

-0.26

*** 0.805 1.242

글로벌 경영자 역량

-0.23

*** 0.874 1.145

자원보유 역량

-0.25

*** 0.951 1.052

외부자원 활용 역량

-0.14

*** 0.961 1.041

현지사업 역량

-0.29

*** 0.901 1.110

혁신활동2)

-0.07

* 0.865 1.157

글로벌 학습의 본사 혁신활동 기여도3) -0.10*** 0.953 1.050 글로벌화 구조적 제약 요인4)

-0.25

*** 0.704 1.421

모형적합도 F=41.4*** - -

<표 3> 중소기업 글로벌 역량의 수준

단위:점

세부 역량 유형별 글로벌 역량 총 글로벌 역량

현지학습 및 본사와의 협력 역량 2.05

2.21

글로벌경영자 역량 2.48

자원보유 역량 2.34

외부자원 활용 역량 1.80

현지사업 역량 2 . 3 7

글로벌 역량과 글로벌 혁신활동에 의한 정책 적용대상 식별

글로벌 역량의 고저와 글로벌 혁신활동의 유무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조사대상 중소기업이 글로벌 기반 혁신형, 글로벌형, 혁신형, 내수기반형의

(5)

4개 집단으로 구분됨을 보여줌(<표 4> 참조).

- 글로벌 역량과 글로벌 혁신활동은 정책 적용대상 중소기업을 식별하는 데 유효한 기준이 되며 글로벌 발전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근거로도 활용 함(<그림 2> 참조).

4개 중소기업 집단의 글로별 역량을 산정한 결과, 글로벌 기반 혁신형 SME 의 글로벌 역량이 2.51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그림 3> 참조).

- 이 중 글로벌 기반 혁신형 SME는 본 연구에서 새롭게 식별되고 있는 중 소기업 집단이며, 기존의 정책 대상인 글로벌 중소기업이나, 혁신형 중소 기업보다 우수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특징을 보임.

05

<표 4> 글로벌 역량과 글로벌 혁신활동을 통한 정책 적용대상의 구분

1)

주:1) 카이스퀘어 독립성 검증 결과, 1% 이하의 유의확률에서 4개 집단 간 구분의 독립성이 확인됨.

주:2) 글로벌 역량의 전체 평균을 기준으로 고/저의 양 집단으로 이분함.

주:3) 2002~2006년간 글로벌시장 기반의 혁신활동을 수행한 경험의 유무로 중소기업을 이분함.

글로벌 역량2)

글로벌 혁신활동3)

91개사(23.0%)

혁신형 SME

177개사(44.8%) 글로벌 기반 혁신형 SME

66개사(16.7%)

내수기반형 SME

61개사(15.5%) 글로벌형 SME

<그림 2> 정책 적용대상 집단별 순차적 글로벌 발전 경로

주:화살표는 글로벌 기반 혁신형 기업으로의 발전 경로를 나타냄.

혁신형 중소기업

***

(91개사, 23.0%)

글로벌 중소기업

***

(61개사, 15.5%)

글로벌 역량

글로벌기반

혁신

내수기반형 중소기업

***

(66개사, 16.7%)

글로벌 기반 혁신형 중소기업

***

(177개사, 44.8%)

(6)

정책 기본 방향:글로벌 기반 혁신형 SME 육성

정부는 글로벌 기반 혁신형 중소기업의 육성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정책 지원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

혁신성이 부족한 글로벌화 정책이나 글로벌화가 부족한 혁신지원 정책만으 로 목표달성이 어려우므로 글로벌화와 혁신정책 간 연계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임.

- 이노비즈 지정 시 글로벌 지향성을 중시하고 해외수요 창출 및 확보 가능 성을 감안한 R&D 지원사업 선정 등이 필요함.

현지 진출기업은 글로벌화 과정의 학습과 경험들을 체계적으로 국내의 본사 로 이전하는 체제를 갖추어 성장 동력의 확충을 위한 혁신 자원 기반으로 활 용해야 할 것임.

글로벌 발전경로에 따라 지원정책의 차별화 필요

중소기업이 글로벌 발전 비전에 도달하는 경로를 세분하여 지원방안을 강구 해야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을 감안한 차별적 지원이 가능함(앞의 <그림 2> 참조).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글로벌 SME나

<그림 3> 정책 대상 집단별 수출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 비교 단위:점

주:***의 경우 ANOVA 분석 결과, 4개 집단의 글로벌 역량의 차이가 1% 이하의 유의 확률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의미함.

