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농축산물 수입 개황 Ⅱ. FTA 체결국가별 수입 동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Ⅰ. 농축산물 수입 개황 Ⅱ. FTA 체결국가별 수입 동향 "

Copied!
5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FTA 체결국 농축산물 수입 동향」은

Ⅰ. 농축산물 수입 개황 Ⅱ. FTA 체결국가별 수입 동향

Ⅲ.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콜센터 1899-4114

제2권 제3호(통권 제6호) 2014년 7월 31일 발행(계간·비매품) 편집·발행인_ 원장 최세균 발행처_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디자인·인쇄_크리커뮤니케이션

FTA 이행지원센터

(2)

■ 2014년 2분기 국가별 농축산물 수입액 규모는 미국, 중국, ASEAN, EU, 호주 등의 순

■ 곡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4% 감소한 반면, 과일·채소, 축산물, 가공식품은 각각 6.3%, 20.8%, 1.9% 증가

호주·미국산 쇠고기, 미국·EU산 돼지고기, ASEAN·

브라질·콜롬비아산 커피, 중국·에티오피아산 참깨, 필리핀산 바나나 수입 전년 동기 대비 증가

$ 4.3

24.0 % $ 3.1

32.7 %

$ 2.8

20.7 % $ 2.0

27.2 %

$ 1.3

34.3 % $ 0.6

40.4 %

$ 0.6

55.4 % $ 0.7

33.9 %

$ 1.0

28.6 %

$ 0.3

49.1 %

농축산물 전체 수출·입 동향

수입 상위 10개국 농축산물 수입 동향

주요 수입 증가 품목

對FTA 체결국 수출·입 동향

농축산물 부류별 수입 동향

주요 수입 감소 품목

쇠고기

돼지고기 사탕수수당

커피 대두유

참깨

오렌지

바나나 타피오카

14년 2분기 수 입 액

전년 동기 대비

감 소 율

인도산 밀, ASEAN·호주산 사탕수수당, 아르헨티나·

미국산 대두유, 미국산 오렌지, ASEAN산 타피오카 수입 전년 동기 대비 감소

단위: 억 달러 평년 2분기 13년 2분기 14년 2분기

4 4

24

32

44 42 40

47

3 5 6

2

-21 -30

-40 -37 -35

-41 FTA 수입 FTA 수출 FTA 무역수지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단위: 억 달

수입 수출

72 80

82

13 15

17

2

단위: 억 달러

곡물 과일·채소 축산물 임산물 가공식품

25

22 22 2222

20

8 8 8

11 11 14 15 1719

14년 2분기 단위: 억 달러

미국 중국 ASEAN EU 호주 브라질 뉴질랜드 인도

17 22

10 10

6 66

4 7

3 333 3

1 78

5 1213 12

11

평년 2분기 13년 2분기 14년 2분기 평년 2분기 13년 2분기

캐나다 3 33 2

칠레 33 15

(3)

농축산물 수입 동향 요약

전 년 2 분 기

대 비

전 년 2 분 기

대 비

전 년 2 분 기

대 비 전 년

2 분 기

대 비

전 년 2 분 기

대 비

전 년 2 분 기

대 비

전 년 2 분 기

대 비

전 년 2 분 기

대 비

전 년 2 분 기

대 비

전 년 2 분 기

대 비

평 년 상 반 기 누적 대비

평 년 상 반 기 누적 대비

평 년 상 반 기

누적 대비 평 년

상 반 기 누적 대비

평 년 상 반 기 누적 대비 평 년

상 반 기 누적 대비

평 년 상 반 기 누적 대비

평 년 상 반 기 누적 대비

평 년 상 반 기 누적 대비

평 년 상 반 기 누적 대비

보리

보리

포도 대두

참깨

당근 오이

돼지고기 닭고기 유제품

유제품

옥수수

- -

3만 9천 톤

40.0%

2,478톤

1,872톤

62.0%

1,274톤

1.3배

4,441톤

54.3%

2,723톤

9.8%

6,793톤

17.4%

2,985톤

34.0%

1,511톤

54.3%

987톤

6.0%

84톤

89.5%

4,195톤

23.4%

570톤

65.3%

507톤

99.7%

15.9%

25.9%

15.7%

95.0%

74.6%

40.2%

FTA 체결국가별 수입 동향

13.9%

58.9배

75.2% 3.9배

1.2배

1.1배

전 년

2 분 기

대 비

평 년 상 반 기 누적 대비

체리 포도

오렌지

3만 5천 톤

46.9%

6,679톤

9.8%

1,714톤

87.4%

28.8% 1.6배 64.5%

78.3%

1.8배

옥수수 대두

24만 2천 톤

14.3%

38만 2천 톤

65.1배

5만 8천 톤

43.5%

5.5%

35.1% 47.3%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2만 6천 톤

22.0%

3만 3천 톤

7.5%

1만 8천 톤

43.3%

18.2% 2.9% 15.1% 17.2배

75톤

1.0배

27.7%

ASEAN

$12억 8.1%↑

전 년 2 분 기

대 비

평 년 상 반 기 누적 대비

포도

돼지고기 키위

2,062톤

46.3%

6,610톤

21.5%

3만 1천 톤

2.6%

39.5%

35.5% 20.7%

칠레

$3억 3.4%↑

인도

$2억 45.2%↓

터키

$0.1억 18.0%↑

싱가폴 EFTA

$0.4억 13.1%↑

$0.2억 9.1%↑

페루

$0.1억 94.4%↑

중국산에 비해 품질경쟁력이 낮고 에티오피아산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인도산 참깨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

수입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무관세 적용 등으로 칠레산 포도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한 반면, 냉해 및 병해 피해로

키위 수입량은 감소

국내 제분용 밀의 재고량 증가로 ASEAN산 밀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

국내 재고량 증가로 싱가폴산과 터키산 밀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감소

치즈를 포함한 유제품에 대한 국내 수요 증가로 EFTA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

국산 축산물 가격 상승 등으로 EU산 돼지고기, 닭고기와 유제품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미국산 옥수수 수입 증가에 따른 수입 전환효과로 EU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감소

미국

2분기 총수입액

$22억

EU

$8억 8.2%↑

전년 대비 증감률 39.8%↑

국산 축산물 가격 상승 등으로 미국산 쇠고기, 돼지고기와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냉해 피해에 따른 생산량 감소와 수입단가 상승으로 미국산 오렌지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고, 체리는 작황 호조로 수입량 증가

기상여건 호조에 따른 생산량 증가로 미국산 옥수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

(4)

국산 축산물 가격 상승과 수요 증가로 축산물 수입량 전년 동기 대비 증가

미국 등 주요 수출국의 작황 호조로 옥수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반면, 밀·대두 수입량은 감소

인도산 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입선 다변화에 따른 중국·에티오피아산 수입 증가로 전체 참깨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미국산 냉해 피해로 오렌지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반면, 포도·키위·체리 수입량은 증가

국내 공급량 증가로 양파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반면, 당근·감자 수입량은 증가

호두(미국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반면, 밤(중국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

