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Naks 학술대회 역사문화실태조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Naks 학술대회 역사문화실태조사"

Copied!
7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 33회 학술대회

[포럼] 미국에서의 한국 역사문화 교육

미국정규학교에서의 한국 역사 문화 교육 실태 조사 및

향후 방향 제시를 위한 연구

(2)

진행 순서

1. 미국 정규학교에서의 한국 역사문화 교육 실태 조사 소개

2. 역사문화 교육실태 연구의 필요성과 향후방향 제시

3. 미국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역사문화 세미나

4. 미국 한국학교내 한국 역사문화 교육 실태 예비조사

5. 한국학교에서의 역사문화 교육 방향

(3)

미국정규학교에서의

한국 역사 문화 교육 실태 조사 소개

좌장, 윤제인

(4)

미국 정규학교에서의 역사문화 교육 실태조사

-

대상

:

5학년 이상 미국정규학교 72개교 153명의 학생들

-

목표

:

미국에서의 한국역사문화 교육 및 한국알리기 프로젝트의

방향과 비전을 제시

(5)

연구방법

-

주말 한국학교에 다니는 학생들과 그들의 비 한국계 친구들을

대상으로 선별

-

오프라인과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응답자의 현황 조사

-전체 설문을 완성하지 않은 응답자의 설문지는

분석에서 제외

(6)

표본조사 지역

캘리포니아 주 산호세 및 샌프란시스코 지역

펜실베니이나 주의

필라델피아 인근 지역

메릴랜드 주, 버지니아 주의

워싱턴 DC 지역

뉴저지 주 지역

(7)

연구내용 (설문조사 내용)

응답자 학생에 대한 배경 이해 :

성별

민족적 배경

학교의 소재 도시

학교명

학년

(8)

연구내용 (설문조사 내용)

한국에 관해 알고 있는 현재 상황:

한국어프로그램의 유무

한국에 관해 아는 내용

(9)

연구내용 (설문조사 내용)

응답자 학교에서의 수업 상황

:

정규학교에서 한국역사문화를 배우는지 여부

어떤 수업시간에 배우는지

학교에서 배운 내용에 대한 만족도

알고 있는 현재 한국과 관련된 이슈들

알게 된 경로

(10)

연구내용 (설문조사 내용)

향후 배우고 싶은 한국에 관한 사항

:

더 배우고 싶은 한국역사문화에 관한 내용

한국 역사 중 관심있는 부분

현재 학교에서 가장 많이 배우는 나라와 지역의 역사

학교에서 가장 적게 배우고 있는 나라와 지역의 역사

(11)

결과

(*유의할 사항 중심으로)

학교에 한국어 및 한국관련

프로그램이 있는가

응답수

퍼센트

없다

137

90%

있다

16

10%

합계

153

100%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결과 요약

• 정규학교에서의 한국에 관한 학습은 20%의 학생만이 배웠다고 답함

• 배운 내용은 한국 전쟁과 한반도 분단,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대한 내용으로

한정

• 82%의 학생들이 정규학교에서 한국 역사문화에 대해 더 배우는 것에 관심

표명

• 배우고 싶은 분야는 한국어, 한국고대사,한국전쟁 등 다양하게 나타남

• 한국에 관해 가장 관심있고 잘 아는 시사적인 이슈는 북한에 관한 것

• 정규학교에서는 유럽나라에 대한 것을 가장 많이 배우고, 한국에 관한 것을

가장 적게 배우는 것으로 나타남

(22)

역사문화 교육실태 연구의

필요성과 향후방향 제시

조은미

(한국역사문화 교육실태조사 및 연구 팀 자문교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교수 )

(23)

본 연구 감수자로서:

1.

본 연구의 조사 목적에 부합한 내용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항목만으로

구성되었는가?

2.

질문이 간결하면서 정확하게 정리되어, 얻어내려고 한 내용에만 집중하고 있는가?

3.

