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발전방안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발전방안 연구"

Copied!
19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연구보고서 2006-19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발전 방안 연구

류 시 원 장 영 식 이 상 영

이 현 실 윤 경 일 이 원 재

송 현 종 이 기 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3)

머 리 말

정보통신기술은 이제 지역보건의료서비스에 필수적인 기반환경이 되었으며, 건강정보의 제공 및 검색, 활용 등 모든 분야에 있어서 정보의 수집, 관리, 처 리 등 일련의 정보처리과정과 정보서비스 과정에 확산되어 활용되고 있다. 특 히 공중보건 및 건강과 관련한 정보는 인터넷을 통하여 국민들에게 용이하게 전달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의 결과는 지역보건의료 행정 및 서비스 질 향상, 생산성 및 효과성 제고를 통한 삶의 질 향상,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정보통신산 업의 진흥 등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단순히 기계론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할 경우 기대하는 목 표의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 정보기술의 활용대상은 사회적 환경 속에서 존재 하는 조직 또는 작은 단위의 사회적 시스템이다. 따라서 정보기술의 사회적 활 용은 활용대상에 대한 충분한 통찰과 정보기술의 가능성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 어져야 한다. 즉 사회-기술적인 관점(socio-technical perspective)에서 정보기술 응용시스템을 바라보고 추진 및 활용이 되어야 한다. 특히 정보화는 업무자동 화 등 여타의 단순기술의 도입 및 활용과는 다르게 정보기술에 대한 적절한 지 식과 업무에 대한 지식이 충분히 갖추어진 상태에서 성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 한 관리 및 조정, 준비 등이 아주 중요하다. 그러므로 지역보건의료 정보화를 성공시키기 위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사전준비를 통한 도입과 활용과정에 대한 관리가 기술적, 조직적, 사회적, 기술과 조직간의 연계/통합 등의 차원에서 이루 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과정 및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지역보건의 료분야 정보화 관리체계 및 정보화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정보화 성공에 관련된 주요 요인들을 중심으로 한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

확보하고 나아가 추구하는 목표를 충실히 달성함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류시원 객원연구위원의 책임 하에 추진되었으며, 장영식 연구위원, 이상영 연구위원, 이기호 선임연구원, 고려대학교 이현실 교수, 계명 대학교 윤경일 교수, 경원대학교 이원재 교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송현종 책임 연구원에 의하여 공동으로 추진되었으며, 강북구보건소 조성억 소장, 경북대학 교 감신 교수, 가톨릭대학교 김석일 교수 등으로부터 여러 단계의 자문에 의하 여 안내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원고를 세심히 검독하여 귀중한 조언을 주신 본원의 송태민 연구위원과 정영철 부연구위원에게 감사한다. 2006년 12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원 장 김 용 문

(5)

목 차

Abstract ··· 11 요 약 ··· 13 Ⅰ. 서론 ··· 53 1. 연구의 필요성 ··· 53 2. 연구의 목적 ··· 54 3. 연구방법 및 범위 ··· 54 Ⅱ.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추진 및 활용 현황 분석 ··· 57 1.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선행연구 분석 ··· 57 2.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추진 현황 분석 ··· 59 3.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의 성과 분석 ··· 69 4. 보건소 홈페이지 활용실태 및 이용역량 분석 ··· 86 Ⅲ. 주요 외국의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동향 ··· 95 1. 미국의 지역보건의료정보화 동향 ··· 95 2. 유럽의 지역보건의료정보화 동향 ··· 111 3. 일본의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동향 ··· 118 4. 기타 외국의 지역보건의료정보화 동향 ··· 155

(6)

2.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수요관리 체계 ··· 158 3.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수용 및 활용 능력 향상방안 ··· 166 4. 국가와 지역, 지역간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효과적 연계방안 ··· 168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 174 1. 결론 ··· 174 2. 정책적 제언 ··· 175 3. 연구의 한계점 ··· 176 참고문헌 ··· 177 부록 ··· 185

(7)

표 목 차

〈표 Ⅰ- 1〉 연구내용별 연구방법 및 결과(요약) ··· 55 〈표 Ⅱ- 1〉 보건복지 정보화 혁신과정별 주요내용 ··· 58 〈표 Ⅱ- 2〉 지역보건의료의 주요한 문제점 ··· 61 〈표 Ⅱ- 3〉 지역보건의료의 주요영역별 개선방안(2005. 10) ··· 62 〈표 Ⅱ- 4〉 지역보건의료분야 정보화 1기 사업 연차별 개발내용 ··· 65 〈표 Ⅱ- 5〉 지역보건의료분야 정보화 2기 사업 연차별 추진내용 ··· 67 〈표 Ⅱ- 6〉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 IS-BSC의 각 지표별 임무, 핵심질문, 목표 ··· 74 〈표 Ⅱ- 7〉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 IS-BSC 성과평가 문항: 사용자 지향 ··· 75 〈표 Ⅱ- 8〉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 IS-BSC 성과평가 문항: 비즈니스 가치 ···· 76 〈표 Ⅱ- 9〉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 IS-BSC 성과평가 문항: 내부 프로세스 ···· 76 〈표 Ⅱ-10〉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 IS-BSC 성과평가 문항: 정보화 역량 관점 ·· 77 〈표 Ⅱ-11〉 보건소정보시스템 전반적 성과평가 문항 ··· 77 〈표 Ⅱ-12〉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 IS-BSC 및 성과관련 응답자의 특성 ···· 79 〈표 Ⅱ-13〉 사용자 지향 관점 보건소정보시스템의 특성 ··· 80 〈표 Ⅱ-14〉 업무성과 관점 보건소정보시스템의 특성 ··· 81 〈표 Ⅱ-15〉 정보시스템 관점 보건소정보시스템의 특성 ··· 82 〈표 Ⅱ-16〉 정보화 역량 관점 보건소정보시스템의 특성 ··· 83 〈표 Ⅱ-17〉 조직의 성과 관점 보건소정보시스템의 특성 ··· 84 〈표 Ⅱ-18〉 보건소 웹사이트(홈페이지) 이용실태 및 이용자 역량평가 문항 87 〈표 Ⅱ-19〉 보건소 홈페이지 이용관련 응답자의 특성 ··· 89 〈표 Ⅱ-20〉 보건소 홈페이지 정보의 이용수준 ··· 90 〈표 Ⅱ-21〉 보건소 홈페이지 질병 및 건강정보 질 평가 ··· 90

(8)

〈표 Ⅱ-23〉 보건소 홈페이지의 지역보건의료기관 위치정보 질 평가 ··· 92 〈표 Ⅱ-24〉 보건소 홈페이지의 뉴스, 공지사항, 새소식 등 정보 질 평가 ··· 92 〈표 Ⅱ-25〉 건강정보 이용자들의 건강정보 이용능력 평가 ··· 93 〈표 Ⅲ- 1〉 미국의 소비자중심 및 풍부한 정보에 의한 보건의료 전략계획 틀 ··· 96 〈표 Ⅲ- 2〉의료의 과제별 정보기술의 활용수단과 기대효과 ··· 126 〈표 Ⅳ- 1〉보건소의 주요 지역보건사업 ··· 164 〈표 Ⅳ- 2〉 중앙 및 지방 주도형별 지역보건의료 정보화의 장단점 ··· 169 〈표 Ⅳ- 3〉국가 및 지역 정보화계획의 역할분담 방안 ··· 171

(9)

그 림 목 차

〔그림 Ⅰ-1〕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발전방안 연구 틀 ··· 56 〔그림 Ⅱ-1〕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 IS-BSC 관점들간의 관계 ··· 73 〔그림 Ⅲ-1〕 지역의료의 모델 ··· 145 〔그림 Ⅳ-1〕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수요관리 과정 ··· 159 〔그림 Ⅳ-2〕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수요분석을 통한 정보화 실행과정 ··· 160 〔그림 Ⅳ-3〕 보건소의 정보화 수요파악 체계 ··· 165 〔그림 Ⅳ-4〕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제안과 선택의 흐름 ··· 167

(10)
(11)

Abstract

Improving Strategy of Regional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in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have potential to the healthcare service industry, especially in public sector.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analyze regional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and suggest improving policy strategy.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regional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focusing on heath center information system(HCIS). We hav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about usage and quality of HCIS and information about health resources. We analyzed the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by using balanced score card(BSC). Also we surveyed the status of National Helath Information Infrastructure(NHII) of other developed country, such as USA, Japan, Europe. We found some problems to be improved in the system and environments, such as loose coupling between other systems, lack of needed information to the regional populations, lack of proactive mind-set for information systems.

