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LI 아동과 정상아동 어머니의 대화 형태 비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SLI 아동과 정상아동 어머니의 대화 형태 비교"

Copied!
4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LI 아동과 정상아동 어머니의

대화 형태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 어 병 리 학 협 동 과 정

(2)

SLI 아동과 정상아동 어머니의

대화 형태 비교

지 도

숙 교 수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논 문 으 로 제 출 함

2001년

6월

연 세 대 학 교 대 학 원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3)

박은미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연 세 대 학 교 대 학 원

2001년

6월

(4)

감 사 의 글

본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세심한 지도와 격려 아끼지

않으신 박은숙 지도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부족한

논문을 지도하여 주시고 많은 조언을 해주신 신지철 교수

님, 배소영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기꺼이 장시간 실험에 참여해주신 어머님들과

연구 대상을 알선해주시고 도움 말씀 주신 소아정신과 이

호분 선생님께도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늘 가까이에서 도

움 주신 지은 언니, 민정 언니, 고생스러운 신뢰도 작업에

동참해준 정현 언니, 성지은, 임애리에게 감사의 마음 전합

니다. 영문 초록 수정 작업에 도움 준 미경 언니와 그밖에

어렵고 힘든 시간에도 늘 함께 해온 동기님들, 많은 격려

아끼지 않았던 후배님들, 선배님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무엇보다 모자란 것 많은 딸 위해 고생스러움 마다하

지 않으시고 뒷바라지 해주신 부모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

니다. 또한 언제나 곁에서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준 김정민

씨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저 자 씀

(5)

국문 요약

1

Ⅰ . 서

3

Ⅱ . 대 상 및 방 법

9

1. 연구 대상

9

2. 연구 방법

12

가. 실험 절차

12

나. 자료의 수집

13

다. 자료의 분석

13

(1) 어머니 발화 분석

13

(2) 아동 발화 분석

14

라. 자료의 수집과 분석에 대한 신뢰도 검증

16

(1) 전사 신뢰도

16

(2) 자료 분석에 대한 신뢰도

16

마. 통계적 검증

16

Ⅲ . 결

17

1. 어머니의 대화 형태 비교

17

가. 평균발화길이

17

나. 의미적 연결성

19

(6)

다. 지시성

22

2. 아동의 대화 형태 비교

24

가. 아동의 총발화수

24

나. 의미적 연결성

24

3. 어머니와 아동간 의미 영역에서의 상관관계

25

Ⅳ . 고

26

Ⅴ . 결

32

참고 문헌

34

A b str a ct

38

(7)

그 림

차 례

그림 1. 어머니 발화 200개에서 차지하는

의미적 비연결 발화, 연결 발화, 주제개시 발화의 비율

20

표 1. 아동들의 생활연령과 수용/ 표현언어 연령, 평균발화길이 분포 11 표 2. 어머니께 드리는 주의사항 12 표 3. 분석 항목 15 표4.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와 아동과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 차이 17 표 5. 아동과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와 아동과 어머니간 평균발화길이 차에 대한 개인별 정보 18 표 6. 어머니 발화 200개에 대한 의미적 부수 관계의 항목 19

(8)

표 7. 어머니의 아동 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의 빈도수 에 대한 개인별 정보 21 표 8. 어머니의 아동발화에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 빈도수 22 표 9. 어머니의 시험 질문, 명령이나 지시, 주의집중 요구와 총합 23 표 10. 어머니의 정보요구질문 빈도수와 총질문수 23 표 11. 아동발화수 24 표 12. 아동의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 빈도수 24 표 13. 의미 영역에서 어머니와 아동 대화 형태간의 상관 관계 25

(9)

국 문 요 약

S LI 아동과 정상 아동 어머니의 대화 형태 비교

아동에게 노출되는 언어적 환경은 아동의 언어 습득 및 발달에 중요한 역 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정상 발달하는 아동과는 달리 단순언어장애(S LI) 아동 들은 어떤 기질적 원인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연령에 비해 지체된 언어능 력을 보이게 되며, 이에 따라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는 정상아동 어머니와 는 다른 대화 형태를 보일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언어 장애 아동과 어머니 10쌍과 언어연령을 맞춘 정상아동들과 어머니 10쌍을 대 상으로 하여 자연스러운 놀이상황에서의 대화형태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어머 니 발화를 평균발화길이, 의미적 연결성, 지시성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아동 발화 또한 발화수와 의미적 연결성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아동간 대화 형태의 상관 관계를 살펴 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와 아동과의 평균발화길이 차에서 단순언어장애군 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2. 의미 영역에서 어머니의 대화형태 분석 결과, 단순언어장애군 어머니의 경우 정상아동 어머니에 비해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 빈도수가 유의하게 더 높 았다. 즉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는 보다 어머니 주도적인 대화 형태로 놀이 를 이끌어 가고 있었다. 3 . 지시성 영역에서 어머니의 지시적 발화에 속하는 어떤 유형도 단순언어 장애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의 총질문수나 어머니의 정보요구 질문 빈도수에서도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 아동의 대화형태 분석 결과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비연결 발화 빈

(10)

도수 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5 . 아동의 비연결 발화가 어머니의 비연결 발화나 무반응과 모두 통계적으 로 의의 있는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으로 단순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일 경우 어머니 주도적인 대화 형태를 띄었지만 마찬가지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에도 비연결 발화 사용이 더 많아서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이 한쪽의 일방적인 흐름으로 이루어지기보 다는 서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로 인해 임상현 장에서 단순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대화형태에 대한 관찰과 이에 대한 어머니 교육이 아동의 치료 예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특히 의미 있었던 점은 생활연령으로 집단간 짝을 이루게 한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언어능력이 같은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새로운 각도에서의 해석이 가능했던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아동의 형제관계나 어머니와의 평균놀이시간에 대한 변수 를 통제하기 위한 좀더 세심한 실험 설계가 요구되며 비연결 발화나 무반응 이외에 연결발화의 세부적 유형 분석도 필요할 것이다. 핵 심 되 는 말 : 단순 언어 장애, 어머니의 대화 형태, 의미적 연결성, 어머니와 아동의 상호작용.

(11)

S L I 아 동 과 정 상 아 동 어 머 니 의 대 화 형 태 비 교

< 지도교수 박 은 숙 >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박 은 미

Ⅰ . 서 론

단순언어장애(specific lan gu age im pairm ent )를 가진 아동들은 청력손실이나 신경운동학상의 결함이 없으며 정상 또는 정상 이상의 지적능력을 보이고 정서장 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기술의 습득에 특히 지체를 나타낸다. 이러한 아 동들은 이해능력에 장애가 있거나 자기의 인지능력에 부적합하게 언어를 사용한 다. 그리고 자발적 언어의 패턴이나 언어사용에 대한 공식적 검사 및 관찰상에서 결함을 보인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특히 언어의 문법적인 면과 낱말의 습득에서 문제를 보이는데, 첫 낱말 시작이 늦는 아동들이 있는가 하면 낱말 조합이 느리고 문법적 형태소들의 오류, 수동태 등의 구문에서 어려움을 보이기도 한다.1 )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아동에게 노출되는 언어적 환경이 아동의 언어능력 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는데,2 ) 특히 부모 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아동의 언어 발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해서 어머니의 언 어특징이 아동의 언어습득 및 발달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는데 의견이 일치된 다.3 ,4 ,5 ,6 ) 아동의 어머니는 자신의 말, 언어 패턴을 아동과 이야기하는 동안 체계적 으로 바꾸어 사용하는데7 ) 정상발달아동과 대화하면서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특

(12)