5만 8천 톤

곡 물

특 작

견 과 채 소

평년 2분기

평년 2분기

평년 2분기

평년 2분기

평년 2분기

전년 2분기

전년 2분기

전년 2분기

전년 2분기

전년 2분기

14년 2분기 수 입 량

14년 2분기 수 입 량

14년 2분기 수 입 량

14년 2분기 수 입 량

14년 2분기 수 입 량

26.6%

3,221 톤

22.6%

호두

20.1%

8,806 톤 2만 7천 톤

3만 5천 톤

77.3%

29.4% 2.3%

47.4% 6.7%

양파 당근

감자

8만 4천 톤

23.0%

70만 7천 톤

20.7%

25.8% 6.8%

옥수수

보리

9.6%

7만 6천 톤

9만 1천 톤

3만 2천 톤

12.6%

2.3% 13.1%

15.1% 19.8%

10.9% 10.0%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유제품

35.7% 30.5%

참깨

23.5%

3만 3천 톤

3만 6천 톤 9,697톤

4.9%

41.8%

46.2%

31.5% 0.7%

포도

오렌지 키위

6,825 톤

1.6배 11.4%

체리

57만 1천 톤

11만 4천 톤

4.6% 5.8%

1.0% 13.4%

대두

(5)

suppor t.k rei.r e.k r

월별 농식품 수입액 동향

FTA 농축산물 수입

01

#

suppor t.k rei.r e.k r

농축산물 수입 개황 1)

■ 2014년 2분기 농축산물 수입액은 평년 동기 대비 14.7%,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한 82억 달러

• 전체 농축산물 수입액: 79.9억 달러(ʼ13.4~6) → 82.5억 달러(ʼ14.4~6), 3.2%⇧

• 전체 농축산물 수출액: 15.3억 달러(ʼ13.4~6) → 16.7억 달러(ʼ14.4~6), 9.1%⇧

■ 2014년 2분기 FTA 체결국으로부터의 농축산물 수입액은 평년 동기 대비 24.2%, 전년 동기 대비 17.6% 확대된 47억 달러

• 2분기 對FTA 체결국 수출액과 수입액 모두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수입액 증가분이 수출액 증가분보다 더 커 무역수지 악화

- 對FTA 체결국 수입액: 40.1억 달러(ʼ13.4~6) → 47.2억 달러(ʼ14.4~6), 17.6%⇧

- 對FTA 체결국 수출액: 5.2억 달러(ʼ13.4~6) → 6.0억 달러(ʼ14.4~6), 14.8%⇧

- 對FTA 체결국 무역수지(적자): △34.9억 달러(ʼ13.4~6) → △41.2억 달러(ʼ14.4~6), 18.1%⇧

-41

-21 -30

-40 -37 -35

2010 2011 2012 2013 2014 2009

단위: 억 달러 단위: 억 달러

82

17

-41

-21 -30

-40 -37 -35

2010 2011 2012 2013 2014 2009

단위: 억 달러 단위: 억 달러

82

17

농축산물 전체 수출·입 동향 對FTA 체결국 수출·입 동향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2014년 2분기 부류별 농축산물 수입액의 규모는 가공식품, 곡물, 임산물, 축산물, 과일·채소 순

•곡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반면, 나머지 부류들의 수입액은 증가 - 곡물 수입액: 22.5억 달러(ʼ13.4~6) → 20.1억 달러(ʼ14.4~6), 10.4%⇩

- 과일·채소 수입액: 7.6억 달러(ʼ13.4~6) → 8.1억 달러(ʼ14.4~6), 6.3%⇧

- 축산물 수입액: 11.2억 달러(ʼ13.4~6) → 13.6억 달러(ʼ14.4~6), 20.8%⇧

- 가공식품 수입액: 21.5억 달러(ʼ13.4~6) → 22.0억 달러(ʼ14.4~6), 1.9%⇧

•가공식품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반면, 나머지 부류들의 수출액은 정체되거나 감소 - 가공식품 수출액: 10.4억 달러(ʼ13.4~6) → 12.0억 달러(ʼ14.4~6), 14.9%⇧

단위: 억 달러 단위: 억 달러

8 20

14

19

22

0.5 1.5 1.1 1.6

12.0

단위: 억 달러 단위: 억 달러

8 20

14

19

22

0.5 1.5 1.1 1.6

12.0

농축산물 부류별 수입 동향 농축산물 부류별 수출 동향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1) 농축산물 수입개황은 2014년 AG 코드에 따른 전체 농축산물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6)

01

suppor t.k rei.r e.k r

증가한 158억 달러

•전체 농축산물 누적 수입액: 155.2억 달러(ʼ13.1~6) → 157.7억 달러(ʼ14.1~6), 1.6%⇧

- 對FTA 체결국 누적 수입액: 79.9억 달러(ʼ13.1~6) → 88.9억 달러(ʼ14.1~6), 11.2%⇧

•전체 농축산물 누적 수출액: 28.9억 달러(ʼ13.1~6) → 31.5억 달러(ʼ14.1~6), 9.0%⇧

- 對FTA 체결국 누적 수출액: 9.6억 달러(ʼ13.1~6) → 10.9억 달러(ʼ14.1~6), 13.8%⇧

• 전체 농축산물 누적 무역수지(적자): △126.3억 달러(ʼ13.1~6) → △126.1억 달러 (ʼ14.1~6), 0.1%⇩

- 對FTA 체결국 누적 무역수지(적자): △70.3억 달러(ʼ13.1~6) → △78.0억 달러 (ʼ14.1~6), 10.9%⇧

■ 2014년 2분기 국가별 농축산물 누적 수입액의 규모는 미국, 중국, ASEAN, EU, 호주 등의 순

• 對미국(42.5%⇧), ASEAN(11.4%⇧), EU(8.2%⇧) 등의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對호주(3.6%⇩), 브라질(55.2%⇩), 캐나다(4.8%⇩) 등의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

억 달러억 달러 억 달러 억 달러

수입 상위 10개국 2분기 수입 동향 수출 상위 10개국 2분기 수출 동향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2014년 2분기 수입액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한 품목은 쇠고기, 돼지고기, 커피, 참깨, 바나나 등이며, 수입액이 감소한 품목은 밀, 사탕수수당, 대두유, 오렌지, 타피오카 등 - 쇠고기 수입액은 국내 도축두수 감소와 지속적인 할인 행사 등에 따른 수요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24.0% 증가(수입량은 12.6% 증가)

- 돼지고기 수입액은 국내 공급량 감소와 닭고기 대체 등으로 인한 수요 증가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7% 증가(수입량은 12.8% 증가)

- 커피 수입액은 국내 커피 수요 및 주요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점포수 증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34.3% 증가

- 바나나 수입액은 필리핀산의 작황 호조에 따른 생산량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28.6% 증가 - 밀 수입액은 국내 제분용 밀의 재고량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32.7% 감소했으며, 특히

인도산 밀의 수입액이 전년 동기 대비 79.8% 감소

- 오렌지 수입액은 냉해 피해에 따른 미국산 생산량 감소와 수입단가 상승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9% 감소

suppor t.k rei.r e.k r

(7)

농축산물 수입 개황

전년 2분기 대비 주요 수입 증감 품목

단위: 천 $, %

수입 증가 품목 수입 감소 품목

품목 2013년 4~6월

2014년

4~6월 증가액 증가율 품목 2013년

4~6월

2014년

4~6월 감소액 감소율

쇠고기 344,089 426,570 82,481 24.0 밀 456,956 307,325 -149,631 -32.7 돼지고기 235,516 284,318 48,802 20.7 사탕수수당 270,293 196,835 -73,458 -27.2 커피 100,038 134,302 34,264 34.3 대두유 103,685 61,786 -41,899 -40.4 참깨 41,514 64,525 23,011 55.4 오렌지 101,855 67,294 -34,561 -33.9 바나나 80,123 103,041 22,919 28.6 타피오카 56,214 28,591 -27,624 -49.1 치즈 99,284 121,386 22,102 22.3 전분박 72,423 47,306 -25,117 -34.7

