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오늘날의 병원 환경은 만성질환의 증가와 인구의 고령화 등으로 국민의 의료 서비스 접근 기회를 증가시키며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는 안전사고를 증가시킨 다(The Korean Society for patient safety, 2016). 2018년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에 따르면 전국 36개 권역 응급의료센터 응급실의 과밀화를 나타내는 병상 포화지수가 2017년 66.7%에서 2018년 68.0%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응급실의 과 밀화는 환자의 이송 및 치료의 지연과 사망률의 증가 등 돌봄의 질을 저하시킨 다(Hoot et al., 2008). 또한 응급실은 급성상태의 환자들이 내원하고, 이들의 제 한된 병력이나 진단정보를 통해 여러 가지를 결정해야 하는 불안정한 상황 등 으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높다(Sklar et al., 2010; Verbeek et al., 2014). 환 자안전사고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치명적인 문제이며, 재원기간의 연장을 초래하여 의료기관의 재정적 손실은 물론 의료의 질 저하를 발생시키므로(김미 란, 2011), 의료인은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관리 해야한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의료서비스 전달과정 중에 발생하거나, 또는 발생 가능 한 문제를 발견하여 개선하고 예방하는 일련의 활동으로써, 환자안전을 위해 병원 내에서 시행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이금옥, 2009). 환자안전간호활동 은 환자간호의 전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국제 의료기관 평가위원회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JCI)와 국내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 기준으로 환자확인, 투약, 수혈, 감염, 낙상, 욕창, 통증, 환경, 의사소통 및 이송 시 환자 간호 등으로 그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특히 간호사는 의료인 중에서도 환자 의 최전선에서 돌봄을 제공하고 24시간 환자 곁에서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며 환 자안전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므로(박소정 등, 2012),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은 환자안전 증진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하수진, 이민주, 2019).

주라, 2014; 송은정 등, 2016), 수술실 간호사(이인선, 2014; 허정임, 문희, 2019), 중환자실 간호사(김영신, 2018) 등을 중심으로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간호활 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고,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관계(채우리, 2017), 환자안전위 험요인에 대한 위험성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의 관계(윤정미, 박형숙, 2014), 환자 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이지은, 이은남, 2013) 등으로 응급 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인식을 조사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또한, 국외의 경우 팀워크와 간호업무누락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Kalisch et al., 2010), 팀워크와 환자안전간호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Kaufman et al., 2013), 팀워크와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연구(O'Leary et al., 2015) 등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팀워크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연구(박미마, 김선하, 2018; 박은진, 한지영, 2018)가 소수에 불과하며, 실제로 응급실 간호사 를 대상으로 팀워크와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어떤 영향을 주 는지를 종합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환자안전문화인식, 팀 워크와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파악하여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한다.

B.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팀워크,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 자안전간호활동의 관계를 파악하고자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팀워크,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정도를 파악한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차이를 파악한다.

3. 대상자의 팀워크,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관계를 파악한다.

4.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C. 용어의 정의

1. 팀워크

1) 이론적 정의

팀워크는 두 명 이상의 의료인이 공통적인 건강 목표를 공유하고 환자간호 를 사정, 계획 또는 평가하는 데 필요한 정신적, 신체적 노력을 기울이는 동 적 프로세스이다(Xyrichis & Ream, 2008).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Larson과 LaFasto(1989)가 개발하고 김태백(2006)이 한국어 로 번역하여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하며, 점수가 높을 수록 팀워크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2. 환자안전문화인식

1) 이론적 정의

환자안전문화는 환자안전을 위한 구성원의 헌신과 개인 또는 조직의 능력 을 결정짓는 행동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신념, 가치관, 규범의 산물이다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2016).

2) 조작적 정의

병원의 환자안전문화를 조사하기 위해 미국 AHRQ (2004)에서 개발한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OPSC)를 김정은 등(2007) 이 한글로 번안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 문화인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환자안전간호활동

1) 이론적 정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진료의 과정 중에 발생하거나 또는 발생 가능한 문제 를 발견하여 개선하고 예방하는 일련의 활동으로써, 환자안전을 위해 병원 내에서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이금옥, 2009).

2) 조작적 정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이금옥(2009)이 개발한 환자안전간호활동 도구를 채우 리(2017)가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 다.

