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EISR은 일과기반중재 실행에서 아동의 참여, 독립성, 사회관계를 측정할 수 있 는 도구로 생후 36개월까지의 아동이 일상 가정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 목록이다. MEISR이 처음 개발된 것은 2007년(McWilliam & Hornstein, 2007)으로 본 연구에 포함된 MEISR은 2019년에 출판된 개정판(McWilliam, &

Younggren, 2019)이다. MEISR 원 문항은 Siskin Children’s Institute의 500명 이상 유아 가정을 대상으로 문항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을 검토받고 내용 타당 도를 확보했다. MEISR은 조기중재 제공자가 다르게 해석한 문항에 대한 설명과 예 를 포함하여 전환 영역을 추가하고, 시작 연령을 명확히 하며, 참여 기반으로 문항 을 재작성하여 개정되었다. MEISR에 포함된 일과는 저자 McWilliam이 아동과 가 족들에게 그들의 일상 생활과 참여에 대해 25년간 조사한 경험을 바탕으로 선정되 었다. 각 일과는 문항별로 참여, 독립성, 관계성에 필요한 기술의 종류를 참조하도 록 되어 있다.

MEISR은 조기중재 분야에서 기능 평가의 공백을 채우는 대안으로 개발되었다.

전통적인 평가인 바텔 발달검사(Newborg, 2005)나 베일리 발달검사(Bayley, 1993) 는 발달영역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기준 척도에 따라 아동의 발달성취를 채점하여 종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발달검사에서 나타나는 문 항이 반드시 아동의 일상생활에 의미있게 참여해야 하는 기술은 아닐 수 있다 (Berkeley & Ludlow, 1992). 발달검사를 통해서는 적격성 여부나 필요 치료영역을 도출해내는 것 외에 실제 아동이 일상에서 기능할 수 있는 부분에서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아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MEISR은 일반적인 가정 생활에서 아동의 참여 를 평가하기 때문에 MEISR을 통해 도출된 목표들은 기능적이고 일상에서 통합될 수 있으며 의미가 있다 할 수 있다(McWilliam, 2011).

MEISR은 연령별, 일과별 숙달도 뿐만 아니라 아동의 발달영역 및 참여, 독립성,

사회관계별 기능 수준에 대한 결과, 국가 수준 결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MEISR의 각 문항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차원의 정보를 제공한다. 첫째, 해당 기 능영역에 따라 참여, 독립성 및 사회관계로 구분된다<그림Ⅱ-4>. 둘째, 발달영역에 따라 인지, 의사소통, 운동, 적응행동, 사회성의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 셋째, 국가적 아동 결과의 수준에 따라 긍정적인 사회관계를 맺기,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사용 하기, 요구에 따라 적절하게 요청하기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MEISR의 발달영역에 대한 각 문항에는 발달영역에 대한 정보가 나타나 있 다. MEISR의 각 문항별 발달영역에 대한 정보는 미국의 테네시 조기 학습 발달 표 준(TN-ELDS: Tennessee Department of Education, 2013)을 참조하여 결정되었다.

테네시 조기 학습 발달 표준은 출생부터 48개월까지의 유아에게 만 1세, 2세, 3세, 4세까지의 연령 집단, 34개 발달 범주에서 어떠한 발달을 보이는지 표준을 나타낸 발달이정표이다. 34개의 발달 범주는 다시 학습 접근법, 사회정서발달, 언어 및 조 기 읽기쓰기능력, 수학, 과학, 사회학습, 창의예술, 신체발달의 8가지 영역으로 나뉜 다. MEISR의 모든 문항은 최소한 하나의 테네시 조기 학습 발달 표준(TN-ELDS) 의 범주에 교차 분석되어 발달영역이 결정되었다. MEISR의 문항은 이중 신체발달 (하위영역의 100%), 사회정서발달(하위영역의 81%) 학습 접근법(77%) 영역에 해당 하는 문항이 대부분이다. 이에 MEISR의 핵심 영역인 독립성(신체발달), 사회관계 (사회정서발달), 참여(학습 접근법)의 영역이 도출되었다. 테네시 조기 학습 발달 표

<그림Ⅱ-4> MEISR에서 참여, 독립성, 사회관계

준(TN-ELDS)는 미국 전역에서 볼 수 있는 조기 학습 발달 표준을 반영하는 것으 로(Robbins, Smith, Stagman, & Kreader, 2012), 이는 MEISR가 안면타당도를 갖춘 도구라는 것을 증명한다.