측정도구로서의 질문 내용과 의미가 명확하게 학생들 (5학년에서 12학년)에게 전달 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는가?

4.

설문 내용의 정확성과 설문지 문항에 답할 대상이 학생들(5학년에서 12학년)임을 감안,

그들 수준에 맞는 어휘나 문장만이 사용되었는가?

5.

각 설문 형식이 조사하려는 의도에 맞게 씌여져서 학생들이 정확하게 파악하고 응답할

수 있겠는가?

6.

설문 내용이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솔직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정해졌는가? 설문

문항 유형이 객관식으로 폐쇠형인것과 주관식인 개방형을 골고루 섞어 밸런스을

주었나?

(24)

캘리포니아에서 미국 공립학교의 역사/사회과 교사를

양성하는 교수로서

:

왜 한국의 역사/문화에 대해 가르치지 않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한국의 역사나

문화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어서” 또는 “학생으로서 배운 적이 없어서” 라는 그들의 솔직

한 대답

아직도 북한과 남한에 대해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무지한 교사준비생들, 읽기와 수학교육

에는 더욱 더 신경을 쓰면서 역사/문화교육에 소홀한 미국 교육계, 사회과 과목을 예전처럼

정해놓고 가르치지 않고 있는 현실

따라서 할애된 짧은 시간동안이라도 정확하게 꼭 필요한 한국역사와 문화를 가르칠 수 있

도록 우리들이 그 교육내용을 선정, 필요한 학년도에 적절하게 수록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 노력과정에 지속적인 한국 역사문화 교육실태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25)

이 설문조사를 통해 더 명확해진 점들:

학생들은 정규학교에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관하여 더 배우는 것에 큰 관심을 표명

(82%)했고, 다양한 분야에 대해 더 배우고 싶어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에 관한 더 많은 내

용을 정규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교육과정 개정 운동 및 교재 개발 그리고

교사 교육이 절실하다. 또한 학생들은 현재 한국과 관련된 시사적인 이슈들, 특히 북한 내

문제들과 독도와 동해 명칭, 세월호 및 첫 여성 대통령 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표현했다.

(26)

이 설문조사를 통해 더 명확해 진 점들:

한국 관련 이슈에 대해 알게된 경로로 부모님을 포함한 가족을 통해서 가장 많이 들은 것으

로 알려져 있지만, 뉴스, 인터넷, TV, 책 등을 모두 미디어로 생각한다면 그 응답수는 51 로

가장 많았기에 미디어의 효과에 대해 다시 확인했다. 학생들이 뉴스와 인터넷 등을 통하여

접하는 여러 이슈들에 관해 관심을 표현했고, 더 자세히 알고 싶어하는 것을 알 수 있었기에,

한국학교와 정규학교의 바른 수업을 통해 현재 여러 이슈에 대하여 바른 정보를 갖도록 교

육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여겨진다. 학생들이 학교 수업 시간에 배우는 내용 중에서

유럽에 관하여 가장 많이 배운다고 답하였고, 학생들 답변을 통해, 또한 중국의 역사를 미국

수업 시간에 꽤 많이 배우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반해, 학교 수업 시간에 한국에

관해서는 가장 적게 배우고 있음 (153 명의 학생 중에 119 명)을 알 수 있었다.

(27)

결론

이를 볼 때, 한국에 대한 교육과정을 미국 역사/사회과 교육과정 프레임웍에 집어넣을 수

있도록 정치, 사회, 문화적인 면에서 우리 재미 한인 교육자들의 활동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물론 대한민국정부의 미국 내, 적극적인 한국 제대로 알리기 및 재미한국학교

협의회 활동에 대한 지원은 필수적이다. 본 협의회와 대한민국 정부의 활동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하기위해, 한국 역사/문화 교육실태 연구는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8)

미국교사들을 위한

한국역사문화세미나

김현주

(29)

Korean History and Culture Seminar

(30)