대두 223,976 244,441 20,466 9.1 자당 40,666 16,104 -24,562 -60.4

잎담배 62,670 81,242 18,572 29.6 유채 23,444 2 -23,442 -100.0

아몬드 39,214 56,951 17,737 45.2 옥수수 682,796 665,092 -17,704 -2.6

기타 과실 76,466 92,731 16,265 21.3 양파 18,327 1,687 -16,640 -90.8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suppor t.k rei.r e.k r

(8)

02

suppor t.k rei.r e.k r suppor t.k rei.r e.k r

1. 미국

■ 2014년 2분기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

•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22.0% 증가한 2만 6천 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8.2%, 전년 동기 대비 14.3% 증가한 5만 6천 톤

- 냉동갈비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25.9% 증가한 1만 1천 톤, 냉동쇠고기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30.3% 증가한 1만 톤

•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한 3만 3천 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9% 증가,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한 6만 7천 톤

- 냉동돼지고기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한 2만 8천 톤

•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43.3% 증가한 1만 8천 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5.1%, 전년 동기 대비 33.0% 증가한 3만 1천 톤

- 냉동닭다리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43.4% 증가한 1만 8천 톤

■ 2014년 2분기 체리·포도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오렌지 수입량은 감소

• 체리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9.8% 증가한 6,679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6배, 전년 동기 대비 9.8% 증가한 6,679톤

- 생산량이 감소한(63.4%↓) 캘리포니아산 체리 수입량이 감소했지만, 워싱턴산 체리의 작황 호조로(18.3%↑) 수입량이 급증하여 전체 수입량 증가

• 포도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87.4% 증가한 1,714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64.5%, 전년 동기 대비 61.5% 증가한 3,042톤

• 오렌지 수입량은 캘리포니아산 냉해 피해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46.9%

감소한 3만 5천 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8.8%, 전년 동기 대비 37.5% 감소한 8만 8천 톤

■ 2014년 2분기 옥수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밀·대두 수입량은 감소

• 옥수수 수입량은 미국의 생산량 증가(29.6%↑)로 전년 동기 대비 65.1배 증가한 38만 2천 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35.1%, 전년 동기 대비 38.7배 증가한 49만 6천 톤

- 기타 옥수수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10.5배 증가한 38만 톤

• 밀 수입량은 국내 재고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14.3% 감소한 24만 2천 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5.5%, 전년 동기 대비 7.2% 감소한 54만 1천 톤

- 제분용 기타 밀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한 23만 6천 톤

• 대두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43.5% 감소한 5만 8천 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47.3%, 전년 동기 대비 57.7% 감소한 7만 8천 톤

- 기타 대두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44.2% 감소한 5만 6천 톤

2) FTA 체결 상대국 농식품 수입동향은 국내 FTA 피해보전제도 사업시행지침 모니터링 품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해당 품목에 해당하는 HS세번 중 사료용과 종자용 등을 제외한 자료임.

(9)

suppor t.k rei.r e.k r

FTA 체결국가별 수입 동향

2. EU

■ 2014년 2분기 돼지고기·닭고기·유제품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

• 돼지고기 수입량은 국내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0% 증가한 3만 9천 톤, 상반기 (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3.9%, 전년 동기 대비 34.5% 증가한 7만 9천 톤 - 냉동삼겹살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29.0% 증가한 2만 1천 톤, 냉동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68.5% 증가한 1만 1천 톤

• 닭고기 수입량은 닭고기 대체 수요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0% 증가한 1,872톤, 상반기 (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2배, 전년 동기 대비 71.7% 증가한 3,892톤 - 냉동 닭날개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58.9% 증가한 1,230톤

• 유제품

3)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54.3% 증가한 4,441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7.7%,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한 6,890톤

- 탈지분유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75.5% 증가한 2,522톤, 치즈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38.9% 증가한 1,724톤

■ 2014년 2분기 보리·옥수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 밀 수입량은 증가

• 보리 수입량은 수입 전환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4% 감소한 4,195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8배, 전년 동기 대비 68.8% 증가한 1만 2천 톤

- 보리는 볶지 않은 맥아 형태로 수입되며, 독일산(913톤)과 덴마크산(477톤) 보리 수입은 증가한 반면, 지난해에 수입비중이 컸던 스페인산 보리가 수입되지 않아 전체 수입량 감소

• 밀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65.3% 증가한 570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40.2% 감소, 전년 동기 대비 29.3% 증가한 954톤

- 밀은 밀가루 형태로 수입되고 있으며, 프랑스산 수입량(463톤)이 증가해 전체 수입량 증가

• 옥수수 수입량은 미국산 옥수수 수입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99.7% 감소한 507톤, 상반기 (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78.3%, 전년 동기 대비 87.3% 감소한 4만 4천 톤 - 지난해에 수입이 크게 증가했던 프랑스산 옥수수 수입량(391톤)이 전년 동기 대비

99.7% 감소

■ 2014년 2분기 감자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 감자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7.8% 증가한 1,694톤으로 네덜란드(876톤)와 벨기에(587톤)에서 주로 프렌치프라이용으로 수입

-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42.7% 증가, 전년 동기 대비 16.2% 감소한 2,386톤

3) ’13년 7월부터 ’14년 6월까지 EU산 탈지분유에 대해 1,030톤 이하의 물량은 무관세, 그 이상의 물량은 176%의 관세, 치즈류는 4,696톤 이하의 물량은 무관세, 그 이상의 물량은 29.2%의 관세 적용

(10)

02

suppor t.k rei.r e.k r suppor t.k rei.r e.k r

3. ASEAN

■ 2014년 2분기 밀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 녹두·당근·오이 수입량은 증가

• 밀(밀가루)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9.8% 감소한 2,723톤이며, 주로 인도네시아(1,421톤)와 싱가포르(987톤)에서 수입

-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5.9%, 전년 동기 대비 22.8% 감소한 5,660톤

• 전년도 2~3월에만 수입되었던 ASEAN(베트남)산 당근이 올해는 1월부터 꾸준히 수입되고 있으며, 2분기에는 2,478톤 수입

-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58.9배, 전년 동기 대비 86.3배 증가한 4,557톤

• 오이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배 증가한 1,274톤이며, 전량 베트남에서 수입

-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7.2배, 전년 동기 대비 1.5배 증가한 2,311톤

4. 칠레

■ 2014년 2분기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 쇠고기 수입량은 증가

• 돼지고기 수입량은 미국산과 EU산 수입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21.5% 감소한 6,610톤 - 냉동삼겹살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36.1% 감소한 2,315톤, 냉동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1.0% 감소한 3,698톤

- 2014년 1월 1일부터 칠레산 돼지고기에 대해 무관세가 적용되었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수입가격으로 인해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35.5%, 전년 동기 대비 24.7% 감소한 1만 3천 톤

•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1배 증가한 159톤,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배 증가한 284톤

- 냉동갈비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배 증가한 45톤, 기타 냉동쇠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92.4% 증가한 30톤, 냉동쇠고기(정육)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41.3%

증가한 51톤

- 칠레산 쇠고기는 TRQ로 수입되고 있으며, 연간 200톤 이하의 물량에 대해 무관세가 적용

■ 2014년 2분기 포도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키위 수입량은 감소

• 포도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3만 1천 톤이며, 2월부터 본격 수입

-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0.7% 증가, 전년 동기 대비 0.8%

감소한 4만 7천 톤

• 키위 수입량은 칠레의 냉해와 병해(Psa) 피해로 인한 생산량 감소 및 국산 참다래 출하로 전년 동기 대비 46.3% 감소한 2,062톤이며, 4월부터 본격 수입