MEISR은 개별화가족지원계획(IFSP) 절차의 각 시점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면적 도구이다. 조기중재팀의 평가 목적에 따라, 아동의 기능에 대한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졌다. 즉, 일과를 중심으로 조직된 아동의 기능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문항들은 일반적인 시작 연령, 발달영역, 국가아동결과 및 참 여, 독립성, 사회적관계(EISR: Engagement, Independece, Social Relationships)의 기능영역과 연결된다. 일과에 따라 또는 나이에 따라 구성된 아동의 기능에 대한 프로파일을 구성하여 평가 목적에 따라 아동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문항은 학습의 기초인 기능영역(참여, 독립성 및 사회관계), 발달영 역 및 아동 결과에 대한 규준을 통해 아동의 기능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MEISR은 다음 14개의 가족 일과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미국의 MEISR의 일과와 각 일과별 문항수와 Cronbach’s α(McWilliam, & Younggren, 2019)를 <표Ⅱ-22>에 나타내었다. Transition Time에 대한 α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Neisworth와 Bagnato(2004)는 진정한 평가를 ‘아동과 가족의 일상생활에서 자연 적으로 발생하는 행동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 기록’으로 정의한다. 진정한 평가에서 관찰과 면담은 자연스럽고 효과적인 탐구 방법이다. 관찰에는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선행사건과 결과의 맥락 속에서 아동이 무엇을 하는지 기록하는 것이 포함된다. 관

MEISR 일과 각 일과별 문항 수 Cronbach’s

α

Wakin Up 25 .950

Toileting/Diapering 20 .917

Meal Times 47 .971

Dressing Time 29 .931

Hangout – TV – Books 38 .958

Play With Others 38 .949

Nap Time 14 .864

Outside Time 26 .975

Play by Him-or Herself 35 .962

Bath Time 30 .952

Bedtime 16 .886

Going Out 35 .943

Grocery Shopping 18 .919

Transition Time 15

전체 386 .994

<표Ⅱ-22> 미국 MEISR의 일과별 문항수와 Cronbach’s Alpha

찰을 통해, 우리는 유기적인 기능적 기술과 행동을 이끌어내는 일상 및 발달 생태 계에서 아동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관찰과 더불어 아동과 친숙한 부모나 양육자를 면담하는 방법은 진정한 평가로서 정보를 수집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주 양육자가 자연스러운 일상 속에서 아동과 상호작용하며 관찰한 아동의 기능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MEISR의 문항들은 일상 속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들이고 매우 기능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양육자는 모든 문항을 쉽게 평가 할 수 있다.

MEISR이 제공하는 프로파일은 양육자가 아동의 진전도를 관찰하고 개입을 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McWilliam, & Younggren, 2019). 0에서 36개월까지의 아동에 대한 프로파일을 개발하고 해당 프로파일 내에서 진전 과정을 추적 관찰할 수 있 다. 각 일과별 문항들은 일반적인 가족 일과의 맥락에서 아동의 기능에 초점을 맞 추고 있어, 발달영역에서의 성취로 아동의 기능을 추정하는 것이 아니라 중재에 직 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MEISR은 전통적인 평가와는 다르게 다음 관점들을 포함한다(McWilliam, &

Younggren, 2019). 첫째, 가족 중심이다. 가족이 아동의 기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둘째, 생태학적이다. 프로파일은 아동이 활동하는 일상생활에서 구성되기 때문이다.

셋째, 기능적이다. 평가되는 기술들은 일상생활에서 성공적인 참여를 위해 일반적으 로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보통 어떠한 기술이 시작되는 시점은 연령에 따라 다 르다(Boavida, Aguiar, & McWilliam, 2014).

MEISR의 세부 정보와 다면적 측면을 고려할 때 MEISR은 조기중재의 맥락에서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다(McWilliam, & Younggren, 2019). 첫째, 가정에 아동 의 발달, 일상생활의 가치, 삽입된 중재의 가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둘째, 평가 목적에 따라, 기능영역, 발달영역 및 국가아동결과에 대한 정보와 가족 일과에서 아 동의 기능에 대한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셋째, 가족이 개별화가족지원계획(IFSP)의 일부로 다루기를 원하는 기능적 결과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넷째, 조기중재팀 (가족 포함)이 국가아동결과 측정의 일환으로 서비스 등급을 결정할 수 있도록 지 원한다. 다섯째, 개입에 대한 일과 중심 접근 방식을 용이하게 한다. 여섯째, 아동의 기능적 진전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일곱째, 가족과 조기중재 전문가들이 일과기 반중재를 준비하도록 돕는다.