By analyzing the HCIS of Korea, we suggested that strategic information demand, collaboration among organizations, robust ICT use for regional healthcare services, systematic management of regional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through special organization are needed.

In conclusion, we proposed some policy directions and alternatives to regional health information systems, amendments of law an policy, creation of environments, program to enhance user literacy of ICT, performance measurement and analysis system.

(12)
(13)

요 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 지역주민들에게 공공의 기본적인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보건소 중심의 지역보건의료체계는 투입자원의 양과 질, 구조, 업무방식 등의 선진화를 위 하여 정보통신기술을 적극 활용하여야 할 것임. □ 그러나 정보화를 통한 지역보건의료분야 조직의 운영, 정책 및 프로그램의 평가, 서비스의 혁신, 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 등은 주로 기술 중심으로 시스템을 개발하여 왔으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잔존하고 있음 — 상부기관 중심의 정보화 추진에 따른 다양한 차원(전략차원, 관리차원, 운 영차원)에서 요구되는 정보 및 업무프로세스의 확인 및 반영 미흡 — 상부기관에서 관리감독 차원에서 필요한 통계 및 정보의 생성 등을 중심 으로 한 정보화로 실무를 수행하는 단위보건조직에서의 적극적인 수용자 세 확보 미흡 — 기술시스템의 수용 및 활용에 따른 조직의 변화관리 미흡 — 활용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 추가적인 요구내용의 반영, 유지보수 관리 등에 대한 미흡한 조치 — 자료수집 및 입력단계의 표준화 미흡으로 정보통계의 품질 확보 미흡 □ 지역보건의료분야 정보화전략계획의 수립(보건복지부, 2005. 7) 등을 통하여 공공의료의 확충 및 보건의료행정의 선진화를 위한 지역보건의료혁신 노력 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이를 실천하기 위한 법(지역보건법, 농어 촌특별법, 공공의료에 관한 법률 등) 및 제도의 보완, 지역보건의료계획 수

(14)

립 및 평가에 필요한 통계지표의 개발, 정보화 실천을 위한 조직문화 및 조 직간 협력체계 형성, 정보화 실천을 위한 능력 배양 등 고객 지향적이고 미 래 지향적인 차원에서 지역보건의료 정보화의 실천 방안이 필요함.

2.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정보화 기반의 지역보건의료의 변화관리 방안, 조직문화, 조직간 연계 및 협력 방안 등을 위한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발전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고자 함.

3. 연구방법 및 범위

□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보건의료 정보화에 대한 국내외 선 행연구 및 사례 분석, 국내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현황 및 문제점 분석, 미 국과 일본의 지역보건의료 동향 등을 통하여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발전방 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다각적인 방법을 구사하였 다(표 1 참조). — 문헌연구: 선행연구, 사례연구 — 직접관찰: 주요 정보제공자 면담: 현황 및 문제점 파악 — 설문조사: 지역보건의료 종사자, 이용자, 전문가 등으로부터 제공 및 이용 관련 영향요인, 문제점, 요구사항 등 파악 — 관련 전문가(지역보건의료 연구자, 정책담당자 등) 자문 □ 관련 전문기관간 전문성을 고려하여 역할을 분담하여 협동연구를 추진함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 총괄, 전체 연구추진 — 고려대: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이용자 역량 조사 및 분석 — 계명대: 발전적인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역량 및 성과의 조사 및 분석 — 경원대: 미국의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실태 및 동향 분석 — NTT(일본): 일본의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실태 및 동향 분석

(15)

요약 15 〈표 1〉 연구내용별 연구방법 및 결과(요약) 분석내용 연구방법 결과(산출물)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외부 수요조사 ・연구진 분석 및 판단 ・연구의 필요성 ・연구목적 ・선행연구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관련 문헌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성공요 인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방법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추진현황 ・기존자료 수집 ・문헌검토 ・전문가자문 ・문제점 ・현황 ・성과 등 ・주요 외국의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동향 (미국, 일본) ・문헌 분석 ・국가계획 분석 ・협동연구(외부연구진) ・전문가 자문 ・추진동향 ・전략계획 ・시사점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활용실태, 이 용자 역량, 성과 ・면접조사 ・협동연구(외부연구진) ・활용실태 ・성과 ・이용자(지역주민) 역량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발전방안 ・선행연구, 현황, 외국 동향 분석, 실태조사 등의 결과 종합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발전 방안 ・결론 및 정책제언 ・연구내용 종합검토 ・정책제언 ・한계점 및 추가연구

Ⅱ.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추진 및 활용 현황 분석

1.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선행연구 분석

□ 지역보건의료 정보화를 위하여 기존의 많은 개발사업 및 연구들이 추진되었 으나 대부분의 경우 기술(technology) 중심적으로 추진함. □ “지역보건의료 정보화”는 기존의 업무방식에 필요한 정보기술을 적절하게 접목 시키는 인간-기계시스템으로서 기술 및 공학적 개발단계뿐만 아니라 실제 활용 단계에서의 조직의 사회-심리적 상황, 조직의 여타 업무와의 연계 등을 충분히

(16)

고려하여야 함. □ 류시원과 이경호(2001): 보건복지 정보화 추진 및 실행과정 분석(계획, 운영 실태), 외국 또는 성공사례 등의 분석, 정보화 관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 보 건복지 정보화의 성공을 위한 관리활동, 정보화 계획 및 실행과정 등을 분 석하여 보건복지 정보화 관리방안을 제시함. — 입력, 정보화 프로세스(시작, 도입, 실행), 성과평가, 평가결과의 환류 등 크게 4단계로 구분하여 보건복지 정보화의 혁신적 관리과정을 제시함(표 2 참조). 〈표 2〉 보건복지 정보화 혁신과정별 주요내용 정보화 혁신과정 정보화 관리 주요 내용 입력 ‧ 변화하는 보건복지 환경 및 정책 ‧ 혁신적인 정보기술 ‧ 정보화 요구내용 정보화 프로세스 시작 ‧ 정보화 전략계획(주기, 방법, 내용) ‧ 정보화 요구 파악 ‧ 필요한 정보기술 추적 도입 ‧ 정보화 자원 확보(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인력 등) ‧ 개발방법 선정 실행 ‧ 개발 및 설치 ‧ 실행과정 관리(유지보수, 수용 및 활용능력 개발 등) ‧ 환경조성(기술환경, 제도환경, 관리환경 등) 성과평가 ‧ 시스템 품질 ‧ 정보의 품질 ‧ 사용자 만족도 ‧ 개인적인 성과 ‧ 조직적인 성과 환류 ‧ 평가결과의 반영 □ 주지홍 외(2003): 의료정보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의료정보화 법/제도 현 황을 분석하고, 의료분야 정보화의 효율적인 추진과 관련산업의 발전을 위

(17)

요약 17

하여 원격의료, PACS, 전자의무기록 등에 대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함. □ Booz Allen Hamilton (2005)은 “A National Health Information Network”보고서

에서 공공과 민간의 협력(collaboration)에 의한 국가적인 건강정보네트워크 (NHII) 구성을 일반정보, 조직 및 비즈니스 프레임워크, 관리 및 운영상 고 려사항, 상호운영성을 위한 표준 및 정책, 재정적 및 규제적 인센티브, 기타 등 6가지 범주로 제시함.