징은 어른과 대화할 때보다 통사적, 의미적으로 훨씬 짧고 느리고 분명하게, 구체 적으로, 반복적으로 말하며, 과장된 억양으로 음도와 강세를 조절하고 주제를 지 금 여기 로 제한시키고 다른 화용담화적 기능의 변화를 제한하는 것 등으로 요약 될 수 있다.8 ,9 ) 반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머니는 앞서 열거한 정상아동 어머니 의 언어특징들과 다른 차이점를 나타내 보일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 차이는 부모와 아동이 상호 의사소통하는 전략에서 기인할 수 있는데 이는 크게 두 가지 로 나뉜다. 첫째, 부모의 의사소통 반응이 아동의 말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두번 째로 아동의 언어학습이 부모의 의사소통 행위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두가지 전략이 상호작용한다고 보고하고 있다.4 ) 즉 단순언어장애 아동일 경우 소극적이고 비자발적인 의사소통 참여로 인해 어머니에게 정상아동 어머니와 다 른 상호작용 특징들을 야기시킬 수 있다. 게다가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전략은 보다 간단하지가 않다. 왜냐하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아동 의 생활연령에 비해 언어연령이 뒤떨어지게 되는데, 그 사이에 생기는 격차는 어 머니와의 대화 시에 아동의 어머니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어머니는 아동의 언어연령에 맞춰서 아동에게 말을 해야할 지 아동의 생활연령에 맞게 말을 해줘야할 지 선택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한다. 이로 인해 단순언어장애 의 어머니는 정상아동의 어머니와는 다른 의사소통 특징을 보일 수 있다.10 ,1 1 ) 실제로 몇몇 연구들에서 어머니들과 단순언어장애 아동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문제가 될만한 유형이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이러한 어머니들의 상호작용 스타일 은 아동의 언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가능하다면 수정되어야 한다 는 점에서 공통된 의견을 가진다.4 ,12 ,13 ) 물론 어머니의 특정한 의사소통 행동이 아 동의 언어습득에 문제를 야기시킨다는 어떠한 증명된 사실도 없으며, 더욱이 의사 소통의 상호작용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반드시 어머니만이 아동에게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치리라는 법은 없으므로 결과 해석의 주의를 요하는 것은 사실이다. 12 ) 그러나 반드시 단순언어장애의 원인으로 아동의 언어적 환경, 어머니의 언어모형 을 의심할 수는 없을지라도, 아동의 언어적 환경을 단순언어장애의 언어발달을 방 해하는 요인으로 추정하는 것은 가능하다.1 4 ) 그리고 비록 어머니에게 아동의 언어 지체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는 없을지라도 어머니의 상호작용방법을 변화시킴으

(13)

로써 아동의 언어적 환경을 보다 효과적으로 창출해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언어 치료 프로그램의 일원으로서 부모의 참여가 성공적인 치료의 관건이 될 것이다.12 ) 아동과 상호작용시 어머니의 대화유형은 미세 조정(fine - tuning )이라는 용어 아 래 설명될 수 있는데 미세 조정이란 아동에게 주어지는 언어적 자극과 아동이 생 각하고 있는 것의 사이를 좁힘으로서 아동의 언어 이해와 습득을 돕는 것을 말한 다.15 ) 통사적인 영역에서의 미세 조정에 관한 연구들은 논쟁거리가 되어왔는데, F u r r ow 와 N elson1 6 )의 연구와 Gleitm an 등1 7 )의 연구에 의하면 통사적 복잡성에 관 한 미세 조정 유무에 대한 의견이 일치되지 않았다. 그리고 New port 등1 9 )은 정상적일 경우 어머니들이 아동의 통사적인 수준에 맞 추어 더 짧은 문장으로 말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덜 복잡한 문장을 쓰는 것은 아 니라고 보고하였다.1 5 ) 18개월에서 24개월 사이의 정상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F u r r ow 등19 ) 의 연구나 S eit z와 St ew art2 0 )의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아동이 한 말보 다 약간 더 긴 정도로 발화의 길이를 줄여서 아동에게 말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 다. P aul과 E lw ood14 )의 연구에서는 어머니 발화와 또래 아동발화의 평균길이 차에 서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가 유의하게 더 큰 수치를 보인다고 하였다. Bon dur an t 등1 8 )은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또래의 정상아동의 비교에서 후자 쪽의 집단일 경우 더 높은 평균발화길이를 보여주었다고 하였다. 다음으로 더 중요한 미세 조정 영역은 아동발화에 대한 어머니 발화의 의미적 연결 여부와 관련된다. Snow2 1 )에 따르면 정상적 어머니 발화의 대부분은 아동의 언어적 목록 내에 있는 의미적 연관성을 지닌다고 하며 아동의 행동이나 말에 대 해 더 자주 말을 한다고 하는데 이를 의미적 부수 발화(sem antic contin gency )라 고 하였다.2 2 ) 이러한 의미적 부수 발화의 분류는 연구자들마다 제각기 다르다. F ar r ar2 3 )는 이전 발화의 핵심적 사건과 의미는 그대로 두면서 문장구조를 변화시 키는 재조정 발화(r ecast ), 아동의 한 말의 일부를 써서 다시 들려주는 확장 (ex p an sion ), 주제 유지(t opic con tinu at ion )의 세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서 아동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살펴 보았다. P aul14 )

은 20- 34개월의 표현언어장 애 아동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모방(im it ation ), 문법적 확장(expan sion ), 의미적

(14)

확장(ex ten sion ), 아동 활동에 관한 언급(r efer en ce to child activity )의 분류를 사 용하였는데, 통제 집단에 비해 문법적 확장(ex pan sion )과 의미적 확장(ex t en sion ) 의 빈도수가 떨어진다고 하였으나 아동발화수와 비율적인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 었다. 그리고 S cher er와 Olsw an g7 )

은 확장(ex pan sion )이라는 하나의 변수만을 고 려한 연구를 하여 확장의 아동의 언어습득에 관한 긍정적 효과에 대해 기술하였 다. Nelson과 Denning er2 4 )

의 연구에서는 22개월된 아동들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복잡한 재조정(com plex r eca st )과 주제 변화(topic chan ge )나 모방(im it ation )보다 간단한 재조정(sim ple r ecast s )과 지속(continu ation )이 정상아동의 언어발달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았다. 이 때 단 하나의 요소만 바꿀 경우 간단한 재조정 이라고 하고, 의미에서는 그대로 유지되나, 두 개 이상의 주요한 요소들에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복잡한 재조정이라고 하였다. 또한 Conti- R am sden8 )은 연구 결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어머니일 경우 언어연령 2:3세의 통제집단 아동의 어머 니에 비해 복잡한 재조정(com plex r eca st s )의 저조한 사용이 확인한 반면, Con ti - Ram sden 등1 1 )의 연구에서는 언어연령으로 맞춘 1:10- 3:1세의 통제집단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머니가 더 적은 간단한 재조정(sim ple r ecast )를 사용한다 는 것을 알았다. 이렇듯 지금까지 살펴본 연구 결과의 핵심은 아동발화에 응하는 어머니의 의미적 부수 발화의 개념 아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아동 발화와 어머니 발화의 의미적 부수관계 외에 La sky와 Klopp4 ) 연구나 W ulbert13 )의 연구에서 보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머니들일 경우 정상아 동 어머니들보다 아동 말에 의미적으로 연결된 발화를 더 적게 사용할 뿐 아니 라 질문이나 명령 같은 더 지시적인 말을 많이 사용한다고 하여, 상호작용 유형이 지시적인지 비지시적인지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밖에 W hit e와 W h it e2 7 ) , 그리고 K ay e와 Ch ar n ey2 8 )의 연구, F urr ow 등19의 연구에서도 어머니의 명령이 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서 모두 일관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M cDon ald와 P ein2 5 )

의 연구, Ols en - F ulero2 6 )의 연구에는 지시적인

어머니의 발화에는 시험적인 질문이 많이 포함되는 반면, 반대로 대화중심적인

어머니의 경우에는 정보요구 질문의 수가 많다고 하여 질문의 종류에 따른 구분 도 중요하게 여겨졌다.

(15)

그러나 다음과 같이 정상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들간의 차이를 발견 하지 못했던 연구들도 있다. Cunin gham2 9 )은 의사소통 수준, 반응성이나 통제하기, 칭찬하기 측면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또래의 통제집단간의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Con ti - Ram sden 과 F r iel - P at ti8 )

또한 요구하기, 주장하기, 지시하기, 대답하기, 통제하기의 분류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집단간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 다. Lasky와 Klopp4 ) 은 27- 45개월된 아동집단과 같은 언어연령의 정상집단의 어머 니의 확장과 모방의 사용 빈도 비교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 인하였다. 그리고 집단간에 어머니 발화 형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나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에 따른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연구도 있다. P aul14 ) 의 연구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가 정상 아동 어머니보다 더 적은 아동 발 화에 대한 확장을 한다고 하였으나, 아동의 발화수로 비교하여 보았을 때는 유의 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Sieg el1 0 ) 등은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가 더 지 시적이고 명령을 많이 하여 아동의 놀이를 방해한다고 하였으나, 한편으로는 단순 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정상군 아동보다 반응성이 적고, 자신의 말이 불명료했을 때 의사소통 재 시도 노력이 적었다고 하여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 또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Conti- Ram s den2 )은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 니가 정상 아동 어머니보다 더 적은 재조정 발화를 사용하는데, 또한 이것은 아동 의 발화 명료도와도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Rescorla3 0 )는 표현언어지체 아동과 정상아동 어머니 간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는 못했으나 표현 언어지체 아동집단 어머니의 경우 어머니가 더 통제적일수록 아동의 반응성이 더 낮고, 상호작용이 적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와 같이 아동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 뿐만 아니라 그에 상응하는 아동의 의사소통 유형도 함께 분석하는 것이 더 의미 있고 정확한 결과 해석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껏 살펴보았듯이 외국에는 많은 단순장애 아동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어머니의 발화분석을 기초로 한 단 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의 대화형태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유사하게는 유성은3 ) 종단연구로서 어머니의 확장적 언어반응이 언어장애아동의 의미론적 단어유형과

