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9-108)

교육적 오락물과 관련된 후속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교육적 메시지의 분량에 대한 연구이다.교육적 오락물은 교육적 메시지와 오락적 요소가 혼합된 것이다.지나친 교육과 충분치 않은 오락이나 반대로 지나친 오락이나 충분히 않은 교육,혹은 질 낮은 오락물 등은 교육적 오락물의 효과를 반감시킬 수가 있다.따라서 향후에는 교육적 오락물에 삽입될 교육적 메시지의 질이나 크기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교육적 메시지의 삽입 위치에 대한 연구이다.교육적 오락물에 삽입되는 교육적 메시지도 하나의 설득 메시지이다.이러한 설득 메시지를 프로그램의 앞에 넣는 것이 효과적인지 아니면 중간

에 넣는 것이 효과적인지,프로그램의 끝 부분에 넣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 하다.

셋째,교육적 메시지의 반복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교육적 오락물에서 교육적 오락물을 너무 반 복 노출하게 되면 오히려 시청자들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할 수도 있다.그렇다고 너무 노출하지 않 으면 시청자들로 하여금 메시지를 인지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얼마나 자 주 메시지가 반복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교육적 오락물의 장르에 관한 문제이다.교육적 오락물은 드라마,뮤직,시트콤,오락 프로 그램 등 다양한 장르를 통해 방영되고 있다.이러한 다양한 장르 중에서 어떤 장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에 대한 연구도 향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메시지 형식에 대한 연구이다.청각적인 메시지가 효과적인가 아니면 시각적인 메시지가 효과적인가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미디어에 대한 연구이다.지금까지 저개발국 중심으로 이루어진 교육적 오락물의 실행은 주로 라디오나 TV에 의존해 왔다.그러나 최근 인터넷,SNS등 다양한 미디어들이 등장하면서 교육 적 오락물도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고 있다.다라서 향후에는 어떤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일곱째, 주제에 관한 연구이다.지금까지 교육적 오락물은 건강과 관련된 것이 주된 이슈였다.

그러나 최근 사회문제,안전 등 등 교육적 오락물에서 다루는 내용이 다양화되고 있다.그렇다면 교육 적 오락물에서는 어떤 이슈 주제가 효과적인가에 대한 연구도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 여덟째,정책적․윤리적 연구도 고려되어야 한다.다시 말하면 교육적 오락물의 실행과정 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언론의 표현자유 침해에 대한 실무적 차원의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실제적으로 많은 교육적 오락물들이 정부나 관련단체의 주도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한다 면,교육적 오락물의 실행 자체가 언론 자유라는 명제와 부딪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따라서 교육적 오락물을 실행하는데 있어 효과와는 별도로 정책적․윤리적 문제는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과제 임이 틀림없다.그러므로 교육적 오락물과 관련된 향후 연구에서는 정책적․윤리적 문제가 충분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상희·조은정(2009). TV 프로그램 장르별 의사사회상호작용 차원에 관한 연구.『한국방송학보』, 23(2), 51-101.

권호천(2007). 장르별 TV 프로그램(드라마, 오락, 시사)에 대한 수용자 관여도의 차이 분석: 프로슈머로 변화하는 능동적 수용자들의 게시판 이용을 통한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미디어 경제와 문 화』, 특별 세미나 발표논문.

권호천(2008). TV 프로그램 시청자 게시판에서의 수용자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비교분석: 퓨전 판타지 역사 드라마 <태왕사신기>를 중심으로.『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0, 121-163.

김계수(2004).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

김상근(2007). TV오락 프로그램의 오락성 요인에 관한 연구.『주관성 연구』, 15, 57-75.

김선남(2008).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TV드라마 시청행태에 관한 연구.『언론과학연구』, 8(2), 122-148.

김선정·이양환(2011). 스포츠 방송중계에서 제시된 가상광고와 TV광고의 인지효과 비교: 브라켓과 카 모델의 적용.『한국방송학보』, 25(2), 40-76.

김정기(1995). 텔레비전 등장인물과 청소년 시청자의 의사인간관계.『한국방송학보』, 19(1), 255-285.