-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39.5%, 전년 동기 대비 46.3% 감소한

2,062톤

(11)

suppor t.k rei.r e.k r

FTA 체결국가별 수입 동향

5. 싱가포르

■ 2014년 2분기 밀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한 987톤

•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5.7%, 전년 동기 대비 17.5% 감소한 1,764톤

6. EFTA

■ 2014년 2분기 유제품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배 증가한 75톤

• EFTA(스위스)로부터 수입된 유제품은 대부분 모차렐라 치즈이며, 이는 미양허 품목으로 우리나라 기본관세인 36%가 적용

-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74.6% 감소, 전년 동기 대비 90.7%

증가한 119톤

7. 인도

■ 2014년 2분기 참깨·대두·보리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감소

• 참깨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7.4% 감소한 6,793톤이며,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5.9%, 전년 동기 대비 19.7% 감소한 1만 2천 톤

• 대두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34.0% 감소한 2,985톤이며,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75.2% 증가, 전년 동기 대비 34.6% 감소한 5,481톤

• 보리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54.3% 감소한 1,511톤이며,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3.9배, 전년 동기 대비 1.5배 증가한 1만 1천 톤

8. 터키

■ 2014년 2분기 밀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89.5% 감소한 84톤

• 터키산 밀은 전량 밀가루 형태로 수입되고 있으며,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95.0%, 전년 동기 대비 85.8% 감소한 190톤

9. 페루

■ 2014년 2분기 옥수수·조 수입량 전년 동기 대비 증가

• 전년도 2분기에 수입되지 않은 옥수수 수입량은 2톤이며, 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3톤

• 포도는 2014년 2분기 수입실적은 없지만,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1배, 전년 동기 대비 29.0% 증가한 3,120톤

FTA 체결국가별 수입 동향

(12)

03

suppor t.k rei.r e.k r suppor t.k rei.r e.k r

1. 축산

가. 쇠고기

■ 2014년 2분기 쇠고기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9.6%,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한 7만 6천 톤

• 송아지 가격 상승과 번식의향 증가로 암소 도축두수가 감소하였고, 이는 전체 한우 도축두수 감소로 이어졌으며, 지속적인 할인행사에 등에 따른 수요 증가로 한우 가격 상승 - 암소 도축 감소에 따른 한우 1등급 이상 출현율 상승으로 2분기 평균 한우가격 추가 상승 - 한우 1등급 이상 출현율: 60.7%(’13.4~6) → 62.2%(’14.4~6), 1.5%p⇧

- 등급판정두수: 21만 1천 두(’13.4~6) → 20만 8천 두(’14.4~6), 1.5%⇩

- 평균 한우가격: 418만 원/600㎏(’13.4~6) → 497만 원/600kg(’14.4~6), 18.9%⇧

• 국내 쇠고기 공급량 감소와 수요 증가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

- 미국산과 호주산 쇠고기 수입량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

- 미국산 수입량: 2만 1천 톤(’13.4~6) → 2만 6천 톤(’14.4~6), 22.0%⇧

- 호주산 수입량: 3만 8천 톤(’13.4~6) → 4만 2천 톤(’14.4~6), 11.8%⇧

• 2014년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0.3%,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한 15만 6천 톤

주: 평년은 2009년~2013년 각 분기별 수입량 중 최대·최소값을 제외한 평균 수입량임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2분기 미국산 쇠고기 수입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2.7%p 상승한 반면, 호주산과 뉴질랜드산 수입 비중은 하락

- 호주산 쇠고기의 수입 비중이 55.3%로 가장 높았으며, 미국산과 뉴질랜드산 수입 비중은 각각 34.5%와 9.3%임

- 주요 세번별로 살펴보면, 냉동쇠고기의 수입 비중이 46.6%로 가장 높았으며, 냉동갈비와 냉장쇠고기의 수입 비중은 각각 24.5%와 11.6%임

평년 2013년 2014년

천 톤 천 톤

90 80 70 60 50 40 30 20

35 30 25 20 15 10 5 10 0

0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호주 55.3%

미국 34.5%

뉴질랜드 기타 9.3%

1.0%

냉동쇠고기 46.6%

냉동갈비 24.5%

냉장쇠고기 11.6%

기타 17.2%

분기별 쇠고기 수입 동향 월별 쇠고기 수입 동향

(13)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suppor t.k rei.r e.k r

평년 2013년 2014년

천 톤 천 톤

90 80 70 60 50 40 30 20

35 30 25 20 15 10 5 10 0

0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호주 55.3%

미국 34.5%

뉴질랜드 기타 9.3%

1.0%

냉동쇠고기 46.6%

냉동갈비 24.5%

냉장쇠고기 11.6%

기타 17.2%

평년 2013년 2014년

천 톤 천 톤

90 80 70 60 50 40 30 20

35 30 25 20 15 10 5 10 0

0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호주 55.3%

미국 34.5%

뉴질랜드 기타 9.3%

1.0%

냉동쇠고기 46.6%

냉동갈비 24.5%

냉장쇠고기 11.6%

기타 17.2%

2014년 2분기 국가별 쇠고기 수입 비중 2014년 2분기 주요 세번별 쇠고기 수입 비중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 2014년 2분기 냉장·냉동쇠고기, 냉동갈비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

• 2분기 냉동쇠고기, 냉동갈비, 냉장쇠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9%, 9.8%, 15.5% 증가 - 미국산의 주요 세번별 쇠고기 수입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상승한 반면, 호주산 수입

비중은 하락

- 호주산 냉동쇠고기 수입 비중: 65.7%(’13.4~6) → 63.0%(’14.4~6), 2.7%p⇩

- 미국산 냉동쇠고기 수입 비중: 26.1%(’13.4~6) → 29.6%(’14.4~6), 3.5%p⇧

- 호주산 냉동갈비 수입 비중: 26.2%(’13.4~6) → 24.7%(’14.4~6), 1.5%p⇩

- 미국산 냉동갈비 수입 비중: 49.5%(’13.4~6) → 56.8%(’14.4~6), 7.3%p⇧

국가의 주요 세번별 쇠고기 수입 동향

단위: 톤

구분 전년 2분기

(’13.4~6)

전기 (’14.1~3)

금년 2분기 (’14.4~6)

증감률(%)

전년 대비 전기 대비

전체 67,391 80,195 75,896 12.6 -5.4

전체

냉동쇠고기 30,773 37,726 35,366 14.9 -6.3

냉동갈비 16,968 20,485 18,632 9.8 -9.0

냉장쇠고기 7,623 8,207 8,807 15.5 7.3

미국

냉동쇠고기 8,027 11,228 10,462 30.3 -6.8

냉동갈비 8,406 12,873 10,586 25.9 -17.8

냉장쇠고기 1,565 1,998 2,250 43.8 12.6

호주

냉동쇠고기 20,204 23,818 22,280 10.3 -6.5

냉동갈비 4,440 4,303 4,600 3.6 6.9

냉장쇠고기 6,038 6,186 6,526 8.1 5.5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나. 돼지고기

■ 2014년 2분기 돼지고기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3%, 전년 동기 대비 13.1% 증가한 9만 1천 톤

• 도축두수 감소와 돼지고기 수요 증가(닭고기 대체 수요, 캠핑 수요)로 평균 돼지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34.1% 상승