(16)

단어조합, 화제지속시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확장 적 언어 반 응이라는 제한된 형태의 비교에 그쳐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비교가 필요하며, 실 험장소가 언어치료실이었다는 점에서 일상생활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관찰에 다 소 무리가 있었다. 본 연구은 이러한 점을 보완하면서 앞서 살펴보았던 통사적 측 면에서의 미세 조정(fine - tuning )에 속하는 평균발화길이와 의미적 측면에서의 미 세 조정(fine- tunin g ), 마지막으로 상호작용 방법이 지시적인지에 대한 판별, 이 세 가지 변수로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머니와 정상 아동 어머니의 대화형태를 비 교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의 의사소통 형태 또한 유사한 방법으로 분석 하여 봄으로서 어머니 발화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나 라마다의 어머니와 아동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봤을 때 외국의 연구들이 충분히 일반화되기에 부족하며 일관성이 다소 결여되어 있으므 로, 그들의 연구와 중복된 설계라 할지라도 본 연구는 충분한 의의를 지닐 것이라 고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와 정상 아동 어머니 집단 사이에 평균발화길이 차이를 보이는가? 2.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 집단과 정상 아동 어머니 집단 사이에 의미적 미 세조정 영역에서의 차이를 보이는가? 3.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와 정상 아동 어머니 집단 사이에 의사소통의 지 시적 특징 차이를 보이는가? 4.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 집단간에 어머니 질문에 대한 무반응이나 어머니 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 빈도수에 차이가 있는가? 5. 아동의 무반응이나 비연결 발화가 어머니의 무반응이나 비연결 발화와 상관 관계가 있는가?

(17)

Ⅱ . 대 상 및 방 법

1 . 연 구 대 상

본 연구의 실험군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2세 6개월에서 3 세 5개월까지의 단순언어장애아동과 그 어머니 10쌍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인터넷 육아정보 싸이트를 통하여 소개받은 아동과 어머니 8쌍, 그리고 실험 시작 당시 서울 정신과에서 단순언어장애로 진단받고 치료가 의뢰되었던 아동과 어 머니 2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두 언어치료 경험이 없었으며, 인터넷 싸이트를 통 하여 소개받은 아동들 중 3명은 소아정신과나 언어치료 기관에서 진단을 받은 결 과 단순언어장애임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어머니들은 모두 특정 직업에 종사하지 않는 전업주부였으며 고졸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었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은 심리검사를 이미 받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국판 Korean Kaufm an A ssessm ent Bat t ery for Children(K - A BC )3 1 )의 비구어성 검사 결과 정상범주에 속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그러나 검사에 대한 적응도가 낮은 아 동에 한해서는 아동의 인지적인 성취가 표상적 사고로 전환되면서 이것이 놀이나 언어로 표출된다고 보고 아동의 놀이 관찰을 통하여 연속적인 둘 이상의 가장행 동을 할 수 있고 놀이를 미리 계획하고 하나의 사물을 다른 사물로 상징하며 계 획된 요소들을 결합시켜 놀이를 할 수 있는 M aCun e - Nicolich3 2 )의 상징놀이 발달 에서 4- 5단계 수준에 해당할 경우 연구 대상에 포함시켰다. 언어능력은 김영태의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3 3 ) 검사결과 표 현언어에서 6개월 이상의 지체를 보였다. 단순언어장애를 크게 표현언어지체와, 표 현과 이해가 모두 지체된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3 4 ) 본 연구에서는 표현언어 지체를 필수로 하면서 이해의 지체가 포함되는지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단순언어 장애의 실험집단에 포함시켰다. 부모보고에 의해 청력의 이상이 없고, Ling3 5 )의 / a, u , i. ∫, s/ 다섯 소리 검 사를 통해 정상임을 확인하였다. 그밖에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3 6 )에서 정상범주

(18)

에 속하며 아동관찰이나 어머니의 보고에서 신경학적 장애나 그 밖에 정서장애가 없었다. 그리고 자유놀이를 통해 아동의 50개 자발화를 수집하여 낱말을 단위로 한 평균발화길이를 계산하였다.3 7 ) 대조군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평균발화길이로 짝을 지운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1세 4개월- 2세 2개월 사이의 정상아동과 어머니 10쌍을 대상 으로 하였다. 정상아동 모두 Denv er 발달 선별 검사3 8 )의 언어발달영역을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정상임을 확인하였고, 부모 보고에 의하여 어떤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 검사 결과 표현언어 및 이해언 어연령 모두 정상범주 안에 속하였다.

대상 아동들에 대한 정보는 표 1과 같다. 통계적으로는 M ann - W hitn ey U을 통한 수용언어(z=- 0.164, p =0.87)나 표현언어 연령(z=- 1.286, p =0.199)의 집단간 차 이 검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평균발화길이(z=- 0.877, p =0.381)또한 집단간 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05) 즉 단순언어장애군 아동은 표현언어연 령이나 수용언어연령, 특히 평균발화길이 수치에서 모두 정상군 아동과 유사한 언 어능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9)

표 1 . 대상 아동들의 생활연령과 수용/ 표현 언어 연령¹, 평균발화길이²분포 ¹모든 연령은 개월수 . ²단위는 낱말이고 0.25 내에서 모든 아동들이 집단 간 짝을 이룸 . ³( )안에 숫자는 표준편차임 . 단순언어 장애아동 생활연령 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 평균발화길이 1 3 4 3 2 2 0 1 .1 1 2 3 8 3 5 3 2 1 .2 8 3 3 4 2 9 2 6 1 .3 8 4 3 0 2 6 2 0 1 5 4 1 2 9 2 3 1 .0 4 6 3 2 2 3 2 0 1 7 3 0 2 6 2 0 1 .2 2 8 3 8 2 3 2 0 1 .0 6 9 3 0 2 3 2 0 1 .2 3 10 3 0 2 6 2 0 1 .2 평균( )³ 33.7 (4.06 ) 27.2 (3.85) 22.1(3.89 ) 1.15 (0.12) 정상아동 1 1 8 2 9 2 6 1 .1 2 2 1 2 6 2 6 1 .2 4 3 1 8 2 6 2 6 1 .3 8 4 1 8 2 3 2 0 1 5 1 7 2 3 2 0 1 6 1 6 2 3 2 0 1 7 2 1 2 6 2 6 1 .2 1 8 1 8 2 6 2 6 1 .0 6 9 2 6 3 2 2 9 1 .2 2 10 2 4 2 9 2 9 1 .1 9 평균( ) 1 9 . 7 (3 .2 3) 2 6 .3 (2 .9 8) 24 .8 (3 . 52 ) 1 .14 (0 . 12)

(20)

2 . 연 구 방 법

가 . 실 험 절 차 실험은 대부분 검사자가 아동의 집을 한 번 방문하여 이루어졌는데, 정신과에 서 의뢰된 아동 2명에 한해서는 아동에게 이미 친숙해져 있는 병원의 검사실에서 실험을 하였다. 가정 방문을 할 때에는 주로 다른 식구들의 방해가 적은 시간대를 이용하여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관찰에 무리가 없도록 하였다. 부득이한 경우 에는 두 번의 방문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먼저 어머니와의 면담 및 아동 관찰시간을 가졌고 검사자와의 자유놀이 상황 을 통해 아동의 자발화를 수집하고 검사자와 친숙해진 다음 검사에 들어갔다. 단 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에는 인지검사와 언어검사, 청력검사를 실시하였고, 정상아 동일 경우 Denv er 발달 선별 검사와 언어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아동과 어 머니의 놀이상황을 통한 대화를 40분간 오디오 및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녹음기는 A IW A T P - V S 610을 사용하였고 비디오 카메라는 삼성 S V - H 33을 사용하여 녹화 하였다. 장난감으로는 병원놀이, 동물농장 레고놀이, 고무찰흙, 소꼽놀이, 냉장고, 자동차, 공, 낚시놀이를 똑같이 제공해주었다. 놀이는 최대한 평소의 자연스러운 발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므로 어머니에게 사전에 아동과의 놀이에 대한 부담감 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들을 알려주었다(표 2). 표 2 . 어머니께 드리는 주의사항 1. 아동과 놀이에 함께 참여하면서, 가능한 재미있게 놀아주세요. 2. 아동의 말/ 언어에만 너무 집착하지 마시고, 아동과 함께 자연스러운 시간을 만드시면 됩니다. 3. 아동의 특정 능력에 대한 결과를 평가하려는 것이 아니니 부담 가지실 필요가 없습니다. 4. 때로 상황에 따라 침묵시간이 생기거나, 말이 끊겨도 괜찮습니다.