김정기(1996). 텔레비전 선거관련 정치뉴스의 이용과 효과연구: 1996년 15대 국회의원 선거와 관련하 여『의정연구』, 3, 155-190.

김정기(1999). 수용자의 반란에 대한 인식: 이용과 충족 연구의 관점.『매스미디어와 수용자』(51-82 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정기(2005). 텔레비전 등장인물과 청소년 시청자의 의사(擬似)인간관계.『한국방송학보』, 19(1), 255-285.

김정기·지현정(2003). 날씨 프로그램의 시청동기, 시청경험, 시청효과.『한국방송학보』, 17(2), 81-110.

김종화·유홍식(2012). 건강보도에서 획득ㆍ손실 프레임과 예시가 이슈의 지각과 예방행위 의도에 미 치는 영향.『한국언론학보』, 56(1), 5-30.

김효정·유상진(2009). 모바일 광고 수용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 미국, 일본 간 비교를 중심으로.『한국산업정보학회』, 14(5), 209-225.

남종훈(2007). DMB의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위성 DMB와 지상파 DMB의 비교를 중심으로.『언론 과학연구』, 7(2), 143-188.

박웅기(2003). 좋아하는 텔레비전 등장인물들의 특성에 대한 시청자들의 반응: 의사사회와 동일화 현 상을 통한 연구.『한국언론학보』, 47(1), 166-190.

박웅기(2004a).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호작용과 재방문 의도: 의사사회적 현상, 전문성, 그리고 동질 성에 관한 연구.『광고학연구』, 14(1), 31-49.

박웅기(2004b). CATV 홈쇼핑 프로그램 쇼핑 호스트에 대한 의사사회적 현상, 전문성, 그리고 동질성에 관한 연구.『광고학연구』, 15(5), 241-256.

방송통신위원회(2013).『2012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서울: 방송통신위원회.

배병렬(2004).『구조방정식모델을 위한 SIMPLIS 활용과 실습』, 서울: 청목 출판사.

배현석 (2004). 교육적 오락물(entertainment-education) 연구란 무언인가? 성과, 전망 그리고 과제.『언 론정보학연구』, 6, 41-69.

배현석(2006). 감정 및 이슈 관여가 각막기증 의향에 미치는 효과 예측모델: 정교화 가능성 모델 및 계획된 행위 이론을 중심으로.『방송연구』, 여름호, 273-301.

배현석(2008). 오락과 교육의 경계: 교육적 오락물(Entertainment-Education)이 친사회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인문연구』, 54, 191-222.

배현석․강석(2005). 각막기증 서약예측에 있어서의 이슈관여와 계획된 행위이론: 각막기증에 관한 교육 적 오락프로그램의 시청자 및 비시청자 비교를 중심으로.『한국스피치 커뮤니케이션』, 추계 학술대회발표논문, 108-123.

배현석․이병관(2003). 교육적 오락물에서의 수용자 관여와 그 선행변수들: KBS 2TV ‘부부 클리닉’의

에피소드 및 전자게시판 메시지 분석을 중심으로.『방송문화연구』, 15(2), 309-334.

송종길․박상호(2011). EBS English 시청동기가 영어능력, 관여도와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방송통신연구』, 76, 93-117.

안수근(2006). 뉴질랜드 거주 교민의 한국어 매체 이용 및 문화적응 요인.『언론과학연구』, 6(4), 203-242.

오미영․정인숙(2005).『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유세경·김명소·이윤진(2004).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태도 연구.『한국방송학보』, 18(1), 245-288.

이병관(2004). 미디어 공공 캠페인으로서의 오락적-교육물의 효과: HIV/AIDS 예방 행동에 대한 오락적 서사와 동일시의 영향을 중심으로.『한국방송학회』, 추계 학술대회 발표 논문, 65-110.

이병관·최명일(2008). 새로운 미디어 공공 캠페인으로서 교육적-오락물의 설득 효과에 대한 탐구: 텔 레비전 프로그램의 장기기증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광고학연구』, 19(1), 75-97.

이병혜(2010). 텔레비전 드라마의 시청동기와 시청행태에 관한 연구:‘아내의 유혹’을 중심으로.『한 국언론학보』, 54(2), 138-162.