2014년 세미나에 참석한

미국교사분들의 평가서 내용

“How many accomplishments and distinctions Korea has and

what a remarkable culture; people

“The literature you provide is always really helpful!”->자료 배부

•“Everything today was really wonderful. I learned so much about so many different things. Really

nice exposure to various part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and to hear from speakers with such

passion about Korean history & culture.” -> 미국인 강사

•“Just learning more about Korean culture is interesting. Thank you for putting this on David

Straub’s discussion of the unification of Korea was interesting to me personally. The overall

Confucianism helps in understanding the extreme pressure Korean parents put on their

students.”->한국학생에 대한 이해

(31)

미국교사세미나의 특색 <1>

-2009년부터 실리콘밸리한국학교 진행/주관으로 매 해 시행

-해마다 새로운 시도로 진행

체험 부스 프로그램

참가자 자녀 프로그램

소규모 워크샵

후속 프로그램 (한국학교 방문 및 수업 체험,김치공장 방문 등)

한국문화 관련 책 저자와의 대화

(32)
(33)

미국교사세미나의 특색<2>

한국학교 교사,학부모와 학생들의 프로그램 지원

문화부스 준비 및 진행

공연팀

한복 패션쇼

행사 도우미

전체 한국학교 커뮤니티가 함께 준비하는 행사

(34)
(35)

미국교사세미나의 특색<3>

한국음식 소개도 중요한 한 부분

테이블 셋팅

메뉴 선정

조리법 시연

(36)

미국교사세미나의 특색<4>

미국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료 제공

한국역사문화 책(

www.KSCPP.net

)

각 연령에 맞는 도서 제공 (Door Prize)

한국관광공사 (Korea Tourism Organization-New York & LA):

(37)

세미나 준비과정

보통 6개월

장소 섭외와 프로그램 준비, 강사 섭외

홍보 (flyer 준비, 제작, 지역 학교 교사들에게 이메일 및 flyer

배부)

공연팀과 음식 및 문화 체험 부스 진행 준비

참가 교사들에게 배부할 자료 준비

참가자 등록 진행 (온라인 등록)

(38)
(39)

세미나 참석 교사들에게

배부된 자료리스트의 예<1>

Lesson Plan 및 참고 자료 handout, PPT 등이 담긴 USB

한국관광공사 한국관련 홍보책자들(한옥/제주도/한국음식/한국안내책자/관광지도 등)

KSCPP 제작 한국역사관련 도서 5종

(40)

세미나 참석 교사들에게

배부된 자료리스트의 예<2>

기념품: 한국에서 가져 온 쇠젓가락

저자와의 대화에서 만난 저자들의 책:

(41)

세미나 참석 교사들에게

배부된 자료리스트의 예<3>

(42)

세미나 참석 교사들에게 배부된 자료리스트

도서 Raffle

:

각 수업현장에서 참고도서로 사용할 만한 책 위주로 선정

Elementary

School

Teachers(K~5

th

)

-

Dear Juno --by Soyung Pak

- Bee-Bim Bop! --by Linda Sue Park

Middle School

Teachers

(6~8

th

grade)

- When My Name was Keoko –by Linda Sue Park

- Legend of Hong Kil Dong: The Robin Hood of Korea

High School

Teachers

(9~12

th

grade)

- Tears of Blood: A Korean POW's Fight for Freedom, Family, and Justice

Paperback

- Yello-Oh Girls: Emerging Voices Explore Culture, Identity, and Growing Up Asian

American

Adult Book

- The Voices of Heaven –by Mejia Rhee Devine

- Waxen Wings: The Acta Koreana Anthology of short fiction from Korea –

by

Bruce

Fulton

Resource Book &

(43)
(44)

2015-7-17 NAKS

미국 한국학교내 한국 역사문화

교육 실태 예비조사

이승숙

(예비조사 연구팀장,메릴랜드 벧엘한국학교 교장 )

조사기관: 미국 대사관 교육관실

조사 연구방식: 위탁형

연구 기간: 2014년 12월 22일 - 2015년5월 5일

(45)