(21)

나 . 자 료 의 수 집 아동별로 녹화된 40분간의 자료 중 녹화 시작 후 놀이를 준비하는 시간 5분과 끝에 정리하는 시간 5분 등의 산만한 부분을 제외한 약 30분간 아동과 어머니의 대화하는 장면을 관찰하며 어머니 발화와 아동의 발화 전부를 전사하였다. 발화구 분 원칙은 김향희3 9 )의 지침을 따랐다. 그리고 처음부터 차례로 완전이해가능 어머 니 발화 200개를 수집하였다. 단, 아동이 아닌 검사자나 식구들 같은 제 3자에게 건네는 말이나 혼자 중얼거리는 말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어머니 연속 발화 200개 에 상응하는 아동의 연속 발화는 부분이해가능 발화까지 포함시켜 모두 수집하였 다. 발화수는 아동마다 각각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검사자와의 놀이와 어머니와 의 상호작용 시에 수집한 아동의 연속 발화 50개는 아동의 평균발화길이 분석을 위해 완전 이해 가능한 발화만으로 전사하였다. 다 . 자 료 의 분 석 전사된 자료를 어머니 발화와 아동발화로 구분시키고, 다시 비디오를 통해 보 면서 어머니와 아동의 구어적,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모두를 분석하였다. 분석방 법은 Lun d와 Du chan15 ) 의 것을 토대로 하였다. (1 ) 어 머 니 발 화 분 석 첫째, 어머니의 완전이해가능 발화 200개에 대해 낱말을 단위로 한 평균발화길 이를 계산하였다. 낱말의 구분 원칙은 김영태4 0 )의 지침을 지켰으며. 어머니의 평균 발화길이와 아동의 평균발화길이 차를 계산하였다. 둘째, 의미 영역의 분석에서는 아동이 말하고 행동하는 것 외에 무엇을 생각하 고 관심있어 하는지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초점도 중요하게 다루었다. 어머니 발화 200개를 크게 연결 발화와 비연결 발화, 그리고 아동의 놀이 초점이나 관심 이 결정되지 않은 중립적인 상태일 때 나타나는 어머니가 주제를 결정지어 시작 하는 주제개시 발화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연결발화에는 아동의 이전발화나 행동, 관심사, 생각에 의미적으로 연결되는 어떤 발화도 포함되며, 아동의 말에 대한 확 장 혹은 재조정 해주는 발화나 아동 발화나 행동의 인정해주는 발화도 포함된다.

(22)

비연결 발화는 반대로 아동의 놀이 초점이나 행동, 관심사와 어긋나게 말하거나 아동의 말을 방해하는 발화를 말한다. 비연결 발화 중 아동 말에 연결되지 않는 어머니 발화는 따로 계산하며 아동 발화에 대한 무반응 개수도 따로 계산하였다. 아동의 모든 완전이해가능 발화 다음에 오는 무반응 외에도 아동이 어머니에게 뭔가 전달하고 싶어하는 눈빛이나 손짓이 있을 때에는 부분 이해 가능 발화까지 도 의사소통 시도라고 보고 무반응으로 계산하였다. 셋째, 지시성 분석에서는 어머니가 아동에게 얼마나 많은 시험적인 질문을 하 는지, 명령을 하는지, 주의집중 요구를 하는지 각각 빈도수를 구하고 총합을 구하 였다. 시험적인 질문이란 어머니가 답을 알고 있으면서도 아동에게 질문을 하는 경우를 말하며, 이름을 부르거나 이것 보세요 같은 주의를 끌기 위한 전략적인 발화는 주의집중 요구로 계산하였다. 그리고 시험적인 질문과 더불어 아동에게 어 머니가 모르는 뭔가 새로운 정보를 바라는 정보요구 질문도 함께 계산하고 총 질 문 빈도수를 구하였다. (2 ) 아 동 발 화 분 석 첫째, 검사자와 또는 엄마와의 자유놀이를 통한 아동의 자발화 50개에 대한 평균발화길이를 계산하여 장애군 아동과 정상군 아동간에 짝을 이루도록 하였다. 낱말의 구분원칙은 김영태4 0 ) 의 지침을 지켰다. 둘째,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시에 있었던 총 아동 발화수를 계산한다. 엄마 발화 에 대한 비연결 발화와 엄마가 대답을 요구하는 질문을 했을 때 무반응한 빈도수 를 계산하였다. 엄마가 다른 특정 반응을 요구하지 않았다면, 주제변화, 개시가 있 는 발화는 비연결 발화에 넣지 않았다.

(23)

표 3 . 분석 항목 어머니 아동 통사 영역 1. 평균발화길이 1. 평균발화길이 어머니와 아동간 평균발화길이 차 의미 영역 1. 연결 발화 2. 비연결 발화 3. 주제개시발화 4. 아동 말에 대한 비연결 발화 5. 무반응 1. 비연결 발화 2. 질문에 대한 무반응 지시성 영역 1. 지시적 발화의 총합 1) 시험 질문 2) 명령, 지시 3 ) 주의 집중 요구 2. 비지시적 발화 1) 정보 요구 질문 기타 어머니의 총질문수 계산 아동 총발화수 계산

(24)

라 . 자 료 의 수 집 과 분 석 에 대 한 신 뢰 도 검 증 (1 ) 전 사 신 뢰 도 녹화된 자료의 30%에 대해 S ackett4 1 )이 고안한 방식에 따라 본 검사자와 보조 검사자간의 독립적인 전사자료에 대한 일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일치도는 88.5%였다. (2 ) 자 료 분 석 에 대 한 신 뢰 도 전사된 발화 자료의 30%에 대하여 S ackett4 1 )의 방법으로 분석 일치도를 구하 였다. 본 검사자와 보조 검사자 간에 아동과 어머니 발화의 낱말 단위의 평균발화 길이(M LU ) 분석에 있어서 일치도는 87.6%였으며, 어머니 발화와 아동발화의 의 미적 부수 관계 분석에서는 각각 84.5% , 88.2% , 어머니의 지시적 발화분석 영역에 서는 91.7%의 일치도를 보여주었다. 보조 검사자의 편견을 배제하기 위하여 분석 대상이 단순언어장애군과 대조군 중 어떠한 집단에 속하는지에 관한 정보는 제공 하지 않았다. 마 . 통 계 적 검 증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어머니들 간에 평균발화길이 차이와 의미적 부수관계 영역에서의 차이, 지시적 발화 영역에 서의 차이에 대해 유의도 5% 수준에서 M ann - W hitn ey U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발화수에서 비연결 발화가 차지하는 비율 차와, 어머니의 질문수 에서 아동이 무반응한 비율 차도 M ann - W hitn ey U 검증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 로 아동의 비연결발화, 무반응발화가 어머니의 비연결발화, 무반응 발화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Spearm a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SP S S 10.0 으로 처리하였다.

(25)

Ⅲ . 결 과

1 . 어 머 니 의 대 화 형 태 비 교

가 . 평 균 발 화 길 이 단순언어장애군 어머니와 대조군 어머니의 평균 발화 길이 및 어머니와 아동 의 평균발화길이 차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평균 빈도수에서 약간씩 더 높은 값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표 4). 그리고 모든 아동과 어머니 의 인별 평균발화길이 분포와 아동과 어머니간 평균발화길이 차에 대한 수치가 표 5에 나타나 있다. 표 4 .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와 아동과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 차이 단위는 낱말이고 그 값은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냄 . 단순언어장애군 대조군 z p - v alu e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 3.04 0.47 1.6 0.38 - 1.476 0.140 아동과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 차 2.74 0.38 1.89 0.45 - 1.323 0.186

(26)

표 5 . 아동과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와 아동과 어머니간 평균발화길이 차에 대한 개인별 정보 단위는 낱말 . 단순언어장애군 아동 평균발화길이 어머니 평균발화길이 아동과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 차 1 1.11 3.46 2.31 2 1.28 2.36 2.46 3 1.38 3.34 2.55 4 1 2.9 2.97 5 1.04 2.75 2.55 6 1 2.92 2.73 7 1.22 3.92 3.51 8 1.06 2.57 2.31 9 1.23 2.83 3.09 10 1.2 3.34 2.9 평균 1.15 3.04 2.74 정상군 1 1.1 1.21 2.35 2 1.24 1.22 1.08 3 1.38 1.17 1.96 4 1 1.97 1.9 5 1 1.55 1.71 6 1 1.73 1.92 7 1.21 2.3 2.7 8 1.06 1.25 1.51 9 1.22 1.87 1.6 10 1.19 1.71 2.14 평균 1.14 1.6 1.89

