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 사회통합의 과제와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국 사회통합의 과제와 전망"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_ 보건복지포럼(2009. 4.)

1. 사회통합의 의의

국가가 보다 나은 삶을 희망하는 국민을 위해 수행해야 할 기본 역할은 크게 다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삶의 질을 높여나갈 수 있는 물적·상징적 요건을 개선하는 일이며, 둘 째는“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과 같은 홉스적 혼란을 제어할 수 있는 사회질서를 보장하는 일 이다. “가치화(valorization)”명제로 대변할 수 있는 첫 번째 역할은 물적 가치(material values) 및 상 징적 가치(symbolic values)의 증진을 목표로 하 는 경제활동 및 문화활동과 연관된 것이요, “공 조(coordination)”의 명제로 통괄할 수 있는 두 번째 역할은 주로 통치(governance)와 유대 (solidarity)라는 정치사회적 과제와 맞물려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중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에 관한 국가의 임무는 유대의 문제와 직결된 사안으로, 거기에는 효율성 제고를 목표로 한 국가의 기능 적 통합(체계통합, system integration)이 아무리 완벽하더라도 국민의 마음을 휘잡지 못하면 국 가기구가 온전히 힘을 발휘할 수 없다는 함의가 내포되어 있다. 이 점은 정밀한 과학적 증거를 거듭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인수위 시절부터 누적된 불신 때문에“미친 소”에 관한 촛불의 분노에 속수무책이었던 현 정부의 무력한 모습 에서 여실히 판독할 수 있다.

2. 사회갈등의 성격 변화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적대적 사회갈등의 소 재는 시기별로 유형을 달리해 왔고, 그에 따라 사회적 불만의 성격도 변모해 왔다. 1948년 건국 이후 60년대까지는“경제적 빈 곤”이 사회적 불만의 진앙이었고, 고도성장으 로 절대적 빈곤이 완화되기 시작한 70~80년대

한국 사회통합의

과제와 전망

김 문 조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에는 권위주의 통치체제의“정치적 억압”이 사 회 불만의 주된 원천이었다. 그러나 저속성장기 에 들어선 1990년대 이후, 특히 성장기조 자체 가 와해되기 시작한 IMF 환란 이후부터 지금까 지는“사회 불안”이 적대적 갈등을 야기하는 최 대의 사회 불만 요소로 대두하고 있다. 따라서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안정적 생활여건의 조 성이야말로 사회통합을 위한 국가의 선결적 정 책과제가 아닐 수 없다.

3. 양극화: 사회 불안의 분화구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불거진 양극화 문제 가 최근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한 불황 국면을 맞아 우리 사회에 재현되고 있다. 양극화의 원 천은 생계 문제와 직결된 소득 격차임이 분명 하다. 하지만 그 여파는 경제격차가 근로소득 이나 불로소득이냐에 따라 다르며, 정상적 근 로행위에 의한 빈곤 탈피의 가능성에 의해서도 달라진다. 한국사회에서는 경제적 양극화가 주거지 분 화 및 자녀 교육기회의 격차로 이어져 심각성 을 증폭시키고 있으며, 공간적 격차는 소비생 활의 분화를 통해 문화적 양극화를 초래하고 있다. 더구나 문화생활의 양극화는 부러움을 불러일으키는 투명한 계급 장벽을 구축함으로 써 계층구조를 상층-하층이라는 연속적 형태 에서 상류-하류라는 단절적 형태로 변모시키 고 있다. 이 처럼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소득격차에 기 인한 경제적 양극화가 주거 및 자녀교육의 차등 화를 중심으로 한 사회적 양극화와 소비양식을 중심으로 한 문화적 양극화로 외연되고 있는데, 양극화의 현상이 의식적 차원에까지 파급됨으 로써 한국사회는 물과 기름처럼 화합하기 어려 운 이질적 존재들이 서로 등을 돌리고 살아가는 폐쇄사회로 전환될 가능성이 엿보인다. 고도 성장기에 한국사회의 의식적 계층구조 는 성취의 꿈에 부푼 다수의‘열망계급’과 거듭 된 실패로 의기소침한 소수‘실망계급’이 보다 나은 미래를 바라보며 공생하는“한 지붕 두 가 족”같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IMF 환란 이후 성 장지체기에 접어들면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자본을 독점하는 상류계급에 귀속되려는 소수 의‘야망계급’과 언제 일자리에 떨려날지 몰라 상시적 불안감에 시달리는 다수의‘낙망계급’ 으로 의식적 위계적 질서가 재편되는 경향이 역 력하다.

4. 양극화 극복 방안

한국사회의 양극화 논의는 주로“중산층 몰 락”이나“빈곤층 확대”라는 경제적 시각에 한 정되어 왔다. 그러나 세계경제의 침체로 생존적 불안감이 전면화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사회 적·문화적·의식적 단면까지를 망라한 양극 화 논의의 확장이 절실히 요청된다. 우리 사회 의 양극화는 중산층 침하 현상뿐 아니라, 상하 계층 간의 소통을 차단함으로써 살아가는 방식, 생각하는 방식, 느끼는 방식을 분절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에서 직업 지위는 소득과 자기 존재 권두언 _

3

(2)

감의 핵심적 요건이 된다. 따라서 양극화 해소 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일자리의 창출이 우선 시되어야 한다. 안정적 직업지위의 확보야 말로 취업을 목전에 둔 청년 세대, 실직 불안에 시달 리는 장년 세대 및 노후 대비에 부심해야 할 중 년 세대는 물론이요, 그들에 의존해 살아가는 모든 국민의 공통적 여망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취업은 인간다운 삶의 필요조건이되 충분조건은 아니다. 진정한 삶의 질 향상을 위 해서는 일자리 확충이라는 제도적 개선책을 넘 어서서, “마음의 가난”을 초극할 수 있는 상생 과 화합의 윤리가 사회적으로 정립되어야 할 것 이다. 배려, 나눔, 일치를 향한 국민적 잠재력은 새만금 기름유출사태에 대한 자원봉사 활동이 나 WBC 야구대표팀에 대한 거국적 성원 등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간단없이 표출되어 왔다. 이처럼 충만한 상생적 열정을 국가 발전의 동력 으로 결집시키는 일이야말로 국가의 사회통합 적 역량이요 책무가 아닐 수 없다.

4

_ 보건복지포럼(2009. 4.)

참조

관련 문서

 산업혁명을 계기로 시작된 공업을 중심으로 한 기계문명이 발달하면서 일어난 인구의 도시 집중과 그에 따라 나타난 인간의 삶터가 공간적,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도시적으로

이렇게 부엌 과 안방이 같이 남향으로 일렬로 늘어서고 큰 대청이 동서로 면하게 ㄱ자로 꺾인 것은 개성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방

하곡학파가 줄곧 비판해 온 가도의를 계승하면서 가혹한 현실 속에서도 ‘우 도불우국(憂道不憂國)’만을 주장하는 유교지식인을 비판하였다. 그는 정인보가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춤인 살풀이춤의 일환으로서의 명인 조갑녀의 민 살풀이춤.. 을 중심으로 원형보존과 전승의 사실적 배경을 구체화하는데 문제의식을 두고

이상과 같이 국립발레단 광주시립무용단 유니버설 발레단의 대표적인 한 국적 창작발레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한국 창작발레의 안무적 성향은 년 창단된

학력에 따라서는 인구 통계적 특성이 참여동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났다.. 았다 합기도 수련자를

○ Quiver 마커 중 지구의 생태를 잘 표현한 컨텐츠 중심으로 미리 준비하여 한 모둠 내에서는 서로 다양한 컨텐츠를 표현하도록 하여 최종 결과물을 모둠원들 이 서로

어 불교,유교등 종교와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풀어보았다.제3 장은 조선시대의 목판화 중심으로 사회적,문화적 배경에서 나타난 목판화의 양식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