목차---1.조사의 필요성

2. 조사 대상

3. 예비조사 설문지의 개발 및 조사 영역

대상

: 한국학교 행정원 및 교사 - 총 31문항

각 문항수

1. 교사(응답자)와 학교 정보에 대한 질문 - 총 8문항

2. 한국역사문화 수업 내용과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질문

– 총 16문항

3. 한국 역사문화수업의 교사들의 의견에 관한 질문 – 총 7문항

(46)

각 설문지 분석

:

1

교사(응답자)와 학교 정보에 대한 질문

문항번호

문항 성격

문항 내용

문항 유형

비고

1-1

학교 정보

학교가 소재하고 있는 주

서답형

1-2

학교 정보

전체 학생 수

선다형

1-3

학교 정보

중고등학교 학생 수

선다형

1-4

교사 정보

교사유형

선다형

(5)서답형

1-5

교사 정보

현재 맡고 있는 직책

선다형

1-6

교사 정보

담당하는 학년

서답형

1-7

학교 정보

전체 주당 수업 시간

서답형

1-8

학교 정보

(1-6)한국학교 교육 목표

리커트

스케일

(47)

2

한국역사 수업 내용과 방법,

평가에 대한 질문

문항 번호 문항 성격 문항 내용 문항 유형 비고 2-1 수업 시간 수업의 유무와 시간 선다형 (5) 서답형 2-2 수업 담당자 수업의 담당자 선다형 2-3 교과 과정 현재 사용하는 교과과정 선다형 2-4 수업 방법 역사와 문화수업의 분리 유무 이분형 2-5 수업 방법 역사 교수방법 선다형 (5) 서답형 2-6 수업 자료 수업에 사용하는 자료유형 우선순위형 (6) 서답형 2-7 수업 교재 바람직한 수업 교재 선다형 (5) 서답형 2-8 수업 내용 미국사, 세계사와의 연계학습 리커트 스케일 2-9 수업 내용 미국 이민 역사 이분형 2-10 수업 내용 교사의 미국 이민 역사에 대한 지식 리커트 스케일 2-11 수업 방법 한류를 이용한 수업의 유무 리커트 스케일 2-12 수업 방법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 유무 리커트 스케일 2-13 수업 방법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실행되지 않는 이유 선다형(다답형) 2-14 수업 내용 현재 이슈화되는 사건 교육 리커트 스케일 2-15 수업 내용 역사문화에 관련된 특별행사 이분형 서답형 2-16 교육 평가 교육 성취평가 선다형

(48)

3

한국 역사문화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에 관한 질문

문항 번호

문항 성격

문항 내용

문항 유형

비고

3-1 교육 결과 학생들의 정체성 함양과의 관계 리커트 스케일 3-2 필요성 역사문화 수업의 필요성 리커트 스케일 3-3 교사 만족도 교사 자신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 리커트 스케일 3-4 교사 연수회 교사를 위한 교사 연수의 기회 리커트 스케일 3-5 개선점 역사문화교육 발전의 문제점 선다형(다답형) 3-6 교재 개발 교재 개발에 고려할 내용 리커트 스케일 (7)서답형 3-7 교육 개선점 (1-7)교육 성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점 리커트 스케일 (8)서답형

(49)

4. 조사 통계자료 수집 및 요인별 분석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통해 각 문항별 총 응답수에 대한 빈도수의 기초

통계치를 산출하고 또한 분석 결과에 필요한 변인에 따라 요인별 분석

작업을 실시하였다. 변인으로

학교가 속해 있는지역

,

학교 규모

,

응답자의 담당 직책

,

교사의 신분 유형

,

교사의 담당 학년

,

역사 문화

수업의 분리 유무

,

학교 전체 수업의 총 시간

,

역사 문화 수업의 할당

시간

등을 정하여 결과가 이 배경 요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50)

<표1> 학교 지역과

규모, 중고등학생수

역사문화 수업

비교

배경 요인

1. 학교 지역

MD

VA

빈도수 (총 206)