(27)

나 . 의 미 적 연 결 성 단순언어장애군과 대조군 사이에 어머니의 의미적 연결 발화와 비연결 발화, 그리고 아동의 중립적 태도에 대한 주제 개시 발화의 각 빈도수를 분석했을 때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어머니일 경우 비연결 발화의 빈도수가 0.05 수준에서 유의하 게 높았다(표 6). 어머니 발화 총 200개에서 세 개의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은 단순언어장애군 어머니의 경우 비연결 발화가 19.95% , 연결 발화가 75% , 주제개 시 발화 5.05%였으며 대조군 어머니의 경우 비연결 발화가 12.6% , 연결발화가 81.8% , 주제개시 발화가 5.6%였다(그림 1). 표 6 . 어머니 발화 200개에 대한 의미적 부수 관계의 항목 단위는 개이며 그 값은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냄 . 단순언어장애군 대조군 z p - v alu e 연결 발화 150 22.35 163.6 12.43 - 0.870 0.384 비연결 발화 39.9 19.67 25.2 11.17 - 1.972 0.049 주제 개시 발화 10.1 5.30 11.2 3.91 - 0.683 0.494

(28)

다음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어머니의 비연결 발화 중 특히 아동 발 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와 아동 발화에 대한 무반응의 빈도수에 대한 집단 내 개 인별 정보는 표 7과 같다. 단순언어장애군 어머니일 경우 아동 발화에 대한 비연 결 발화 빈도수와와 아동발화에 대한 무반응 빈도수가 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 았다(표 8). 그 림 1 . 어머니 발화 200에서 차지하는 의미적 비연결 발화, 연결 발화, 주제개시 발화의 비율.

(29)

표 7 . 어머니의 아동 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의 빈도수에 대한 개인별 정보 단위는 개 . 단순언어장애군 어머니 아동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 빈도수 아동 발화에 대한 무반응 빈도수 아동발화수 1 2 2 17 2 5 1 75 3 3 16 72 4 1 0 2 5 15 12 51 6 2 0 39 7 3 2 14 8 0 0 4 9 4 4 43 10 4 3 38 평균 3.9 4 35.5 정상군 어머니 1 2 0 61 2 0 0 35 3 0 0 6 4 1 0 6 5 2 1 71 6 1 1 26 7 2 0 39 8 1 2 36 9 0 0 16 10 0 0 2 평균 0.9 0.4 29.8

(30)

표 8 . 어머니의 아동발화에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 빈도수 단위는 개이며 그 값은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냄 . 이로써 의미 영역의 분석 결과, 비연결 발화, 아동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 아동발화에 대한 무반응 항목에서 단순언어장애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있 음을 확인했다. 다 . 지 시 성 어머니가 아동과 상호작용 시 얼마나 지시적인지에 대한 집단 간 비교이다. 어 머니의 지시적 발화에 속하는 시험적인 질문, 명령이나 지시, 주의집중 요구의 각 빈도수와 세 항목에서의 빈도수 총합을 구하고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한 결과, 모든 지시성 항목과 총합에서 유의수준 0.05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 되지 않았다(표 9). 단순언어장애군 대조군 z p - v alu e 아동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 3.9 4.18 0.9 0.88 - 2.660 0.008 아동발화에 대한 무반응 4 5.51 0.4 0.70 - 2.229 0.026

(31)

표 9 . 시험 질문, 명령이나 지시, 주의집중 요구와 총합 단위는 개이며 그 값은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냄 . 지시적인 어머니의 경우 시험적 질문을 많이 하고, 비지시적인 어머니의 경우 정보 요구 질문을 많이 한다는 선행 연구 결과에 따라, 비지시적 발화에 속하는 정보요구 질문 빈도수와 총질문수 또한 집단간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수준 0.05에 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표 10). 오히려 비지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는 정보요구 질문의 경우 단순언어장애군이 약간 더 적은 빈도수를 보였다. 총질 문수와 이에 포함되는 시험적 질문, 정보요구 질문의 빈도수는 모두 집단 간에 거 의 균등하다. 즉, 단순언어장애군에서 시험적 질문의 빈도수와 총질문수가 약간 더 많으나 모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표 10 . 어머니의 정보요구질문 빈도수와 총질문수 단위는 개이며 그 값은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냄 . 단순언어장애군 대조군 z p - v alu e 시험 질문 14.1 10.15 12 9.71 - 0.417 0.676 명령이나 지시 21.2 11.70 21.1 7.56 - 0.076 0.939 주의집중 요구 10 6.45 10.7 7.57 - 0.076 0.940 총합 45.3 15.76 43.8 15.45 - 0.038 0.970 단순언어장애군 대조군 z p - v alu e 정보요구질문 9.9 5.71 11.2 5.59 - 0.304 0.761 총질문수 24 12.97 23.2 11.23 - 0.378 0.705

(32)

2 . 아 동 의 대 화 형 태 비 교

가 . 아 동 의 총 발 화 수 어머니의 발화수는 200개의 수집으로 고정되어 있지만 아동 발화수는 개인별 로 차이가 심하여 집단간 비교해 보았다. 그러나 집단간 아동의 총발화수는 0.05 수준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11). 표 11 . 아동발화수 단위는 개이며 그 값은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냄 . 나 . 의 미 적 연 결 성 어머니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와 어머니의 질문에 대한 무반응 빈도수를 계 산한 결과 단순언어장애군 아동일 경우 어머니 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 빈도수 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으나(p < 0.05) 어머니 질문에 대한 무반응 빈도수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12). 표 12 . 아동의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 빈도수 단위는 개이며 그 값은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냄 . 단순언어장애군 대조군 z p - v alu e 아동발화수 35.5 26.09 29.8 23.40 - 0.681 0.496 단순언어장애군 정상군 z p - v alu e 비연결 발화 3.8 5.00 0.9 1.45 - 1.969 0.049 무반응 3.7 5.83 3.3 2.79 - 0.774 0.439

(33)

3 . 어 머 니 와 아 동 간 의 미 영 역 에 서 의 상 관 관 계

어머니 발화 분석 결과, 어머니의 비연결 발화, 아동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 아동 발화에 대한 무반응 빈도수에서 단순언어장애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 이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가 아동의 어머니 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나 어머니 질문에 대한 무반응 변수들과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아동의 어 머니 질문에 대한 무반응 항목은 어머니의 대화 형태 변수들과 상관관계를 보이 지 않은 반면, 아동의 어머니 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는 어머니의 대화 형태 중 아동 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 모두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아동발화에 대한 어머니의 비연결 발화와 아동의 비연결 발화 빈도수로 상관계수가 0.910(p < 0.01)이었다(표 13). 표 13 . 의미 영역에서 어머니와 아동 대화 형태간의 상관 관계 * * p < 0.01 N =20 어머니 발화에 대한 아동의 비연결 발화 어머니 질문에 대한 아동의 무반응 어머니의 비연결 발화 0.331 0.050 아동 발화에 대한 어머니의 비연결 발화 0.910 * * - 0.174 아동 발화에 대한 무반응 0.624 * * - 0.092

(34)

Ⅳ . 고 찰

본 연구는 언어연령이 같은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어머니들이 보이 는 대화형태를 단순언어장애군과 정상군 간에 비교하고, 어머니의 대화 형태와 아 동의 대화 형태간에 상관 관계를 분석해 보았는데, 그 결과의 요약과 논의점은 다 음과 같다.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를 집단간 비교하여보았을 때,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 니의 평균발화길이(3.04)가 정상아동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1.6)보다 1.44만큼 더 길었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아동의 평균발화길이와의 차 를 집단간 비교했을 때도 단순언어장애군일 경우의 엄마와 아동간 평균발화길이 차(2,74)가 정상군에서의 평균발화길이 차(1.89)보다 0.85만큼 컸지만 유의한 차이 는 없었다. 이같은 결과는 단순언어장애군과 정상군 아동의 언어연령을 같도록 하 였고 아동과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 차에 대한 집단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머니가 정상아동 어머니와 다르게 아 동의 언어수준에 부적절한 평균발화길이로 대화하는 것은 아니라고 추측된다. 즉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머니는 아동의 언어수준을 고려하여 발화길이를 짧게 조 절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선행연구 중 생활연령이 같은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정상아동 어머니들을 대상 으로 한 P aul과 Elw ood1 4 )

의 연구, 그리고 W hitehur st4 2 )의 연구를 보면 어머니의 M LU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단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평균발화길이가 더 짧기 때문에 그 결과 어머니와 아동의 평균발화길이 차에서만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렇게 같은 생활연령의 정상아동과도 평균발화길이 차이를 보이 지 않고, 본 연구 결과처럼 같은 언어연령의 정상아동과도 평균발화길이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면, 결국 어머니는 아동의 언어능력이나 생활연령의 변수 모두와 무 관하게 단지 대화상대자가 아동일 경우 모두 적절하게 짧은 비슷한 평균발화길이 를 보일 수도 있다.