2.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추진 현황 분석

□ 보건소 정보화 사업을 근간으로 하는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사업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1994년부터 추진되어 옴. — 지역주민에 대한 건강정보와 주요 질병에 대한 정보를 보건의료기관의 전산화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보건사업 수행 시 기본자료로 활 용함으로써 지역주민에 대한 보건의료 서비스의 수준을 향상 — 보건의료와 관련한 업무에서 보고‧수집‧통계업무의 간편화‧신속화‧정확 화로 지역보건분야 정책 및 행정에 대한 생산성 및 신뢰도를 향상 — 지역보건정보의 생성, 전달, 가공‧산출 과정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정보 체계의 확립으로 국가와 지방단위의 표준화된 통계를 생산할 수 있어 효 율적인 국가 및 지방의 보건의료계획 수립을 지원 — 관련망과의 연계를 통하여 지역주민정보를 확보함으로써 주민전체를 대 상으로 한 보건사업과 평생건강관리 측면에서의 개인 보건의료정보를 효 율적으로 관리 □ 참여정부가 들어서면서 공공의료의 강화가 보건의료정책 가운데 주요한 과 제로 대두되면서 공공보건정보화를 위하여 지역보건의료정보화 전략계획을 수립하여(2005년 10월) 추진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향후 4년간 약 3,0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으로 있으며, 이중 보건소통합정보시스템을 위해 2006년부 터 향후 5년간 약 650억원을 투자하여 한 단계 높은 수준의 공공보건서비 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음(보건복지부, 2005).

(18)

가. 지역보건의료의 주요 문제점

□ 지역보건의료 정보화전략계획의 수립과정에서 보건소서비스의 국민편의 제공, 진료업무의 정보화, 보건사업 관리체계, 정보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체계, 유관 기관과의 전자적인 연계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지역보건의료의 주요한 문제점 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여 추진하고 있음(표 3 참조). 〈표 3〉지역보건의료의 주요한 문제점 문제의 영역 주요 내용 보건소서비스의 국민편의 제공 ‧지역주민과 의사소통, 민원처리 및 건강정보 제공 등 대국민 서비스 미흡 :보건소에서 서비스 내용, 접근방법, 방문시기 등 잘 모름 ‧관할 보건기관에서만 서비스 가능 ‧보건소별 홈페이지: 산발적인 정보 제공, 콘텐츠 부족 ‧보건기관: 보건기관 방문을 통한 진료결과 확인 및 민원서류 발급 진료업무의 정보화 ‧진료기록 수기 작성 및 이중관리 ‧보건기관 내 정보연계 미흡 ‧정보관리의 비효율성 보건사업 관리체계 ‧지역특성을 반영하는 보건사업계획 수립 어려움 ‧실적관리 업무의 부담 과중 정보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체계 ‧정보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의 복잡/이원화 ‧정보관리체계 미흡 ‧지속적인 시스템 기능 개선 미흡 ‧시스템 교육/Help 지원 미흡 ‧진료정보의 보안체계 미흡 ‧시스템 유지 및 관리 비용 과다(76억/년) ‧노후장비 교체 : 30억원/년 ‧시스템 유지보수 비용 : 33억원/년 ‧시스템 추가 개발 : 13억원/년 ‧업무 효율성 및 만족도 낮음 유관기관과의 전자적인 연계 ‧유관기관 정보연계 미흡으로 낮은 업무 효율성과 정책 효과성 ‧보건복지부: 통계의 수작업 집계, 콘텐츠 빈약 및 활용저조 ‧시군구: 부분적 연계 및 활용 미흡 ‧건강보험공단, 암센터 등: 전자적 정보연계 안됨 ‧질병관리본부: 이중등록, 정보보호 필요 ‧타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정보연계 단절/미흡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개별적 EDI청구로 청구비용 낭비 주: 지역보건의료 정보화전략계획(보건복지부, 2005. 10) 참조

(19)

요약 19

나. 보건복지부의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사업의 추진현황

□ 지역보건의료분야 정보화사업은 보건소 정보화사업을 근간으로 국민복지망 기본계획에 의거하여 1994년 12월부터 2기로 나누어 8차 년도에 걸쳐 (1994.12~2001.10) 연차적으로 시행하여 옴. — 제1기 보건소정보화사업(1994.12∼1998.7): 보건소 정보화 프로그램 개발 을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보건소 업무의 효율화와 함께 지역 보건의료분야 전산화 구축의 기초단계가 확립됨. — 제2기 보건소정보화사업(1998.10∼2001.10): 보건소 중심의 지역보건의료 망 구축과 보건소 정보시스템의 전국 확산, 관련기관·정보망과의 연계를 통한 정보교류 확대와 정보활용도 제고 등의 목표로 시행

다. 보건복지부의 지역보건의료정보화 전략계획(2005. 10)

□ 최근 급속한 정보기술의 발달과 보건의료 환경 변화에 따라 중앙정부와 광 역자치단체, 보건소를 연결하는 전국단위 정보네트워크 구축에 있어 신기술 적용방안 연구를 통하여 보건소 정보화 사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옴. □ 또한 시군구 행정정보망과 연계를 통해 생애주기에 따른 주민 평생건강관리 를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을 도모하고 있음. □ 보건복지부는 공공보건의료의 확충, 국가 e-Health사업 선도, 보건행정의 선 진화를 위한 정보화전략계획을 2005년 10월에 수립하여 지역보건의료 정보 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3.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의 성과 분석

□ 지역보건의료 정보화는 지역주민들에게 공공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 여 추진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크게 2가지로 구분: ① 지역보건의료행정의 효 율화, 사업에 대한 분석 및 결과보고를 위한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 ② 지역 주민들에게 공공보건사업의 안내, 지역보건의료서비스 이용안내, 지역보건의

(20)

료자원 안내, 건강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웹기반의 시스템(홈페이지)

가.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의 성과평가 필요성

□ IS-BSC 개념을 보건소정보시스템 평가에 적용하여 지역보건의료 계획 및 서비스를 담당하는 보건소의 단기적인 목표달성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보 건소 서비스의 부가가치 창출에 보건소정보시스템의 기여도를 평가하여 정 책적 함의를 확인하고자 함.

나.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의 평가모형 모형 설정

□ Martinsons 등(1999)이 제시한 정보시스템-균형성과표(Information System Balanced Score Card: IS-BSC)의 4가지 관점을 보건소정보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4가지 관점의 평가목표 및 세부평가항목들을 재구성함(표 4 참조). 〈표 4〉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 IS-BSC의 각 지표별 임무, 핵심질문, 목표 사용자 지향(최종사용자 관점) 비즈니스 가치(경영층 관점) 임무: 최종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정보 및 서 비스의 전달 핵심질문: 보건소정보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 및 서비스들이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는가? 목표 - 최종사용자들에게 좋은 이미지 및 평가 - 보건소정보시스템의 공적 인정 - 최종사용자 요구사항 충족 - 대민 서비스 품질 개선 임무: 보건소 가치에 공헌 핵심질문: 보건소정보시스템이 보건소의 기능 과 역할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으 로서의 자체목적을 달성하고 있고 전체 보건소 조직의 가치에 기여 하는가? 목표 - 경영층에게 좋은 이미지 및 평가 - 보건소정보시스템에 의한 보건소업무성과 향상 - 효율적 예산 및 비용 통제 내부 프로세스(운영 관점) 미래 대비(혁신 및 학습 관점) 임무: 보건소정보시스템의 효율적, 효과적 개 발 및 운영 핵심질문: 보건소정보시스템의 개발과 운영 이 효율적, 효과적으로 수행되고 있는가? 목표 - 최종사용자와 경영자들의 적극적인 참여 및 요구 - 효율적인 보건소정보시스템 계획수립과 개발 - 효율적인 응용시스템 운영과 유지 - 효율적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획득 및 테스트 - 효과적인 자료 및 정보의 보안 관리 임무: 지속적 개선과 미래의 도전에 대한 준 비 핵심질문: 지속적으로 보건소정보시스템 관련 서비스를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 으며 잠재적 변화와 도전에 대해 준비하고 있는가? 목표 - 보건소정보시스템 서비스 관련 문제들에 대 한 지속적 관심과 준비 - 훈련과 개발을 통한 지속적인 인적역량 강화 - 신기술 및 지식축적의 효과적 수행

(21)

요약 21

다.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개발

□ 내부정보시스템 균형성과평가표(IS-BSC) 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4가지 관점 (최종사용자 관점, 비즈니스 가치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미래 대비 관 점) 및 정보시스템의 성과에 대하여 세부평가문항을 조작적 정의과정을 거 쳐 개발함.

