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 교원을 위한 어문규정의 이해(이유원 강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국어 교원을 위한 어문규정의 이해(이유원 강사)"

Copied!
5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어 교원을 위한

어문 규정의 이해

국립국어원 교육연수과

이 유 원 학예연구사

(2)

어문 ^ 규범 ( 語文規範 )

『언어』 언어생활에서 따르고 지켜야 할 공식적인 기준 . 한글 맞춤법 , 표준어 규정 , 외래어 표기법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아우르 는 말이다 . 한글 맞춤법 (1988) 표준어 규정 (1988) 외래어 표기법 (1986)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2000)

(3)

어문 규정

한글 맞춤법

먹던지 / 먹든지 , 갈게 / 갈께 , 알맞은 / 알맞는

표준어 규정

돌 / 돐 , 우레 / 우뢰 , 묘자리 / 묏자리 , 품새 / 품세

외래어 표기법

버스 / 뻐스 / 뻐쓰 , 서비스 / 써비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4)
(5)

두음법칙 (1) - 난 / 란 , 량 / 양

① 답난 /

답란

( 참 )

答欄

② 가십난 /

가십란

( 참 ) gossip

③ 어린이난 /

어린이란 ( 참 )

어린이欄

④ 생산량 /

생산양

( 참 )

生産量

⑤ 알칼리

량 /

알칼리양 ( 참 ) alkali

⑥ 기름량 /

기름양

( 참 )

기름量

(6)

두음법칙 (1) - 난 / 란 , 량 / 양

① 답난 /

답란

( 참 )

答欄

② 가십난 /

가십란

( 참 ) gossip

③ 어린이난 /

어린이란 ( 참 )

어린이欄

④ 생산량 /

생산양

( 참 )

生産量

⑤ 알칼리

량 /

알칼리양 ( 참 ) alkali

⑥ 기름량 /

기름양

( 참 )

기름量

(7)

두음법칙 (1) - 난 / 란 , 량 / 양

① 답난 /

답란

( 참 )

答欄

② 가십난 /

가십란

( 참 ) gossip

③ 어린이난 /

어린이란 ( 참 )

어린이欄

④ 생산량 /

생산양

( 참 )

生産量

⑤ 알칼리

량 /

알칼리양 ( 참 ) alkali

⑥ 기름량 /

기름양

( 참 )

기름量

(8)

사이시옷 (1) – ~ 국

① 김치국 / 김칫국 [-- 꾹 ]

② 고기국 /

고깃국

[-- 꾹 ]

③ 선지국 /

선짓국

[-- 꾹 ]

④ 북어국 /

북엇국

[-- 꾹 ]

⑤ 만두국 /

만둣국

[-- 꾹 ]

‘ 고유어 + ’

국 또는 한자어 + ’

국 구성에서 국 이 [ 꾹 ]

‘ ’

으로 소리 나

므로 사이시옷을 넣는다 .

‘ 고유어 + ’

국 또는 한자어 + ’

국 구성에서 국 이 [ 꾹 ]

‘ ’

으로 소리 나

므로 사이시옷을 넣는다 .

(9)

사이시옷 (2) – ~ 말

① 혼자말 /

혼잣말

[ 혼잔말 ]

② 뒤말 /

뒷말

[ 뒨말 ]

③ 시체말 /

시쳇말

[ 시첸말 ]

④ 머리말 /

머릿말

[ 머리말 ]

⑤ 인사말 /

인삿말

[ 인사말 ]

⑥ 나라말 /

나랏말

[ 나라말 ]

‘ 고유어 + ’

말 , ‘ 한자어 + ’

말 구성에서 [ ㄴ ]

소리가 덧나면 사이

시옷을 넣는다 .

‘ 고유어 + ’

말 , ‘ 한자어 + ’

말 구성에서 [ ㄴ ]

소리가 덧나면 사이

시옷을 넣는다 .

(10)

사이시옷 (3) – ~ 방 ( 房 )

① 빨래방 /

빨랫방 [-- 방 ]

② 노래방 /

노랫방 [-- 방 ]

③ 가게방 /

가겟방 [-- 빵 ]

④ 구두방 /

구둣방 [-- 빵 ]

⑤ 공부방 /

공붓방 [-- 빵 ]

( 참 )

工夫房

⑥ 전세방 /

전셋방 [-- 빵 ]

( 참 )

傳貰房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지 않으면 사이시옷을 넣지 않는다 .

- ‘

한자어 +

한자어 구성은 사이시옷을 넣지 않는다 .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지 않으면 사이시옷을 넣지 않는다 .

- ‘

한자어 +

한자어 구성은 사이시옷을 넣지 않는다 .

(11)

사이시옷 (4) – 한자어

代價 대가 댓가

焦點 초점 촛점

回數 회수 횟수

셋방 ( 貰房 )

곳간 ( 庫間 )

숫자 ( 數字 )

찻간 ( 車間 )

툇간 ( 退間 )

(12)

사이시옷 (5) – 외래어

① 장미빛 /

장밋빛 [-- 삗 ]

② 핑크빛 /

핑큿빛 [-- 삗 ]

③ 고기집 /

고깃집 [-- 찝 ]

④ 피자집 /

피잣집 [-- 찝 ]

외래어가 포함된 합성어에서는 사이시옷이 붙지 않는다 .

외래어가 포함된 합성어에서는 사이시옷이 붙지 않는다 .

(13)

사이시옷 (6) – 수학 용어

① 꼭지점 /

꼭짓점

② 소수점 /

소숫점

③ 대표값 /

대푯값 ( 참 )

대표치

④ 절대값 /

절댓값 ( 참 )

절대치

⑤ 최소값 /

최솟값 ( 참 )

최소치

⑥ 최대값 /

최댓값 ( 참 )

최대치

⑦ 근사값 /

근삿값 ( 참 )

근사치

⑧ 고유값 /

고윳값 ( 참 ) 고유근 ,

고유치

(14)

사이시옷 (7) – 위 / 윗

① 위면 /

윗면

② 위옷 /

윗옷

③ 위쪽 /

윗쪽

④ 위층 /

윗층

뒤에 오는 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거나 거센소리면

사이시옷이 붙지 않는다 .

뒤에 오는 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거나 거센소리면

사이시옷이 붙지 않는다 .

< 참고 !!> 바지와 윗옷- 위에 입는 옷 ( 위 / 아래의 구분이 있음 ) 추우니까 웃옷 을 가져가라 . - 겉옷 < 참고 !!> 바지와 윗옷- 위에 입는 옷 ( 위 / 아래의 구분이 있음 ) 추우니까 웃옷을 가져가라 . - 겉옷

(15)
(16)

한글 맞춤법

한글맞춤법 총칙

< 제 1 항 >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

어법에 맞도록 함

을 원칙으로 한다 .

① ‘ 소리대로 적는다’ 예 ) 돌 [ 돌 ], 눈물 [ 눈물 ], 꿈 [ 꿈 ]

② ‘ 어법에 맞도록’ 예 ) 꽃이 [ 꼬치 ], 꽃도 [ 꼳도 ], 꽃만 [ 꼰만 ]

왜 ? 꽃 + 이 , 꽃 + 도 , 꽃 + 만

⇒’ 꽃’이라는 형태를 고정하여 적는다 .

왜 ?

(17)
(18)

무엇일까요 ?

정구지

소풀 / 소불

솔 / 졸 / 줄

세우리

부추 / 분추

염지

(19)
(20)

-

정구지 / 솔 / 소풀 / 세우리 / 염지 ☞ 부추

-

소데끼 / 가랑밥 / 가마티 / 까룸밥 ☞ 누룽지

-

저까치 / 저깔 / 저붐 / 저분 / 절 ☞ 젓가락

-

무꾸 / 무끼 / 무수 / 무시 / 무유 / 남삐 ☞ 무

-

책꽂이에 책을 { 꽂아라 / 꼽아라 } ☞ 꽂다 ( 꽂아라 )

-

정구지 / 솔 / 소풀 / 세우리 / 염지 ☞ 부추

-

소데끼 / 가랑밥 / 가마티 / 까룸밥 ☞ 누룽지

-

저까치 / 저깔 / 저붐 / 저분 / 절 ☞ 젓가락

-

무꾸 / 무끼 / 무수 / 무시 / 무유 / 남삐 ☞ 무

-

책꽂이에 책을 { 꽂아라 / 꼽아라 } ☞ 꽂다 ( 꽂아라 )

(21)

1. 표준어 규정의 필요성

한 시대 ,

한 나라 말의 변화

-

소통의 어려움 .

표준어를 제정하는 까닭

-

대립되는 말을 하나로 정하여 국민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

기 위함 .

-

공통어로서 국민의 올바른 언어생활을 유도하기 위함 .

(22)

1. 표준어 규정의 필요성

• 방언

-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반영하는 훌륭한 가치

• 위상어 , 특수어

-

계층에 따른 친밀감과 유대감

- 여성어 , 유아어 , 학생어 , 은어 ,

의사들의 말 등

(23)

1. 표준어 규정의 필요성

표준어 규정

-

한 나라 한 민족의 말은 일정한 원칙 밑에서 일관성 있게 발

음하고 적게 하는 기준이 있어야 함 .

• 표준어

-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

-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언어

-

국민 누구나 사용해야 하는 공용어

(24)
(25)

제 1

장 총칙

제 1 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질적 : 교양 있는 (상스럽지 않은 ). 비속어 , 비속어적인 표현 제외시대적 : 현대어지역적 : 서울말 (서울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말 )

제 2 항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 .

제 1

장 총칙

제 1 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질적 : 교양 있는 (상스럽지 않은 ). 비속어 , 비속어적인 표현 제외시대적 : 현대어지역적 : 서울말 (서울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말 )

제 2 항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 .

(26)

표준어는

여러 방언 가운데 하나를 중심으로 인위적으로 정한 언어이

다 .

서울말이 다른 지역 언어보다 우월하기 때문은 아니다 .

공식적인 언어생활에서 의사소통의 효율화를 위한 일종의

사회적 규범이다 .

어떤 단어가 표준어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려면?

표준어는

여러 방언 가운데 하나를 중심으로 인위적으로 정한 언어이

다 .

서울말이 다른 지역 언어보다 우월하기 때문은 아니다 .

공식적인 언어생활에서 의사소통의 효율화를 위한 일종의

사회적 규범이다 .

어떤 단어가 표준어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려면?

(27)

단수 표준어 돌 (*돐 ), 둘째 (*두째 ), 셋째 (*세째 ), 수꿩 (*숫꿩 ), 깡충깡충 (*깡총깡총 ), 부조 (*부주 )~ 부좃돈 (*부줏돈 ) 단수 표준어 돌 (*돐 ), 둘째 (*두째 ), 셋째 (*세째 ), 수꿩 (*숫꿩 ), 깡충깡충 (*깡총깡총 ), 부조 (*부주 )~ 부좃돈 (*부줏돈 ) 복수 표준어 가엾다 / 가엽다 , 여쭙다 / 여쭈다 , 가뭄 / 가물 , 귀퉁머리 / 귀퉁배기 , 꼬까 / 때때 / 고까 , 나귀 / 당나귀 , 뒷갈망 / 뒷감당 , 만큼 / 만치 , 멀찌 감치 / 멀찌가니 / 멀찍이 , 딴전 / 딴청 , 모쪼록 / 아무쪼록 , 벌레 / 버 러지 (‘ 벌거지 / 벌러지’는 비표준어임 ), 보조개 / 볼우물 , 언덕바지 / 언덕배기 , 우레 / 천둥 , 의심스럽다 / 의심쩍다 …… ( 표준어 규정 제 26 항 참조 ) 복수 표준어 가엾다 / 가엽다 , 여쭙다 / 여쭈다 , 가뭄 / 가물 , 귀퉁머리 / 귀퉁배기 , 꼬까 / 때때 / 고까 , 나귀 / 당나귀 , 뒷갈망 / 뒷감당 , 만큼 / 만치 , 멀찌 감치 / 멀찌가니 / 멀찍이 , 딴전 / 딴청 , 모쪼록 / 아무쪼록 , 벌레 / 버 러지 (‘ 벌거지 / 벌러지’는 비표준어임 ), 보조개 / 볼우물 , 언덕바지 / 언덕배기 , 우레 / 천둥 , 의심스럽다 / 의심쩍다 …… ( 표준어 규정 제 26 항 참조 )

(28)

추가된 표준어 현재 표준어 추가된 표준어 현재 표준어 간지럽히다 간질이다 남사스럽다 남우세스럽다 등물 목물 맨날 만날 묫자리 묏자리 복숭아뼈 복사뼈 세간살이 세간 쌉싸름하다 쌉싸래하다 토란대 고운대 허접쓰레기 허섭스레기 흙담 토담 1. 현재 표준어로 규정된 말 이외에 같은 뜻으로 많이 쓰이는 말이 있어 이를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2011. 8.)

추가로 선정된 표준어 (2011. 8./ 2014. 12.)

(29)

2. 현재 표준어로 규정된 말과는 뜻이나 어감 차이가 있어 이를 인정하여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2011. 8.) 추가된 표준어 현재 표준어 뜻 차이 ~ 길래 ~ 기에 ~길래 : ‘~ 기에’의 구어적 표현 . 개발새발 괴발개발 ‘ 괴발개발’은 ‘고양이와 개의 발’ , ‘ 개발새발’은 ‘개와 새의 발’ . 나래 날개 ‘ 나래’는 ‘날개’의 문학적 표현 . 내음 냄새 ‘ 내음’은 향기롭거나 나쁘지 않은 냄새로 제한됨 . 눈꼬리 눈초리 ․ 눈초리 : 어떤 대상을 바라볼 때 눈에 나타나는 표정 . 예 ) ’ 매서운 눈 초리’ ․ 눈꼬리 : 눈의 귀 쪽으로 째진 부분 . 떨구다 떨어뜨리다 ‘ 떨구다’에 ‘시선을 아래로 향하다’라는 뜻 있음 . 뜨락 뜰 ‘ 뜨락’에는 추상적 공간을 비유하는 뜻이 있음 . 먹거리 먹을거리 먹거리 : 사람이 살아가기 위하여 먹는 음식을 통틀어 이름 .

(30)

2. 현재 표준어로 규정된 말과는 뜻이나 어감 차이가 있어 이를 인정하여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2014. 12.) 추가된 표준어 현재 표준어 뜻 차이 개기다 개개다 개기다 : ( 속되게 ) 명령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버티거나 반항하다 .(※개개다 :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다 .) 꼬시다 꾀다 꼬시다 : ‘(※꾀다 : 꾀다 를 속되게 이르는 말 .그럴듯한 말이나 행동으로 남을 속이거나 부추겨서 자기 생’ 각대로 끌다 .) 놀잇감 장난감 놀잇감 : 놀이 또는 아동 교육 현장 따위에서 활용되는 물건이나 재료 .(※장난감 :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여러 가지 물건 .) 딴지 딴죽 딴지 : (( 주로 ‘걸다 , 놓다’와 함께 쓰여 )) 일이 순순히 진행되지 못하도록 훼방을 놓거나 어기대는 것 . (※딴죽 : 이미 동의하거나 약속한 일에 대하여 딴전을 부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그라들다 사그라지다 사그라들다 : 삭아서 없어져 가다 . (※ 사그라지다 : 삭아서 없어지다 .) 섬찟 * 섬뜩 섬찟 :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 .(※섬뜩 : 갑자가 소름이 끼치도록 무섭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 .) 속앓이 속병 속앓이 : 「 1 」속이 아픈 병 . 또는 속에 병이 생겨 아파하는 일 . 「 2 」겉으로 드러 내지 못하고 속으로 걱정하거나 괴로워하는 일 . (※ 속병 : 「 1 」몸속의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2 」‘위장병 01’ 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 「 3 」화가 나거나 속이 상하여 생긴 마음의 심한 아픔 . 허접하다 허접스럽다 허접하다 : 허름하고 잡스럽다 .(※허접스럽다 : 허름하고 잡스러운 느낌이 있다 .) * ‘ 섬찟 이 표준어로 인정됨에 따라 , ’ ‘ 섬찟하다 , 섬찟섬찟 , 섬찟섬찟하다’ 등도 표준어로 함께 인정됨 . * ‘ 섬찟 이 표준어로 인정됨에 따라 , ’ ‘ 섬찟하다 , 섬찟섬찟 , 섬찟섬찟하다’ 등도 표준어로 함께 인정됨 .

