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의자료실 - 강의자료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강의자료실 - 강의자료실"

Copied!
16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자동제어시스템 해석 및 설계

저 자 : 장 완 식

(2)

목 차

제 1 장 서 론

1.1 제어시스템의 발전 역사

……… ...……… p 1 1.2 자동제어 목적 ……… p 3 1.3 제어시스템 구성 ……… p 3

제 2 장 수학적 배경

……… ..……… p 6 2.1 Laplace 정의 ……… p 7 2.2 Laplace 기본 정리 ……… p 7

제 3 장 제어시스템 모델링 및 해석

..………..……..………. p 9 3.1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 ……… p 9 3.2 전달함수 ……… p 25 3.3 시스템 출력 ……… p

(3)

3.4 기본적 제어 요소의 전달함수 .……… p 31 3.5 블록선도 ……… . p 32 3.6 블록선도의 등가변환 ……… . p 35

제 4 장 제어시스템의 성능 및 특성

……… . p 58 4.1 시험표준입력 ……… p 59 4.2 제어시스템의 성능규격 ……… p 63 4.3 제어시스템의 과도응답 ……… p 70 4.4 1 차 시스템의 과도응답 ……… p 71 4.4 2차 시스템의 과도응답 ……… p 72 4.5 제어시스템의 정상상태 오차 ……… p 74 4.6 감도 ……… p 88

(4)

제 5 장 제어시스템의 안정성

……… .…… p 94 5.1 안정성 개념 ……… p 94 5.2 Routh – Hurwitz 판별법 ……… p 96

제 6 장 근궤적 기법

……… p 115 6.1 근궤적 개념 ……… p 117 6.2 근궤적의 절차 ……… p 120 6.3 극점과 영점 첨가의 영향 ……… p 151 6.4 연습문제 ……… .…p 158

제 7 장 제어시스템의 설계

……… .…p 161 7.1 설계순서 ……… p 161 7.2 제어시스템의 보상 방법 ……… p 162 7.3 제어기 종류 ……… ...….… p 164

(5)

1 장 서론

1.1 제어시스템의 발전 역사

■ 1769 James Watt 의 증기엔진과 속도조정기가 개발되었다 . Watt 의 증기엔진은 영국의 산업혁명의 시작으로 간주된다 . 산업혁명동안 자동화에 선행하는 기 술인 기계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 ■ 1800 Eli Whitney 의 교환 가능한 부품들을 이용한 제조 개념이 구식소총의 생산 에서 입증되었다 . Whitney 의 개발은 대량생산의 시작으로 간주된다 . ■ 1868 J. C. Maxwell 이 증기엔진 속도조정 제어기의 수학적 모델을 구성하였다 . ■ 1913 Henry Ford 가 자동차 생산에 기계화 조립장치를 이용하였다 . ■ 1927 H. W. Bode 가 궤환증폭기를 해석하였다 . ■ 1932 H. Nyquist 가 시스템의 안정성을 해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

■ 195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에서 기계 · 도구 좌표축의 제어를 위하여 수치제어 (NC : numerical control) 를 개발하였다 .

(6)

■ 1954 George Devol 이 산업로보트 설계의 시작으로 간주되는 “프로그램에 의한 물품이동”을 개발하였다 .

■ 1960 Devol 의 설계에 따라 최초의 Unimate 로보트가 소개되었다 . Unimate 는 다이캐스팅 기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1961 년에 설치되었다 .

■ 1980 견실제어시스템 설계가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

(7)

1.2 자동제어의 목적

(1) 제어 (control) : 우리가 원하는 것을 달성하고자 하는 행위 (2) 제어 방법 : 수동제어 (manual control) : 인간

자동제어 (automatic control) : mechanism

혼합형제어 (mixed control) : 인간 + mechanism (3) 제어시스템 (control system) : 구성요소의 결합 1.3 제어시스템의 구성  제어목적 (1) 개루프 제어시스템 :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제어기 혹은 제어 구동기를 사용하는 시스템 제어기 제어구동기 공 정 입력 출력

(8)

(2) 페루프 제어시스템 :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 원하는 값과 실제 측정된 값을 비교 하여 그 차이 값을 제어구동 수단으로 사용하는 시스템 제어기 제어구동기 공 정 입력

+

출력

-측 정 오차신호 ( error signal ) 궤환신호 ( feedback signal )

(9)

( 예제 1 ) 교통신호 체계 동구청 법원 남광주 조대

<

분류 >

· 교통순경 → 수동제어 + 폐루프제어 · 신 호 등 → 자동제어 + 개루프제어 · 교통순경 + 신호등 → 혼합형제어 + 폐루프제어 (예제 2 ) 선생과 학생간의 학습과정

(10)

2 장 수학적 배경

대상체 대상체 수학적 모델링 ( 물리적 시스템 ) 수학적 모델링 ( 물리적 시스템 ) 선형화 된 모델 선형화 된 모델 미분 방정식 미분 방정식 일반해

일반해 Laplace Laplace 변환변환 Fourier

Fourier 미분방정식 Laplace 변환 대수방정식 해 (s 항 )

(11)

2.1 Laplace 정의 * 정의 ( f(t) 가 t ≥ 0 에서 존재 ) L{f(t)}= 2.2 Laplace 변환의 기본정리 ① 선형성 L{af(t)}=aL{f(t)}=aF(s) ② 합 및 차 L{f1(t)+f2(t)}=L{f1(t)±f2(t)}=F1(s)+F2(s) ③ 시간추이 ( 함수 f(t) 의 시간 영역에서 time delay ) L{f(t-a)} = e-as F(s) ④ 함수 t 의 곱 L{t ㆍ f(t)} = ⑤ 복소추이 (s 영역에서의 추이 ) L L ) ( ) ( 0 f t e dt F s st

  ) (s F ds d  ) ( )} ( {eatf tF sa ) ( )} ( {eatf tF sa

(12)

