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자녀 양육 통합프로그램에 대한 효과가 검증되었으므로 실무에서 대상자를 확대하여 반복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녀 양육 통합프로그램의 최적의 회기를 파악 하고, 그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 한다.

셋째, 결혼이주여성들의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형성된 커뮤니티가 지속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 기반의 지원체계와 제도의 마련을 제언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바일 프로그램을 자녀의 발달단계별로, 다양한 언어로 제작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 의 관심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강기정 (2009) 다문화가족 모(母)의 부모역량강화를 위한 부모코칭 경험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3), 111-125.

강인애 (2016). 왜 구성주의인가? -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서울:

문음사.

김기현, 이재구, 김선숙 (2017).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 533-544.

김낙홍, 백인경 (2015). 결혼이주여성의 양육 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자녀 의 유아교육기관 생활적응, 사회적 능력,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 아교육학논집, 19(1), 365-384.

김미정, 노성향, 신용연 (2015). 경기도 영유아기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정책 과제 2015-41). 수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김민영, 고효정 (2008).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건강신념과 산전관리 이행 간의 관 계. 경북간호과학지, 12(1), 83-96.

김보영 (2013). 결혼이민여성의 부모역량강화에 관한 실행연구. 정신간호학회 지, 22(1), 65-76.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1.65 

김소영, 최소영 (2016). 결혼 이민자 산모를 위한 산후 맞춤형 출산조절 프로그 램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6(6), 780-792.

https://doi.org/10.4040/jkan.2016.46.6.780 

김소희, 노윤구 (2018).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 양육 효능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4(2), 174-184. https://doi.org/10.4069/kjwhn.2018.24.2.174

김영미, 조갑출 (2017).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부부의 임신· 출산 및 양육준비를

위한 개별교육의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23(4), 515-524.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4(3), 248-258.

https://doi.org/10.7475/kjan.2013.25.4.422 형(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 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3), 363-377.

이내영 (2018). 결혼이주여성의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 요구도 분석. 한국산학기

술학회 논문지, 19(5), 190-198.

구, 15(2), 117-129. 회지, 15(4), 262-269. https://doi.org/10.4069/kjwhn.2009.15.4.261

정지현 (2010). 구성주의에 근거한 자기주도학습 및 문제해결학습의 원리와 절 호학회지, 44(6), 617-629. https://doi.org/10.4040/jkan.2014.44.6.617 최미경 (2011).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간의 관

계. 아동학회지, 32(2), 105-121.

최효식 (2017). 만 5세 이하 자녀를 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 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2), 61-81.

통계청 (2018. 11. 23). 지역별 다문화 출생. http://kosis.kr/statHtml/statHtml.d

o?orgId=101&tblId=DT_1BB0006&vw_cd=MT_ZTITLE&list_id=A2_5&s 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

=MT_ZTITLE

통계청 (2018. 7. 20). 결혼이민자현황. http://www.index.go.kr/potal/stts/idxMai n/selectPoSttsIdxMainPrint.do?idx_cd=2819&board_cd=INDX_00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p. 118).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Bornstein, M. H. (2017). Parenting in acculturation: Ttwo contemporary research designs and what they tell us. Current Opinion in

Psychology, 15, 195-200. https://doi.org/10.1016/j.copsyc.2017.03.020 Bornstein, M. H., Cote, L. R., Haynes, O. M., Hahn, C. S., & Park, Y.

(2010). Parenting knowledge: Experiential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in European American mothers of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46(6), 1677-1693. https://doi.org/10.1037/a0020677

Day, J. J., & Sanders, M. R. (2018). Do Parents Benefit From Help When Completing a Self-Guided Parenting Program Onlin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Triple P Online with and without Telephone Support. Behavior Therapy, 49(6), 1020-103.

https://doi.org/10.1016/j.beth.2018.03.002

Floyd, F. J., Gilliom, L. A., & Costigan, C. L. (1998). Marriage and the parenting alliance: Longitudinal prediction of change in parenting perception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9(5), 1461-1479.

https://doi.org/10.2307/1132278

Johnst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2), 167-175.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802_8

Khan, S. (2013). The one world school house. New York, (NY): Grand Central Publishing.

Koniak-Griffin, D., Logsdon, M. C., Hines‐Martin, V., & Turner, C. C.

(2006). Contemporary mothering in a diverse society.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35(5), 671-678.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6.00089.x 

Lutenbacher, M., Elkins, T., Dietrich, M. S., & Riggs, A. (2018). Correction

to: The Efficacy of Using Peer Mentors to Improve Maternal and Infant Health Outcomes in Hispanic Families: Findings from a Randomized Clinical Trial.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22(1), 124-124. https://doi.org/10.1007/s10995-018-2532-z

Özkan, H., & Polat, S. (2011). Maternal identity development education on maternity role attainment and my baby perception of primiparas. Asian Nursing Research, 5(2), 108-117.

Pender, N. J., Murdaugh, C. L., & Parsons, M. A. (2010).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6th ed). New Jersy, NJ: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Walsh, A. M., Hamilton, K., White, K. M., & Hyde, M. K. (2015). Use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to manage children’s health care: A prospective study investigating parental decision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5(1), 131.

Weitlauf, A. S., Vehorn, A. C., Taylor, J. L., & Warren, Z. E. (2014).

Relationship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Autism, 18(2), 194-198.

부록 1. 연구 대상자 설명문과 동의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