106

51.46%

100

48.54%

규모

소규모 (50명 미만 )

41

38.68%

41

41.00%

(문항 1-2)

중간규모 (50-200명)

41

38.68%

23

23.00%

대규모 (200명 이상)

22

20.75%

30

30.00%

중고등

10명 미만

34

32.08%

47

47.00%

학생수

10-40 명

45

42.45%

30

30.00%

(문항1-3)

40명 이상

24

22.64%

18

18.00%

역사문화

매주 30분-1시간

39

36.79%

29

29.00%

수업시간

매주 30분 미만

29

27.36%

37

37.00%

(문항 2-1)

매달 1시간 정도

29

27.36%

25

25.00%

수업 없음

6

5.66%

6

6.00%

(51)

<표 2> 교사의 신분 유형과

학교 규모 및

교육목표

비교

배경요인 4. 응답자 유형

단기 체류자

1세

1.5 - 2세

빈도수(총 201) 32 15.92% 132 65.68% 37 18.41% 규모 소규모 (50명 미만) 19 59.38% 44 33.33% 16 43.24% (문항 1-2) 중간규모 (50-200명) 8 25% 49 37.12% 7 18.92% 대규모 (200명 이상) 3 9.38% 34 25.79% 13 35.14% 교육 목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확립 (1 – 5 평균) 4.31 86.2% 4.6 92% 4.62 92.4% (문항1-8) 한국어 습득 (1 -5 평균) 4.47 89.4% 4.61 92.2% 4.59 91.8% 취업과 유학 (1 -5 평균) 3.81 76.2% 3.08 61.6% 2.57 51.4% 한국계 미국인의 역할 4.38 87.6% 4.23 84.6% 3.88 77.6% 인식 (1 – 5 평균) 민족적 자긍심 고양 4.28 85.6% 4.4 88% 4.4 88% (1 – 5 평균) 기타 (1 – 5 평균) 1 20% 2.75 55% 0 0%

(52)

<표 3> 교사의 신분유형별

교과과정 선택기준

9.38% 18.16% 16.22% 40.62% 57.56% 51.36% 12.50% 3.79% 0% 3.13%0.76% 10.81% 3.13% 15.91% 27%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학교 교과과정 담당교사의 학습 일정표 역사문화 교재순서 주제와 연계 국경일에 맞추어

교사의 신분 유형별 교과 과정 선택 기준

유학생 1세 1.5/2세

(53)

<표 4> 교사의 신분 유형과

희망 교재의 비교

배경 요인

4. 응답자 유형

단기 체류자

1세

1.5 - 2세

빈도수(총 201)

32

15.92%

132 65.68%

37

18.41%

희망 교재

(문항 2 - 7)

현대 및 근대사

중심

2

6.25%

23

17.42%

7

18.92%

고대사에서

현대사 순서

5

15.63%

33

25%

7

18.92%

시대별 문화

생활사 중심

12

37.5%

43

32.58%

11

29.73%

사건과 인물 선정

시대별

10

31.25%

34

25.76%

11

29.73%

기타

0

0%

10

7.58%

0

0%

(54)

