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 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예비 검사인 1차 검사와 본 검사 2차례의 총 3번의 검사가 실시되었다. 예비 검사인 1차 검사에 44명, 2차 검사 124명, 3차 검사 134명이 참여 하였다. 본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수행 분석 결과 모든 변인 중 연령 집단별 차이만 나타났다. 변인 간 분석 시 집단의 표집 수가 충분하지 않았을 가능 성이 있다. 실제 변인 중 보육형태별 집단은 연령 통제가 되지 않아 실제 보육형태 에 따른 차이를 알기 어려웠다. 이에 연령 변인이 통제된 상태에서 연령별로 충분 한 표집을 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수행을 알아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둘째, 문항의 난이도 분석 결과, 한국형 MEISR을 한국 아동에 적용했을 때 문항 의 위계가 다소 상이했다. 문항 번호가 증가할수록 난이도가 높아지고 일반적인 시 작연령도 높아지는 원판과 달리, 주변 문항에 문항난이도가 낮거나 높은 문항이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차, 3차 결과 모두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생 활 환경과 일과로 구성된 원판 문항이 한국의 가족에는 다르게 적용된다는 것을 의 미한다. 특히 주변보다 난이도가 높은 문항 중 식사하기 3.41번 “어른이 감독하거나 도와주면 잼칼로 잼을 펴 바를 수 있다”의 경우 한국 가정의 식사 일과와 맞지 않 아 문항난이도가 높았다. 면담형 검사 사례에서도 양육자들은 잼칼 사용을 할 기회

가 없었다고 보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반영한 문항 순서 조정을 제언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최종 한국형 MEISR에서 문항 순서 및 내용을 조정한 수정본을 [부록19]에 수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수정된 도구를 사용하여 문항의 순서가 보다 적합한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원판의 MEISR은 일과기반면담을 통해 전문가와 함께 실시하는 것을 기본 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구의 타당화를 위해 양적 자료를 수집하고자 온 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지를 제작하여 부모 평정형을 중심으로 양적 자료를 수집하 였다. 면담형 적용 대상 수가 5명으로 사례 적용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실제 면담형 적용 양상을 충분한 표집을 통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넷째, MEISR을 적용할 주요 대상은 조기중재 필요성이 높은 장애위험아동, 발달 지체를 포함한 장애아동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부분 비장애아동으로, 일반적인 발달을 보이는 아동의 MEISR 수행을 알아보았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임상집 단의 장애영유아를 포함하여 연구 결과를 확장할 것을 제언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도구인 MEISR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다른 보조적인 도구 사용을 최소화하였다. 하지만 보다 일과기반중재를 충실하게 실행하기 위해서 는 다양한 자료를 함께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MEISR와 더불어 아동과 가족에 대한 정보를 풍부하게 확보할 수 있는 도구에는 가족 준비 양식, 생태도 (McWilliam, 2014) 등이 있다. 이에 본 도구와 더불어 추가적인 도구를 활용하고 보다 다차원적인 실행 과정을 포함한 실행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

여섯째, 한국형 MEISR 면담형 사용 시, 각 문항을 연구자가 읽어주고 양육자는 이에 응답하여 평정이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문항에 대한 평정은 쉽고 명료하게 진 행되었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단독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측정의 객관성 을 알아보지 못했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2인 이상의 평정자의 평정을 비교하여 관찰자 간 신뢰도를 알아볼 것을 제언한다.

참 고 문 헌

강성리, 허계형(2020). 코로나 19 (COVID-19) 상황 특수교육 대상 유아의 조기중재 서비스 제공 실태 및 유아특수교육전문가들을 위한 지원 요구. 유아특수교 육연구, 20(4), 135-157.

강순구, 조윤경(1994). 포테이지 아동 발달 지침서. 서울: 특수교육.

교육부(2022). 특수교육법시행령. 세종: 교육부 특수교육정책과.

교육과학기술부(2008).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령 해설자료. 서울: 교육과학 기술부 특수교육지원과.

공인숙, 권기남, 권혜진, 김영주, 김헤라, 민하영, 서주현. 이완정, 전숙영, 정윤주, 채 진영. 최인숙, 한미현, 황혜신(2018). 영유아발달. 경기도: 양서원.

곽금주(2018).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국립특수교육원(2010). 특수교육백서. 아산: 국립특수교육원.

국립특수교육원(2020). 2020 특수교육실태조사. 아산: 국립특수교육원.

국립특수교육원(2021). 2021년 특수교육 통계. 아산: 국립특수교육원.

http://www.nise.go.kr/ebook/site/20180112_153017/에서 2022년 3월 1일 인 출.

교육부(2018).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세종: 교육부 특수교육정책과.

김소양, 장현주, 송미선(2018). 영유아발달. 경기도: 지식공동체.