(35)

그리고 실험 결과에서 살펴보면, 정상군과 단순언어장애군 간에 평균발화길이 평균이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1.44라는 적지 않은 차이 가 있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수의 연구대상으로 실험을 했을 때 또다른 결과를 예상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의미적 미세조정 영역에서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부수적 연결관계 에 대한 분석에서 아동의 행동이나 놀이초점, 발화에 대한 의미적 비연결 발화수) 가 단순언어장애군과 정상군 간에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단순언어장애아 동 어머니의 경우 더 많은 의미적 비연결 발화수를 보였는데, 이중 아동발화에 대 한 의미적 비연결 발화수만을 가지고 집단간 차이를 보았을 때도 정상군에 비해 서 단순언어장애군 어머니가 더 많은 빈도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 였다. 그리고 아동 발화에 대한 무반응 빈도수도 단순언어장애군의 어머니가 유의 하게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언어장애군의 어머니의 경우 아동과의 대화시 아동의 놀이초점이나 행동, 발화에 의미적인 미세조정 없이 어머니 중심적인 대화 형태를 보인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것이 의미적 비연결 발화나 아동발화에 대한 무반응의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즉 단순언어장애 어머니의 경우 보다 어머니 주 도적인 놀이를 이끌어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H offer와 Blis s4 3 )는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언어연령을 맞추어서 어머니 발화를 분석한 결과, 단순언어장애아동 어머니들이 일반적으로 더 아동 발화에 대한 반응이 적고, 아동 발화의 주제를 무시하거나 바꾼다고 보고 하여서 본 연구 결과와 의견을 같이 하였다. 한편으로는 본 연구와 상반된 견해가 많은데 핵심은 집단간 아동의 언어연령을 맞추는지, 생활연령을 맞추는지에 따라 연구결과의 차이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Sieg el 등4 4 )의 선행연구에서는 같은 생 활연령으로 한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와 정상 아동 어머니의 대화 특징을 분 석한 결과, 두 집단의 어머니 모두 차이 없이 아동의 의사소통 시도에 반응하는 정도가 같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는 아동의 의사소통 시도에 대한 단순한 반응 여 부가 아닌, 아동의 행동이나 놀이초점, 발화 모두에 대한 어머니 발화의 의미적 연 결성 여부를 보았기 때문에 보다 세부적인 분석에 속한다. 그러나 의사소통 시도

(36)

에 반응하는 정도는 본 연구의 무반응 항목과 동일시될 수 있으므로 어쨌든 본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점은 집단간 아동의 생활연령으로 짝을 맞추었기 때문에 차이를 보인다고 해석 가능하다. 그밖에 R escorla3 0 ) 는 주제운용 측면에서 어머니의 대화형태를 분석했는데, 정상 아동 어머니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머니 모두 아동발화에 대한 주제의 비연결 발화가 약 20%였으며 연결발화가 약 80%를 차지하였으며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본 연구와 상반된 견해를 가진다. 비록 Res corla3 0 )의 비연결 발화에는 새 로운 주제의 소개, 아동의 무관심에도 혼자만의 주제를 유지, 아동이 새로운 주제 로 옮겨갔는데도 불구하고 이전의 주제를 유지, 아동의 놀이 참여 요구를 전혀 무 시하는 경우가 포함되어서 본 연구의 의미적 연결성 분석과 흡사해 보이지만, 아 동의 생각이나 놀이 관심사 등에 대한 미세 조정까지는 고려하지 못한 점이 있다. 즉, Rescorla3 0 )의 주제의 비연결이라는 측면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놀이의 주제가 무엇인지에 관한 좀더 전반적인 대화의 흐름을 타지만,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했던 의미적 비연결 발화라는 것은 아동의 놀이초점에 어머니가 얼마나 잘 의미 적으로 적절하게 받아서 언어적 자극을 줄 수 있는지 보다 세밀하고 구체적인 분 석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요구를 무시하는 경 우를 무반응 항목에 포함시켜서 분석했다는 점이 다르다. 마찬가지로

Con ti - Ram sden2 )의 연구에서 단순언어장애군과 정상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던 아동의 이전발화에 대한 주제변화 항목 또한 본 연구의 비연결성 항목 과는 다른 의미를 지닌다. 이렇게 봤을 때, 선행 연구에서의 어머니 비연결 발화란 주로 아동이 유지시키고 있는 주제에서의 이탈이라는 것에 제한되어 있어서, 아 동발화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의 비연결이라는 측면은 본 연구에서 시도한 전혀 다른 각도의 분석이 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아동이 칼 이라고 말했을 때 어머니 가 고기 잘라봐 라고 했다면 주제변화는 없다고 볼 수 있지만, 의미적인 연결성 여부를 보기 위해서는 아동이 칼 이라고 말하게 된 상황에 대한 분석도 뒤따라야 한다. 아동이 칼 이라고 말한 의미가 칼로 뭔가 자르겠다는 의미가 아니라 다른 모양이나 색의 칼을 요구하는 것이었을 때 어머니의 고기 잘라봐 라는 발화는 아 동발화에 대한 의미적 비연결 발화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주제운용과 의미적 연

(37)

결성의 차이 외에 앞서 언급한 선행연구들과 본 연구 결과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앞선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아동들과 정상아동들 간에 언어연 령으로 짝을 맞추어 비교해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다음으로 지시성 영역에서의 결과는 주의집중 요구, 시험적 질문, 명령이나 지 시의 세가지 항목에서 모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그 총합에서도 마찬 가지 였다. 그리고 질문을 시험적 질문과 정보요구질문으로 나누어 집단간 빈도수 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 보이지 않았으며 총 질문 빈도수에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와는 달리 많은 선행연구에서 지시성 영역이나 총 질문 빈도수에서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Sieg el 등4 4 )은 단순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일 경우 더 지시적이며 아동의 놀이를 방해하는 명령을 더 많이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 나 한편으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또래의 정상아동보다 어머니 질문에 대한 대 답이 더 적었다고 하였으므로, 아동의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어머니의 지시나 명 령이 증가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게다가 같은 생활연령의 정상군 아동 어머니들 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정상아동에 비해 언어능력이 떨어지는 단순언어장애 아 동에게 어머니는 더 많은 지시와 명령을 했을 것이다. 그리고 가장 크게는 언어 문화적 차이로 인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B on du r ant18 ) 등은 또래의 정상아동 어머니가 단순언어장애군 어머니에 비해서 더 많은 질문을 한다고 하였고, Cunnin gh am2 9 ) 등도 똑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와 상반된 결과도 또한 생활연령이 같은 정상아동의 어머니들 을 대조군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언어능력이 지체된 단순언어장애 아동 일 경우 어머니는 질문을 더 자제했을 가능성이 크다. 같은 언어연령으로 집단간 짝을 이루게 하여 연구한 Ev an s와 S chmidt4 5 )의 경 우에는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가 더 많은 질문을 하였다. 그러나 또한 단순언 어장애아동의 경우 어머니 질문을 무시하는 경우가 정상아동보다 더 많았다고 보 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어머니 질문에 무반응한 빈도수의 집단간 차이가 없었고, 어머니의 질문 빈도수에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언어문화적인 차 이일 수도 있으나, E v an s와 S chmidt4 5 )의 연구는 집단간 각 한쌍의 연구대상만으

(38)

로 실험하였기 때문에 신뢰도 면에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본 실험 결과 정보요구질문이나 시험질문 빈도수에서 집단간 차이가 없었는데, 정상아동 어머니가 더 많은 정보요구질문을 한다는 Bondur ant18 )의 연구 결과와 본 실험 결과가 상반되는 영어와 한국어의 언어적 차이에서 온다고 생각 된다. Bondur ant18 )의 연구나 M urr ay와 T r ev arthan4 6 )의 외국 연구에서 말하는 정 보요구질문이란 조동사를 포함하는 질문의 구문 구조적인 특징을 띄게 되며 반대 로 시험질문은 주어동사의 대치만으로 가능한 질문이므로 조동사가 필요 없는 특 징을 보인다. 따라서 그 구분이 조동사의 삽입 여부로서 가능해지고 H off - g in sb er g4 7 ) 나 Yoder4 8 )의 종단 연구에서도 보고된 바 있듯이 조동사를 사용 하는 잦은 정보요구질문이 아동의 조동사 사용을 자극해서 언어발달을 돕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어에서는 정보요구질문과 시험적 질문이 구문구조적 형태로 구분되지 않으므로 특별히 아동의 언어발달 정도와 관련성을 띄지는 않는 것 같 다. 아동의 대화 형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상군 아동에 비해 단순언어 장애군 어머니 발화에 대한 아동의 비연결 발화 빈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 준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한편 무반응 빈도수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아동의 무반응 빈도수 항목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본 연구결과와 상반되게 Siegel 등4 4 )의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어머니 질문에 대 한 반응성이 떨어지며 이에 따라 어머니의 반응성도 떨어진다는 주장을 하였다. 그러나 Siegel 등4 4 ) 은 정상군을 같은 생활연령의 3- 5세 아동들을 연구대상으로 삼 았으므로 언어능력이 저조한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반응성이 떨어지는 것은 당 연한 결과였다. 그리고 아동의 반응성에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으나 아동의 비연결 발화에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 결과는 단순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비연결 발화가 정상군 어머니보다 많았다는 사실과 함께 고찰해보아야 할 것이다. 즉 단순언어장애군 어머니가 정상군 어머니보다 비연결발화가 많았던 것은 사실 이지만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비연결 발화도 정상아동보다 많았기 때문에 의사소통

(39)

의 상호작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어머니와 아동의 대화는 상호 영 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생하는 것이며, 굳이 한쪽이 다른 한 쪽으로 영향을 미쳤으 리라고 단정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아동의 언어발달을 돕기 위해서 단순언어장애 아동 어머니는 가능한 아동의 행동이나 놀이초점, 발화에 의 미적으로 연결되는 언어적 자극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는 부모교육을 위한 중요한 지침이 될 것이다. 그러나 어머니와 아동의 비연결 발화나 무반응의 빈도수 혹은 비율에 단순언어 장애군과 정상군의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는 하지만, 어머니의 발화의 비 연결성을 감소시킨다고 해서 아동의 비연결 발화가 줄어들 수 있을까 하는 의심 을 씻기 위해서는 부모와 아동의 대화형태에 관한 상관관계 분석이 필요하다. 아동과 어머니의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 항목들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비연결 발화 빈도수는 어머니의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 빈도수와 상 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어머니의 아동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는 아동의 비연결 발화 빈도수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므로 어머니의 아동 발화에 대한 의미적 연결성 여부는 매우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비단 단순언어장애군의 아동과 어머니에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아동과 어머니 의 의사소통 행동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고, 이는 앞으로 어머니와 아 동의 상호 의사소통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0)

Ⅳ . 결 론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어머니들, 그리고 정상아동과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어머니 와 아동의 대화 형태를 분석하여 집단간 비교하였고 아동과 어머니의 대화형태간 에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는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낱말을 단위로 한 평균발화길이와 아동과의 평균발화길이 차에 서 단순언어장애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의미 영역에서 어머니의 대화형태 분석 결과, 어머니의 비연결 발화와 무 반응 측면에서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단순언어장애군 어머니의 경우 정상아동 어머니에 비해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을 더 많이 사용한다는 사실 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연결 발화일 경우에는 아동 발화에 대한 비연결 뿐 아니라 아동의 행동이나 놀이초점에 대한 비연결 발화도 포함해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아동의 대화형태 분석 결과에서는 아동의 비연결 발화 측면에서 단순언어 장애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무반응은 집단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단순언어장애군의 경우 아동이 더 많은 비연결 발화를 사용함 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지시적 발화 빈도수를 집단간 비교한 결과, 어머니의 지시적 발 화에 속하는 어떤 유형도 단순언어장애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덧붙여 어머니의 총질문수나 어머니의 비지시적 발화 유형에 속하는 정보 요구 질문 빈도수에서도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 아동의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이 서로 어 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한 결과 아동의 비연결 발화가 어머니의 비연결 발화나 무반응과 모두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특히 의미 있었던 점은 생활연령으로 집단간 짝을 이루 게 한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언어능력이 같은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새로운 각도에서의 해석이 가능했다. 그리고 단순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일

(41)

경우 정상아동 어머니보다 아동발화나 아동의 놀이초점에 비연결되는 발화의 사 용이 더 많고 아동의 의사소통 시도에 무반응할 경우가 더 많았지만, 마찬가지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에도 정상아동에 비해 어머니 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 사용이 더 많아서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이 한쪽의 일방적인 흐름으로 이루어 지기보다는 서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로써 임상현장에서 단순 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대화형태에 대한 관찰과 이에 대한 어머니 교육이 아동의 치료 예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아동의 형제관계나 어머니와의 평균놀이시간에 대한 변수를 통제하 지 않았으나 후속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좀더 세심한 실험 설계가 요구되며 비연 결 발화나 무반응 이외에 연결발화의 세부적 유형 분석도 의미 있을 것이다.

(42)

참 고 문 헌

1) 김화수. 단순언어장애. 언어치료 전문요원교육. 1995;5:147- 167

2) Cont i- R am sden G. M at er n al r eca st s an d ot h er cont in g en t r eplie s t o lan g u ag e - im pair ed childr en . J S peech H ear Dis 1990;55 :262- 274

3 ) 유성은. 어머니의 확장적 언어사용이 언어장애아동의 의미론적 단어유형, 단어 조합, 화제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이화 여자 대학교; 1995 4 ) L a sky E Z, Klopp K . P ar ent - child int er act ion s in n or m al an d

lan gu ag e - dis or der ed childr en . J S peech H ear Dis 1982;47:7 - 18

5 ) Gir olam ett o L , T ann ock R . Cor r elat es of dr ect iv en es s in t h e in t er act ion s of fat h er s an d m ot h er s of childr en w it h dev elopm en t al delay s . J S peech H ear

R es 1994 ;37 :1178 - 1192

6 ) Bedr osian JL , W an sk a S K , S y k es KM , S m ith A J , Dalt on BM . Conv er s at ion al t ur n - t akin g v ilolation s in m ot h er - child int er act ion . J S p eech H ear Re s 1988 ;31:81- 86

7 ) S ch er er N J , Olsw an g LB . R ole of m oth er s ' ex pan sion s in st im ulat in g childr en ' s lan gu ag e pr odu ct ion . J S peech H ear Res 1984 ;27 :387 - 96

8 ) Con ti - Ram sden G, F r iel- P att i S . M oth er s ' discour se adju stm en t s t o ln a gu ag e - im pair ed an d n on - lan g u ag e - im pair ed childr en . J S p eech H ear Dis 1983 ;48:360- 67

9 ) W ilkin son L C, Hieb er t E , Rem b old K . P ar en t s ' an d p eer s ' com m un ication t o t oddler s . J S p eech H ear Re s 1981;24 :383 - 8

10) L eon ar d LB . Childr en w ith sp ecific lan g u ag e im p air m en t . L on don : M a s sachu s et t s In st it u t e of T echn olog y ; 1998 p .193 - 210

11) Con t i- Ram s den G, H u t ch eson GD , Gr ov e J . Cont in g en cy an d br eak dow n : childr en w ith S LI an d th eir conv er sat ion s w it h m ot h er s an d fat h er s . J S p eech H ear Re s 1995 ;38 :1290- 1302

(43)

12) F ey M , M ar c E . L an gu ag e In t er v ent ion w it h y oun g ch ildr en . Bost on : Colleg e - H ill pr e s s , In c .; 1986 p .292- 4

13 ) W u lb er t M , In glis S , Krieg sm ann E , M ills B . L an g u a g e delay an d a s sociat ed m ot h er - child in t er act ion s . D ev P sy ch ol 1975 ;11:61- 70

14 ) P au l R , E lw ood T J . M at ern al lin gu istic in pu t t o t oddler s w it h slow ex pr es siv e lan gu ag e dev elopm en t . J S peech H ear Res 1991;34:982- 988 15 ) Lu n d N J , Du ch an JF . A s se s sin g ch ildr en ' s lan gu ag e in n at ur alist ic

cont ex t s . 3r d ed . E n glew ood Cliffs : pr en t ice - H all, In c.; 1993 p .54 - 108

16 ) F ur r ow D , an d K . N els on . A fu r th er look at t h e m ot h er es e hy p ot h esis : a r eply t o Gleit m an , N ew p or t , an d Gleitm an . J Ch ild L an g 1986;13 :163 - 76 17 ) Gleit m an L , N ew p or t E , Gleit m an H . T h e cur r en t S t at u s of t h e m oth er ese

h y pot h e sis . J Ch ild L an g 1984 ;11:43 - 79

18 ) B on du r ant J , Rom eo D , Kr et s chm er R . L an g u a g e b eh av ior s of m ot h er s of ch ildr en w it h n or m al an d delay ed lan gu ag e. Lan g u ag e, S peech , an d H ear in g S er v ices in S ch ools 1983 ;14 :233 - 42