⑥ 미분 or 도함수 L{f’(t)} = sF(s) - f(o) L{f’’(t)} = s2F(s) - sf(0) - s0f’(0) L{f’’’(t)} = s3F(s) - s2f(0) - s1f’(0) - s0f’’(0) ⑦ 최종값 정리 ⑧ 초기값 정리 0 ) 2 )( 1 ( ) 3 ( lim ) ( lim ) ( lim 0         s s s s s sY t y t t 2 1 1 2 ) (     s s s Y

)

(

lim

)

(

lim

0

y

t

s

sY

s

t

 일 때

(13)

3 장 제어 시스템 모델링 및 해석

3.1

물리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

기계시스템 (mechanical system) : Newton 법칙

전기시스템 (electric system) : kirchhoff 법칙

(1) 기계시스템 ( 기본적 m-k-c 시스템 ) m k c r(t) (선형화된 모델 ) ① 미분방정식y c ky m r(t) y

   ma my F ( ) ) ( t r ky y c y m y m y c ky t r            

(14)

② Laplace 변환 ) ( ) ( )] 0 ( ) ( [ )] 0 ( ' ) 0 ( ) ( [s2Y s sy y c sY s y kY s R s m       1) 초 기 값 : r(t) = 0, y(0) = y0 , y′(0) = 0

2) 초기조건 : r(t) = u(t) , y(0) = y′(0) = 0

0 ) ( ) ( ] [ 0 ) ( ] ) ( [ ] ) ( [ 0 2 0 0 2           y c ms s Y k cs ms s kY y s sY c sy s Y s m ) ( ) ( ) ( ) ( 2 0 s q s p k cs ms y c ms s Y     

 

) ( ) ( ) ( 2 0 q s s p k cs ms c ms y s Y      Where ; q(s) = ① 분모항 = 특성방정식 ② q(s) 의 근 = 분모항의 근 = 특성방정식의 근 (극점 ) ③ p(s) 의 근 = 분자항의 근 ( 영점 )

(15)

 

) ( ) ( ) ( 2 0 q s s p k cs ms c ms y s Y      * 기계 시스템의 예 (조건 : y0=1 , k/m=2 , c/m=3) ) 2 )( 1 ( ) 3 ( 2 3 3 / / ) / ( ) ( 2 0 2             s s s s s s m k m c s y m c s s Y * 특성방정식 : q(s)=s2+3s+2 극 점 : -1, -2 영 점 : -3 t t e e t y 2 2 ) (     ) 2 ( 1 ) 1 ( 2 ) (     s s s Y t = ∞ , y(t) 0 일때 ⅰ) 분모항 : 특성방정식 ( 각 인수항들이 근의 형태를 결정 ) ⅱ) 시간 영역상에서 근의 수렴할 때 극점과의 관계 ( 시스템 안정성 ) m mk c c s s k s k s s s s Y 2 4 ) 2 ( ) 1 ( ) 2 )( 1 ( ) 3 ( ) ( 2 12 2 1             조 :

(16)

) 2 ( ) 1 ( ) 2 )( 1 ( ) 3 ( ) ( 1 2         s k s k s s s s Y q(s) = ( s + 1)( s - 2 ) 극 점 = -1 , 2 영 점 = -3 y(t) = 2e-t – e+2t t∞ , y(t)=∞ ) ( ) ( ) ( ) ( 2 0 s q s p k cs ms y c ms s Y     

*

특성방정식 : q(s) = ms2+cs+k • 2 개의 실근 : c2-4mk>0 ( 진 동 함 ) • 중 근 : c2-4mk=0 2√mk • 복 소 수 근 : c2-4mk<0 (진동안함 ) m mk c c s 2 4 2 12     m k 중립의 위치에 있다 . (댐핑이 없음 ) q(s) = ms2+k s = ±i√k/m wn (고유주파수 ) 주어진 q(s) 를 시스템 고유값 wn , ξ 로 표기

(17)

Where ; m k s m c s k cs ms s q( ) 2   2  2 2 ( ) 2 2 m k s k m m k c s    s2+2 w ns+wn2 c cc c/cc= ξ = damping ratio ( 감쇠비 )

q(s) = s

2

+ 2ξw

n

s + w

n2

s

1,2

= - ξw

n

± √ ξ

2

w

n2

-w

n2

=

- ξw

n

± w

n

√ ξ

2

-1

ⅰ) ξ2-1 > 0 일 때 , ξ > 1 ( 실 근 ) : 감쇠과다 (overdamped) ⅱ) ξ2-1 = 0 일 때 , ξ = 1 ( 중 근 ) : 임계감쇠 ⅲ) ξ2-1 < 0 일 때 , ξ < 1 ( 복소수근 ) : 감쇠부족 (underdamped)

(18)

•감쇠부족 ( ξ < 1 ) 인 경우 ) 2 ( ) 2 ( ) ( 2 2 2 0 n n n w s w s w s k cs ms c ms y s Y           where ; q(s) = s2 + 2ξw ns + wn2 ) )( ( ) 2 ( ) ( ) )( ( ) 2 ( ) ( 2 1 0 2 1 0 s s s s y w s s Y s s s s w s y s Y n n            참조 : a + ib ) ( 2 2 2 2 2 2 b a b i b a a b a ib a       M` θ b a 0 M = √a 2 +b2

i

a

b

e

i

b

a

2

2

(cos

sin

)

2

2

i

Me

실수

(19)

*

s

1,2 = -ξwn ± iwn√1-ξ2 M θ wn√1-ξ2 -ξwn -wn√1-ξ2 불안정 안 정 S 평면 = 복소평면 크 기 : M =

√ξ

2

w

n2

± w

n2

(1 - ξ

2

)

= wn 각 도 : cos θ = -ξwn/wn = ξwn/wn=ξ(감쇠비 )

(20)

• 감쇠부족 ( ξ < 1 )  복소수근 = 실수부 + 허수부 y(t) = ke-ξwnt sin ( w n√1-ξ2 ) -ξwn 실수부 , wn√1-ξ2  허수부 1) 시스템 안정성 : 극점의 실수부  2) 극점의 허수부 결정 : 허수부가 클 때 진동이 심함 허수부가 작을 때 진동은 작음 3)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 극점의 ㅣ 실수부 ㅣ  大 : 빨리 도달  小 : 늦게 도달

