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외 사례와 시사점

2) ParticipatoryGIS.com 사례

GeoDF가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토론방을 온라인으로 옮겨온 사례라고 한다면, ‘ParticipatoryGIS.com’ 사이트는 분석기능을 강화한 소통채널이 라 할 수 있다. ‘ParticipatoryGIS’ 은 Web GIS와 MDA(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를 통합하여 협력적 다기준 공간의사결정 도구를 구축하였다. 즉, ArgooMap22)의 개념과 MDA의사결정 기준을 결합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의견을 제안하여 토론하고, 선호도를 파악하는 등 공간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자료 : Soheil Boroushaki, Jacek Malczewski. 2010.

<그림 3-2> ParticipatoryGIS 사례

<그림 3-2>는 캐나다의 Alberta주 Canmore시를 대상으로 구축한 것으로, 사이트에서 제안한 이슈들에 대한 중요도를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선택하도록 하여 개인별, 그룹별 대안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이를 ArgooMap과 중첩시켜 표시하여, 참여GIS의 실현과 Web기반의 협력적인 공간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는 공간의사결정과 계획, 심의와 분석을 통합한 프레임워크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사결정자와 이해관계자는 상호간의 소통과 토론을 촉진하고 장려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22) ArgooMap은 온라인 디스커션 포럼과 WebGIS를 조합하여 개발한 구글맵 기반의 공간참 조 커뮤니케이션 도구임(‘The Argumentation Map')

<그림 3-3> 프로젝트의 구성요소

2. 공간정보기술 기반의 소통도구 구축 및 활용사례 1) 모바일 GIS를 이용한 주민참여 주거환경평가 사례23)

미국 네브라스카주 링컨시는 지역커뮤니티 평가를 위한 시민참여 강화 프로젝트인

‘Lincoln Community SCAN'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은 그 지역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삶의 질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 프로젝트는 주거환경의 영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분석틀과 도구를 개발하고, 이 평가도 구를 이용하여 이전에는 구할 수 없었던 street 레벨의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또한 평가과정에 지역주민들을 참여시킴으로써 지역사회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과 역할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평가과정과 분석과정에 주민이 참여함으로써 이해도를 높이고, 수집된 정보를 함께 논의하여 지역사회의 발전목표와 전략을 지역주 민들의 주도하에 수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사업은 주거환경 평가도구 개발, 시민참여, 정책결정에 유용한 공간데이터베이 스 구축, GIS 기술 활용, 대학·지방정부·커뮤니티·주민간의 협력체계 등으로 구성된다 (<그림 3-3> 참조). 주택상태와 주변 환경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링컨에서 경

제적으로 낙후되거나, 사회적 통합의 문제가 노정된 지역 등 정책대 상이 될 지역을 평가하 여 문제점과 발전가능 성을 찾아내고자 하였 다. 링컨시의 기존 대응 은 사후 처리에 집중되 었으나, 이 사업을 통해

23) 이 사례는 남윤우 교수(미국 네브라스카대학교)와의 협동연구 결과를 정리한 것임

수집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사전적 예방 대응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모바일 GIS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도구를 만들고,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혹은 태블릿 PC 등을 이용하여 손쉽고 정확하게 주거환경을 평가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그림 3-4> 참조). 이를 위해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간략한 교육을 실시하고, 지역주민들이 직접 조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입력된 정보가 GIS 데이터 포맷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조사가 끝나면 데이터를 즉시 전송하고 분석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정보입력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그림 3-4> PDA를 활용한 조사방법

지역 주거환경 평가과정은 크게 5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에서는 주거환경 평가도구 를 개발하는 것으로 모바일 GIS를 이용하여 지역주민들이 편리하고 쉽게 평가 작업에 참여하고, 관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2단계는 주민참여 및 교육·훈련과정이다.

주거환경 평가과정에 주민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해 리더쉽 그룹을 발굴하고, 평가과정 에 참여할 주민을 선택하여 평가내용과 방법을 교육·훈련시켰다(<그림 3-5> 참조).

3단계는 평가수행과정으로, 조사대상지역을 소규모 지역으로 나누어 팀별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림 3-5> 주민교육·훈련

4단계는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과정으로, 개별지역의 조사결과를 모아 종합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데이터의 해석과 분석과정에 외부전문가와 지역주민대표들이 참여하도록 하였다(<그림 3-6>참조). 마지막 5단계는 공공의제 논의 및 지역발전계 획 수립 과정이다. 분석된 자료를 발표하고, 주민들의 주도하에 문제파악 및 발전계획 을 논의하게 된다. 공공의제로서의 가치가 있는 사항들은 시의 관련 부서와 지역의 비영리단체가 함께 논의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시정부의 관련부서에 전달하여 시차원의 지역발전 사업을 준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지역은 주거환경 평가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자산의 현황 및 강점 등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평가 과정 및 발전방안 논의 과정에서 주민참여의 질적·양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지역 리더십을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의 이해를 높임으로써 지역개발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및 정책네트워크 를 구축할 수 있다.

이 사업은 시민참여를 통해 지역상황에 적합한 지역개발방안을 추구하고자 하였으 며, 지역주민들이 지역개발과정에서 주체적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의 제반과정에 다양한 수준의 지역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하였다. 주민들 은 정책참여를 통해 시정부 대표들과 지역 개발 전문가들로부터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시정부나 비영리지역단체와 관련 문제에 관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정책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 반면, 시정부는 지역의 다양한 이해문제를 파악할 수 있고 정부정책에 대해 주민의 이해를 구하거나 설득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함으로 써 효과적인 정책수립을 위한 협력적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정책의 만족도 및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정책수단이 될 수 있다.

사례지역 조사지역

조사결과 평가종합

종합점수 밀도 핫스팟 분석

<그림 3-6> 링컨 Neighborhood지역 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