- 도매시장 출하비중: 11.1%(’13.4~6) → 10.2%(’14.4~6), 0.9%p⇩

- 등급판정두수: 371만 6천 두(’13.4~6) → 365만 6천 두(’14.4~6), 1.6%⇩

- 평균 돼지가격: 31만 9천 원/110㎏(’13.4~6) → 42만 8천 원/110㎏(’14.4~6), 34.1%⇧

(14)

13.1% 증가

- EU산과 미국산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반면, 캐나다산과 칠레산 수입량은 감소

- EU산 수입량: 2만 8천 톤(’13.4~6) → 3만 9천 톤(’14.4~6), 40.0%⇧

- 미국산 수입량: 3만 1천 톤(’13.4~6) → 3만 3천 톤(’14.4~6), 7.5%⇧

- 캐나다산 수입량: 1만 1천 톤(’13.4~6) → 9천 톤(’14.4~6), 16.0%⇩

- 칠레산 수입량: 8천 톤(’13.4~6) → 7천 톤(’14.4~6), 21.5%⇩

• 2014년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4% 감소,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한 18만 3천 톤

주: 평년은 2009년~2013년 각 분기별 수입량 중 최대·최소값을 제외한 평균 수입량임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2분기 EU산 돼지고기 수입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8.3%p 상승한 반면, 미국산, 캐나다산, 칠레산 비중은 하락

- EU산 돼지고기 수입 비중이 43.1%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미국산(36.4%), 캐나다산 (10.4%), 칠레산(7.3%) 순임

- 주요 세번별로 살펴보면, 냉동돼지고기 수입 비중이 62.3%로 가장 높았으며, 냉동삼겹살과 냉장삼겹살의 수입 비중은 각각 26.6%와 2.7%임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 2014년 2분기 냉장·냉동삼겹살, 냉동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

• 2분기 냉동돼지고기, 냉동삼겹살, 냉장삼겹살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2%, 16.3%, 14.3% 증가

- EU산의 주요 세번별 돼지고기 수입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상승한 반면, 미국산 수입비중은 하락

평년 2013년 2014년

천 톤

90 100

80 70 60 50 40 30 20 10 0

천 톤

35 40

30 25 20 15 10 5 0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EU 43.1%

미국 36.4%

캐나다 10.4%

기타 2.8%

칠레 7.3%

냉동 돼지고기

62.3%

냉동삼겹살 26.6%

냉장삼겹살 기타 2.7%

8.4%

평년 2013년 2014년

천 톤

90 100

80 70 60 50 40 30 20 10 0

천 톤

35 40

30 25 20 15 10 5 0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EU 43.1%

미국 36.4%

캐나다 10.4%

기타 2.8%

칠레 7.3%

돼지고기냉동

62.3% 냉동삼겹살 26.6%

냉장삼겹살 기타 2.7%

8.4%

2014년 2분기 국가별 돼지고기 수입 비중 2014년 2분기 주요 세번별 돼지고기 수입 비중

03

suppor t.k rei.r e.k r suppor t.k rei.r e.k r

평년 2013년 2014년천 톤

90 100

80 70 60 50 40 30 20 10 0

천 톤

35 40

30 25 20 15 10 5 0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EU 43.1%

미국 36.4%

캐나다 10.4%

기타 2.8%

칠레 7.3%

돼지고기냉동

62.3% 냉동삼겹살

26.6%

냉장삼겹살 기타 2.7%

8.4%

분기별 돼지고기 수입 동향 월별 돼지고기 수입 동향

(15)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suppor t.k rei.r e.k r

- 미국산 냉동돼지고기 수입 비중: 51.9%(’13.4~6) → 50.4%(’14.4~6), 1.5%p⇩

- EU산 냉동돼지고기 수입 비중: 18.0%(’13.4~6) → 27.3%(’14.4~6), 9.3%p⇧

- EU산 냉동삼겹살 수입 비중: 78.4%(’13.4~6) → 86.9%(’14.4~6), 8.5%p⇧

국가의 주요 세번별 돼지고기 수입 동향

단위: 톤

구분 전년 2분기

(’13.4~6)

전기 (’14.1~3)

금년 2분기 (14.4~6)

증감률(%) 전년 대비 전기 대비

전체 80,157 92,096 90,650 13.1 -1.6

전체

냉동돼지고기 50,837 56,625 56,512 11.2 -0.2

냉동삼겹살 20,695 26,201 24,077 16.3 -8.1

냉장삼겹살 2,143 1,808 2,451 14.3 35.6

미국

냉동돼지고기 26,403 29,189 28,465 7.8 -2.5

냉동삼겹살 488 556 401 -17.9 -28.0

냉장삼겹살 948 982 974 2.7 -0.8

EU

냉동돼지고기 9,163 14,242 15,436 68.5 8.4

냉동삼겹살 16,226 22,691 20,933 29.0 -7.7

냉장삼겹살 39 5 94 139.7 1,721.0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다. 닭고기

■ 2014년 2분기 닭고기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5.1%, 전년 동기 대비 19.8% 증가한 3만 2천 톤

• 닭고기 수요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농업관측센터)이지만, 도계 마릿수와 재고량 증가에 따른 공급량 증가로 평균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9.9% 하락

- 도계 마릿수: 2억 336만 마리(’13.4~6) → 2억 2,608만 마리(’14.4~6), 11.2%⇧

- 평균 육계 산지가격: 1,746원/kg(’13.4~6) → 1,574원/kg(’14.4~6), 9.9%⇩

- 닭고기 재고량(한국계육협회): 718만 마리(’13.6) → 1,099만 마리(’14.6), 53.2%⇧

• 국내 수급여건 악화에도 불구하고 한·미 FTA 3년차 추가 관세인하와 수입단가 하락으로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8% 증가

- 미국산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반면 브라질산 수입량은 감소 - 미국산 냉동닭다리 수입 단가: 1.54$/kg(’13.4~6) → 1.47$/kg(’14.4~6), 4.6%⇩

- 브라질산 냉동닭다리 수입 단가: 2.55$/kg(’13.4~6) → 2.56$/kg(’14.4~6), 0.4%⇧

- 미국산 수입량: 1만 3천 톤(’13.4~6) → 1만 8천 톤(’14.4~6), 43.3%⇧

- 브라질산 수입량: 1만 3천 톤(’13.4~6) → 1만 2천 톤(’14.4~6), 7.1%⇩

• 2014년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5.4%,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한 6만 톤

(16)

03

suppor t.k rei.r e.k r suppor t.k rei.r e.k r

주: 평년은 2009년~2013년 각 분기별 수입량 중 최대·최소값을 제외한 평균 수입량임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2분기 미국산 닭고기 수입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9.3%p 상승한 반면, 브라질산 수입 비중은 10.8%p 하락

- 미국산 닭고기 수입 비중은 56.9%로 가장 높았으며, 브라질산과 EU산 수입 비중은 각각 37.2%와 5.9%임

- 주요 세번별로 살펴보면, 냉동닭다리의 수입 비중이 91.3%로 가장 높았으며, 냉동닭날개와 냉동닭가슴의 수입 비중은 각각 4.8%와 2.1%임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 2014년 2분기 냉동닭다리, 냉동닭가슴, 냉동닭날개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크게 증가

• 2분기 냉동닭다리, 냉동닭가슴, 냉동닭날개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7%, 34.9%, 72.9% 증가

- 미국산 냉동닭다리 수입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상승한 반면, 브라질산 수입 비중은 하락