<표 5> 교사의 신분 유형과

수업 내용 및

평가 방법

비교

배경 요인

4. 응답자 유형

단기 체류자

1세

1.5 - 2세

빈도수(총 201) 32 15.92% 132 65.68% 37 18.41% 비교 수업 미국 혹은 세계사와의 비교 (1 – 5 평균) 2.75 55% 3.09 61.8% 2.89 57.8% (문항 2 –8) 이민역사 수업 수업하는 경우 6 18.75% 22 16.67% 10 27.02% (문항 2 –9, 수업 안 하는 경우 21 65.63% 103 78.03% 23 62.16% 2 -10) 이민 역사 지식 충분한 정도 (1 – 5 평균) 1.72 34.4% 2.46 49.2% 2.65 53% 한류 수업 (문항 2 – 11) 한류수업 정도 (1 -5 평균) 3 60% 2.87 57.4% 2.88 57.6% 멀티미디어 (문항 2 – 12) 멀티미디어 수업 정도 4 80% 3.68 73.6% 3.4 68% (1 -5평균) 평가 방법 교사의 시험지로 평가 4 12.5% 23 17.42% 10 27.03% (문항 2 – 6) 활동참여로 평가 12 37.5% 60 45.46% 17 45.95% 학교 평가지로 3 9.38% 4 3.03% 3 8.11% 교재의 질문지로 4 12.5% 11 8.33% 7 18.92% 평가 없음 10 31.25% 53 40.15% 10 27.03%

(55)
(56)

<표7> 담당 학년과

주제 선정 및

희망 교재

비교

배경 요인

5. 담당 학년

유초등부(a)

초등부 (b)

중고등부 (c)

빈도수(총 187) 80 42.78% 59 31.55% 39 20.86% 역사 교육의 주제 선정 (문항2 – 5) 시대별/연대별 13 16.25% 11 18.64% 10 25.64% 사건별 13 16.25% 13 22.03% 5 12.82% 인물별 10 12.5% 10 16.95% 6 15.38% 무작위 35 43.75% 18 30.51% 18 46.15% 기타 7 8.75% 4 6.78% 2 5.13% 희망 교재 현대 및 근대사 중심 10 12.5% 7 11.86% 10 25.64% (문항 2 - 7) 고대사에서 현대사순서 16 20% 16 27.12% 8 20.51% 시대별 문화 생활사 중심 32 40% 22 37.29% 8 20.51% 사건과 인물 선정 시대별 21 26.25% 15 25.42% 16 41.03% 기타 3 3.75% 2 3.39% 1 2.56%

(57)

<표 8> 역사와 문화 수업의 분리 유무와

수업시간

,

주제선정

희망교재

의 비교

배경 요인

6. 수업 분리

네(1)

아니오(2)

빈도수(총 193) 51 26.40% 142 73.60% 역사문화 매주 30분-1시간 25 49.00% 43 30.30% 수업시간 매주 30분 미만 14 27% 52 37% (문항 2-1) 매달 1시간 정도 9 17.60% 42 29.60% 수업 없음 2 3.90% 2 1.40% 역사 교육의 주제 선정 (문항2 – 5) 시대별/연대별 14 27.50% 27 19.00% 사건별 12 23.50% 24 16.90% 인물별 16 31.40% 19 13.40% 무작위 12 23.50% 66 46.50% 기타 1 2.00% 12 8.50% 희망 교재 현대 및 근대사 중심 6 11.80% 26 18.30% (문항 2 - 7) 고대사에서 현대사 순서 8 15.70% 40 28.20% 시대별 문화 생활사 중심 22 43.10% 48 33.80%

(58)

<표 9> 한국학교내 총 수업시간과

지역

,

규모

중고등 학생수

비교

배경 요인

7.총 수업 시간

(주당)

1 시간 미만

1 - 2 시간

2 - 3 시간

3 시간 이상

빈도수(총 201) 8 4.00% 10 5.00% 132 65.70% 51 25.40% 지역 지역 VA 2 25.00% 6 60.00% 51 38.60% 39 76.50% 지역 MD 6 75.00% 4 40.00% 81 61.40% 12 23.50% 소규모(50명 미만) 6 75.00% 10 100% 49 37.10% 14 27.50% 규모 중간 규모(50 - 200명) 1 12.50% 0 0.00% 53 40.20% 9 17.60% 대규모 (200명 이상) 0 0.00% 0 0.00% 27 20.50% 24 47.10% 중고등 학생수 10명 미만 4 50.00% 8 80.00% 54 40.90% 12 23.50% 10명 - 40 명 3 37.50% 2 20.00% 45 34.10% 24 47.10% 40명 이상 0 0.00% 0 0.00% 28 21.20% 13 25.50%

(59)