(21)

실수부와 허수부의 크기에 따른 변화 1 2 3 7 16 8 17 15 4 11 10 5 14 9 6 13 12 0 불안정 안정 진동 大 : 4 . 11 . 12 정정시간이 빠름 : 12 . 13 . 14 . 15 감쇠비가 같은 것 : 6 . 10 . 12 감쇠비가 가장 작은 것 : 4 NOTE : 1 . 2 . 3 시스템 극점의 허수부에 존재 실수부 = 0

y

k

sin(

w

1

2

t

)

(22)

*

S 평면상 해석 ξ = 1 ( 임계감 쇠 ) ξ > 1 θ1 θ3 θ2 wn√1-ξ2 1. 모든 θ 에서 고유주파수는 같다 . wn = M = √a2 +b2 2. 감쇠비는 θ1에서 θ3 로 갈수록 작아진다 . 이 유 : cos θ = ξ

(23)

(2) 전기 회로 시스템 (kirchhoff) A) kirchhoff 법칙 1) 전압법칙 : 하나의 폐회로 (closed circuit) 에서 전압강하의 대수적인 합은 같다 .

2) 전류법칙 : 전기회로의 어떤 접합점 (junction or node joint) 에서 들어오는 전류의 합은 같다 . A B C D i1 i 2 i3 A = B + C + D : 전압상승요소 전압강하요소 i1 = i2 + i3 19

(24)

B) 기본적인 전압강하 요소 ① 저 항 : ② 인덕턴 스 : ③ 전기용 량 : R L V  ohm’s law ; V = iR

 Faraday’s law ; V = L(di/dt)  Colnumb’s law ; Q = CV 에서

V= (1/C)

idt

i

i

(25)

C) 예제 ; R-C 회로 ( 입력 : vi , 출력 : v0 ) vi R C i 전압상 전압강 (Vc) Vo = Vc 뉴턴 제 3 법칙과 유사 (Vi = VR + V0) = VR + VC Where ; VR = IR VC = (1/C)

idt Vi = iR + (1/C)

idt ---- ① V0 = VC = (1/C)

idt ---- ②

(26)

* Laplace 변환 CS s I s V CS s I s RI s Vi ) ( ) ( ) ( ) ( ) ( 0    ) ( ) ( ) ( ) 1 ( ) ( 0 S I S CSV S I CS R s vi    ) ( 1 1 ) ( ) ( ) 1 )( ( 0 V S RCS S V S V CS RCS S v i i i     ) 1 ( 1 ) ( ) ( 0    RCS S v S v i  I(s) 소거 -- ③ -- ④ ④  ③ 대입 : 전달함수 = p(s)/q(s) Where ; 특성방정식 q(s) = RCS + 1 극 점 : -1/RC 영 점 : 없 음

(27)

1) 시정수 ( time costant ) : ① 응답이 e-1 에 도달하는 시간

② 극점의 역수값의 절대값

Note : y = e-at  Y(s) = 1/(s+a)

극점 : -a e-1 T 0 t y 2% 이내 e0 = 1 , e-1 = 0.368 , e-2 = 0.135 ……. y = e-at = e-1  -at = -1

 t = 1/a = T (Time constant)

(28)

2) 정정시간 : 원하는 값의 ±2% 이내 ( 정상상태영역 ) 에 도달하는 시 e-at = e-4 = 0.018…. t = 4/a = 4T 극점의 절대값이 클수록 도달시간이 빠르다 .

)

2

1

sin(

ke

wt

w

t

y

이 식에서 볼 때 ; 시정수 T = 1 / ξwn = 1 / 극점의 실수부 • ts( 정정시간 ) = 4T = 4/ξwn = 4 / 극점의 실수부

(29)

3.2

전달함수 (transfer function)

제어하고자 하는 시스템 input output 수학적 모델링 Laplace 변환 * 정의 : Laplace 변환을 한 입력에 대한 출력의 관계식 ; C(s) /R(s) C(s) R(s) output / input = C(s) / R(s) = 전달함수 = G(s)

(30)

1) 초기값 (t=0) ; 0 (zero)

2) 시불변 선형시스템

3) 입력은 전달함수에 무관

(31)

3.3

시스템 출력

C(s) / R(s) = G(s)  C(s) = G(s)R(s) ex1) 특성방정식이 1 차 시스템 C(s) / R(s) = 1 / s+a = G(s) (a>0) where ; G(s) = 1 / s+a R(s) = 1 / s  C(s) = (1/s+a) * 1/s = (k1/s+a) + k2/s  C(t) = k1e-at + k 2 전달 입력 함수 ( = 0 이 되어야 함 ) input = output⇒

(32)

입력 ; 전달함수 ; 출력 ; ± 2%이내 C(t) t 과도응답 정상상태

(33)

ex2) 2 차 시스템 ( ξ <1 ) C(s) / R(s) = 1 / ( s2 + 2ξw ns + wn2 ) = G(s) q(s) = s2 + 2ξw ns + wn2 s1,2 = -ξwn ± iwn√1-ξ2 C(s) = [ 1 / ( s2 + 2ξw ns + wn2 ) ] * 1 / s = [ 1 / ( s - s1 ) ( s – s2 ) ] * 1 / s 전달함수 입력 = k1 / ( s - s1 ) + k2 / ( s - s2 ) + k3 / s

(34)

입력 ; 전달함수 ; 출력 ; C(t) t 과도응답 정상상태

(35)

3.4

기본적 제어요소의 전달함수

(1)

비례요소 y(t) = kx(t) Y(s) = kX(s)  Y(s) / X(s) = k (2) 미분요소 y(t) = k * [ dx(t) / dt ]  Y(s) = kSX(s)  Y(s) / X(s) = kS (3) 적분요소 y(t) = k∫x(t)dt Y(t) = k/S * X(s)  Y(s) / X(s) = k / S = k * ( 1 / S ) (4) 시간지연 요소

(36)

3.5

블록선도

:

제어시스템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결합  각 구성요소들은 입력과 출력간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것이 블록선도 (1) 블록선도의 구성요소 ① 전달요소 ( or 전달함수 ) : 각 요소가 입력 신호를 받아서 출력 신호를 만드는 요소 ⅰ) feed forward : G G1 G2 G3 G4

(37)

ⅱ) feedback : H H1 H2 H3 (2) 가합점 : 신호가 2 개 이상일 경우 신호의 합과 차 + + X(s) Y(s) B(s) + -X(s) Y(s) B(s) Y(s) = X(s) + B(s) Y(s) = X(s) - B(s)

(38)

(3) 분기점

Y(s)

B(s)

(39)

3.6

블록선도의 등가변환

(1) 직력 접속 블록의 등가변환 G1(s) G2(s) X(s) X1(s) Y(s) G1(s)G2(s) X(s) Y(s) X1(s) = G1(s)X(s) -- ① Y(s) = G2(s)X1(s) -- ② ①  ② Y(s) = G2(s)G1(s)X(s) Y(s) / X(s) = G1(s)G2(s)

(40)

(2) 병렬 접속블록의 등가변환 X(s) G1(s) G2(s) Y(s) + + X1(s) X2(s) Y(s) = X1(s) + X2(s) = G1(s)X(s) + G2(s)X(s) = [ G1(s) + G2(s) ] X(s)  Y(s) / X(s) = G1(s) + G2(s) G1(s)+G2(s) X(s) Y(s)

(41)

(3) 궤환 접속의 블록선도 등가변환 E(s) = X(s) – B(s)  ① B(s) = H(s)Y(s)  ② Y(s) = G(s)E(s)  ③ X(s) G(s) H(s) Y(s) + -E(s) B(s) 페루프 제어 시스템 위의 식 ① ② ③ 을 소거해서 풀이해 볼 때 ;

(42)

②  ① E(s) = X(s) - H(s)Y(s)  ④ ④  ③ Y(s) = [ X(s) – H(s)Y(s) ] G(s) Y(s) = X(s)G(s) – H(s)Y(s)G(s) Y(s) + H(s)Y(s)G(s) = X(s)G(s) Y(s) [ 1+ H(s)G(s) ] = X(s)G(s) * 페루프 제어 시스템의 전달함수 ; Y(s) / X(s) = G(s) / [ 1 + H(s)G(s) ] = G / ( 1 + GH )

(43)

* Spacial case

(4) 가합점을 블록 뒤로 이동 G1 + + X1 X2 X3 X1+X2 X3 = ( X1 + X2 ) G2  ① G1 X1 + + k X2 X3 X1G1 X3 = G1X1 + kX2  ② ① ② 식을 비교하면 ; X3 = X3 따라서 : K = G

(44)

(5) 가합점을 블록 앞으로 이동 G1 X1 + + X2 X3 G1X1 X3 = G1X1 + X2 G1 X1 + + X2 X3 X1+ kX2 X3 = G(X1 + kX2) k

* K = 1 / G

(45)

(6) 분기점을 블록 뒤로 이동 G X1 X2 X1 X2 = GX1 G X1 X2 X1 X1 = kX2 k

* K = 1 / G

(46)

(7) 분기점을 블록 앞으로 이동 G X1 X2 X2 X2= GX1 G X1 X2 X2 X2 = kX1 k

* K = G

(47)

( 예제 1) 그림과 같이 블록선도에서 전달함수 Y(s) / X(s) 를 구하라 . X(s) G2(s) Y(s) + -B(s) + - G1(s) G3(s)

(48)

sol )

정귀환 접속부는 에 의해 이며 그림 (a) 와 같다 . 1 ( ) ( ) ) ( ) ( ) ( s H s G s G s X s Y   3 2 2 1 G G GG2(s) + -G3(s) ) ( ) ( 1 ) ( 3 2 2 s G s G s G( a )

(49)

그림 (b) 의 직렬접속은 이며 3 2 2 1 3 2 2 1

1

1

G

G

G

G

G

G

G

G

G

) ( ) ( 1 ) ( 3 2 2 s G s G s G

)

(

1

s

G

) ( ) ( 1 ) ( ) ( 3 2 2 1 s G s G s G s G(b) 부분적으로 생각했던 것을 합하면 그림 (c) 의 블록선도롤 표시된다 . ) ( ) ( 1 ) ( ) ( 3 2 2 1 s G s G s G s G+ -(c)

(50)

따라서 이 궤환 접속의 전달함수는 에 의해 ) ( ) ( 1 ) ( ) ( ) ( s H s G s G s X s Y   2 1 3 2 2 1 3 2 2 1 3 2 2 1

1

1

1

1

)

(

)

(

G

G

G

G

G

G

G

G

G

G

G

G

G

G

s

X

s

Y

가 되며 그림 (d) 와 같다 .

)

(

)

(

)

(

)

(

1

)

(

)

(

2 1 3 2 2 1

s

G

s

G

s

G

s

G

s

G

s

G

)

(s

X

Y

(s

)

(d)

(51)

제 4 장 제어시스템의 성능 및 특성

* 제어시스템 – 시간 (time)  해석 C(t) t T 정정상태 (ts) 과도응답 정상상태응답 •제어 시스템 설계 시스템성능 규격 정의  시스템 응답 특성 측정  성능규격 (5 개 ) 정의

(52)

4.1

시험기준입력

(1) 계단입력 r(t) t A 0 r(t) = Au(t) R(s) = A / s (2) 램프입력 r(t) t 0 r(t) = Atu(t) R(s) = A / s2 A

(53)

(3) 포물선 입력 r(t) t 0 r(t) = At2u(t) R(s) = 2A / s3

(54)

(4) 임펄스 함수 ( impulse )  충격하중 ① 정의 1/ε t 0 1 ε 폭 : ε , 높이 : 1/ε , 면적 : 1 파형 ε  0 으로 가는 극한 파형 ; 단위 임펄스 함수 ② 수학적 표현 1/ε t 0 ε δε(t) δ(t) = 1/ε*u(t) – 1/ε*u(t-ε) = 1/ε*[ u(t) – u(t-ε) ] = du /dt 0

lim

  0

lim

 