1) IS-BSC 관련 문항 개발

□ 정보시스템 균형성과표 개념에 의하여 개발된 평가문항은 사용자지향 관점 (User Orientation Perspective: UOP) 관련 문항 8개(U1~U8), 비즈니스 가치 관 점(Business Value Perspective: BVP) 관련 문항 15개(W1~W15), 내부 프로세 스 관점(Internal Process Perspective: IPP) 관련 문항 11개(S1~S11), 미래 대비 관점(Future Readiness Perspective: FRP) 관련 문항 6개(I1~I6) 등 총 40개 문 항으로 구성함.

2) 정보시스템 성과 관련 문항 개발

□ 보건소의 전반적인 성과에 대한 보건소정보시스템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문 항들을 개발함(Bailey & Pearson, 1983, Sedden 등, 1994, Li, 1997, 정해용과 김상훈, 2003).

— 전반적인 성과는 사용자가 일상업무 수행에서 지각하는 정보시스템의 기 여도를 측정하는 직무성과(Job Performance: JP) 부문 6개 문항(P1~P6)과 정보시스템이 조직전체에 미치는 종합적인 시너지효과를 측정하는 조직 성과(Organization Performance: OP) 부문 7개 문항(P7~P13)으로 구성함

라. 자료의 수집

□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서 보건소정보시스템을 직접 사용하는 보건소 직원들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22)

□ 시스템을 사용하는 광역시형 12개 보건소에 각 25부, 시도형 20개 보건소에 각 20부로 총 32개 보건소에 700부를 배포함. □ 배포된 700부 가운데 498부가 회수되어 71%의 회수율을 보임. □ 회수된 498부의 설문지 가운데 결측치가 많은 설문지 12부를 제외한 486부 의 설문지를 분석에 포함함.

마. 분석결과

1) 응답자의 특성

□ 응답자의 평균나이는 40.5세로 20대가 52명(10.7%), 30대가 147명(30.2%), 40 대가 226명(46.5%), 50대 이상이 56명(11.5%)으로 40대가 전체 대상자의 46.5%를 차지하고 있음. □ 평균 근무경력은 12.40년으로 5년 미만이 117명(24.1%), 5~10년이 49명 (10.1%), 10~15년이 131명(27.0%), 15년 이상이 181명(37.4%)으로 15년 이상 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함. □ 직종으로는 간호사 142명(29.2%), 보건직 138명(28.4%), 의료기사 120명 (24.7%), 의사 21명(4.3%)순이었으며 직급은 보건소장 7명(1.4%), 중간관리자 27명(5.6%), 업무담당자 340명(70.0%)으로 업무담당자가 가장 높은 비율임.

2) 서술적 통계분석

가) 사용자 지향 관점

□ 사용자 지향 관점에서는 보건소 정보시스템에 대한 접근성, 사용설명서, 메 뉴, 도움말 등 사용자들에 대한 안내, 보건소 정보시스템이 사용자들이 직 무만족도에 대한 기여, 보건소 정보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에 대한 만족, 유 지보수서비스, 업무처리량의 증가, 업무수행시간의 단축, 대민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조사하여 본 바 대체로 보통수준 또는 그 이하로 나타남.

(23)

요약 23

나) 업무성과 관점

□ 업무성과 관점에서 시간당 업무처리건수의 증가, 업무처리 소요비용 감소, 업무관련 의사결정에 보건소정보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활용, 예산편 성, 집행, 통제처리의 전산화, 투명하고 효율적인 예산관리, 예산의 절감, 산 출물을 업무에 유용하게 사용, 산출물 내용의 정확성, 최신 통계정보의 산 출 가능성, 유관기관(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 등)과 필요한 정보의 공유, 업무처리 절차의 간소화, 업무처리 형태(잔업, 중복업무 등)의 개선, 업무표 준화 실현 등을 조사하였으며, 예산의 관리와 절감 및 유관기관과의 필요정 보 공유의 경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

다) 정보시스템 관점

□ 정보시스템 관점에서는 보건소 경영층(보건소장 등)의 정보화의지, 보건소 직원들의 정보화 관심 및 정보화 추진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 새로운 요구 사항에 대한 개발, 기간, 방법, 표준화, 문서화 등의 적절성, 전산담당자의 관리 및 운영 편리성, 시스템다운(system down) 없이 24시간 가동성, 컴퓨터 또는 통신장비 고장 시 신속한 유지보수 및 확장 가능, 컴퓨터, 서버, 통신 장비, 소프트웨어 등의 충분한 확보, 업무수행에 보건소정보시스템 의존성, 유관기관 정보시스템과의 연동성 및 호환성, 자료나 정보의 보호체제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전반적으로 보통 또는 그 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남.

라) 정보화 역량 관점

□ 정보화 역량의 관점에서는 보건소정보시스템에 대한 충분한 교육 및 훈련, 교육 및 훈련 기회, 직원의 성장 및 새로운 정보기술 습득에 필요한 예산 지원의 충분성, 보건소 직원들의 정보기술관련 자격증(워드, 컴퓨터 활용 등) 소지여부, 보건소 직원들의 업무정보화를 위한 노력 및 실적, 지식관리 시스템(KMS)이 설치여부, 지식의 축적 및 활용 등을 조사하였으며, 교육 및 훈련의 기획 및 예산 지원은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양호한 편이나, 정보화 능력, 정보화를 위한 노력, 지식의 공유 및 활용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남.

(24)

마) 성과 관점

성과의 관점에서는 업무환경의 개선, 직무만족도 향상, 의사결정시간의 단축 및 실무자의 권한 증가, 업무성과 향상, 업무수행과정의 오류 감소, 보건소정보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정책이나 업무의 우선순위 분명해짐, 업무보 고 체계나 상급기관과의 관계 개선, 업무보고체계나 상급기관과의 의사소통 원 활해짐, 업무에 대한 권한과 책임 분명해짐, 조직구조나 질서가 체계적으로 확 립됨, 정보시스템의 성공적인 성과, 조직 전체의 성과 향상 등을 조사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보통수준보다 조금 높게 나타남. □ 업무환경의 개선은 보통수준 이하로 나타남.

바. 토의 및 시사점

□ 정보시스템 균형성표지표(IS-BSC)의 개념에 근거하여 최종사용자 관점, 비 즈니스 가치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미래 대비 관점 등 4가지 측면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들로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을 평가하여 본 결과, 전반적으 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남. □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이 사용자 중심의 미래 지향적인 시스템으로 개선이 필요함. □ 향후 보건소 내부정보시스템의 개발 및 개선 노력도 단기적인 개발성과 추 구보다 성과지표들 간에 균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장ㆍ단기 발전을 통한 성 과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추진되어야 할 것임.

4. 보건소 홈페이지 활용실태 및 이용역량 분석

가. 보건소 홈페이지 활용실태 및 이용역량 평가의 필요성

□ 각 보건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홈페이지의 인지 및 용 수준, 그 곳에서 제공

(25)

요약 25 하는 정보에 대한 평가, 주요 이용내용, 이용역량(literacy)주1) 등을 평가하여 바람직한 정책대안을 모색하고자 함.

나. 자료 수집

□ 자료는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홈페이지(건강길라잡이, 금연길라잡이, 건강정보광장)주2)에 팝업창을 설치하여 2006년 12월 4일부터 12월11일까지 8일간 실시함(문화상품권을 추첨하여 증정하는 이벤트를 실시함). □ 전체 응답수는 183명이었으나, 이용한 보건소 홈페이지가 적절하지 않은 경 우(이용보건소명 미기재, 보건소명 오기 등)의 응답을 제외한 97명의 응답자 료를 분석함.

다. 결과 분석

1) 보건소 홈페이지 이용관련 응답자의 특성

□ 성별 분포를 보면, 남자 46명(47.4%), 여자 51명(52.6%)으로 나타났으며, 연 령별 분포를 보면, 20대가 21명(21.6%), 30대가 39명(40.2%), 40대가 27명 (27.8%), 50대 이상이 10명(10.3%)으로 나타남. □ 학력별 분포는 고졸 이하가 13명(13.4%), 대재 5명(5.2%), 대졸 71명(73.2%), 대학원이상 4명(8.2%)으로 나타남. □ 직종별 분포를 보면, 보건의료 관련직 28명(28.8%), 공무원 3명(3.1%), 사무 직 또는 연구직 28명(28.9%), 가정주부 14명(14.4%), 학생 2명(2.1%), 기타 22 주1) 이용역량은 영어의 literacy(사전적 의미: 읽고 쓰는 능력, 교양)에 해당하는 것으로 활용하였 으며, 여기서는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보건의료 관련 정보를 검색능력, 검색한 정보를 판단 및 활용하는 능력 등을 의미함.