이윤석(2006).『텔레비전 토크쇼 프로그램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시청효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창현(1995).『재난에 대한 한일 간 방송보도 비교연구』, 서울: 한국방송개발원.

이호준·최명일(2006). 라디오 청취동기의 요인구조와 측정척도의 개발.『방송연구』, 겨울호, 153-178.

임양준(2008). 대학생들의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시청동기 및 만족도 연구: 한국 텔레비전 드 라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한국언론정보학보』, 41, 303-337.

정재민·김영주(2007). 노인층의 텔레비전 이용행태와 충족에 관한 연구.『한국언론학보』, 51(3), 172-200.

조성호·박희숙(2009).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텔레비전 이용 동기와 만족: 대도시 거주 여성 결혼이민자

를 대상으로.『한국방송학보』, 23(6), 243-283.

조현철(1998). 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구성개념타당성 검정.『상품학 연구』, 18, 203-230.

조현철(2003).『구조방정식 모델: SIMPLIS & AMOS』, 서울: 석정.

진창현(2010). IPTV 수용자의 이용 동기가 광고 이용 의도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언론 과학연구』, 10(3), 575-617.

최양호(1999). TV뉴스 앵커의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전문성 비교분석.『한국언론학보』, 44(1), 468-488.

최양호(2003). 중국 TV 프로그램에 대한 한국 젊은이들의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황제의 딸’과

‘노방유희’를 중심으로.『한국방송학보』,17(2), 359-384.

최양호·김봉철(2006). TV광고에서의 유명인 모델과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탐색적 고찰,『한국광 고홍보학보』, 8(4), 7-27.

최양호·김주완·김정현(2009). 지역방송 채널 브랜드 자산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광주전남지역 방송 채널을 중심으로.『언론과학연구』, 9(2), 531-568.

황하성·박성복(2007). 텔레비전 시청 만족도 형성에 관한 재고찰: 시청동기, 의사인간관계, 실재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한국방송학보』, 21(5), 339-379.

Agarwal, R., & Prasad, J. (1997). The role of innovation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voluntariness in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Decision Sciences, 28(3), 557-582.

Ainslie, R .C. (2002). The Plasticity of Culture and Psychodynamic and Psychosocial Processes in Latino Immigrant Families. In: Latinos: Remaking America (Marcelo Suarez-Orozco & Mariela Páez, Eds.)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Alan, A. A. (1990). Directing Television and Film: Wadsworth, Inc. 김광호·김영룡 공역(1995).『텔레 비전 연출론』. 서울: 나남 출판.

Bai, S. Y. (2010). Constructing Racial Groups' Identities in the Diasporic Press: Internalization, Resonance, Transparency, and Offset.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13(4), 385-411.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Cliffs, N. J. : Prentice-Hall.

Bandura, A. (2004). Social cognitive theory for personal and social change by enabling media. In A.

Singhal, M. J. Cody, E. M. Rogers & M. Sabido (Eds.), Entertainment-education and social change: History, research, and practice(pp. 75-96).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Bantz, D. A. (1982). The Philosophical Basis of Cost-Risk-Benefit Analyses. PSA: Proceedings of the Biennial Meeting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Association, 227-242.

Basil, M. D. (1996). Identification as a mediator of celebrity effect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0(4), 478-495.

Bentler, P. M., & Chou, C. (1987).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16, 78-117.

Berelson, B. (1949). What “missing the newspaper” means. In P. F. Lazarsfeld & F. N. Stanton (Eds.), Communication research 1948–1949 (pp. 111–129). New York: Harper.

Blumler, J. (1979). The role of theory in uses and gratifications studies. Communication Research, 6, 9-36.

Blumler, J., & Katz, E. (1974).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Boulay, M., Storey, J. D., & Sood, S. (2002). Indirect exposure to a family planning mass media campaign in Nepal.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7(5), 379-399.

Bouman, M. P. A., Maas, L., & Kok, G. J. (1998) ‘Health Education in Television Entertainment: A Dutch Drama serial’, Health Education Research. 13(4), 503-518.

Brown, W. J. (1990). Prosocial effects of entertainment television in India.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1(1), 113-135.