<표 10> 역사 문화 수업시간과

학교 지역

규모

의 비교

배경 요인

8. 역사 문화

수업시간

30분 - 1시간

매주

15분 - 30분

매주

매달 1시간

없다

빈도수(총 200) 68 34.00% 66 33.00% 54 27.00% 12 6.00% 지역 지역 VA 29 42.60% 37 56.10% 25 46.30% 6 50.00% 지역 MD 39 57.40% 29 43.90% 29 53.70% 6 50.00% 소규모 14 20.60% 23 34.80% 37 68.50% 6 50.00% 규모 (50명 미만) 중간규모 34 50.00% 13 19.70% 11 20.40% 4 33.30% (50 - 200명) 대규모 18 26.50% 25 37.90% 5 9.30% 2 16.70% (200명 이상)

(60)

<표 11> 역사 문화 수업시간과

주제 선정

희망 교재

비교

배경 요인 8. 역사 문화 수업시간 30분 - 1시간매주 15분 - 30분매주 매달 1시간 없다 빈도수(총 200) 68 34.00% 66 33.00% 54 27.00% 12 6.00% 역사 교육의 주제 선정 (문항2 – 5) 시대별/연대별 16 23.50% 15 22.70% 8 14.80% 1 8.30% 사건별 10 14.70% 10 15.20% 15 27.80% 1 8.30% 인물별 20 29.40% 7 10.60% 8 14.80% 0 0.00% 무작위 23 33.80% 30 45.50% 23 42.60% 2 16.70% 기타 6 8.80% 5 7.60% 4 7.40% 0 0.00% 희망 교재 현대 및 근대사중심 6 8.80% 13 19.70% 13 24.10% 0 0.00% (문항 2 - 7) 고대사에서현대사 순서 17 25.00% 20 30.30% 11 20.40% 0 0.00% 시대별 문화 생활사 중심 33 48.50% 18 27.30% 15 27.80% 2 16.70% 사건과 인물 선정 시대별 13 19.10% 23 34.80% 20 37.00% 2 16.70% 기타 4 5.90% 3 4.50% 3 5.60% 0 0.00%

(61)

5. 설문지 조사 결과 통계치와

변인별 통계치 분석과의 관계 고찰

한국학교의 교육 목표

역사 문화 교육 실행의 어려움

역사 문화교재 개발 관련 관심분야 선호도

역사 문화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

(62)
(63)
(64)

<표 14> 역사 문화

교재 개발 관련 관심분야

선호도

(65)

<표 15> 역사 문화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한

(66)

6. 조사 분석 결과에 대한

평가 및 활용 방안

(67)

한국학교에서의

한국 역사 문화 교육 방향

박은경

(68)

향후 한국 역사 문화 학습 및 방향

(69)
(70)
(71)
(72)
(73)
(74)

한국 역사 문화 교육 방향

역사

현안

문화

인물

나의 이야기

(75)
(76)

참조

관련 문서

한국현대사에서 마을연구는 한국전쟁 양민학살 연구와 새마을운동 연구에서

첫째,중학교 미술교사의 장애학생의 미술통합수업에 대한 가치 인식을 조사한 결과,장애학생의 미술통합 교육 필요성과 미술적 가능성에 대하여 높은

흥사단

국내·외 STEAM 교육 사례 및 자료 분석을 통한 교육 연구 토대 마련 개정2009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주제 제시 및 적용..

백화점이나 쇼핑 센터에서는 에스컬 레이터를 설치하는 위치나 에스컬레이터의 속력을 조절하여 상품판매

이상에서 근대 이전 재난 기록의 신빙성 논란과 활용 문제, 그리고 유교 적 재이론을 중심으로 재난 인식과 그에 대한 연구 경향을 살펴보았다. 아 래에서는

제1장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산업안전보건에 있어서 국내와 주요 선진국의 노사참여시스템을 비교· 분석해 보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다 강화지역 역사문화 생태 관광 매력 개발... :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