주2) 건강길라잡이(www.hp.go.kr), 금연길라잡이(www.nosmokeguide.or.kr), 건강정보광장(www.healthpark.or.kr) 등은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공공사이트로서 자기건강관리 및 건강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주로 접속하고 있음.

(26)

명(22.7%)으로 나타남. □ 인터넷 접속장소는 집이 37명(38.1%), 직장 56명(57.7%), 학교 1명(1.0%), 공 공장소 2명(2.1%), PC방 1명(1.0%)으로 나타남. □ 보건소 홈페이지의 방문횟수는 하루 1회 이상 10명(10.3%), 일주일에 3~4회 9명(9.3%), 일주일에 1~2회 29명(29.9%), 월 1~3회 29명(29.9%), 월 1회 이상 20명(20.6%)으로 나타남. □ 보건소 홈페이지 방문시간은 10분 이하 23명(23.7%), 10분~30분 51명(52.6%), 30분~60분 20명(20.6%), 1시간~2시간 3명(3.1%)으로 나타남 □ 응답자들의 방문경로를 분석하여 보면, 금연길라잡이 49명(50.5%), 건강길라 잡이 38명(39.2%), 건강정보광장 10명(10.3%) 등으로 나타남.

2) 주로 이용하는 정보(1순위)

□ 보건소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유형별 이용수준을 살펴보면, 질병(전염 병) 및 건강정보 48명(49.5%), 기관, 진료/검진, 사업, 민원 등 안내 35명 (36.1%), 의료기관, 약국 위치안내 2명(2.1명), 뉴스(또는 새소식), 공지사항 8 명(8.2명), 자료실 4명(4.1%)의 순으로 나타남.

라. 토의 및 시사점

□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 즉 보건소에서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개설 하여 운영하고 있는 웹사이트의 정보 이용수준, 정보의 질 평가, 이용자들 의 이용역량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높게 평가됨. □ 보건소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 가운데 주로 이용하는 정보는 질병 및 건강정보 48명(49.5%), 기관, 진료/검진, 사업, 민원 등 안내 35명(36.1%), 의 료기관, 약국 위치안내 2명(2.1명), 뉴스(또는 새소식), 공지사항 8명(8.2명), 자료실 4명(4.1%)의 순으로 나타남. □ 제공되는 건강정보의 질은 정확성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

(27)

요약 27 며, 최신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함. □ 이용자들의 건강정보 이용능력(literacy)은 지역의료기관 탐색수준, 건강정보 의 탐색수준, 건강정보 활용수준, 건강정보 평가수준, 건강정보 신뢰수준 모 두 높게 나타남.

Ⅲ. 주요 외국의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동향

□ 외국의 동향분석은 최근 국가보건정보하부구조망(National Health Information Infrastructure; NHII)의 구성에 의한 지역보건의료망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 하고 있는 미국, 고령화사회를 맞으면서 지역복지사업과 연계하여 지역보건 의료 정보화를 추진하는 일본을 중심으로 실시함. □ 정보화 혁신에 의한 지역보건의료 선진화 정책동향, 실천사례 분석, 주요 정 보화 실천 성공사례, 연구결과 분석 등을 중심으로 살펴봄.

1. 미국의 지역보건의료정보화 동향

가. 국가 보건의료 정보 하부구조(NHII)

□ 최근 부시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보건의료정보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미국은 연방정부차원에서 보건의료 정보화기술이 미국의 보건의료시스템을 발전적으로 변화시켜 줄 수 있는 주요한 도구(key enabler)로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비전과 수단, 그리고 세부목적별 내용을 제시하고 있음 (표 5 참조). — 비전: 소비자 중심적이고 풍부한 정보기반의 보건의료체계(consumer

centric and information-rich healthcare system)

— 수단: 상호운영 가능한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s: EHR) 및 인 상의사결정지원도구(clinical decision support tools)

(28)

∙ 환자들은 자신들의 진료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

∙ 의료제공자들은 적합한 환자의 정보에 적시에 접근(ready access) ∙ 진료의사결정은 자료 및 증거 기반의 의료에 의해 안내되고 수행됨. 〈표 5〉미국의 소비자중심 및 풍부한 정보에 의한 보건의료 전략계획 틀

목적 1 목적 2 목적 3 목적 4 inform clinical practice 임상의들 상호연결 개인화된 의료 제공 전국민의 건강 증진  EHR 수용에 대한 장려대책 수립  EHR투자위험 감소  농촌 및 취약지역 에 EHR 확산 촉진  지역협력체 양성 (RHIOs)  NHIN 개발  연방건강정보시스 템 조정 (FHA/CHI)  개인건강기록 사용 장려  정보기반의 소비자 선택능력 제고(의료 의 질 투명성 확보)  원격의료방식 사용 촉진  공중보건감시체계 통일  품질 및 건강상태 모니터링 효율화  증거기반 연구 및 결과배포 가속화 — 계획의 성공조건 ∙ 임상의간 시스템의 연결을 위한 하부구조의 마련 및 수용제고를 위한 매력적인 인센티브시스템 ∙ 소비자-중심의 비전 실현을 위한 주요 장애물 극복: EHRs, RHIOs, NHIN 으로부터 생성되는 가치를 보여주고 이해시키는 것(대부분의 이해관계자들은 보건의료정보기술의 가치를 미리 생각하고 있지만, 많은 것들이 일화적인 증거에 기초함. 즉 HIT의 투자이윤에 대한 연 구들이 있지만 범위가 좁거나 제공자 중심) □ 국가보건정보 하부구조는 건강향상과 IT를 결합하는 틀이지만, 아직 미국의 국가보건정보 하부구조가 완성단계에 있는 것은 아님(NCVHS, 2007). □ NHII는 개인의 건강, 의료, 보건의 모든 측면을 지원해주는 일련의 기술, 표 준,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법률 등으로 구성되며, NHII의 광의의 목적은 소 비자, 환자, 전문가 각 개인들에게 그들이 필요한 때에 필요한 곳에서 정보 를 제공하여 정보를 근거로 하는 결정을 내리기 위해 정보를 사용할 수 있

(29)

요약 29

도록 하기 위한 것임.

1) 개인 보건의료 차원 (PHD; Personal Health Dimension)

□ NHII는 건강 및 안녕 관리, 개인 건강위험평가, 의사결정, 환자-의사간의 의 사소통, 약물 처방의 준수 등을 하도록 하여 개인의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환자에 대한 맞춤 보건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 만 성질환관리도 강화될 수 있음. □ 개인 보건의료 차원의 핵심 내용 — 개인 건강기록 ∙ 환자 확인 정보 ∙ 응급 연락 정보 ∙ 일생의 건강기록: 면역, 알러지, 가족력, 직업경력, 환경노출, 사회경력, 진료기록, 치료‧시술‧투약 기록, 결과 등을 포함하여 모든 곳으로부터 의 진료자의 요약 정보 ∙ EKG 등의 검사실 결과: 또는 방사선과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MRI, 생 검 슬라이드의 디지털 영상, 또는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의 디지털 비디 오 결과 등에 대한 연결 ∙ 알러지, 현재 사용약물, 의료 및 수술경력 요약 등의 응급진료 정보 ∙ 공급자 확인 및 연락 정보 ∙ 치료 계획 및 지침 ∙ 건강위험요인 개요, 추천된 임상 예방 서비스, 이 서비스들의 결과 ∙ 건강보험 급여 정보 — 기타 서비스 ∙ 통신: 환자-공급자 의사소통 기록, PHR에 가한 편집, 또는 보건의료 공급자 의무기록에 있는 정보의 정확성에 대한 염려 등 ∙ 다른 개인이나 기관의 접근에 대한 지침 ∙ 전자의무기록을 접근하는 개인이나 기관의 감사(audit) 기록

(30)