(55)

③ Laplace 변환

  

0 0

[

(

)

(

)]

1

lim

)}

(

{

u

t

u

t

u

t

e

st

dt

1

)

(

0

lim

0

0

)

1

(

1

lim

)

1

(

1

lim

0 0 0

     

s

s

s

e

s

s

e

e

s

s s s      

L

(56)

4.2

제어시스템의 성능규격

k

1 s(s+a) R(s)

+

C(s)

-k

as

s

k

a

s

s

k

k

a

s

s

k

a

s

s

k

s

R

s

C

2

)

(

)

(

1

)

(

)

(

)

(

(57)

tr tp C max ts tr 0.1 1.0 0.9 Input = F.V 오버슈트 과도응답 정상상태 ⅰ) 신속성 (input) : tr , tp ⅱ) 적응성 ( 유사성 ) : input  output : 오버슈트 , ts Cmax 가 1.2 일 때 ,  P.O = (1.2 – 1.0) / 1.0 * 100 % = 20 %

(58)

(1) 상승시간 ( rising time ) : tr * 시스템응답 (output) 이 입력값에 최초로 도달하는 시간 ① 감쇠부족 : 0 ~ 100% 까지 도달하는 시간 ② 감쇠과다 : 10 ~ 90% 까지 걸리는 시간 (2) 첨두치 시간 ( peak time ) : tp : 시스템 응답 ( output ) 이 최대값에 최초로 도달하는 시간 (3) 오버슈트 : Cmax – F.V 백분율 오버슈트 = [(Cmax –F.V)/F.V] * 100 % = P.O where ; Cmax = 출력의 최대값 , F.V = 입력값 or 최종값

(59)

(4) 정정시간 (setting time ) : ts ts = 4T  4/ξwn : ±2% 이내 ts = 3T  3/ξwn : ±5% 이내 • S 평면 극점과 성능규격과의 관계 ① 상승시간 : c(t) = 1.0  t = _ _ _ _ 감쇠과다 때 사용 제일 작은 값 ② 첨두치 시간 : dc(t)/dt = 0  tp = ∏ / wn√1-ξ2 = ∏ / 허수부

(60)

③ 오버슈트 : Cmax – F.V Cmax = [ C(t)ㅣ t=tp ] = 1 + e-ξ∏/√1-ξ2 overshoot = [ 1+ e-ξ∏/√1-ξ2 ] – [ 1 ] = e-ξ∏/√1-ξ2 P.O = [e-ξ∏/√1-ξ2 / 1.0] * 100 = 100 e-ξ∏/√1-ξ2 ④ 정정시간 ± 2% 이내 : ts = 4T  4/ξwn ± 5% 이내 : ts = 3T  3/ξwn

(61)

P.O tp  ( 첨두치 시간 ) 허수부가 결정 하는 것 θ ts ( 정정시간 ) 실수부가 결정 하는 것 * P.O = 100 e-ξ∏/√1-ξ2 ξ = cos θ

(62)

If ) 100 e-ξ∏/√1-ξ2 ≤ 5  ξ(?) P.O  ξ  大 θ  小

P.O

5%

10%

15%

20%

ξ

0.707

0.6

0.53

0.45

(63)

4.3

제어시스템의 과도 응답

k

G(s) R(s)

+

C(s)

-C(s) / R(s) = kG / ( 1+ kG ) 특성방정식 극 점 영점 • 대표근 ( 우세근 : dominant root) -1 -2 허수축에 가장 가까이 있는 근

(64)

4.4 1

차 시스템의 과도 응답

C(s) / R(s) = k / (s+a) = p(s) /q(s) ① 단위 계단 입력 : R(s) = 1/ s C(s) = k/(s+a) * 1/s = k1/(s+a) * k2/s = 0 ② 임펄스 응답 : C(s) = k / ( s+a ) * R(s) L { δ(t) } = 1

(65)

4.5 2

차 시스템의 과도 응답

)

(

)

(

2

)

(

)

(

2 2 2 2

q

s

s

p

Wn

WnS

s

Wn

k

cs

ms

k

s

R

s

C

특성방정식 : q(s) = 극 점 : s1,2 = 2 2

2

WnS

Wn

s

-ξwn ± iwn√1-ξ2 • 감쇠부족 : ξ < 1 • ξ = 1 • 감쇠과다 : ξ > 1

(66)

* 감쇠부족 C(s) = Wn2 / ( s2+2ξWnS+Wn2) * 1/s = [ 전달함수 ] + [ 입력값 ] 전달함수 ;

+

입력 ; y(t) = ke-αt sin ( βt + θ )

(67)

4.6

제어 시스템의 정상상태 오차

* 페루프 제어 시스템 R(s) G(s) H(s) C(s) + -E(s) B(s) r(t) e(t) b(t ) c(t) 구동오차 (구동 오차 , 시스템 오차 둘 다 사용 ) 구 동 오 차 : Ea(t) ; [ e(t) = r(t) – b(t) ] 시스템 오차 : E(s) ; [ e(t) = r(t) – c(t) ] 오차

(68)

* 개루프 제어시스템 G(s) R(s) r(t) c(t) C(s) (시스템 오차 사용 ) (1) 구동오차G(s) Ea(s) = C(s)Ea(s) = C(s) / G(s) = 1 / (1+GH) (2) 시스템오차 : E(s) = R(s) – C(s) = (1+GH-G) / (1+GH) (3) IF H(s) = 1 , Ea(s) = E(s)

(69)

* 정상상태오차

ess = lim e(t) = lim sE(s) = lim s[1/(1+GH)]R(s) R(s) = ? GH 의 형태 t∞ s0 s0 Where ; G(s)H(s) 또는 G(s)

)

(

)

(

1 1 j n j l i m i

p

s

s

z

s

k

  =

n i i

s

p

s

p

s

p

p

s

1 3 2 1

)

(

)

(

)

...

..

(

)

(

...

)...