2.51

***

2.40

***

1.85

***

1.71

***

0.00 0.50 1.00 1.50 2.00 2.50 3.00

글로벌기반 혁신형

SME 글로벌 SME 혁신형 SME 내수기반형 SME

(7)

혁신형 S M E가 글로벌 기반 혁신형 S M E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 현지학습 및 본사와의 협력 역량, 글로벌 경영자 역량이 더욱 주효한 것으 로 나타남(<표 5> 참조) .

- 따라서 정부는 글로벌 마인드를 가진 글로벌 경영자들이 글로벌 혁신자 원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지원하여 현지 학습 경험이 본사의 혁신활 동을 위한 원천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함.

2 )

0 7

2)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 영주 외,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 방안」, 제V I장 참조.

<표 5> 글로벌 발전 경로별 글로벌 역량의 중요도

1 )

단위:점

주:1)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글로벌 역량을 5점 척도로 환산한 결과이며, 점수가 클수록 해당 발전 경로에 도달하는 데 해당 글로벌 역량이 주효함을 나타냄.

글로벌 역량의 세부 유형

정책 대상의 글로벌 발전 경로

중요도 글로벌→글로벌 합계

기반 혁신형

혁신형→글로벌 기반 혁신형

내수기반형→

글로벌

내수기반형→

혁신형

현지학습 및 본사와의 협력 역량 5 5 2 1 13

글로벌 경영자 역량 4 4 3 4 17

자원보유 역량 1 2 1 2 6

외부자원 활용 역량 2 1 4 3 10

현지사업 역량 3 3 5 5 1 6

글로벌 S M E의 경우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장기 거래관계를 토대로 파트너 의 혁신자원에 대한 학습기회를 활용하여 현지학습 및 본사와의 협력 역량 을 강화시켜 나갈 경우 글로벌 기반 혁신형 S M E로 발전 가능함.

혁신형 S M E의 경우 혁신 잠재력이나 해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글로벌 지 향성을 강화하면서 혁신성과에 대한 해외수요를 확보해 나가는 것이 중요함.

- 혁신형 S M E가 글로벌 기반 S M E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자원보유 역량이 중요도가 낮다는 사실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검증 없이 자원의 양적 확대 를 지향하는 정부의 지원이 유효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함.

- 따라서 정부는 혁신형 중소기업의 수적 확대보다 거대 수요를 가지고 있 는 글로벌 시장 기반의 학습과 혁신을 활용하여 글로벌 검증을 거치도록 지원하여 글로벌형 스타 중소기업의 육성을 지향해야 할 것임.

수출과 투자의 조화로운 글로벌화 지원 강화

글로벌 기반 혁신형 S M E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수출 중심에서 투자

(8)

진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함.

- 이는 글로벌 역량이 높은 중소기업들은 수출보다 투자진출을 통해 글로 벌 경험과 혁신활동을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임(<그림 4> 참조).

3)

- 글로벌 기반 혁신형 SME의 86.3%는 단독투자진출 형태의 글로벌화 전 략에 적합한 중소기업으로 분류되고 있어 투자를 통한 현지진출의 중요 성을 시사하고 있음(<표 6> 참조).

3) 러그만(Rugman)의 모형을 적용하여 글로벌 전략을 분석한 결과, 글로벌 역량이 높고 글로벌화 구조적 제약이 약한 글로벌 기반 혁신형 SME에 적합한 전략은 투자진출인 것으로 나타남.

<그림 4> 중소기업 글로벌 역량에 따른 글로벌화 전략 대안

주:러그만의 모형을 적용하여 중소기업의 글로벌 전략을 분석한 결과이며, 4 개 전략대안에 대한 중소기업 집단의 구분은 χ2독립성 검증에서 1% 유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전략적 제휴를 통한 해외진출

***

(82개사, 23.0%)

합작투자를 통한 해외진출

***

(42개사, 15.4%)

본국 기반 수출 중심

***

(75개사, 16.8%)

투자진출 글로벌화

***

(194개사, 45.0%) 글로벌화

구조적 제약

글로벌 역량

<표 6> 정책 대상별 글로벌화 전략대안에 관한 교차분석

단위:%

정책 대상

글로벌화 전략대안

합 계 글로벌화 추진 전략 대안 본국중심

수출형

합작투자

주력형 전략적 제휴형 단독투자 주력형

내수기반형 SME 51.5 0.0 48.5 0.0 100 수출 주력 & 전략적 제휴 혁신형 SME 45.1 0.0 54.9 0.0 100 전략적 제휴 주력 & 수출