∙ 자가치료 기록: 영양, 신체활동, 투약 및 용량 계획 ∙ 양질의 보건의료 정보 자원 개인 도서관 ∙ 유사 의료 서비스, 삶의 의지 및 보건의료 대리인의 권한의 지속성 — 지역사회 차원의 요소 ∙ 지역 보건기관 연락 정보 ∙ 지역 보건서비스 (외래 등) ∙ 개인의 가정, 이웃, 학교 및 직장에 대한 환경 측정 및 경고

2) 보건의료 공급자 차원 (HCPD: Health Care Provider Dimension)

□ 보건의료 공급자 차원은 각 개인을 위한 보건의료 서비스의 질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 NHII는 외래, 입원, 장기요양, 재택, 지역사 회 등에서 환자를 진료하는 모든 곳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최신 기술을 사용함. □ 보건의료 공급자 차원의 핵심 내용 — 환자 기록 요소 ∙ 환자 확인 정보 ∙ 사회인구학적 확인 요소(성, 출생일, 연령, 인종, 결혼상태, 생활환경, 교육수준, 직업) ∙ 건강보험 정보(급여를 포함하여) ∙ 법적 동의 또는 허가 ∙ 의뢰 정보 ∙ 교신 ∙ 환자 경력 정보(PHD, 예방접종, 알러지, 현재 투약중인 약물의 장기간 경력을 포함할 수 있다) ∙ 방문 사유 ∙ 상해/질병의 외적 요인 ∙ 증상

(31)

요약 31 ∙ 신체검사 ∙ 환자의 증상의 평가 ∙ 진단 ∙ 검사실, 방사선과, 약국의 주문 ∙ 검사실 결과 ∙ 방사선 영상 및 해석 ∙ 경계, 주의, 상기의 기록 ∙ 운영 보고서 ∙ ICU로부터의 생체정보 ∙ PHD로부터의 생체정보 ∙ 치료계획 및 지침 ∙ 진행기록 ∙ 기능상태 ∙ 퇴원 요약 ∙ 접근에 관한 지침 ∙ 환자기록에 접근한 사람의 감사 일지 ∙ 환자 기록에 대한 환자의 수정 ∙ 환자의 지식, 환자-공급자 상호작용, 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접근 등과 같은 공급자의 메모

3) 지역사회 보건 차원(Community Health Dimension)

□ 환자에 따라서 보건의료공급자 차원 (Health Care Provider Dimension)은 환자 의 진료를 위한 이해, 치료, 계획에 필요한 부가적인 상황 정보를 포함 — 지역사회 구성원의 보건의료에 관한 집합적 정보

—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의 특성들 (예, 경제수준, 인구의 연령) — 지역사회 자원 (예, 재택 보건의료 서비스)

(32)

□ 지역보건 차원의 핵심 내용 — 보건 데이터 ∙ 영아사망률, 예방접종 수준, 전염성 질환 이환율 ∙ 환경, 사회, 경제적 상황 ∙ 보건 하부구조, 개별 보건의료 공급자, 보건의료기관과 관련된 지표 ∙ 기타 지역보건 지표의 요약 ∙ 등록자료 ∙ 질병감시체계 ∙ 조사 데이터

∙ Healthy People 목표와 Leading Health Indicators에 관한 데이터

— 보건의료 공급자 차원으로부터의 정보 (법적으로 설립된 보건 프로토콜 과 엄격한 보안이 적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개인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외한) ∙ 건강수준과 산출, 건강 이벤트, 건강 위험, 보건행태, 기타 개인적 특성 ∙ 보건의료 이용 및 접근, 건강보험 상태 ∙ 지역사회 구성원의 보건의료 — 기타 요소 ∙ 지역사회 조직과 서비스 명부 ∙ 기획, 평가 및 정책 기록 ∙ 법과 규칙의 명세서 ∙ 보건교육 캠페인을 지원할 자료 ∙ 시, 타운, 이웃, 보건의료 서비스 지역, 가정, 가족, 기타 집단 등 다양 한 경로를 통해 보건전문가들을 위한 사업 지침과 훈련 자료, CHD 내 에서 데이터 수집

(33)

요약 33

나. 지역보건의료 정보 네트워크(Regional Health Information Network)

□ 1978년에 매사추세츠 주에서 시도된 MA-SHARE(Mass. Health Data Consortium)가 시초임. — 이 프로젝트에서 제공한 서비스는 HIPAA처리 교환, 기록 검색 서비스, 임상데이터 교환, e-처방 등임. — 연방 인증을 통해 임상데이터를 중앙 주 환자색인을 활용하여 분산된 동 료끼리 교환할 수 있도록 함. □ 인디애나 주에서는 1994년과 2004년에 각 각 환자진료를 위한 인디애나 네 트워크(INPC; Indiana Network for Patient Care)와 인디애나 보건의료 정보 교환 (IHIE; Indiana Health Information Exchange) 프로젝트를 운영함.

— 인디애나 네트워크에서는 병원, 의사, 의원, 보건기관, 임상검사실, 방사 선 센터, 지방정부, 의학협회, 경제개발부서 등이 구성원으로 참여함. — INPC는 임상 요약, 장기 환자 기록, 임상 상기, 전자 검사실 보고, 증상/ 통계 감시, 임상 메시지 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IHIE에서는 임 상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중앙 전체 환자 색인, 공급자 색 인, 연합 인증과 함께 연합 데이터베이스를 중앙에서 관리함. □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카운티에서는 1998년에 산타바바라 카운티 진료 데 이터 교환 프로젝트를 수행함. — 제공한 서비스는 기록 검색 서비스, 임상데이터 교환 서비스였다. 임상데 이터와 연합 인증을 중앙의 주 환자 색인으로 분산된 동료끼리 교환할 수 있도록 함.

□ 뉴욕에서는 2001년에 타코닉 보건정보 네트워크(THINC; Taconic Health Information Network and Community)를 구축함.

— 이 네트워크에 참여한 구성원은 병원, 의사, 검사실, 의원, 정부기관, 의 학협회, 보험자가 참여함.

— 주요 서비스는 지역사회 데이터 교환, 임상 메시지전송, 의뢰 관리, e-처 방, 전자의무기록, 시술관리시스템 등

(34)

— 임상 데이터저장소를 보유한 중앙 주 환자 색인과 동료간의 교환 등의 아키텍쳐를 사용함.

□ 테네시에서는 2004년에 중남부 e헬스 연합 (MidSouth eHealth Alliance)을 운 영함 — 이 프로젝트에서는 기록 검색 서비스, 임상 데이터 교환 서비스가 제공 되었다. 중아 주 환자 색인이 구축함(처음에는 물리적으로 중앙 임상 데 이터와 인증으로 분산된 모형을 도입할 수 있도록 구축).

다. 지역사회 보건의료 정보 네트워크(CHIN)

주3) □ CHIN은 “임상 및 재정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며, 변환하기 위하여 정보기 술과 원격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조직간의 시스템이며, 정보는 보험자, 병원, 대안적 의료전달체계, 의원, 의사, 재택보건의료기관과 같은 경쟁기관 사이 뿐만 아니라 협력적 기관 사이에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것 □ 보건의료 분야의 급증하는 정보흐름의 요구에 맞게 1990년대 초에 적절한 정보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배경에서 기관 사이의 정보 네트워크인 CHIN이 확산되었다. 1995년까지 운영중이거나 개발 또는 기획 중인 CHIN 은 500여개

□ 지역의료네트워크(COMNET; Community Medical Network)에 따르면 초기에 는 CHIN은 행정을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초기의 CHIN의 다른 목적 들은 임상, 재무, 교육, 데이터 저장소 등임

□ CHIN의 유형: 재택보건의료, 자원봉사, 기업, 전화 네트워크(Payton & Brennan, 1999).

□ ComputerLink: 노화연구소 (National Institute of Aging)의 후원을 받아 알쯔하 이머 질환자 진료를 위해 개발된 시스템(Payton & Brennan, 1999).