19 ) F u rr ow D , N elson K , Ben edict H . M ot h er s ' speech t o ch ildr en an d sy nt act ic dev elopm ent : som e sim ple r elation sh ip . J Ch ild L an g 1979 ;6 :423 - 42

20) S eit z S , S t ew ar t C. E x pan din g on ex pan sion s an d r elat ed a spect s of m oth er - child com m un ication . Dev P sy ch ol 1975 ;11:763 - 9

21) S n ow C. M ot h er s ' sp eech r esear ch : fr om in pu t t o int er act ion , in t alkin g t o ch ildr en : lan gu ag e inpu t an d acquisition , ed s . N ew Y or k : Cam br idg e Un iv er sit y P r es s ; 1977 p .31- 49

22) S n ow C. T h e dev elopm ent of conv er s ation s b et w een m ot h er s an d b abie s . J Child L an g 1977 ;4 :1- 22

23 ) F ar r ar M . Discour se an d t h e acquisition of gr am m at ical m or ph em es . J Child L an g 1990;17 :107 - 24

(44)

M at er n al input adju stm en t s an d n on - a dju st m ent s a s r elat ed t o ch ildr en ' s lin gu istic adv an ces an d t o lan gu ag e acquisition t h eories . In : P elleg rini A D ., Y aw k i T D . edit or . T h e dev elopm en t of or al an d w rit t en lan gu ag e in social cont ex t s N or w ood , NJ : A b lex ; 1984 p .31- 56

25 ) M cD on ald L , P ein D . M oth er con v er sation al b eh av ior a s a fun ction of int er act ion al in t ent . J Ch ild L an g 1982;9:337- 58

26 ) Ols en - F uler o L . S t y le an d st ability in m oth er conv er s at ion al b eh av ior : a stu dy of in div idu al differ en ces . J Child L an g 1982;9 :543 - 64

27 ) W h it e S , W hit e R . T h e deaf im per ativ e : ch ar act er ist ics of m at ern al in put t o h ear in g im p air ed childr en . T op Lan g Dis 1984 ;4 :38 - 49

28 ) K ay e K , Ch ar n ey R . Conv er sat ion al a sy m m et r y b et w een m ot h er s an d ch ildr en J Ch ild L an g 1981;8 :35- 50

29 ) Cun in gh am C, S ieg el L , v an der S puy H , Clar k M , B ow S . T h e b eh av ior al an d lin g uist ic in t er act ion s of specifically lan gu ag e - delay ed an d n or m al b oy s w ith th eir m ot h er s . Ch ild Dev 1985 ;56 :174 - 80

30) Re scorla L , F echn ay T . M oth er - child sy n chr on y an d com m u nicat iv e r ecipr ocit y in lat e - t alkin g t oddler s . J S peech H ear R es 1996;39 :200- 208 31) 문수백, 변창진. K or ean K aufm an A s ses sm en t Batt er y for Ch ildr en . 서울: 학

지사; 1997

32) M aCu n e - N icolich L , Car r oll S . Dev elopm en t of sy m b olic play : im plicat ion s for t h e lan g u ag e sp ecialist . T op Lan g Dis 1981;2:1- 12

33 ) 김영태.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 서울: 한솔교육; 2000 34 ) W in ds or J ., H w an g M . T est in g th e Gen er alized slow in g hy poth esis in

specific lan g u ag e im pair m ent . J S peech L an g H ear R es 1999 ;42:1205 - 1218 35 ) Lin g D , Lin g A H . A ur al h abilit at ion . W a sh in gt on DC : A G. Bell

A s sociat ion for t h e Deaf ; 1978

36 ) 김태련, 박량규.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서울: 특수교육; 1998

(45)

38 ) 오가실. Den v er dev elopm en t al scr eenin g t est . 서울: 현문사; 1996

39 ) 김향희, 권미선, 나덕렬, 최상숙, 이광호, 정진상. 실어증환자 자발화의 유창성 연구. 언어청각장애 연구 1998;3:5- 18

40) 김영태. 한국 2- 4세 아동의 발화길이에 관한 기초연구. 말 언어장애 연구 1997;2:5 - 26

41) S a ck et t CP . Ob s er v in g b eh av ior V ol.2 Balt im or e : Un iv er sit y P ark P r es s 1978 :79 - 98

42) W h it ehu r st G, F alco F , L onig an C, F is ch el J , Deb ar y sh e B , V aldez - M en ch aca M et al. A n aly sis of in t ent ion al com m un icat ion of n or m al ch ildr en fr om t h e pr elin g uist ic t o t h e m u lt iw or d st ag e. Dev P sy ch ol 1988 ;24:552- 559

43 ) H offer P , Blis s L . M at ern al v er b al r esp on siv en es s w ith lan g u ag e - im pair ed , st ag e - m at ch ed , an d ag e - m at ch ed n or m al childr en . J A ppl Dev P sy ch ol 1990;11:305- 319

44 ) S ieg el L , Cun nin g h am C, v an der S puy H . Int er act ion s of lan gu ag e delay ed an d n or m al pr esch ool ch ildr en w it h t h eir m oth er s . P ap er pr esen t ed at th e M eetin g of th e S ociet y for R esear ch in Ch ild Dev elopm en t ; 1979

45 ) E v an s M A , S ch m idt F . Rep eat ed b ook r eadin g w it h t w o ch ildr en : L an gu ag e - n or m al an d lan gu ag e - im pair ed . F ir st L an g 1991;11:269 - 287

46 ) M ar r ay L , T r ev art h an C. T h e in fant ' s r ole in m oth er - in fan t com m un icat ion s . J Ch ild L an g . 1986 ;13:15 - 29

47 ) H off - Gin sb er g E . F un ct ion an d st r u ct ur e in m at ern al speech : T h eir r elat ion t o t h e ch ild ' s dev elopm en t of sy nt ax . Dev P sy ch ol 1986 ;22:155 - 163

48 ) Y oder P . M at er n al qu estion u s e pr edict s lat er lan gu ag e dev elopm en t in specific lan g u ag e disor der ed childr en . J S p eech H ear Dis 1989 ;54 :347 - 355

수치

표 1 . 대상 아동들의 생활연령과 수용/ 표현 언어 연령¹, 평균발화길이²분포 ¹ 모든 연령은 개월수 . ² 단위는 낱말이고 0.25 내에서 모든 아동들이 집단 간 짝을 이룸
표 3 . 분석 항목 어머니 아동 통사 영역 1. 평균발화길이 1. 평균발화길이 어머니와 아동간 평균발화길이 차 의미 영역 1. 연결 발화 2. 비연결 발화 3
표 5 . 아동과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와 아동과 어머니간 평균발화길이 차에 대한 개인별 정보 단위는 낱말 . 단순언어장애군 아동 평균발화길이 어머니 평균발화길이 아동과 어머니의평균발화길이 차11.113.462.3121.282.362.4631.383.342.55412.92.9751.042.752.55612.922.7371.223.923.5181.062.572.3191.232.833.09101.23.342.9평균1.153.042.74정상군11.11.212.3
표 7 . 어머니의 아동 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와 무반응의 빈도수에 대한 개인별 정보 단위는 개 . 단순언어장애군어머니 아동발화에 대한 비연결 발화 빈도수 아동 발화에 대한무반응 빈도수 아동발화수1221725175331672410251512516203973214800494443104338평균3.9435.5정상군 어머니120612003530064106521716112672039812369001610002평균0.90.429.8
+3

참조

관련 문서

 삭제를 하려는데 큐가 empty 이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내보내고 삭제를 멈춘다..  다음과

흙의 굴착을 위해 두 가지 종류의 셔블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값들을 얻었다... 굴착할 흙은 버켓을 가득채우기 어려운 단단한

장물수사에 대한

연안해운 활성화를 위한 수단전환정책 방향 국가적으로 연안해운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해결 하고 연안해운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현재 계획 중

이와 더불어 이 구상안의 현실화를 위한 몇 가지 모형(Model)들이 전문가집단 사이에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제주 ‘平和의 섬’ 모형에 대한 합의

본 연구의 결과는 지방자치단체 행정업무의 성과평가를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우선,전문가들은 행정관리측면에 있어서 행정 전산화와 같은

기존의 방위산업 문헌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노정하고 있다.. 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데 반해, 방위산업 추격이론 문헌은 이에 대한 고려 가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enting beliefs and parenting knowledge on parenting behaviors among marriage-immigrant mothers and native-born mother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