- 미국산 냉동닭다리 수입 비중: 50.6%(’13.4~6) → 62.1%(’14.4~6), 11.5%p⇧

- 브라질산 냉동닭다리 수입 비중: 48.9%(’13.4~6) → 37.6%(’14.4~6), 11.3%p⇩

- 브라질산 냉동닭가슴 수입 비중: 91.3%(’13.4~6) → 92.2%(’14.4~6), 0.9%p⇧

- EU산 냉동닭날개 수입 비중: 88.7%(’13.4~6) → 81.5%(’14.4~6), 7.2%p⇩

평년 2013년 2014년

천 톤

30 35

25 20 15 10 5 0

천 톤

12 14

10 8 6 4 2 0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EU 5.9%

브라질 37.2%

미국 56.9%

냉동닭날개 4.8%

냉동닭가슴 2.1%

닭다리냉동 91.3%

기타 1.8%

평년 2013년 2014년

천 톤

30 35

25 20 15 10 5 0

천 톤

12 14

10 8 6 4 2 0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EU 5.9%

브라질 37.2%

미국 56.9%

냉동닭날개 4.8%

냉동닭가슴 2.1%

닭다리냉동 91.3%

기타 1.8%

2014년 2분기 국가별 닭고기 수입 비중 2014년 2분기 주요 세번별 닭고기 수입 비중

평년 2013년 2014년

천 톤

30 35

25 20 15 10 5 0

천 톤

12 14

10 8 6 4 2 0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EU 5.9%

브라질 37.2%

미국 56.9%

냉동닭날개 4.8%

냉동닭가슴 2.1%

냉동 닭다리 91.3%

기타 1.8%

분기별 닭고기 수입 동향 월별 닭고기 수입 동향

(17)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suppor t.k rei.r e.k r

국가의 주요 세번별 닭고기 수입 동향

단위: 톤

구분 전년 2분기

(’13.4~6)

전기 (’14.1~3)

금년 2분기 (’14.4~6)

증감률(%) 전년 대비 전기 대비

전체 26,385 28,862 31,616 19.8 9.5

전체

냉동닭다리 24,741 26,138 28,879 16.7 10.5

냉동닭가슴 491 607 663 34.9 9.1

냉동닭날개 873 1,580 1,510 72.9 -4.4

미국

냉동닭다리 12,508 12,996 17,935 43.4 38.0

냉동닭가슴 43 68 51 20.3 -24.8

냉동닭날개 - - - - -

브라질

냉동닭다리 12,097 13,098 10,866 -10.2 -17.0

냉동닭가슴 449 539 611 36.3 13.4

냉동닭날개 99 140 280 182.8 99.3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라. 유제품

5)

■ 2014년 2분기 유제품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4.5%, 전년 동기 대비 10.0% 증가한 5만 8천 톤

• FTA 기체결국인 미국산과 EU산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유제품 전체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 미국산 수입량: 1만 8천 톤(’13.4~6) → 2만 5천 톤(’14.4~6), 43.0%⇧

- EU산 수입량: 1만 4천 톤(’13.4~6) → 1만 9천 톤(’14.4~6), 34.8%⇧

- 호주산 수입량: 6천 톤(’13.4~6) → 4천 톤(’14.4~6), 31.1%⇩

- 뉴질랜드산 수입량: 1만 1천 톤(’13.4~6) → 5천 톤(’14.4~6), 51.1%⇩

• 2014년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1.4%,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10만 5천 톤

국가별 유제품 수입 동황

단위: 톤

구분 전년 2분기

(’13.4~6)

전기 (’14.1~3)

금년 2분기 (’14.4~6)

증감률(%)

전년 대비 전기 대비

유제품 전체 52,693 46,968 57,945 10.0 23.4

미국 17,701 22,017 25,318 43.0 15.0

EU 14,034 13,166 18,911 34.8 43.6

뉴질랜드 10,553 4,450 5,158 -51.1 15.9

호주 5,669 4,169 3,904 -31.1 -6.3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 2014년 2분기 치즈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7.9%,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한 2만 3천 톤

• 미국산과 EU산 치즈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한 반면, 뉴질랜드산과 호주산 수입량은 감소

- 미국산 수입량: 1만 톤(’13.4~6) → 1만 6천 톤(’14.4~6), 59.4%⇧

- EU산 수입량: 2천 톤(’13.4~6) → 3천 톤(’14.4~6), 37.9%⇧

- 뉴질랜드산 수입량: 7천 톤(’13.4~6) → 2천 톤(’14.4~6), 65.0%⇩

- 호주산 수입량: 2천 톤(’13.4~6) → 1천 톤(’14.4~6), 35.2%⇩

5) 유제품 수입 개황은 AG코드에 따른 전체 낙농품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18)

03

suppor t.k rei.r e.k r suppor t.k rei.r e.k r

비중은 21.1%p 하락

- 미국산 치즈의 수입 비중은 67.6%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EU산(14.3%), 뉴질랜드산(9.9%), 호주산(5.1%) 순임

• 2014년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34.3%,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한 4만 6천 톤

분기별 치즈 수입 동향

2014년 2분기 국가별 치즈 수입 비중

주: 평년은 2009년~2013년 각 분기별 수입량 중 최대·최소값을 제외한 평균 수입량임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2014년 2분기 유장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6.5%, 전년 동기 대비 14.1% 증가한 1만 7천 톤

•EU산 유장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한 반면, 미국산 수입량은 감소 - EU산 수입량: 7천 톤(ʼ13.4~6) → 1만 톤(ʼ14.4~6), 31.5%⇧

- 미국산 수입량: 3,800톤(ʼ13.4~6) → 3,536톤(ʼ14.4~6), 6.9%⇩

• 2분기 EU산 유장 수입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7.6%p 상승한 반면, 미국산 수입 비중은 4.7%p 하락 - EU산 유장의 수입 비중은 57.6%이고, 미국산 수입 비중은 21.0%임

• 2014년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4.9%,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한 2만 9천 톤

분기별 유장 수입 동향

2014년 2분기 국가별 유장 수입 비중

주: 평년은 2009년~2013년 각 분기별 수입량 중 최대·최소값을 제외한 평균 수입량임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2014년 2분기 탈지분유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2.0%, 전년 동기 대비 15.1% 증가한 6천 톤

• EU산과 미국산 탈지분유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한 반면, 호주산 수입량은 감소

평년 2013년 2014년

천 톤 20 18 16 14 12 10 8 6 4 2 0

EU 57.6%

기타 21.3%

미국 21.0%

평년 2013년 2014년

톤 20,000 18,000 16,000 14,000 12,000 10,000 8,000 6,000 4,000 2,000 0

EU 57.6%

기타 21.3%

미국 21.0%

평년 2013년 2014년

천 톤 25 20 15 10 5 0

EU 14.3%

기타 3.1%

호주 뉴질랜드5.1%

9.9%

미국 67.6%

평년 2013년 2014년

톤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0

EU 14.3%

기타 3.1%

호주 뉴질랜드 5.1%

9.9%

미국 67.6%

(19)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suppor t.k rei.r e.k r

- EU산 수입량: 1,437톤(ʼ13.4~6) → 2,522톤(ʼ14.4~6), 75.5%⇧

- 미국산 수입량: 1,792톤(ʼ13.4~6) → 2,389톤(ʼ14.4~6), 33.3%⇧

- 호주산 수입량: 1,683톤(ʼ13.4~6) → 1,136톤(ʼ14.4~6), 32.5%⇩

• 2분기 EU산 탈지분유 수입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14.0%p 상승한 반면, 호주산 수입 비중은 13.0%p 하락

- EU산 탈지분유 수입 비중은 40.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미국산(38.7%), 호주 산(18.4%), 뉴질랜드산(1.8%) 순임