김정미, 신희선(2011). K-CDR-R 한국판 영유아발달선별검사. 서울: 학지사 심리 검사연구소

김정미, 신희선(2010). K-CDI 아동발달검사. 서울: 학지사

김호연, 강창욱, 박경옥, 장혜성(2008). 캐롤라이나 교육과정(0-3). 서울: 굿에듀북.

남보람, 이소현(2014). 어머니가 실행하는 공동관심 중심의 놀이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선행기술과 공동관심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 연구, 4(1), 21-45.

박지현, 조윤경(2011). 통합과 장애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가족지원 실태와 요구 비 교. 한국보육학회지, 11(1), 103-123.

방희정, 남민, 이순행(2019). K-Bayley-Ⅲ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서울: 학지사.

서경희, 윤점룡, 윤치연, 이상복, 이상훈, 이효신(2006). 발달장애의 진단과 평가. 대 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성태제 (2011).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성태제 (2005).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성현란, 성은현, 장유경, 정명숙, 박혜원, 이현진, 정윤경, 김혜리, 송현주, 유경, 유연 옥(2019).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신희선, 한경자, 오가실, 방격숙, 김지수(2017). 한국형 PDQ-Ⅱ 발달검사지. 서울:

현문사.

신희선, 한경자, 오가실, 오진주, 하미나(2010). K-DDST-Ⅱ한국형 덴버발달선별 검사 Ⅱ. 서울: 현문사.

윤혜준, 이소현 (2017). 어머니가 실행하는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을 적용한 환경 중 심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 교육연구, 17(3), 147-171.

은백린, 정희정, 권정희, 김건하, 김성구, 김영아, 김청택, 김준식, 김진경, 성인경, 신 손문, 유희정, 최지은(2017). 한국영아 발달선별검사(개정판) 사용지침서.

세종: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예방과.

이소영 (2018).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 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놀이 참여와 발달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서울.

이소현(2000). 특수아 조기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과제 고찰. 특수교육연구, 35(2), 115-145.

이소현(2011). 개별화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이소현(2020). 유아특수교육. 서울: 학지사.

이소현, 김수진, 박현옥, 부인앵, 원종례, 윤선아, 최윤희(2018). 장애 유아 진단 및 평가. 서울: 학지사.

이소현, 최진희, 조윤경, 부인앵, 이소영(2007). 정책연구과제 2007-위탁-1: 장애영 아 진단·평가 기준 및 무상교육 지원 방안 개발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 부.

이영철, 허계형, 문현미, 이상복, 정갑순(2008). 영유아를 위한 사정, 평가 및 프로 그램 체계: AEPS. 서울: 굿에듀

임지영, 도금혜, 류혜원, 문영경, 배기조, 송혜영, 이수원(2018). 영유아발달. 경기도:

공동체.

장수연(2021). 2019 개정 누리과정 기반 유아통합교육의 실제. 서울: 창지사.

장혜성, 서소정, 하지영(2008). DEP 영아선별・교육진단검사 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전병운, 조광순, 이기현, 이은상, 임재택(2004). 유아선별검사지침서 (K-DIAL-Ⅲ).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정보인, 유은영(2002). 발달장애영유아 바로 키우기. 파주: 교육과학사.

정보인, 윤현숙(2000). 0-5세 발달단계별 놀이 프로그램. 파주: 교육과학사.

정옥분(2013).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조윤경, 김수진, 유연주, 윤란, 장지윤, 정해숙, 차현정(2012a). 장애아보육 운영 매 뉴얼 | 장애아보육운영 실제.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조윤경, 김수진, 유연주, 윤란, 장지윤, 정해숙, 차현정(2012b). 장애아보육 운영 매 뉴얼 II 장애아보육 교사실무.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조윤경, 장지윤, 유연주(2019). 유아교육과정 내의 장애영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 프로그램. 고양: 공동체.

주해란, 한아름(2021). 코로나 19 기간 동안 어린이집 긴급보육을 이용하는 영아기 어머니의 정서적 경험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6(1), 209-227.

채유선, 이소현(2008).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중심축 반응 훈련이 자폐 범주 성 장애 영유아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8(3), 41-66.

최윤경, 박원순, 최운경, 안현미(2020). 코로나19 육아분야 대응체계 점검 및 돌봄 공백 지원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최윤희, 김지은(2017). 통합 환경에서의 참여 개념과 장애 유아의 참여 증진을 위한 중재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17(1), 67-94.

최윤희, 이소현(2007). 발달지체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적행동 지원 전략이 상호작용의 참여시간과 참여수준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 연구, 7(2), 179-207.

최은영, 김은영, 구자연, 조혜주(2022). 코로나19 이후 영유아 발달 및 학습격차 해 소방안 연구(Ⅰ).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최진희(2017). 가족중심 조기개입 서비스의 이해: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전문가 교육. 서울: 서초한우리정보문화센터.

한경근, 신현기, 최승숙, 김은경(2008). 캐롤라이나 교육과정(3-6). 서울: 굿에듀북.

허계형, Jane Squires, 이소영, 이준석(2006). K-ASQ(Korean Ages & Stages Questionnaires) 사용 지침서: 한국형 부모작성형 유아 모니터링 체계.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허계형, Jane Squires, 이소영, 이준석(2012). K-ASQ(Korean Ages & Stages Questionnaires) : SE 한국형 부모작성형 유아 사회 정서 모니터링 체계.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 Issue

& Focus 373, 1-13

황순택, 김지혜, 홍상황(2015). 바인랜드 적응행동척도 2판 검사요강. 대구: 한국심 리주식회사.

Aguiar, C., & McWilliam, R. A. (2013). Consistency of toddler engagement across two sett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8(1), 102-110.

Ainsworth, M. D., Blehar, M., Waters, E., & Wall,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NJ:

Erlbaum.

Allen, K. E., & Cowdry, G. E. (2005). The exceptional child; Inclu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Y: Thomson Delmar Learning.

Alvarez, A. (1994). Child’s everyday life. An ecological approach to the study of activity systems. Explorations in sociocultural studies, 4, 23-3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8).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rth Edition Text Revision.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Apgar, V., & James, L. S. (1962). Further observations on the newborn scoring system. American journal of Diseases of Children, 104(4), 419-428.

Aughinbaugh, A., & Gittleman, M. (2004). Maternal employment and adolescent risky behavior.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3(4), 815-838.

Bayley, N. (1993).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Bsid-II).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Bailey, E. J., & Bricker, D. (1984). The efficacy of early intervention for severely handicapp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4(3), 30-51.

Bailey, D. B., Jr., McWilliam, R. A., Darkes, L. A., Hebbeler, K., Simeonsson, R.

J., Spiker, D., & Wagner, M. (1998). Family outcomes in early intervention: A framework for program evaluation and efficacy research.

Exceptional Children, 64(3), 313-328.

Bailey Jr, D. B., & Simeonsson, R. J. (1988). Assessing needs of families with handicapped infants. The J ournal of Special Education, 22(1), 117-127.

Bailey, D., Winton, P., Rouse, L. & Turnbull, A. (1990). Family goals in infants intervention: Analysis and issue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4(1), 15-26.

Bailey, D. B., & Wolery, M. (1989). Teaching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handicaps. Ohio :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Baker, F. B. (2001). The basics of item response theory. College Park, MD.

ERIC Clearinghouse on Assessment and Evaluation.

Baltes, P. B., Lindenberger, U., & Staudinger, U. M. (2006).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NJ: John Wiley &

Sons Inc.

Barnett, D., Clements, M., Kaplan-Estrin, M., & Fialka, J. (2003). Building new dreams: Supporting parents' adaptation to their child with special needs.

Infants & Young Children, 16(3), 184-200.

Bentzen, W. R. (1993). Seeing young children: A guide to observing and

recording behavior. NY: Delmar Publishers.

Berger, E. H. (1991). Parent involvement: Yesterday and today. The Elementary School J ournal, 91(3), 209-219.

Berkeley, T. R., & Ludlow, B. L. (1992). Developmental domains: The mother of all interventions; or, the subterranean early development blue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1(4), 13-21.

Bernal, R. (2008). The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 care o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49(4), 1173-1209.

Betts, J., & Lata, D. (2009). Inclus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arly Childhood imperative. UNESCO Policy Brief on Early Childhood, no. 46.

Boavida, T., Aguiar, C., & McWilliam, R. A. (2014). A training program to improve IFSP/IEP goals and objectives through the Routines-Based Interview.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0, 200–211.

Bondurant-Utz, J. A. & Luciano, L. B. (1994). A practical guide to infant and preschool assessment in special education. Boston: Allyn & Bacon.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I: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Brassard, M. R., & Boehm, A. (2008). Preschool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s. NY: Guilford Press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ence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own, J. A., & Woods, J. J. (2015). Effects of a triadic parent-implemented home-based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toddler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37(1), 44-68.

Brown, S. M., Doom, J. R., Lechuga-Peña, S., Watamura, S. E., & Koppels, T.

(2020). Stress and parenting during the global COVID-19 pandemic. Child Abuse and Neglect, 110, 1-14.

Browne, M. W., & Cudeck, R. (1989). Single sample cross-validation indices for covariance structur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4(4), 445-455.

Bricker, D., Capt, B., Pretti-Frontczak, K., Johnson. J., Slentz, K., Straka, E., &

Waddell, M. (2002). Assessment, evaluation and programming system for infants and children(Vol .2) AEPS measurement for birth to three years(2nd ed.).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Bricker, D., Pretti-Frontczak, K., Johnson. J., Straka, E., Capt, B., Slentz, K. M.,

& Waddell, M. (2002). Assessment, evaluation and programm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