Brown, W. J., & Basil, M. D. (1995). Media Celebrities and Public Health: Responses to "Magic"

Johnson's HIV disclosure and its impact on AIDS risk and high-risk behaviors. Health Communication, 7, 345-371.

Brown, W. J., & Fraser, B. P. (2004). Celebrity identification in entertainment-education. In A.

Singhal, M. J. Cody, E. M. Rogers & M. Sabido (Eds.), Entertainment-education and social change: History, research, and practice(pp. 97-115).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Brown, W. J., Basil, M. D., & Bocarnea, M. C. (2003). Social influence of an international celebrity:

Responses to the death of princess Diana. Journal of Communication, 53(4), 587-605.

Brown, W. J., Duane, J. J., & Fraser, B. P. (1997). Media coverage and public opinion of the O.J.

Simpson trial: Implications for the criminal justice system. Communication Law and Policy, 2(2), 261-287.

Burke(1945). A grammar of motives.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Chen, Y. H., Francis, J. A. and Miller, J. R. (2002). Surface temperature of the Arctic: Comparison of TOVS satellite retrievals with surface observations. J. Climate, 15, 3698-3708.

Cohen, J., & Cohen, P. (1983). Applied muliple regressin/correlation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Hillsdale, NJ: Erlbaum.

Collins, R. L., Elliott, M. N., Berry, S. H. Kanouse, D. E., & Hunter, S. B. (2003). Entertainment Television as a Healthy Sex Educator: The Impact of Condom-efficacy Information in an Episode of Friends, Pediatrics, 112(5), 1115-1121.

Croteau, D., Hoynes, W., & Milan S. (2012). Media Society (4th ed).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DeVito, J. A. (2000). Human communication: The basic course(8th ed.). New York : Addison Wesley Longman.

Eighmey, J. (1997). Profiling user responses to commercial Web sit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7, 59-66.

Eighmey, J. & McCord, L. (1998), Adding value in the information age: uses and gratifications of sites on the World Wide Web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 41(3), 187-94.

Forbes, (2000). Prime-time propaganda: How the White House secretly hooked network TV on its anti-drug message. Retrieved June 6, 2003, from http://www.mapinc.org/drugnews/v00/n043/a09 .html? 126

Fraser, B. P., & Brown, W. J. (2002). Media, celebrites, and social influence: Identification with Elvis Presly.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5, 185-208.

Galavotti, Christine, Pappas-Deluca Katina A., & Lansky Amy(2001). Modeling and reinforcement to combat HIV: The MARCH approach to behavior chang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1(10), 1602-1607.

Green, M. C., & Brock, T. C. (2000). The role of transportation in the persuasiveness of pubblic narrativ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5), 701-721.

Greenberg, B. S. (1974). Gratifications of television viewing and their correlates for British children.

In J. G. Blumler & E. Katz (Eds.),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s: Current perspectives on gratifi- cations research (pp. 71–92). Beverly Hills, CA: Sage.

Greenberg, B. S., Salmon, C. T., Patel, D., Beck, V., & Cole, G. (2004). The Evolution of an E-E research agenda. In A. Singhal, M. J. Cody, E. M. Rogers & M. Sabido (Eds.), Entertainment-education and social change: History, research, and practice(pp. 191-206).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Gunther, A., & Storey, J. D. (2003). The influence of presumed influ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53(2), 199-215.

Hair, J. F. Jr.,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ition).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Harris, P. L. (1989). Children and emo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Herzog, H. (1940). Professor quiz: A gratification study. In P. F. Lazarsfeld & F. N. Stanton (Eds.), Radio and the printed page (pp. 64–93). New York: Duell, Sloan & Pearce.

Herzog, H. (1944). What do we really know about daytime serial listeners? In P. F. Lazarsfeld & F.

N. Stanton (Eds.), Radio research 1942–1943 (pp. 3–33). New York: Duell, Sloan & Pearce.

Hornik, R. (Ed.) (2002). Public health communication: Evidence for behavior change. Mahwah, N. 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orton, D., & Wohl, R. R. (1956). Mass communication and para-social interaction: Observation on intimacy at a distance. Psychiatry, 19(3), 188-211.