또한 MEISR은 장애인교육법(IDEA)이 강조하고 있는 조기개입의 주요 원칙과 관 련성이 매우 높다(McWilliam, & Younggren, 2019). 다음은 IDEA의 조기개입의 7 가지 주요 원칙이다. 첫째, 영·유아는 친숙한 맥락에서 친숙한 사람들과의 일상적인 경험과 상호작용을 통해 가장 잘 배운다. MEISR은 일상적인 학습 기회(일과)에 초 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합의된 임무를 따르도록 도울 수 있다. IDEA 의 주요 원칙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상적인 경험에 의해 조직된다. 둘째, 모든 가정은 필요한 지원과 자원이 있으면 아동의 학습과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MEISR은 모든 다양한 문화적 접근성을 갖추고 있다. MEISR의 이전 버전은 스페 인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그리고 만다린어로 번역되었다. 셋째, 조기중재에 있어 서비스 제공자의 주된 역할은 아동 생활에서 가족 구성원 및 양육자와 협력하고 지 원하는 것이다. MEISR은 가족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넷째, 조기중재 과정은 아 동과 가족의 선호도, 학습 변인, 문화적 신념을 반영하기 위해 역동적이고 개별화되 어야 한다. MEISR은 개별화된 평가와 개입을 촉진한다. 다섯째, 개별화가족지원계 획(IFSP) 결과는 반드시 기능적이어야 하며, 아동 및 가족의 요구와 가족의 식별된 우선순위에 근거해야 한다. MEISR은 기능적 개별화가족지원계획(IFSP) 결과의 개 발에 도움이 된다. 여섯째, 가족의 우선순위, 필요성 및 관심사는 조기중재팀 및 지 역사회의 지원을 대표하고 받는 주요 제공자에 의해 가장 적절하게 처리된다.

MEISR은 영역이 아닌 일과 중심 기능적 기술에 의해 구성되므로 주요 서비스 제 공자 접근방식을 용이하게 한다. 일곱째, 아동 및 가족 구성원과의 개입은 명시적 원칙, 검증된 관행, 최선의 연구 및 관련 법규에 근거해야 한다. MEISR은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조기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는 방식을 지지한다. MEISR은 아동 기능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척도이다.

MEISR의 결과는 아동 기능 프로파일 작성, 일과기반중재모델 촉진, 진전도 모니 터링에서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McWilliam, & Younggren, 2019).

첫째, 아동의 프로파일을 작성할 시 세 가지 차원의 정보로 요약이 가능하다.

MEISR은 가족 일과 외에도 다양한 기능영역에서 아동 일과 중심 기술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평가 도구와 달리, MEISR은 아동 기능의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EISR을 활용하면 기능적인 영역에 비추어 아이들의 강점과 필요를 이해할 수 있다. 아이가 독립하기 위해 애쓰고 있고, 다양한 가족 일 과에 참여하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가족의 일상에서 아동의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해 어 떠한 지원을 할 수 있을지 고려할 수 있다.

또한, MEISR은 적응, 인지, 의사소통, 운동 및 사회의 다섯 가지 발달영역에서 아동 일과 중심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MEISR의 발달영역 점수는 특수교육 대상자 적격성을 고려할 때 유용할 수 있지만, 적격성 결정에 MEISR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MEISR은 국가아동결과를 제공한다. 국가아동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는 긍정적인 사회정서적 기술, 둘째는 지식과 기술의 습득과 사용, 셋째는 요구 를 충족시키기 위한 적절한 행동의 사용이다. 이 세 가지 국가아동결과와 함께 기 대되는 연령 기준을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는 아동의 기능에 대한 다른 정보와 짝 을 지어 각 결과에 대해 서비스 등급을 결정할 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둘째, 일과기반중재의 실행을 촉진한다. MEISR은 일과를 중심으로 구성되기 때 문에, 영역이나 전문 분야의 결핍에 대한 강조보다는 일과에 대한 집중을 용이하게

한다. 하지만 MEISR 자체를 교육과정으로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MEISR 은 가족이 일상생활에서 아동의 기능적 참여를 고려하고 여러 가지 일상에서 아동 의 자연스러운 학습 기회를 알아차리고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MEISR 은 일과를 중심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일과기반중재모델 실행을 촉진할 수 있다.

MEISR은 일과기반면담에 대한 자연스러운 보완책이다<그림Ⅱ-5>. MEISR 문항, 특히 아동의 연령의 문항은, 일과기반면담에서 자주 사용될 수 있다. MEISR은 일 과기반면담에 앞서 가족이 질문할 것을 준비하는 사전 질문지로도 사용될 수 있다.

셋째, 아동의 진전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MEISR은 가족들에게 아동이 의미 있는 행동에 대해 어떤 진전을 이루는지 보여준다. 이를 통해 아동들이 정상적인 삶에 참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각 일과에서 아동의 진전도를 살피는 데에 도 사용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아동의 MEISR 평균 점수와 숙달된 기술의 비율은 증가해야 한다. 이는 아동의 발달 진전 상황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 서 유용하다. 아동의 진전을 살펴보기 위해 재검사 시 다른 색상으로 채점표를 완 성하는 하와이 조기 학습 프로파일(Parks et al., 1992)처럼 MEISR 또한 시간 경과 에 따른 아동의 기능적 진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림Ⅱ-5> 일과기반면담에서의 MEIS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