• 2014년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32.9%, 전년 동기 대비 18.6% 증가한 1만 톤

분기별 탈지분유 수입 동향

2014년 2분기 국가별 탈지분유 수입 비중

주: 평년은 2009년~2013년 각 분기별 수입량 중 최대·최소값을 제외한 평균 수입량임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2014년 2분기 유당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9.6%, 전년 동기 대비 31.3% 증가한 4천 톤

• 미국산과 EU산 유당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크게 증가 - 미국산 수입량: 1,874톤(ʼ13.4~6) → 2,910톤(ʼ14.4~6), 55.3%⇧

- EU산 수입량: 670톤(ʼ13.4~6) → 943톤(ʼ14.4~6), 40.7%⇧

• 2분기 미국산(11.1%p), EU산(1.4%p), 뉴질랜드산(0.5%p) 유당 수입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상승한 반면, 호주산(1.5%p)과 기타국산(10.5%p) 수입 비중은 하락

- 미국산 유당 수입 비중은 65.1%로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EU산(21.1%), 뉴질랜드산 (3.9%), 호주산(3.0%) 순임

• 2014년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4.0%, 전년 동기 대비 17.7%

증가한 9천 톤

분기별 유당 수입 동향

2014년 2분기 국가별 유당 수입 비중

주: 평년은 2009년~2013년 각 분기별 수입량 중 최대·최소값을 제외한 평균 수입량임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평년 2013년 2014년

톤 5,000 4,500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

EU 21.1%

뉴질랜드 3.9% 기타

6.9%

호주 3.0%

미국 65.1%

평년 2013년 2014년

톤 7,000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0

EU 40.8%

뉴질랜드 1.8%

기타 0.3%

호주 18.4%

미국 38.7%

평년 2013년 2014년

톤 5,000 4,500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

EU 21.1%

뉴질랜드 3.9% 기타

6.9%

호주 3.0%

미국 65.1%

평년 2013년 2014년

톤 7,000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0

EU 40.8%

뉴질랜드 1.8%

기타 0.3%

호주 18.4%

미국 38.7%

(20)

03

suppor t.k rei.r e.k r suppor t.k rei.r e.k r

2. 과일

가. 오렌지

■ 2014년 2분기 오렌지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41.8%, 전년 동기 대비 46.2% 감소한 3만 6천 톤

• 오렌지는 대부분 미국(98.3%)에서 수입되었으며, 올해 초 플로리다 지역의 HLB(황룡병 또는 감귤녹화병)와 캘리포니아 지역 냉해 피해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미국산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31.7% 상승

- 미국산 수입단가: 1.29$/㎏(ʼ13.4~6) → 1.70$/㎏(ʼ14.4~6), 31.7%⇧

- 스페인산 수입단가: 1.12$/㎏(ʼ13.4~6) → 1.06$/㎏(ʼ14.4~6), 5.2%⇩

• 미국산 오렌지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46.9% 감소한 반면, 스페인산 수입은 대체효과 등으로 크게 증가

- 미국산 수입량: 6만 6천 톤(ʼ13.4~6) → 3만 5천 톤(ʼ14.4~6), 46.9%⇩

- 스페인산 수입량: 198톤(ʼ13.4~6) → 608톤(ʼ14.4~6), 2.1배⇧

■ 2014년 상반기(1~6월) 오렌지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8.1%, 전년 동기 대비 36.8%

감소한 8만 9천 톤

• 미국산 오렌지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9.3% 감소한 반면, 스페인산 오렌지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3.5배 증가

- 미국산 수입량: 14만 톤(ʼ13.1~6) → 8만 8천 톤(ʼ14.1~6), 37.5%⇩

- 스페인산 수입량: 217톤(ʼ13.1~6) → 1,141톤(ʼ14.1~6), 4.3배⇧

주: 평년은 2009년~2013년 각 분기별 수입량 중 최대·최소값을 제외한 평균 수입량임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나. 포도

■ 2014년 2분기 포도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3.5%,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한 3만 3천 톤

• 신선포도는 대부분 칠레(99.6%)에서 수입되었으며, 냉해 피해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수입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10.3% 상승

- 칠레산 수입단가: 2.81$/㎏(ʼ13.4~6) → 3.10$/㎏(ʼ14.4~6), 10.3%⇧

- 미국산 수입단가: 3.20$/㎏(ʼ13.4~6) → 3.42$/㎏(ʼ14.4~6), 6.9%⇧

평년 2013년 미국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11월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미국산 단가

2014년 $/kg

천 톤 천 톤

60 2.5

2 1.5 1 0.5 0 50

40 30 20 10 0

평년 2013년 미국 스페인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11월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미국산 단가

2014년 $/kg

천 톤 천 톤

60 2.5

2 1.5 1 0.5 0 50

40 30 20 10 0

스페인

분기별 오렌지 수입 동향 국가별 오렌지 수입량과 수입단가 동향

(21)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suppor t.k rei.r e.k r

• 칠레산 신선포도 수입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무관세 적용(2014년 1월 1일부터) 및 미국산 오렌지 수입 대체효과 등으로 칠레산 수입량 2.6% 증가

- 칠레산 수입량: 3만 1천 톤(ʼ13.4~6) → 3만 1천 톤(ʼ14.4~6), 2.6%⇧

- 미국산 수입량: 46톤(ʼ13.4~6) → 115톤(ʼ14.4~6), 1.5배⇧

- 최근(5월) 호주산 포도의 시범수입(6톤)이 이루어졌으나, 검역 절차 등의 문제로 6월에는 수입되지 않음.

• 건포도는 대부분 미국(97.1%)에서 수입되었으며, 호주(28톤), 터키(10톤), 중국(7톤), 태국(2톤)과 이란(1톤)에서도 소량 수입

- 미국산 수입량: 868톤(ʼ13.4~6) → 1,599톤(ʼ14.4~6), 84.2%⇧

- 터키산 수입량: 99톤(ʼ13.4~6) → 10톤(ʼ14.4~6), 90.0%⇩

■ 2014년 상반기(1~6월) 포도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9.9%,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5만 3천 톤

• 칠레산 신선포도는 평년 동기 대비 46.7% 증가했고, 미국산 신선포도는 평년 동기 대비 1.1배 증가

- 칠레산 수입량: 4만 7천 톤(ʼ13.1~6) → 4만 7천 톤(ʼ14.1~6), 0.7%⇩

- 페루산 수입량: 2,418톤(ʼ13.1~6) → 3,120톤(ʼ14.1~6), 29.0%⇧

- 미국산 수입량: 102톤(ʼ13.1~6) → 171톤(ʼ14.1~6), 68.6%⇧

•신선포도 수입량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했으나, 건포도는 32.6% 증가 - 신선포도 수입량: 6,409톤(ʼ13.1~3) → 6,262톤(ʼ14.1~3), 2.3%⇩

- 건포도 수입량: 330톤(ʼ13.1~3) → 437톤(ʼ14년.1~3), 32.6%⇧

분기별 포도 수입 동향

국가별 신선포도 수입량과 수입단가 동향

평년 2013년 2014년

천 톤 천 톤 칠레 미국 페루 미국산 단가 칠레산 단가 페루산 단가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11월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kg

30 7

6 5 4 3 2 1 0 25

15 20

10 5 0

주: 평년은 2009년~2013년 각 분기별 수입량 중 최대·최소값을 제외한 평균 수입량 자료: 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다. 키위

■ 2014년 2분기 키위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31.5% 감소,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한 9,697톤