Houlberg, R. (1984). Local television news audience and the para-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Broadcasting, 28, 423-429.

Jato, M. N., Simbakalia, C., Tarasevich, J. M., Awasum, D. N., Kihinga, C. N. B., & Ngirwamungu, E.

(1999). The impact of multimedia family planning promotion on the contraceptive behavior of women in Tanzania. International Family Planning Perspectives, 25(2), 60-67.

Jöreskog, K. G. & Sörbom, D. (2002). Lisrel 8.52.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Kane, T. T., Gueye, M., Speizer, I., Pacque-Margolis, S., & Baron, D. (1998). Impact of family planning multimedia campaign in Bamako, Mali’, Studies in Family Planning, 29(3), 309–323.

Katz, E. (1959). Mass communication research and the study of culture. Studies in Public Communication, 2, 1-6.

Katz, E., Blumler, J., & Gurevitch, M. (1974).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s: Current perspectives on gratifications research. Beverly Hills, CA: Sage.

Katz, E., Gurevitch, M., & Haas, H. (1973). On the use of the mass media for important thing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8, 164-181.

Keller, S. N. (1997). Media can contribute to better health. Network, 17(3), 29-31.

Keller, S. N., & Brown, J. D. (2002). Media interventions to promote responsible sexual behavior. The Journal of Sex Research, 39(1), 67-72.

Kiingi, L. R. (1998). Evaluation of the video Time to Care: The dilemma. Report prepared for the Delivery of Improved Services for Health(DISH) Project.

Kim, J., & Rubin, A. M. (1997). The variable influence of audience activity on 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24, 107-135.

Kim, Y. M., & Marangwanda, C. (1997). Stimulating men’s support for long-term contraceotion: A campaign in Zimbabwe.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 271-297.

Kincaid, D. L. (1999). Impact of the Sabuj Sathi television drama of Bangladesh: Key findings.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Center for Communication Programs. Unpublished report.

Kincaid, D. L. (2000). Social networks, ideation, and contraceptive behavior in Bangladesh: A longitudinal analysis. Social Science & Medicine, 50, 215-231.

Kincaid, D. L. (2002). Drama, emotion, and cultural convergence. Communication Theory, 12(2), 136-152.

Kincaid, D. L., Figueroa, M. E., Storey, D., & Underwood, C. (1999). Ideation and contraceptive behaviour: The relationship observed in five countries,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New York City, March 25–27.

Kincaid, D. L., Yun, S. H., Piotrow, P. T., & Yaser, Y. (1993). Turkey’s mass media family planning campaign. In T. E. Backer & E. M. Rogers (Eds.), Organizational aspects of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s: What works? (pp. 68–92). Thousand Oaks, CA: Sage

Kopfman, J. E., Smith, S. W., Yun, J. K. A., & Hodges, A. (1998). Affective and cognitive reactions to narrarive versus statistical evidence organ donation message.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26, 279-300.

Krugman, H. E. (1966). The measurement of advertising involvement. Public Opinion Quarterly, 30, 583-596.

Law, S., & Singhal, A. (1999). Efficacy in Letter-Writing to an Entertainment-Education Radio Serial.

Gazette, 61(5): 355-372.

Levy, M. R. (1979). Watching TV news as para-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Broadcasting, 23(1),

69-80.

Levy, M. R., & Windahl, S. (1985). The concept of audience activity. In K. E. Rosengren, L. A.

Wenner, & P. Palmgreen (Eds.), Media gratifications research: Current perspectives (pp.

109-122). Beverly Hills, CA: Sage.

Liebes, T. & Katz, E. (1990). The Export of Meaning: Cross-Cultural Readings of Dallas. Oxford University Press.

Lozare, B. V., Hess, R., Yun, S. H., Gill-Bailey, A., Valmadrid, C., Livesay, A., Khan, S. R., &

Siddiqui, N. (1993). Husband-wife communication and family planning: Impact of a national television drama. Paper presented at the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San Fransisco.

MacCallum, R. C., Browne, M. W., & Sugawara, H. M. (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2), 130-49.

Macionis, J. J. (1995). Sociology (5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Mathieson, K. (1991). Predicting user intentions: Compar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 173-191.

McCutcheon, L. E. