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알코올 전문병원의 임상 질 지표 개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알코올 전문병원의 임상 질 지표 개발"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알코올 전문병원의

임상 질 지표 개발

1. 들어가며

2011년 11월, 보건복지부는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지닌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의료서비스 접근성을 제고하고자 특정 질환, 진 료과목, 한방에 대하여 99개 전문병원을 지정하였다. 「전문병원 지정 및 평가 등에 관한 규칙」에 의하면 전문병원은 환자구성 비율, 진료량, 필수진료과목, 의료인력, 병상 수, 인증, 임상 질을 기준으로 지정된다. 2011년 전문병원 지정 시에는 인증과 임상 질을 제외한 양적인 측면을 기준으로 특정 질환과 진료과목별로 총 99개 전문 병원이 지정되었고, 알코올 질환에 대해서는 6개 병원이 지정되었다. 전문병원은 3년을 주기로 지정되며 2014년 차기 전문병원 지정 시에는 임상 질 과 의료서비스 수준이 지정기준으로 포함될 예정이다. 의료서비스 수준은 의료법 제58조 1항에 따른 의료기관 인증을 그 내용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전문 병원 지정 기준 중 하나인 임상 질 지표를 개발하고자 요양급여비 청구자료 분석을 통하여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치료 수준을 파악하고 예비조사를 통하여 임상 질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2. 알코올사용장애란?

알코올사용장애는 알코올 남용과 알코올 의존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알코올 남 용은 사회적 또는 직업상의 기능장애를 초래하는 알코올의 병적인 사용으로 사회 적 음주와는 상관없이 알코올을 지속적으로 빈번히 마시는 경우에 해당된다. 즉, 알코올 남용은 알코올로 인해 생활상에 큰 문제가 드러나지만 내성과 금단 증상 이라는 생리적 의존 현상은 아직 나타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알코올 남용이 심 김경훈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팀 부연구위원

(2)

A ss es sm ent S ervi ce 한 경우 알코올 의존에 이르게 되는데, 알코올 사용에 있어서 자기통제가 불가능 하여 뜻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옴에도 불구하고 알코올 섭취를 계속하는 경우에 해 당된다.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알코올사용장애 평생 유병률 과 일년 유병률은 각각 13.4%, 4.4%로, 정신장애 중에서 유병률이 가장 높았다(조맹 제 등, 2011). 알코올 남용 일년 유병률은 2.1%로, 미국 3.1%, 멕시코 2.2% 다음으 로 높았고, 알코올 의존 일년 유병률은 2.2%로 다른 국가에 비해 유병률이 높았다. 알코올사용장애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생물학적, 사 회적, 심리적 측면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여러 가지 형태로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adock et al., 2007). 알코올사용장애는 재발과 회복을 반복하는 만 성질환으로, 입원치료 후 퇴원한 환자의 80%는 6개월 내에 재발하며(조맹제 등, 2004), 퇴원 후 1년 내 재발률은 85%(김종성 등, 2001)로 보고 되고 있다. 이처럼 입원치료가 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데에는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들의 병식 부 족, 알코올에 대한 강한 갈망과 의존된 신체적 상태, 의학적 충고에 반한 퇴원으로 인한 치료중단, 의학치료에 대한 저항과 낮은 치료동기와 같은 다양한 환자의 내적 요인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인석 등, 2007). 알코올사용장애는 질환 자체 및 관련 합병증으로 인해 의료비를 포함하여 막대 한 사회적 비용지출을 초래하는 질환 중 하나이다(천영일 등, 2004). 특히, 알코올 사용장애는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질환이 동반되는데, 정신과적 질환으로는 기분 장애, 불안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 등이 동반된다. 그리고 신체적 질환으로는 출 혈성 위염과 같은 위장질환, 알코올성 간질환, 급성 췌장염, 심혈관계질환, 암 질 환 등이 동반된다.

3. 연구 방법

가. 지표개발 전문가 그룹 구성

알코올사용장애에 대한 임상 질 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지표개발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였다. 전문가 그룹은 한국중독정신의학회에서 추천한 2인, 임상 전문가 1인, 보건정책 전문가 1인으로 구성하였다.

(3)

나. 알코올 전문병원의 역할 및 기능 정의

알코올사용장애에 대한 임상 질 지표 개발 이전에 알코올 전문병원의 역할과 기 능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사용장애의 질환적 특성, 치료관리 수준, 국가의 알코올사용장애 관리계획, 전문병원제도 도입 취지를 고려하여 알코올 전 문병원의 기능과 역할을 정의하였다.

다. 알코올사용장애 치료수준 파악 및 지표 개발 영역 설정

임상 질 지표 개발 영역을 설정하고, 후보 지표를 선정하고자 알코올사용장애 환 자의 치료수준을 파악하였다. 치료수준 파악은 알코올중독치료지침서(한국중독정 신의학회, 2011)와 국내 관련 연구를 고찰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 고 요양급여비 청구자료를 사용하여 알코올사용장애로 입원한 환자의 특성, 동반 질환 유병률, 약물과 사회정신요법 치료 현황, 퇴원 후 관리 수준 등을 분석하였다.

라. 국내외 임상 질 지표 검토

국내외 알코올진료지침과 질 지표 고찰을 통하여 적용가능한 임상 질 지표를 검 토하였다. 국내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급여 정신과평가와 지표개발 연 구(이해국 등, 2008; 이진석 등, 2010) 등을 검토하였고, AHRQ(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의 Clearing House, CQAIMH(Center for Quality As-sessment and Improvement in Mental Health) 등에서 알코올사용장애에 대한 질 지표를 검색하고,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마. 후보 질 지표 선정 및 예비조사

알코올 전문병원의 역할,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치료 수준 등을 기준으로 전문 가 회의를 거쳐 후보 질 지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후보 임상 질 지표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병원 시설 및 알코올전문인력 경력과 교육 현황을 조사하고자 예비조사 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자발적으로 참여한 8개 병원급 의료기관(알코올 전문

(4)

A ss es sm ent S ervi ce 병원 6개소, 연간 입원 환자가 많은 병원 2개소)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조사는 해 당 병원에 직접 방문하여 의무기록부를 토대로 사전에 작성된 조사표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바. 최종 임상 질 지표(안) 선정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논의를 거쳐 최종 임상 질 지표(안)을 선정하였 다. 임상 질 지표 선정과정에는 지표 개발 전문가 그룹뿐만 아니라, 예비조사에 참 여한 병원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4. 연구 결과

가. 알코올 전문병원의 기능과 역할 정의

알코올사용장애는 국가 차원에서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며 전문병원은 국가에서 자격을 부여한다. 따라서 알코올 전문병원은 알코올사용장애 치료전달체계에 상 당부분 기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사용장애의 질환적 특성, 치료관 리 수준, 국가의 알코올사용장애 관리계획, 전문병원제도 도입 취지를 고려하여, 인력, 시설, 치료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아)급성기 환자를 효율적, 연 속적으로 치료^관리하며,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담당하는 것을 알코올 전문병원의 기능과 역할로 정의하였다(그림 1). 그림 1.알코올 전문병원의 기능과 역할 영역 알코올 전문병원 전문성 ○ (아)급성기 환자의 치료·재활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력과 시설○ 전문적인 치료프로그램 운영 효율성 ○ 해독, 재활, 사회복귀훈련 등 단계적으로 통합된 치료재활서비스 제공 ○ 장기입원 지양 연속성 ○ 퇴원 후 지속적인 환자 관리○ 지역사회 연계 역할 담당 공익성 ○ 국가 알코올 정책 기여

(5)

나. 알코올사용장애 치료수준

국내에서는 알코올사용장애 치료서비스의 문제점으로 장기입원 위주의 의료서 비스, 단편적·분절적 의료서비스, 지역사회 중심의 재활서비스 연계체계 미비 등 이 지적되고 있다.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결과, 알코올사용장애 유병률은 높은 반면에, 알코올사용장애로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비율은 8.6%로, 정신질환자 중에서도 의료서비스 이용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치료, 퇴원 후 관리 현황 등을 보고한 국 내 연구를 고찰한 결과 알코올사용장애 입원 환자의 재발률의 범위는 53.2~69.4%, 퇴원 후 외래방문율 12.0~27.4%, 재입원율 25.3~37.0%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알코올의존 입원 환자 중에서 퇴원 후에 자조모임을 참석한 비율은 5.1%, 18.4%로 낮아 퇴원 후 관리수준이 미비하였다. 그림 2.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퇴원 후 기간별 정기적 외래 방문율 2010년 요양급여비 청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들은 항갈망제, 항불안제, 티아민과 같은 약물 처방률과 정신요법 실시율이 높은 반면에 퇴원 후 지 10 0 20 30 40 전체 전문병원 병원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의원 정기적 외래 방문율 (단위: %) 퇴원 후 추적기간 (단위: 개월) 1개월 42.6 30.0 28.6 20.1 17.9 14.7 24.0 16.2 14.7 9.4 8.7 6.9 4.4 5.7 6.3 9.2 10.7 17.0 10.8 7.3 5.7 4.2 3.6 2.8 2.02.6 3.2 4.15.0 7.6 6.1 3.7 3.1 2.5 1.9 1.4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6)

A ss es sm ent S ervi ce 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환임에도 퇴원 후 6개월 동안 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외 래를 방문한 환자는 1.9%에 불과하였다(그림 2).

다. 지표 개발 영역 설정

알코올사용장애는 외래와 입원영역에서 치료·관리된다. 상태가 심각한 환자는 병원에 입원하여 해독 및 금단치료, 재활치료를 받게 되며, 비교적 경미한 음주문 제가 있는 환자 혹은 퇴원 후 지속적인 관리를 위하여 외래를 방문하게 된다. 전문 병원지정제도는 입원영역에 초점을 두고 있으므로, 입원영역에 대한 임상 질 지표 개발이 요구된다. 알코올사용장애는 평생 관리가 필요한 만성·재발성 질환으로 전문적인 (아)급성기 관리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지역사회 관리가 중 요한 질환이다. 그러나,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치료 수준을 파악한 결과, 병원 내 의료서비스 수준은 높은 반면에 퇴원 후 관리 수준이 낮았다. 따라서 입원에서 퇴 원 후 지역사회 연계까지를 지표 개발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임상 질 지표는 구조, 과정, 결과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조는 인력, 전문인력 교육, 시설로, 과정은 환자 평가, 치료계획, 치료관리, 퇴원 후 관리, 지역연계로, 결과는 재원일수와 재입원 율로 세분화하였다(그림 3). 그림 3.알코올 전문병원 임상 질 지표 개발 영역 구조 과정 결과 인력 전문인력 교육 시설 입원 외래/ 지역사회 환자평가 치료계획 치료관리 퇴원 후 관리 지역연계 재원일수 재입원

(7)

라. 국내외 임상 질 지표 검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하는 의료급여 적정성 평가에서는 알코올사용장 애 환자의 입원일수 중앙값을 지표를 평가지표로 적용하고 있다(건강보험심사평가 원, 2013). 그리고 알코올사용장애 전문치료기관 지정기준 개발(이해국 등, 2008), 정신의료기관 평가지표 개발(이진석 등, 2010) 연구 등에서는 의료기관 지정과 평 가를 목적으로 지표를 개발하였다. 뉴욕주의 알코올중독과 물질남용사무국(New York State Office of Alcoholism and Substance Abuse Services), 미국 보건관리협 회(American Managed Behavioral Healthcare Association), 텍사스 알코올·약물 남용 위원회(Texas Commission on Alcohol and Drug Abuse), 영국의 국립보건연 구소(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에서는 의료의 질 향상 을 목적으로 알코올사용장애에 대한 질 지표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지표들은 입원영역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환자의 조기진단, 치료, 지역사회 등 전반적인 영역에 초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마. 후보 질 지표 선정

지표개발 그룹에서는 알코올사용장애에 대한 국내외 임상 질 지표와 치료수준 등 을 토대로 구조, 과정, 결과 영역에 대한 후보 임상 질 지표를 선정하였다. 구조 영 역에는 인력 수준, 인력 교육, 시설이, 과정 영역에는 환자평가, 치료계획, 치료관 리, 퇴원 후 관리, 지역연계가, 결과 영역에는 재원일수, 재입원율이 포함되었다. 알코올전문병원협의체와 임상 전문가의 의견을 토대로, 지표개발 그룹의 논의를 거쳐 15개의 후보 임상 질 지표를 선정하였다(표 2).

바. 예비조사 결과

후보 임상 질 지표의 타당성 평가와 시설 및 알코올 전문인력 현황, 치료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8개 병원급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수행하였다. 예비조 사는 병원당 120건을 무작위 추출하여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 960건 중에서 947건 에 대한 조사가 완료되었다. 예비조사에 참여한 병원은 현재 전문병원으로 지정되

(8)

A ss es sm ent S ervi ce 거나 알코올사용장애 입원 진료량이 많은 병원으로 인력과 시설 수준은 다른 병원 급 의료기관에 비해 높았다. 조사대상 병원들은 자체적으로 전문적인 치료프로그 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그리고 병원들 간에 변이가 존재하긴 하나 정신요 법 실시율, 환자상태 평가를 위한 검사 실시율, 항갈망제, 티아민, 항불안제와 같은 약물처방률은 높았다. 그러나 일부 병원에서는 의무기록부 작성 및 관리 수준이 미 흡하였고, 또한 퇴원 후 환자관리 체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 표 1. 후보 임상 질 지표(안)과 예비조사 결과 요약

사. 최종 임상 질 지표(안) 선정

지표개발 그룹에서는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알코올전문병원협의체와 예비조 사에 참여한 임상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13개의 최종적인 후보 임상 질 지표 번호 지표 전체 A B C D E F G H 1 알코올 전문인력 구성여부 - ○ ○ ○ ○ ○ ○ ○ ○ 2 알코올 전문인력 교육 참여율(%) 31.2 61.1 20.6 0 21.4 68.8 12.0 0 50.0 3 환자상태에 따른 병동 운영여부 - ○ ○ ○ ○ ○ ○ ○ ○ 4 환자를 위한 별도의 휴식공간, 체육시설 유무 5 단계별 치료계획 수립률(%) 9.2 68.1 0 0 0 5.2 0 0 0 6 퇴원 시 치료계획 수립률(%) 76.5 84.5 98.3 32.1 64.4 92.2 98.2 45.7 95.8 7 개인력과 환자상태를 포함한 전반적인 환자 평가율(%) 환자상태 92.7 92.2 98.3 92.9 82.2 85.3 100 92.2 99.2 개인력 95.3 100 100 85.7 93.2 89.7 97.3 97.4 99.2 8 환자상태 평가를 위한 검사 시행률 58.4 81.0 70.7 41.1 99.2 17.2 11.8 97.4 45.4 9 치료프로그램 운영 여부 환자교육 ○ ○ ○ ○ ○ ○ ○ ○ ○ 가족교육 ○ ○ ○ ○ ○ ○ ○ ○ ○ 10 항갈망제 처방률(%) 40.8 67.1 84.2 10.6 5.1 17.3 1.2 82.3 45.6 11 퇴원 후 14일내 1회 이상 외래 방문율(%) 16.6 16.4 22.4 6.3 15.3 25.0 0.9 19.8 25.2 12 알코올상담센터 위탁 운영 여부 13 퇴원 후 단주유지를 위한 프로그램 참석률(%) 자체 자조모임 지역센터 14 100일 이상 입원한 환자비율(%) 19.5 10.3 22.6 22.5 28.0 11.2 24.6 23.3 14.3 15 퇴원 후 30일 내 재입원율(%) 11.9 6.0 7.8 13.4 10.2 15.5 19.1 11.2 12.6 주1 : 특정 병원을 확인할 수 있는 재활시설 유무, 알코올 상담센터 위탁 운영여부 지표는 제시하지 않았으나, 대부분의 병원에서 환자를 위한 휴식공간, 체육시설 등을 갖추고 있으며, 일부 병원에서는 알코올상담센터를 위탁운영하고 있다. 주2 : 퇴원 후 자체 자조모임 참석 여부, 지역센터 등록 여부는 병원에서 별도로 관리하지 않아 조사하지 못하였다.

(9)

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현재 알코올사용장애 치료서비스의 수준을 고려하여, 단기 적으로는 전문성과 지속성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후보 임상 질 지표를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조와 과정 영역에 대한 13개의 지 표를 제시하였고 재입원율과 재원일수와 같은 결과지표는 전문병원 연차보고서 제 출 시 보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예비조사에 참여한 대부분의 병원은 알코올 전문인력 구성, 환자상태에 따른 병 동 운영, 휴식공간^산책로^운동시설 유무 지표를 충족하였으나 이러한 조건을 만 족하는 병원만을 전문병원으로 제한하기 위해 지표로 선정하였다. 알코올 전문인 력 교육 참여율은 지난 1년간 교육 참여로 분자를 정의하였으나 향후에는 3년으로 교육기간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전반적인 환자 상태 평가 기록률, 단계별 치료계획 수립률 및 퇴원 시 치료계획 수립률은 정형화된 서식 사용으로 지표 값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표로, 지표개발 그룹에서는 예비조사 시 병원의 동의를 얻어 서식을 수집·보완하여 보고서에 서 식을 제시하였다. 환자교육 프로그램과 가족교육 프로그램 운영여부는 프로그램의 내용적인 측면 을 지표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운영여부에만 초점을 두고 지표를 제안하였다. 그 러나 장기적으로는 두 지표를 통합하고 가족교육 프로그램 참석률과 같은 프로그 램 운영 성과를 지표화 할 필요가 있다. 항갈망제 처방률은 입원기간 중 항갈망제 처방의 효과성에 대해 전문가 사이에 의견 차이가 있었으나 항갈망제 처방은 알코올사용장애 환자 치료를 위한 근거에 기반한 약물치료라는 점에서 입원기간 중 혹은 퇴원 시 처방을 포함하여 처방률을 정의하였다. 퇴원 후 환자관리를 위한 지표로 퇴원 후 14일 내 외래방문, 퇴원 후 단주유지를 위한 프로그램 참석률을 제시하였다. 후보 지표에 대한 전문가 회의에서 퇴원 후 30일 내로 기간을 확대하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14일 내 외래방문율과 30일 내 방 문율은 큰 차이가 없고 최소한 2주 이내에 외래를 방문할 필요가 있다는 다수의 의 견을 반영하여 14일 내로 정의하였다. 이 지표는 예비조사에 참여한 대부분의 병원 에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지표로 알코올사용장애 임상 질 지표 중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10)

A ss es sm ent S ervi ce 표 2. 최종 후보 임상 질 지표 주 : 본 연구에서 제시한 후보 임상 질 지표는 2013년에 예비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전문병원 지정을 위한 임상 질 지표를 선정할 예정이다.

5. 맺으며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전문병원 지정을 위하여 구조와 과정 영역에 대한 13개 임 상 질 지표를 개발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2013년에 예비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알코올 전문병원 지정을 위한 임상 질 지표를 확정할 예정이다. 전문병원지정제도는 대형병원 쏠림 현상을 해소하고, 중소병원 활성화를 위하여 실시되었다. 그러나 알코올사용장애는 전문병원 영역에 포함된 다른 질환, 진료과 목과는 달리 병원급 의료기관에 주로 입원하여 임상 질 지표 또한 다른 관점에서 접 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사용장애는 국가차원에서 관리될 필요가 있는 질환으로 분류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국가 알코올사용장애 관리정책을 반영하 여 임상 질 지표를 개발하였다. 정부에서는 장기입원 위주의 의료서비스, 지역사회 중심의 재활서비스 연계체계 미비 등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현재 알코올사용 장애의 치료관리 수준을 고려할 때, 알코올 전문병원 임상 질 지표는 단계적으로 개 발, 적용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즉 단기적으로는 전문성과 연속성에 초점을 두고, 번호 영역 세부영역 단위 단기지표 장기지표 1 구조 인력 병원 알코올 전문인력 구성여부 2 구조 교육 병원 알코올 전문인력 교육 참여율 3 구조 시설 병원 환자상태에 따른 병동 운영여부 4 구조 병원 휴식공간, 산책로, 운동시설 유무 5 과정 환자평가 환자 개인력과 환자상태를 포함한 전반적인 환자 평가 기록률 6 과정 환자 환자상태 평가를 위한 검사 시행률 7 과정 치료계획 환자 단계별 치료계획 수립률 치료계획 수행률(완수율) 8 과정 병원 퇴원 시 치료계획 수립률 9 과정 치료관리 병원 환자교육 프로그램 운영 여부 알코올 치료프로그램 운영 여부로 지표 통합, 가족교육 프로그램 참석률 10 과정 환자 가족교육 프로그램 운영 여부 11 과정 환자 항갈망제 처방률 12 과정 외래관리 환자 퇴원 후 14일 내 1회 이상 외래 방문율 13 과정 지역연계 환자 퇴원 후 단주유지를 위한 프로그램 참석(등록)률 알코올 상담센터 운영 여부

(11)

장기적으로는 효율성에 초점을 둔 지표로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 개발된 후보 임상 질 지표는 입원과 지역사회 연계 영역에 초점을 두고, 구 조와 과정지표를 개발하였으나, 장기적으로는 치료프로그램 완수율, 사회복귀율 과 같은 결과지표로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치료프로그램 운영 여부를 지표로 제시 하기 보다는 가족교육 프로그램 참석률과 같은 실질적인 성과를 지표화하는 방향 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1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서울: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3. 김종 성, 박경강, 조영채, 오민경, 김갑중, 오창균. 알코올 의존환자들의 병식상태와 퇴원 후 1년간 단주 성적 의 관련성. 가정의학회지 2001;22:1052-1066. 이인선, 손진욱, 배행자. 알코올 의존자의 입원경험. 한국중독정신의학회지 2007;11(1):10-22 이진 석, 이선영, 문상준, 백종우, 이은정, 김명정 등. 정신의료기관 평가지표 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연 구. 서울:서울대학교;2010. 이해 국, 이계성, 조근호, 서정석, 정영철, 박선희 등. 알코올사용장애 전문치료기관 지정기준 개발을 위한 예 비연구. 서울:알코올사업지원단;2008. 조맹 제, 함봉진, 김장규, 박강규, 정은기, 서동우 등. 한국 정신장애의 역학 조사 연구: 각 정신장애의 유병률. 신경정신의학회 2004;43(4):470-480. 조맹 제, 성수정, 신서연, 김진선, 전승범, 김민정 등.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서울:서울대학 교;2011. 천영 일, 이태경, 이종일.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Mirtazapine과 SSRI의 효과에 관한 전향적 비교 연구. 한국중 독정신의학회지 2004;8(2):91-98. 한국중독정신의학회와 알코올사업지원단. 중독치료지침서. 서울:한국중독정신의학회;2011.

McC orry F, Garnick DW, Bartlett J, Cotter F, Chalk M. Developing performance measures for alcohol and other drug services in managed care plans. Washington Circle Group. Jt Comm J Qual Im-prov. 2000;26(11):633-643.

Natio 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NICE). Alcohol dependence and harful alcohol use quality standard. The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 The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NICE;2011. Sado ck BJ, Sadock VA, Kaplan & Sadock’s synopsis of psychiatry. Behavioral science/clincal

참조

관련 문서

◦ 따라서 농촌 마을 주민들이 감수해야 하는 열악한 기초 생활인프라 및 생활서비스 이용 여건을 개선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지속적으로

- 삶의 질 업무에 대한 조정 기능 강화와 더불어 정책 모니터링, 평가, 자 문 등 삶의 질 향상정책 지원 기능을 제고. - 현행 사무국 역할의 확대를 위해 삶의 질 향상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revious work experience on the long-lived venture firm called 'Good Quality startup'. The research explores entrepreneurs of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인지도, 임파워먼트 및 병 원감염관리에 대한 실천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병원감염관리 실천에 영향을

○ 인천시 일자리위원회는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발굴하고, 그 정책에 대한 조정과 평가 등의 역할을 하는 민관거버넌스로,

본 논문의 목적은 질 높은 여가를 위하여 성인학습자들의 전통음악에 대한 흥미 를 유발하고 대금연주에 몰입하도록 함으로써 전통음악 자체를 향유할 수

경부기능 장애지수에 있어서는 우울지수( r =. 000)변화간에 우울지수를 제외한 삶의 질 지수만 유의적인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경부기능 장애지수와

그동안 헬스커뮤니케이션 분야 연구에서는 신뢰성이나 소통성 등을 ‘ 의사- 환자 관계의 질’ 이나 ‘ 의사-환자 관계의 깊이’ 를 보여주는 특정 변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