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논의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팀워크,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응급실에서 전반적인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자 시도되었으며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점수는 170점 만점에 평균 137점, 5점 만점에 평점평균은 4.06점이었다. 이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 으로 한 문미영 등(2019)의 연구의 4.13점,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금 주라(2016) 연구의 4.11점, 중환자실 간호사 157명을 대상으로 한 김영신(2018) 연구의 4.15점보다 다소 낮았다. 이러한 차이는 응급실 간호사가 소아과 병동이 나 중환자실, 일반 병동 간호사보다 환자안전간호활동 점수가 낮다는 연구(손 영신 등, 2018; 김미경, 이상미, 2019)와 유사한 결과이다. 응급실은 높은 업무 강도로 환자에 대한 직접간호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Fordyce et al., 2003), 지속적인 우선순위 변화 등으로 안전간호활동을 집중하기 어렵다 (Adrienssenses et al., 2011).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위험요인을 감소 및 제거하고, 과오를 예방하여 환자안전을 증진시키는 것이 응급실 간호사의 과제 로(김명선, 2012),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근본 적인 원인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의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감염예방 영역 점수가 평균 4.26점 으로 가장 높았는데, 이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신지선(2019)의 연구의 4.23점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에 반해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송은정 등 (2016), 임선애 등(2018)의 연구에서는 낙상예방이 가장 높게 지각되었다. 이러 한 차이는 응급실은 부서의 특성상 다양한 환자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혈액과 체액의 취급 빈도가 높아서 병원감염 전파를 차단하고 예방을 해야 하는 부서 로, 이에 응급실 간호사들이 감염예방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이고 적극적으로 예

방활동을 실천할 것이다. 반면, 안전한 환경 영역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는 측정도구는 Kalisch 등(2010)이 개발한 ‘Nursing Teamwork Survey’도구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팀워크 도구와는 달라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응급실 간호사의 팀워크가 타부서 대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차이를 보였다(Kalsch & Lee, 2009; Kalisch & Lee, 2013). 아직까지 국내에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팀워크 연구가 많이 축적되지 않아서 부서별 비교에 어 려움이 있다. 간호사의 팀워크에 대한 반복연구를 통해 근무부서의 차이 및 특 성을 파악하는 것이 팀워크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Kalisch & Lee,

2013). 더불어 부서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팀워크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기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AHRQ (2018)의 연구에서 직원배치, 인수인계 및

육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환자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병원 차원에서 업무환 경을 개선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고(Olds et al., 2017),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향 상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팀워크와 환자 안전을 접목시킨 응급상황 관련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 여(Endacott et al., 2014), 지속적으로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 각된다. 이러한 노력들이 환자안전간호활동으로 이어져 결국 환자안전을 증진 시키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다.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팀워크,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파악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서 연 구의 의의를 가지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연구자 임의 로 선정한 수도권 소재 종합병원 3곳 중에서 응급실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여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 서 추후 대상자의 범위를 다양한 규모의 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간 호사로 넓히고, 대상자수를 확대하여,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 다. 둘째,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여 타부서와 비교하며 응급 실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상자의 범위를 다양한 부서로 확대하 여 부서별 간호사의 팀워크와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간호활동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수행을 직접 관찰을 통하여 조사한 것이 아니라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대상자들이 자신 의 실제 활동정도보다 과장해서 응답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향후 관찰을 통한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