)(

)(

(

)

(

s

p

i

s

p

1

s

p

2

s

p

3

참조

(70)

l = 0 일 때 , Type 0 ( 0 형 ) l = 1 일 때 , Type 1 ( 1 형 ) l = 2 일 때 , Type 2 ( 2 형 )

e

ss

= lim s[1/(1+GH)]R(s)

s0

(71)

(1) 계단입력 : R(s) = A / S GH A GH A GH S A S e s s s ss 0 0 01 lim1 1 lim * lim          p

k

A

1

)

(

)

(

lim

lim

0 0 j l i s s p

p

s

s

z

s

k

GH

k

위치오차상수 :

k

p

z

k

p

s

s

z

s

k

k

j i j i s p

)

(

)

(

)

(

)

(

lim

0 0 ① Type 0 : ess = A / (1+k′)

(72)

② Type 1 :

lim

1

(

(

)

)

0 j i s p

p

s

s

z

s

k

k

ess = A / (1+kp)  0 ③ Type 2 :

)

(

)

(

lim

2 0 j i s p

p

s

s

z

s

k

k

ess = A / (1+kp) = 0

(73)

v s s s ss k A SGH A SGH S A GH S A S e           0 0 2 01 lim 1 lim * lim

)

(

)

(

lim

lim

0 0 j l i s s v

p

s

s

z

s

k

S

SGH

k

  속도오차상수 : ① Type 0 : ess = A / kv

)

(

)

(

)

(

)

(

lim

0 0 j i j i s v

p

z

k

p

s

s

z

s

k

S

k

0

(2) 램프입력 : R(s) = A / S2

(74)

② Type 1 : ess = A / kv = A / k′

k

p

z

k

p

s

s

z

s

k

S

k

j i j i s v

(

)

)

(

)

(

)

(

lim

1 0 ③ Type 2 :

ess = A / kv  0

)

(

)

(

lim

2 0 j i s v

p

s

S

z

s

k

S

k

(75)

(3) 포물선입력 : R(s) = A / S3 a s s s ss k A GH S A GH S S A GH S A S e          2 0 2 2 0 3 01 lim lim * lim ① Type 0 : ess = A / ka  ∞

0

가속도오차상 수 :

(

)

)

(

lim

lim

2 0 2 0 j l i s s a

p

s

s

z

s

k

S

GH

S

k

)

(

)

(

lim

2 0 0 j i s a

p

s

s

z

s

k

S

k

(76)

② Type 1 : ess = A / ka = A / k′

)

(

)

(

lim

2 1 0 j i s a

p

s

s

z

s

k

S

k

0

③ Type 2 : ess = A / ka = A / k′

k

p

s

z

s

k

p

s

S

z

s

k

S

k

j i j i s v

)

(

)

(

)

(

)

(

lim

2 2 0

(77)

GH

Type

계단입력

램프입력

포물선입력

0

A / 1+k

p

1

0

A / k

v

2

0

0

A / k

a 정상상태 , 과도응답 가능 과도응답 과도응답 , 정상상태 모두 사용 불가능

(78)

Ex 1 )

k / (s+1)

R(s) C(s)

GH = k / (s+1) ; Type 0

(79)

Ex 2 )

k / s(s+1)

R(s) C(s)

(80)

Ex 3 )

K / s2(s+1)

R(s) C(s)

(81)

4.7

감도 ( sensitivity )

G(s)

R(s) C(s)

H(s)

(82)

* 감도 : 공정전달함수 G(s) 의 백분율 변화에 대한 시스템 전달함수 T(s) 백분율 변화의 비 S = △T(s) / T(s) * 100 △G(s) / G(s) * 100 = △T / T △G / G ( 단 , 변화가 작다고 가정 ) G T T G G G T T      

(83)

예제 1) 개루프 제어 G(s) R(s) C(s) •공정전달함수 : G(s) • 시스템 전달함수 : T(s) = G(s) S = G T T G   =1 각각의 변화되는 백분율 값이 같다 .

(84)

예제 2) 페루프 제어 G(s) R(s) C(s) H(s) •공정전달함수 : G(s) • 시스템 전달함수 : T(s) = C / R = G / (1+GH) S = G T T G   = (1 ) 1 1 1 1        GH GH G G GH G G

(85)

예제 3) 다음 블록선도를 표시되는 시스템은 무슨 형인가 ? 1 2 1 2  s s R(s) + C(s) -( a ) + 4 5 3 2  s s R(s) C(s) -s 1 ( b ) 루프 전달함수는 이므로 이 시스템은 0 형 제어시스템이다 . 1 2 1 2 s s GH 루프 전달함수는 이므로 이 시스템은 1 형 제어시스템이다 . ( 1)( 4) 3 ) 4 5 ( 3 2 s s s s s s GH

(86)

) 4 ( 2 2 s s R(s) + C(s) - ( 2) 1  s s ) 1 (ss s ( c ) 루프 전달함수는 이므로 시스템은 2 형 제어시스템이다 . ) 4 )( 2 )( 1 ( 2 ) 4 )( 2 )( 1 ( 2 2 3 s s s s s s s s s GH

(87)

제 5 장 제어시스템의 안정성

- 주어진 q(s) 의 근을 계산하지 않고 시스템 안정성 판별

5.1

안정성 개념

- 궤환 제어시스템 안정성 , q(s) 의 근의 위치 절대 안정성 : 안정성 여부 결정 상대 안정성 : 성능평가 ( including ) 안정성 (stability ) •제어시스템의 안정성을 갖기 위한 필요 충분조건 : q(s) 의 근 ( 극점 ) 이 모두 음의 실수부

(88)

안 정 불안정 중립위치  q(s) 의 근을 계산하지 않고 시스템 안정성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89)

5.2 Routh – Hurwitz

안정성 판별법

G(s) R(s) C(s) H(s) C(s) / R(s) = G / (1+GH) = p(s) / q(s) * 특성방정식 : q(s) = a n S n + a n-1 S n-1 + a n-2 S n-2 + …. + a0  ①

(90)