글로벌 SME 0.0 29.5 0.0 70.5 100 투자진출 주력

글로벌 기반

혁신형 SME 0.0 13.7 0.0 86.3 100 투자진출 주력

전 체 19.0 10.7 20.9 49.4 100 수출과 투자의 조화

(9)

정부는 중소기업들이 수출을 통해 습득한 경험과 학습자원이 전략적 제휴, 합작투자, 단독투자 등과 같은 글로벌 심화형 비즈니스 모델과 결합될 수 있 는 정책 로드맵을 정착시켜 나가야 할 것임(<그림 5> 참조).

- 정부는 중소기업의 투자진출 활성화를 위해서 중소기업들이 실감하는 글 로벌화의 구조적 제약 요인을 구체화하여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수 단을 강구해야 할 것임.

- 현지의 이질적인 법제도, 상관습, 관행 등으로 인한 구조적 제약요인이 현 지에서 접수되면, 현지 지원기관들이 연계하여 애로요인을 해소하는 지 원체제의 가동이 필요함.

- 중소기업은 투자진출에 의한 현지 법인의 설립을 통해 현지 학습 경험과 글로벌 고객의 혁신 수요를 모니터링하고 관련 경험과 정보를 본사로 이 전하는 전초기지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

현지 경험과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혁신형 SME의 경우 글로벌화 구조 적 제약은 작지만, 글로벌화를 위한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 선진국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활용하여 부족한 역량을 키워 나가면서 점차 글로벌 기반 혁신형 SME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강 구하는 것이 바람직함.

- 혁신형 SME의 혁신 역량이 글로벌 파트너의 경험・지식과 결합될 수 있 도록 유도함으로써 글로벌 기반 혁신형 SME로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음.

글로벌 역량은 확보되어 있지만, 글로벌화의 구조적 제약이 큰 특성을 보이

09

<그림 5> 글로벌 기반 혁신형 SME 육성을 위한 발전 로드맵

전략적 제휴

전략적 제휴

투자진출 글로벌 기반 혁신형SME

수출 수출

혁신형 SME

글로벌 SME

내수 기반형 SME 수출 투자

(10)

고 있는 글로벌 S M E의 경우,

- 기존의 수출경험을 합작투자로 심화시켜 현지 파트너의 경험과 지식을 학습함으로써 자신의 구조적 제약을 해소하면서 글로벌 기반 혁신형 S M E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요구됨.

글로벌 기업가 정신의 확충 지원 필요

글로벌 학습 및 혁신은 중소기업 C E O의 능력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글로 벌 기업가정신을 확충하기 위한 정부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임.

- 한정된 내수만으로 혁신 수요기반의 역할을 하기 힘든 첨단 부품소재의 경우 글로벌 기업가정신이 강화되어야 글로벌 네트워크 편입이 가능한 글로벌 기반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음.

- 따라서 첨단 부품소재, 산업소재 등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크지만 글로벌 지향성이 낮은 중소기업 C E O나 임원진에 대해서는 글로벌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함.

중소기업의 C E O는 글로벌 학습 경험의 조직 내 확산을 위한 조직 시스템 구축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임.

- 장기 거래관계에 있는 글로벌 파트너의 수요를 충족하는 과정에서 다양 한 형태의 글로벌 학습과 혁신의 기회가 창출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체계 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운용이 필요함.

- 글로벌 비즈니스 과정의 다양한 학습 내용이 개별적인 획득에 그치지 않 고 기업 본사에 광범위하게 이전되기 위해서는 표준화 및 매뉴얼화가 요 구됨.

- 중소기업의 C E O는 글로벌 담당자들과의 정기적인 회의에 적극 참여하여 글로벌 학습 자원의 조직 내 도입 가능성을 모니터링해 나가야 할 것임.

글로벌 혁신 자원에 대한 접근성 강화 지원

글로벌 역량의 개발(exploration) 없이 활용( e x p l o i t a t i o n )에만 치중하는 경우 중장기적으로 내부 혁신자원의 고갈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글 로벌 혁신정보의 활용과 혁신역량 개발을 지원해야 함.