• 키위는 대부분 뉴질랜드(78.5%)와 칠레(21.3%)에서 수입되었으며, 냉해와 병해 피해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한 칠레산 키위의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36.6% 상승

- 뉴질랜드산 수입단가: 2.38$/㎏(ʼ13.4~6) → 2.91$/㎏(ʼ14.4~6), 22.3%⇧

- 칠레산 수입단가: 1.72$/㎏(ʼ13.4~6) → 2.35$/㎏(ʼ14.4~6), 36.6%⇧

(22)

03

suppor t.k rei.r e.k r suppor t.k rei.r e.k r

강한 신품종(Gold3) 수확이 시작된 뉴질랜드산 수입량이 증가하여 키위 전체 수입량 증가 - 뉴질랜드산 수입량: 5,719톤(ʼ13.4~6) → 7,612톤(ʼ14.5), 33.1%⇧

- 칠레산 수입량: 3,838톤(ʼ13.4~6) → 2,062톤(ʼ14.4~6), 46.3%⇩

- 이탈리아산 수입량: 69톤(ʼ13.4~6) → 23톤(ʼ14.4~6), 66.7%⇩

■ 2014년 상반기(1~6월) 키위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26.9% 감소,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1만톤

• 뉴질랜드산 키위는 평년 동기 대비 43.4% 감소하였고, 칠레산 키위는 평년 동기 대비 39.5% 감소

- 뉴질랜드산 수입량: 5,719톤(ʼ13.1~6) → 7,612톤(ʼ14.1~6), 33.1%⇧

- 칠레산 수입량: 3,838톤(ʼ13.1~6) → 2,062톤(ʼ14.1~6), 46.3⇩

- 이탈리아산 수입량: 436톤(ʼ13.1~6) → 662톤(ʼ14.1~6), 51.8%⇧

분기별 키위 수입 동향

국가별 키위 수입량과 수입단가 동향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평년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013년 2014년

2월 3월 4월 5월 6월

천 톤

5 6

1 0 3 4

2

천 톤

16

0 6 8

2 4 10 12 14

칠레

뉴질랜드 뉴질랜드산 단가 칠레산 단가

0 0.5 1.0 1.5 2.0 3.5

2.5 3.0

$/kg

주: 평년은 2009년~2013년 각 분기별 수입량 중 최대·최소값을 제외한 평균 수입량임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라. 체리

■ 2014년 2분기 체리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6배,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한 6,825톤

• 4~5월에 출하되는 캘리포니아산 체리의 작황 부진에 따른 가격상승으로 미국산 체리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8.0% 상승

- 미국산 수입단가: 10.34$/㎏(ʼ13.4~6) → 11.17$/㎏(ʼ14.4~6), 8.0%⇧

• 6월부터 본격적으로 수입되는 워싱턴산 체리의 작황 호조에 따른 생산량 증가와 무관세 적용으로 미국산 전체 수입량이 작년 동기 대비 9.8% 증가

- 미국산 수입량: 6,081톤(ʼ13.4~6) → 6,679톤(ʼ14.4~6), 9.8%⇧

※ 워싱턴주 생산량: 16만 9천 톤(ʼ13) → 20만 톤(ʼ14), 18.3%⇧

※ 우리나라에서 수입하는 Sweet Cherry의 주산지는 워싱턴, 오레곤, 캘리포니아, 미시건주 순임

- 우즈베키스탄산 수입량: 46톤(ʼ13.4~6) → 146톤(ʼ14.4~6), 2.2배⇧

(23)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suppor t.k rei.r e.k r

■ 2014년 상반기(1~6월) 체리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6배 증가,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한 6,900톤

• 뉴질랜드산(10톤)과 호주산(5톤) 체리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모두 감소한 반면, 미국산(6,679톤)과 우즈베키스탄산(146톤) 수입 증가로 전체 수입량 증가

- 미국·우즈베키스탄산 수입 시기: 4~6월 - 뉴질랜드·호주산 수입시기: 1~3월

분기별 체리 수입 동향

국가별 체리 수입량과 수입단가 동향

평년 2013년 2014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013년 2014년

2월 3월 4월 5월 6월

천 톤

5 6

1 0 3 4

2

천 톤

8 7

0 3 1 2 5 6

4

미국 우즈베키스탄 뉴질랜드 호주 미국산 단가 $/kg

0 5 10 15 25

20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주: 평년은 2009년~2013년 각 분기별 수입량 중 최대·최소값을 제외한 평균 수입량임 자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마. 기타 과일

■ 2014년 2분기 바나나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4.9%, 전년 동기 대비 26.4% 증가한 10만 8천 톤

• 바나나는 대부분 필리핀(95.6%)과 과테말라(3.3%)에서 수입되었으며, 필리핀산 바나나의 작황호조에 따른 생산량 증가로 수입이 증가했고, 그 외에 페루(813톤), 모잠비크(247톤), 베트남(27톤)과 태국(3톤)에서도 소량 수입

- 필리핀산 수입량: 8만 3천 톤(ʼ13.4~6) → 10만 4천 톤(ʼ14.4~6), 24.3%⇧

- 과테말라산 수입량: 1,060톤(ʼ13.4~6) → 3,519톤(ʼ14.4~6), 2.3배⇧

• 2014년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15.2%, 전년 동기 대비 27.3%

증가한 19만 5천 톤

■ 2014년 2분기 망고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4.6배, 전년 동기 대비 80.3% 증가한 4,910톤

• 망고는 주로 태국(49.1%)과 필리핀(43.5%)에서 수입되었으며, 국내 소비자들의 수요 증가로 수입량 급증

- 태국산 수입량: 1,421톤(ʼ13.4~6) → 2,411톤(ʼ14.4~6), 69.7%⇧

- 필리핀산 수입량: 906톤(ʼ13.4~6) → 2,138톤(ʼ14.4~6), 1.4배⇧

- 대만산 수입량: 388톤(ʼ13.4~6) → 350톤ʼ14.4~6), 9.1%⇩

• 2014년 상반기(1~6월) 누적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4.5배, 전년 동기 대비 1.0배

증가한 7,159톤

참조

관련 문서

국내산도 샤인 머스캣 포도와 같이 씨가 없고 껍질의 영양까지 섭취할 수 있는 포도가 많이 재배되고, GAP 인증과 같이 재배 이력이 보장된 상품을

무단 전재하거나

◦ 그러나 여전히 주요 수출품목이 가공식품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에 서 수출품목을 신선농산물 등으로 다양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 수 출 유망품목 발굴, 수출시장 정보

□ 한·영연방 FTA의 이행 연차가 누적될수록 관세 인하폭이 커지기 때문에 국내 농업에 미치는 영향은 커지는 반면, 우리나라의 수출 기회는 확대될 것으로

◦영연방 국가뿐만 아니라 전체 FTA 체결국에 대한 농축산물 수급 및 가격 등의 시장정보 수집 강화, 국내 농업부문 경쟁력 강화 및 차별화 지원 사업, 농축산물 수출

6) 미국과의 농축산물 교역에서 FTA 수출 특혜관세 활용률이 수입 특혜관세 활용률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① 사후 검증에 대한 부담, ② 수출

해당 품목은 흑 마늘액, 블루베리액, 홍삼액, 매실액 등이 관세청 분류사례로 포함... 『FTA 체결국 농축산물

시아의 수입 엠바고(2014년 8월)와 관련하여 폴란드를 포함한 EU의 농식품 수출 감소 폭이 뚜렷해짐에 따라 유럽 국가들의 농축산물 공급과잉 현상이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