(1) 필요 조건 ( 계수조건 ) ① 식을 인수형태로 : q(s) = an (s – r1) (s - r2) (s - r3) …. (s – ri) …. (s – rn)  ② ② 식을 전개하면 : q(s) = an sn – a n ( r1 + r2 + r3 + … + rn ) s n-1 + an ( r1r2 +r1r3 + ….) sn-2 - an ( r1r2r3 + r1r2r4 + …. ) s n-3 + …. + an (-1)n ( r1r2r3 …. rn ) = 0 an > 0 이라는 조건  모든 값이 양의 값

(91)

1 ) 다항식의 모든 계수는 같은 부호를 가져야 함 ( 만약 an > 0 이라면 모든 계수는 양의 값 ) 2) 모든 계수는 0 (zero) 이 아니어야 함 Ex) q(s) = s2 + 5s + 2 (O) q(s) = s4 + 5s2 + 6s + 9 (X) q(s) = s3 + 7s2 + 9s + 8 (O)

(92)

(2) 필요충분조건 q(s) = a n S n + a n-1 S n-1 + a n-2 S n-2 + …. + a0 ① 계수나열 Sn an an-2 an-4 Sn-1 an-1 an-3 an-5 Sn-2 b1 b2 b3 ② 계산법 1) 계산하고자 하는 행의 바로 윗행의 첫번째 열이 기준

(93)

2) 2×2 행렬식 계산 b1 = an an-2 an-1 an-3 an-1 an-1an-2 – an an-3 an-1 = b2 = an an-4 an-1 an-5 an-1 an-1an-4 – an an-5 an-1 = b1an-3 – an-1 b2 b1 c1 = b1an-5 – an-1 b2 b1 c2 =

(94)

① 판별법  계산한 표에서 첫번째 열을 선택 첫번째 열의 부호 변화 조사 부호 변화 개수 = S 평면 우반부에 존재하는 극점의 수 •시스템의 안정성을 갖기 위해서는 첫번째 열의 부호변화가 없어야 한다 . (A) CASE 1 (일반적인 경우 ) : 표의 첫번째 열의 계수가 모두 0 (zero) 이 아닌 경우

(95)

S2 a 2 a0 S1 a 1 S0 Ex) 2차 시스템 : q(s) = a2S2 + a 1S+ a0 a1a0 a1  a2, a1, a0 > 0 필요충분조건  q(s) 가 2 차 필요조건 ( 계수 조건 ) = 필요충분조건 (Routh 판별법 )

(96)

Ex) q(s) = a 3 S 3 + a 2 S 2 + a 1 S 1 + a0 (a0, a1, a2, a3, a4 > 0) S3 a 3 a1 S2 a 2 a0 S1 a1a2 – a3a0 a2 a0 S0 a1a2 – a3a0 a2 > 0 a3 > 0 a2 > 0 a0 > 0 a2a1 > a3a0

(97)

S4 1 3 5 S3 2 1 S2 S1 S0 b1 b2 2.5 5 c1 -3 d1 3 b1 = (6 - 1) / 2 = 2.5 b2 = (10 - 0) / 2 = 5 c1 = (2.5 - 10) / 2.5 = -3 d1 = (-15 – 0) / -3 = 5 • 2 번 부호 변화 = S 평면 우반부에 근이 2 개 존재 ( 3개는 S 평면 좌반부에 존재 ) Ex) q(s) = S4 + 2S3 + 3S2 + S + 5

(98)

Ex) q(s) = S4 + 4S3 + 3S2 + 2S + k S4 1 3 k S3 4 2 S2 S1 S0 2.5 k (5-4k)/2.5 > 0 k > 0

0 < k < 5/4

* 안정성을 가지려면 부호변화가 일어나지 않음에 유의

(99)

(B) CASE 2 : 표의 어떤 행에서 첫번째 열이 0 (zero) 이고 나머지 요소 들은 0 (zero) 이 아닌 경우

 0 인 계수를 아주 작은 ε ( > 0) 로 치환

계산이 완료 된 후 극한값을 취한다

(100)

Ex) q(s) = S4 + 2S3 + 3S2 + 2S + 1 S4 1 1 1 S3 2 2 S2 S1 S0 0 1 c1 < 0 1 lim c1 = (2ε – 2) / ε = 2 – 2/ε < 0 ε  0 ε 2 번의 부호 변화 = 우반부에 2 개 좌반부에 2 개 불안정한 시스템

(101)

(3) CASE 3 : 표의 어떤 행에서 첫번째열이 0 (zero) 이고 나머지 요소들은 모두가 0 (zero) 인 경우 허수축에 근이 존재  홀수차수 바로 윗 행을 보조 방정식 U(s) 으로 선택 U(s) 의 근 = 허수축에 존재하는 근 dU / dS  계수나열  Routh 판별법  안정성 판별

(102)

S3 1 4 S2 2 k S1 8 - k 2 a0 S0 Ex) q(s) = S 3 + 2S 2 + 4S + k 안정성  0 < k < 8 * k = 8 로 가정 S1 = 0 S3 1 4 S2 2 k(8) S1 4 8 S0 U(s) = 2S2 + 8 dU / dS = 4S

(103)

예제 1) 3 차 시스템의 특성방정식이 다음과 같을 때 안정하기 위한 조건을 구하라 .

0

0 1 2 2 3 3

s

a

s

a

s

a

a

Sol ) 안정성을 판별하기 위한 Routh 표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 S3 a 3 a1 S2 a 2 a0 S1 S0 b1 0 c1 0 여기서 이고 , 이다 . 시스템이 안정하기 위해 는 첫번째 열의 요소가 모두 양수이어야 한다 . 즉 , 이 모두 “0” 보다 커야한다 . 그러므로 이 “ 0” 보다 크기 위해서는 이 어야한다 . 만일 인 경우는 허수축상에 한 쌍의 근이 존재하는 임 계안정이다 . 2 3 0 1 2 1

a

a

a

a

a

b

c

1

a

0 1 1 2 3

,

a

,

b

,

c

a

3 0 1 2

a

a

a

a

3 0 1 2

a

a

a

a

110

(104)

예제 2) 4 차 시스템의 특성방정식이 다음과 같을 때 안정성을 판별하라 .