(35)

요약 35

— ComputerLink는 환자와 보호자의 사회적 격리, 의료 증상과 연관된 낙 인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료공급자, 환자,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보건기관들을 연결한 시스템 —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의사결정, 이메일, 백과사전, 게시판이 제공되며, 이메일을 이용하여 간호 조정자와 타 알쯔하이머 치료 공급자 사이에 익명으로 의사소통 — 간호조정자는 알쯔하이머와 치료 정보를 포함하는 백과사전 기능을 유지 하면서 ComputerLink 사용자들에게 시스템과 보건의료 지원을 해주는 기 술 연결자의 기능을 함 —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는 개인의 가치관에 기반하여 스스로 무수한 시나 리오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해줌 — 게시판은 CHIN 연구 참여자들을 포함하여 지원집단의 공적 전자 포럼을 통하여 사용자들이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해줌

□ Wisconsin Health INformation Network (WHIN)을 포함하여 기타 CHIN들은 환자들이 자발적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접근하며, 배포함.

라. 공공보건정보네트워크(PHIN; Public Health Information Network)

□ PHIN: 미국내 전국 여러 보건의료조직의 업무와 기술의 공유를 위한 정보 시스템 □ 보건정보시스템의 개선과 조정을 위해 2004년에 시작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50개 주와 4개의 메트로폴리탄 도시, 8개의 미국령의 질병이나 재난에 대한 대비태세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입됨. □ PHIN의 목적: 대비체계의 전국 네트워크를 향상시키고, 진전시키며, 지속적 으로 추진하기 위한 것 □ PHIN의 기능 — 사건의 조기진단

(36)

∙ 보건 사건의 조기 파악을 위한 임상 및 건강관련 데이터의 2차적 활용 ∙ 임상에서 발생한 질병의 3등급 응급 분류체계로 웹과 상시적 보고체계 를 통한 사례보고 ∙ 2차 자료와 사례보고를 통한 건강문제의 규모, 발생 지역, 확산의 상황파악 ∙ HL-7 지침을 활용한 질병 데이터의 교환 ∙ 정상적인 질병 패턴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판단하고 시각화하는 알고리즘 — 질병 유행 관리 ∙ 사례조사 및 관리 ∙ 노출접촉 추적 ∙ 노출원 조사 및 사례와 노출원 접촉의 연계 ∙ 임상 및 환경 표본의 자료수집, 포장, 발송 ∙ 조기 파악 및 대응 행정능력의 통합 ∙ 검사실 검사 결과와 임상 사례 데이터의 연계 ∙ 표준 용어와 데이터 관계를 유지하면서 기관의 특성과 새로운 필요를 지원하는 유연성 — 검사실 검사 체계의 연계 ∙ 표본의 접수 및 검사결과 보고를 위한 표준 HL-7 메시지 형식과 용어 표준 ∙ 표본과 표본 데이터의 수령과 관리 ∙ 대규모 사건 발생시의 업무량의 분산을 예측하기 위한 검사활동의 모 니터링 — 대응 및 대응행정 ∙ 예방접종과 예방처치의 지원 및 추적관리 ∙ 제한된 공급물자의 할당 및 배분 지원 ∙ 약품 저장 공간, 접종주사기, 또는 클리닉의 추적능력 ∙ 문제발생 모니터링 ∙ 환자의 추구관리 (예방접종 받은 반응 평가)

(37)

요약 37 ∙ 격리 및 검역 모니터링과 추적 ∙ 배포된 물품과 관리된 물품을 추적하기 위한 배포차량에 대한 연계 (상업적 배포 경로 및 전략적 국가 재고파일 등) ∙ 면역 및 질병 등록과의 통합 — 파트너 의사소통 및 경계 ∙ 보건요원과 일차진료의사, 보건 검사실 요원, 대중 등에게 건강문제에 대한 경계의 신속한 배포 및 의사소통 ∙ 복수의 배포 경로: 이메일, 페이저, 음성메일, 자동 팩스 ∙ 메시지의 긴급성과 민감성에 기반한 선택적 배포 ∙ 관련 보건 전문가 사이의 협력적 의사소통 (웹 보드, threaded discussion, 웹 회의) — 다기능적 요소 ∙ 안전한 메시지의 전송: 의도된 청중들만이 메시지를 받고 읽을 수 있 도록 함. ∙ 정보를 교환할 때 지속적이고 사람들, 역할, 조직, 조직 유형, 법 집행 을 위한 보건 목록 ∙ 수신자 접속: 정보 교환을 위한 적절한 수신자 목록 확인 ∙ 용어 표준: 표준 어휘 목록 및 구조에 충실하기 ∙ 시스템의 보안 및 가용성: 사보타지나 실패로부터 시스템의 보호 및 손상이나 권한 없는 자의 접근으로부터 데이터의 보호 — 프라이버시: 환자와 조직을 그들 정보의 사기 또는 권한 없는 이용으로 부터 보호

2. 유럽의 지역보건의료정보화 동향

가. 국가 보건의료 정보 하부구조

□ 현재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지역보건의료네트워크(RHCN; Regional Health

(38)

Care Network)의 구축을 중심으로 하는 IT 전략기획을 수립함.

1) RHCN

□ 덴마크는 UN/EDIFACT (United Nations/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de)의 표준을 사용하고, 단순한 메일 상자 기술을 이용하여 10년 전부터 RHCN을 개발함. — 참여자들은 다양한 판매자의 컴퓨터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지만, RHCN 은 UN/EDIFACT 표준을 채택하여 다른 시스템들 사이의 전자 의사소통 을 가능하게 함. — RHCN을 통하여 다양한 보건 전문가들이 텍스트를 무료로 보낼 수 있는 이메일과 함께 구조화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함.

— 덴마크 보건의료 분야 (Danish Health Care sector)에서 약 40개사 이상의 판매자들이 이 표준을 채택하였고, 2001년에는 25백만 건 이상의 메시지 가 임상 콘텐츠와 함께 교환됨.

2) PICNIC(professional and citizens Network for integrated care)

□ PICNIC은 Information Society Technology, European Commission의 지원을 받 아 2003까지 개발된 시스템(Bruun-Rasmussen 등, 2003). □ PICNIC은 보건의료 및 사회서비스를 새로운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 원하기 위한 차세대 지역 보건의료네트워크의 개발을 위해 지역보건의료 공급자들이 시작함. 이 사업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공동으로 개발 □ PICNIC의 목표 — 다른 지역 사이에 사용되는 다수의 소스 공개 요소를 전달하고 응용프로 그램에 통합 — 미래의 RHCN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 지역 보건의료 공급자들이 차세 대의 보안성이 높고 사용하기 용이한 보건의료네트워크을 실행하기 위 한 준비

(39)

요약 39 — 원격보건의료 서비스를 위한 유럽의 시장이 집중되어 단편화됨을 방지 □ PICNIC의 구성 — 임상 메시지 전달 (clinical messaging) — 환자 데이터에 대한 접근 — 협력 IT 서비스: 자원의 파악, 자원의 소재 파악, 자원의 배치, 복수의 접 근, 현장의 메시지 전송 및 현재성, 임상 데이터의 공유: information free text, 표준 (EDIFACT, HL7, CDA, XML 등)의 사용에 의한 구조화된 정 보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의 공유 지원, 멀티미디어 확장: 이용할 수 있 는 회의 시설(음성, 화상, 음향)의 설치 촉진, 이벤트 공시

3) 영국

□ 1998년에 NHS에서 “Information for Health 1998~2005: 현대적 NHS를 위한 정보전략”이라는 보고서를 발간 — NHS로 하여금 국민을 위한 일생동안의 전자의무기록을 구축하며, 모든 NHS 임상가들에게 최상의 임상행위에 관한 환자기록 및 정보에 대한 상시적 온라인 접근을 제공하고, GP, 병원, 지역사회 서비스들이 정보고 속도로를 통해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환자를 진료하도록 하고, 온라인 정보 서비스 및 원격진료를 통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정보 와 진료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며, 보건기획가 및 관리자들이 NHS 자원 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 — 영국의 국가보건서비스(NHS)의 보건정보전략은 수준 1의 단순히 임상행 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준으로부터, 수준 3의 원격 주문 입력, 결과보 고, 수준 6의 포괄적인 원격의료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에 이르기까지 6단계의 EHR 수준을 달성하는 것이며, 이 분류는 통합보건의료기록 (I-EHR)의 개발에 대한 점진적 접근을 기술하고 있음.