Ⅱ. 문헌고찰 A.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환자안전간호활동이란 치료과정 중 발생하거나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 에 찾아내어 개선하고 예방하는 활동으로, 환자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 수행되 는 병원 내의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이금옥, 2009).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환자안 전사고 원인을 개인의 무관심이나 실수가 아닌 대부분이 불완전한 시스템과 관 련된 것이라고 보는 관점으로 사고를 예방하고 병원환경을 보다 안전하게 구축 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이다(이금옥, 2009).

2018년 국내 환자안전 통계연보에 의하면 환자안전 사고 발생이 2018년 1월 부터 12월까지 총 9,250건으로 월 평균 약 771건이 접수되었으며, 전년대비 5,386건으로 약 2.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환자안전사고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Camargo 등(2012)의 연구에서는 응급실에 내원한 9,812명의 환자 중에서 402건(4.1%)의 위해사건이 발생하였고, 이 중 37%는 예방 가능한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료과오를 예방하고 환자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간호 사를 비롯한 의료인들이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해야한다(공현희, 손연정, 2012).

더욱이 국내에서 2004년부터 시작된 의료기관 평가를 시작으로, 2010년에 의 료기관 인증평가제가 시행되었고 이에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관리 항목이 추가 됨으로써 환자안전에 대한 영역이 의료계의 중대한 관심사가 되었다(임선애, 박민정, 2018). 또한 2016년 7월 ‘환자안전법’이 대통령령으로 시행되면서 안전 전담인력을 배치하고 기관별로 인증평가를 4년마다 시행하도록 국가적 차원의 환자안전관리가 이루어지고 있고, 의료기관에서 국제의료기관 평가위원회(JCI) 와 국내 의료기관 평가인증원의 인증을 획득하거나 획득하기 위한 시도가 증가 하고 있다. 더불어, 환자안전에 대한 표준과 지침을 마련하는 등 환자안전을 위

한 제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최정화 등, 2010; 공현희, 손연정, 2012). 환

많아 환자 개개인에 대한 직접간호의 시간이 줄어들어 환자에게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Carol et al., 2016). 하지만 간호사는 간호현장에서 안전관리자로서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통해 간호현장의 위험요인을 정확히 파악 하고 환자안전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야한다(김미란, 2011). 응급실은 부서의 특성상 환자안전에 위협을 많이 받고, 그로 인하여 의료의 질 저하와 의료과오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이지은, 이은남, 2013), 응급 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안전간호에 대한 기초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응 급실에서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 하다. 이에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은 안 전사고를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지키는데 있어 매우 필요한 부분이다.

B.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

환자안전문화는 환자안전을 위한 구성원의 헌신과 개인 또는 조직의 능력을 결정짓는 행동, 그리고 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신념, 가치관, 규범의 산물이 다(AHRQ, 2016). 환자안전문화는 기술적인 부분을 포함하여 환자안전을 위한 시스템적 체계 및 정책과 절차, 효율적인 인력관리와 리더십, 원활한 의사소통 등이 강조되는 개념이다(임선애, 박민정, 2018). 환자안전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서 의료기관의 시스템 개선과 같은 기술적인 문제해결 뿐 아니라 의료과오에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조직문화의 조성이 동반되어야 한다(이경희 등, 2011; 김윤이 등, 2016).

Tondo와 Guirardello (2017)의 연구에서 환자안전문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간호사가 전문적인 간호업무 수행도가 높았고 이는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직접적 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간호사는 24시간 동안 환자 옆에서 간호업무를 수행하 고 있어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은 안전사고의 발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 다(Choi et al., 2019).

그러나 일부 간호사들은 환자안전에 대해서 낙상으로 인한 부상이나 자살과 같은 안전사고 등의 좁은 의미로만 인식하고 있다. 또한, 크고 작은 근접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그때마다 큰 문제없이 자연스럽게 처리되므로 오류

그러나 일부 간호사들은 환자안전에 대해서 낙상으로 인한 부상이나 자살과 같은 안전사고 등의 좁은 의미로만 인식하고 있다. 또한, 크고 작은 근접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그때마다 큰 문제없이 자연스럽게 처리되므로 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