(31)

추가된 표준어 현재 표준어 시기 태껸 태껸 (2011. 8.) 품새 품세 짜장면 자장면 구안와사 구안괘사 (2014. 12.) 굽신 * 굽실 눈두덩이 눈두덩 삐지다 삐치다 초장초 작장초 3. 표준어로 인정된 표기와 다른 표기 형태도 많이 쓰여서 두 가지 표기를 모두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 굽신 이 표준어로 인정됨에 따라 , ‘ 굽신거리다 , 굽신대다 , 굽신하다 , ’ 굽신굽신 , 굽신굽신하다 등도 표준어로 함께 인정됨 .’

(32)

<

한국어 교육 활용 자료 >

(33)

국어사전 : 표준국어대사전

1 http://stdweb2.korean. go.kr http ://www.korean.go.kr

(34)

국어사전 : 표준국어대사전

1

http://stdweb2.korean.g o.kr

(35)

표준국어대사전 활용법

(36)

표준국어대사전 활용법 ( 사전 읽기 )

36

발음

발음

활용 정보

활용 정보

문형 정보

문형 정보

의미 / 용

의미 / 용

어원

어원

(37)

표준국어대사전 활용법 ( 모르는 단어 찾기 1)

인사말 인지 인삿말 인지 모를 때

37

인 ? 말

인 ? 말

?

발 ? 발

?

발 ? 발

??

갑산

??

갑산

(38)

표준국어대사전 활용법 ( 모르는 단어 찾기 2)

‘ ’

꽃 으로 끝나는 말

38

*

*

*

나무

*

나무

나무 *

나무 *

(39)

국어사전 : 한국어 기초 사전

1 http ://krdic.korean.go.kr http ://krdic.korean.go.kr

(40)

국어사전 : 한국어 기초 사전

1 http ://krdic.korean.go.kr http ://krdic.korean.go.kr

(41)

언어정보 나눔터

2

http

(42)

언어정보 나눔터

2

http

(43)

언어정보 나눔터

2

http

(44)

어문 규정

(45)

어문 규정

3

http

(46)

온라인 국어생활 종합 상담

(47)

4

온라인 국어생활 종합 상담

http

(48)

우리말 다듬기

5 http

://malteo.korean.go.kr

http

(49)

5

우리말 다듬기

http

://malteo.korean.go.kr

http

(50)

국어문화학교

6 http://edu.korean.go

.kr

http://edu.korean.go .kr

(51)

6

국어문화학교

http

://edu.korean.go.kr

http

(52)

8

한국어교수학습샘터

http://kcenter.korean.go.k

r/

http://kcenter.korean.go.k r/

(53)

8

디지털 한글 박물관

http ://www.hangeulmuseum.or g http ://www.hangeulmuseum.or g

(54)

긴 시간 고생 많으셨습니다 .

감사합니다 .

참조

관련 문서

다음 중 남성과 여성의 얶어 차이에 대핚 설 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보편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표준어

구 예루살렘 시가지의 동편에 있으며, 돌로 이루어진 고대 이스라엘의 신전의 서쪽 벽의 일부 유대인들은 신전의 상실을 슬퍼하고 재건하는 것을 바라고 있다.

주석 내보내기 기능은 PDF 문서상에 추가된 모든 주석에 대한 정보를 Form Data File(fdf) 형태 또는 xml 파일 형태로 따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으로, 주석 가져오기를 통해

• 따라서, ① 중소기업확인서(검사일 현재 유효기간 이내의 것), ② 사업자등록증 (신청일 현재 유효한 것일 것), ③ 법인사업자 또는 개인사업자 명의의 검사비용

(기본 모니터링 품목과 농업인 신청을 통해 추가된 품목

부양가족은 입주자모집공고일 현재 아래의

관련 구체 사항은 중국비자신청 서비스센터에

주문상세 주문 연간물에 대한 상세정보 입력 관리 주문등록 추가된 주문리스트에 대하여 주문등록 주문삭제 선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