(40)

3. 일본의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동향

가. 일본의 보건의료정보화 추진 시책 동향

1) 지역보건의료의 시책으로서의 「건강일본21」

□ ‘건강일본21’은2000년3월 후생노동성(당시 후생성)이 각 지방의 도도부현 (都道府縣)의 지사, 정령시(政令市) 시장, 특별구 구청장에 발신한 정부 시책 으로 지역보건의료의 새로운 형태의 운동 □ ‘건강일본21’의 목표 실현을 위해서는 보건, 의료, 개호, 복지의 분야가 종합 되어 주민의 생활을 전체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 역에서의 각 분야를 횡단적으로 아우르는 「건강정보시스템」의 확립이 중 요한 과제로 부상됨 — 이는 과학적인 근거에 입각한 질 높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입수 하는 정 보 시스템의 확립을 의미하며, 현재 이용 가능하거나 향후의 이용을 위 해 필요한 정보로서 규정된 것은 ① 사망 상황에 관한 정보, ② 질병 상황에 관한 정보, ③ 질병 장애의 보유 상황에 관한 정보, ④ 보건행 동(생활 습관)에 관한 정보, ⑤ 질병과 그 예방에 관한 지식에 관한 정 보, ⑥ 보건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정보, ⑦ 보건서비스의 제공에 관 한 정보, ⑧ 민간에 의해 실시된 조사 내용에 관한 정보 등

2) 국가IT기본전략에 있어서의 보건의료정보화의 구상

□ 보건의료정보화는 ‘e-Japan전략’에서 주요한 정책과제로 책정되어 있으며, 2001년1월에 발표된 e-Japan전략과 2003년7월에 발표된e-Japan전략Ⅱ의 중점 계획을 바탕으로‘보건의료분야의 정보화를 위한 그랜드 디자인’(이하, ‘그랜 드 디자인’)이 작성됨(표 6 참조). □ e-Japan전략Ⅰ에서의 보건의료분야 목표 — 의료종사자와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한 IT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것

(41)

요약 41 — 전자차트의 설치: 2004년도까지 전국의 2차 의료 진료권마다에 1시설 이 상, 2006년도까지는 전국의 400병상 이상의 병원의 6할 이상, 전 진료소 의 6할 이상 — 의료보험청구의 온라인화: 2004년까지 전국 병원의 5할 이상, 2006년에는 7할 이상의 보급 〈표 6〉의료의 과제별 정보기술의 활용수단과 기대효과 의료의 과제 정보기술 활용수단 기대효과 정보의 제공전자차트 시스템 ․비교 가능한 데이터의 축척과 활용 - 적절한 정보관리 검색 - 목적에 따라 정보의 가공이 용이 ․보기 쉽고 읽기 쉽고 알기 쉬운 정보 - 환자에게 이해하기 쉬운 진료의 설명 ․의료종사간의 정보제공과 진료연계 - 의료기관내, 의료기관 간, 의료기관과 타 관 계기관과의 정보 네트워크화 - 2차자문의 경우 처음 병원에서 검사한 정확 한 환자정보를 용이하게 참조 가능 보험청구 전산 시스템 ․건강 지도 등의 보건사업에 활용 의료의 질 향상 ‘근거기반의 의료’의 지원 (Evidence-based Medicine; EBM) ․질이 높은 의학정보를 정리 수집하여 인터넷 등에 의해 의료종사자와 국민에게 제공 ․진료가이드라인의 작성 지원 전자차트 시스템 ․환자의 진료데이터의 일원관리, 공유화, 정보의 해석 등으로 새로운 임상에서의 근거를 창출 원격진료 지원 ․원격지의 전문의에 의한 진단지원, 치료지시 등이 가능 ․자택에서 안정된 요양의 계속 효율화 전자차트 시스템 ․필름 등 소모품의 사용량 절감 ․정확한 물류관리에 의한 경비 절감 처방전달 시스템 보험청구 전산 시스템 ․진료보수의 청구심사지불사무의 효율화 개인․자격인증 시스템 ․진료 사무의 효율화 물류관리 시스템 (전자상거래) ․의료 자재 물류에 관한 사무의 효율화 안전대책 처방전달 시스템 ․진료정보의 공유에 의한 전달 미스의 방지, 인 력에 의한 입력 미스의 체크

(42)

나. 지역보건의료 정보화의 추진과제

□ 정보화추진 공통 과제 — 의료계 전반의 정보화추진 체제 정비, 상호운영성의 확보, 정보시스템의 도입을 위한 인센티브제도 검토 □ 지역보건의료 정보 활용의 과제 — 의료기관 간에 있어서의 환자정보 등의 정보연계: 표준 마스터 등의 탑 재, 네트워크의 구축‧운용 행태의 검토, 진료 정보 등의 프라이버시를 배려한 적절한 관리 방법의 검토, 의료기관과 보험약국간의 정보연계 — 본인의 진료 정보의 열람과 진료 정보의 2차 활용 — 병원 진료소 간의 연계와 구급의료: 지역의료에 있어서의 과제를 앞에서 언급한 의료 현장의 연계에서의 관점에서「병원-진료소간의 연계」, 「병원-병원간의 연계」, 「구급의료」의 경우로 구분하여 추진

다. 지역보건의료를 위한 정보화

1) 지역보건의료의 모델화

〔그림 1〕 지역보건의료의 모델

(43)

요약 43

2) 전자차트를 중심으로 한 지역의료정보화 사례

□ 오키나와(沖繩)현 의 추진사례 — 오키나와현의 중핵병원인 현립 츄우부(中部)병원을 중심으로 하여 근접 한 도서 지방의 병원과 진료소, 그리고 개업의를 연계하여 급성의료 및 안정기 의료의 분업을 시도한 사례임.

— EBM지원형 전자차트인 MAJUN(Evidence-based Medicine Assisted Judgment by Universally coded Network)을 개발함.

— MAJUN에서는 필요에 따라 환자가 가진 질환에 관한 ‘진료가이드 라인’ 을 표시하고, 과거의 진료경과를 종합하여 현시점에서 조치하여야 할 검 사나 치료에 관한 ‘치료지침’을 제시함.

— MAJUN의 주요 기능적 특징: ①ICPC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Primary Care)에 기초한 동적인 진료과정의 코드화 기능, ②EBM엔진(지 식생성 기술), ③지식의 입력・구축 인터페이스

□ 오오사카(大阪) OCHIS

— 2000년 후생노동성의 보정예산에 의해, 오사카지역의 지역의료정보 네트 워크 개발 및 실증실험OCHIS(Osaka Community 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으로 시작된 ASP형 전자차트와 기존의 전자차트를 연결하여 XML(J-MIX)을 이용한 진료정보 제공과 연계를 실증한 사례 □ 포괄적 지역 케어시스템: 신주쿠(新宿) 신주쿠 U-Net 사례 — 신주쿠의사회는, 신주쿠구 의사회, 신주쿠구 의사회, 국립 국제의료센터, 진료소, 방문 간호 스테이션, 재택간호 가정‧초등학교 등을 ISDN의 전용 회선으로 묶어 인트라넷을 구축하고, 동일 환자의 정보공유, 의료의 효 율화를 실시하는 동시에, 고령자의 지역사회에의 참가를 촉진하고, 재해 시에 정보제공을 하는 통로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2000년 4월부터 ‘신주쿠지역 포괄적 지역 케어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였으며, 이를 발 전시켜 U-Net를 구축함.

참조

관련 문서

Henderson, J. Venkatraman, 1993, Strategic Alignment: Leveraging Information Technology for Transforming Organizations, IBM Systems Journal, Vol. McKenney, 1983,

Keywords: intellectual disability, cancer risk, cohort study,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Health Information Database, mortality, healthcare use status...

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 nology (RFID) is the state-of-the-ar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 nology(ICT) that uses radio waves for

to just such a labor market, with high levels of employment and participation, broadly shared wage gains, and inflation running close to our price stability goal.. Thank

Korea government had been set up the information security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to meet the demand of industry field promptly through making

As the basis of the study, concept behi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was formed, and based on theoretical fundamentals of current internet use, IC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uggest solution plan for trade friction and vitalize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by analyzing the effect that Korea-China FTA has

 management of the flow of information, products, and services across management of the flow of information, products, and services across a network of custo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