해외 주요 지역에 위치해 있는 중소기업 지원기관들이 글로벌 혁신활동을

(11)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강화하여 다국적기업의 2, 3차 벤더들의 혁신활동 정 보를 지속적으로 축적해야 함.

- 이는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구매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지 못할 경우 글 로벌 혁신활동의 동향이나 혁신자원의 내역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아 글로벌 기반의 혁신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임.

- 현지 지원기관은 한국 업체와 협력 추진의지를 가진 현지 업체를 포착, 현지 전문가와 함께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중소기업과 연결 해 주는 혁신지원 창구로서 자리매김해야 할 것임.

글로벌화 지원이 공공기관에 의한 대행 지원이나 비용 보조보다 중소기업이 자기책임하에 직접 참여하면서 상호 간 경험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는 중소기 업의 실행 학습이 활성화될 수 있는 체제를 강화해야 할 것임.

글로벌 역량의 정기적 점검 및 진단 프로그램 개발

중소기업의 업종별, 규모별 글로벌 역량을 정기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글로

1 1

<표 7>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와 중소기업의 역할

정책 과제 정부의 역할 중소기업의 역할

글로벌 기반 혁 신형 SME 육성

・글로벌화 정책과 혁신 정책의 연계 지원 강화

・이노비즈 지정시 글로벌 지향성 중시

・R&D 지원시 글로벌 수요 확보 가능성 고려

・글로벌화와 연계한 부품소재 중소기업 육성

・글로벌 학습 및 혁신자원의 성장동력화

・글로벌 수요를 바탕으로 하는 혁신활동 전개

・최적 글로벌 발전 경로 선택

수출과 투자진 출의 조화로운

지원

・투자 여력을 갖춘 중소기업의 선별 지원

・글로벌화 구조적 제약요인의 구체적 식별 및 최소화 를 위한 지원기관 간 연계지원 체제 확충

・수출・전략적 제휴・투자진출 등 점진적 글로 벌 심화 및 비즈니스 모델의 다양화

글로벌 기업가정신

확충

・글로벌 잠재력을 갖춘 중소기업 대상의 교육 과정 개

・글로벌 학습 결과의 매뉴얼화 지원

・글로벌 기업가 특성 연구

・글로벌 학습 결과의 조직 내 확산 시스템 구 축 투자

・글로벌 학습내용의 문서화 및 매뉴얼화

・글로벌 점검 회의 참석 및 글로벌 동향 정기 적 모니터링

글로벌 혁신 자원 접근성

강화

・현지 지원기관의 현지 혁신활동 모니터링 기능 강화

・협력 희망 현지 업체 발굴, 예비타당성 조사, 국내 중 소기업과 연계 역할 제고

・단계적・실행 학습 중심의 지원 사업 추진 및 지속적 사후관리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한 글로벌 학습 전초기 지 구축

・장기거래관계를 기반으로 글로벌 파트너의 혁신자원 학습

글로벌 역량별 차별적 지원

・글로벌 역량의 정기적 점검 및 정책 평가 피드백 활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과 글로벌화 의지 진단 시스 템 개발 및 정책 활용

・자신의 글로벌 역량에 적합한 글로벌 발전 로드맵 수립

(12)

참조

관련 문서

Pizza 도 중국시장에의 진출을 통해 매장확대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는 추세에 있음(지역별 특수화, 고급화, 철저한 현지화

높아지고 있는 국제곡물시장의 불안정성과 해상운임의 상승 등으로 인해 유발되고 있는 사료가격의 상승위험으로부 터 축산농가의 경영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 (글로벌 가치사슬의 수출낙수효과)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확대 에 따른 생산가능지식 확충 및 기업의 생산성 증가는 산업 내 중소기업의 수출과 내수판매 확대에

- 인프라 자산은 기본적으로 대체가 불가능하고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요의 탄력성 낮다 (경제적으로 많은 환경변화가 일어나도 인프라

2장 글로벌 e-비즈니스와 협업 비즈니스 정보시스템의 종류..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사전접근 판매제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고객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받는다. 판매사원은 자신의 소개와 아울러 회사의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 잘 작동하는 경영관행, 조정 및 통제 방법은 일본이나 중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비효과적이거나 심지어는 모욕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자료: 테슬라,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한국무역협회,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두번째는 소프트웨어 2.0의 도입이다. 더 큰 문제는 실제 운전 상황과 같이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