0

5

3

2

3 2 4

s

s

s

s

Sol ) 안정성을 판별하기 위한 Routh 표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 S4 1 1 1 S3 2 2 0 S2 2.5 0 0 S1 -3 0 0 S0 5 0 첫째 열에 두 번의 부호 변화가 있으므로 두개의 근이 우반평면에 존재하며 시스템은 불안정하다 . 우반면에 존재하는 근들은 이다 .

s

0

.

3713

j

1

.

1055

(105)

예제 3) 4 차 시스템의 특성방정식이 다음과 같으며 파라미터 K 를 포함하는 경우 안정하기 위한 K 의 범위를 결정하라 .

0

2

3

4

3 2 4

s

s

s

K

s

Sol ) 안정성을 판별하기 위한 Routh 표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 S4 1 3 K S3 4 2 0 S2 2.5 K 0 S1 c 1 0 0 S0 K 0 여기서 이면 , 안정한 시스템 되기 위해서는 다음을 만족하여야 한다 . 5 . 2 4 5 1 K c  

25

.

1

0

 K

만일 K=1.25 이라면 jw 축상에 두 개의 근이 존재하는 경우로서 임계안정이며 , 이 경 우의 응답의 형태는 진동으로서 실제는 원하지 않는 경우이다 . 그리고 jw 축상에 존재 하는 두개의 근들은 이다 .

s

j

0

.

7071

(106)

예제 4) 4 차 시스템의 특성 방정식이 다음과 같을 때 안정성을 판별하라 .

0

1

2

2

3 2 4

s

s

s

s

Sol ) 안정성을 판별하기 위한 Routh 표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 S3 1 1 1 S2 2 2 0 S1 0 1 S2 행의 제 1 열 요소가 0 이고 다른 요소는 0 이 아닌 경우이다 . 이런 경우는 제 1 열 요소를 0 대신 매우 작은 양의 값 (ε) 으로 대치시켜 놓고 , Routh 표를 환성하면 된 다 . S4 1 1 1 S3 2 2 0 S2 ε 1 0 S1 c 1 0 0 113

(107)

여기서 이며 , ε 이 매우 작은 양의 값이므로 이 된 다 . 그러므로 첫째 열에 두번의 부호 변화가 있으므로 두개의 근이 우반평면에 존재하여 시 스템은 불안정하다 . 우반면에 존재하는 근들은 이다 .

2 2 1   c 1 2 0

c

9783

.

0

2071

.

0

j

s

2) Routh 표의 어느 한 행의 모든 요소가 0 이 되는 경우이다 . 이런 경우에는 0 이 되는 바로 위의 요소를 계수로 하는 차수가 짝수인 보조방정식 Q(s) 를 세우고 이를 한번 미분 한 후 0 이 되었던 행의 계수를 보조방정식의 일차미분식의 계수로 대치한 후 Routh 표 를 완성하여 부호의 변화를 조사한다 . 이와 같은 경우는 특성방정식의 근은 크기가 같고 부호가 다른 실근이거나 , 허축상에 공액복소근을 가질 때 또는 허축상에 대칭인 두 쌍의 공액복소근을 가질 때 발생한다 .

(108)

제 6 장 근궤적 기법 ( Root – Locus )

궤환 제어시스템 안정성 q(s) 의 근 ( 극점 ) 의 과도응답 ( 성능 ) 위치와 관계 매개 변수 변화에 따라서 극점의 위치 조절 안정성 , 과도응답 상대적 안정성

(109)

*

근궤적 (root – locus)

:

하나의 매개변수 변화에 따라서 q(s) 의 근

( 극점 ) 의 이동양상을 도식적으로 표현

ⅰ) 0 < k < ∞ : 근궤적

ⅱ) -∞ < k < 0 : 대응 근궤적

ⅲ) -∞ < k < ∞ : 완전 근궤적

ⅳ) k 가 2 개 이상일 때 : Root

contour

(110)

6.1

근궤적의 개념

k G(s) H(s) R(s) C(s) C(s) / R(s) = G / (1+GH) = p(s) / q(s)

= kG / (1+kGH)

특성방정식 : q(s) = 1 + kGH or 1 + GH  kGH = -1

(111)

1) 크 기 : ㅣ kGH ㅣ = 1

2) 각 도 : kGH = 180

o

= 180

o

± k 360

)

)...(

)(

)(

(

)

)...(

)(

(

)

(

)

(

3 2 1 2 1 n m j i

p

s

p

s

p

s

p

s

z

s

z

s

z

s

k

p

s

z

s

k

kGH

Note) kGH = -1

참조

관련 문서

• 기업과 정부의 IT 워크플로우 자동화에 대한 수요 증가 대표 수혜기업. 도큐사인 DOCU.US • 전자서명 &amp; 문서관리

여기에서는 최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 십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이렇게 두 가지 유형으로 한정하게 된

해 보았을 때 이러한 민감성,양육태도,양육행동,결혼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 는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김은실( 2007) 의 연구에서도 기존의

북한지방에 위치하던 장마전선이 활성화되어 남하하였고 중국 화남지방에 상륙한 제 호 태풍 빌리스 로 인해 장마 4 “ ” 전선이 더욱 강화되어 중부지방을

하지만 일반 산업용 세라믹스와 달리 생체의학용으로 사용되는 3Y-ZrO₂의 소결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소결 연구가 충분치 않고,가열 특성 및 소결 과정의 여러

편지들 속에서 키츠는 완전히 비자의식 진지성( 비록 많은 유머의 불꽃이 빛 나지만) 으로,시에 대한,그리고 시인으로서 그 자신의 여러 목적에 대한 그

상아질 접착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져오며,이 상적인 상아질 접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최근 광원이 도달하지

Nariin Sukhait에서 석탄을 운송하기 위해 가능한 철도 경로에 대한 유사 분석이 수행되었다. 석탄은 Linhe-Ceke 간 신규 중국 철도를 따라 운송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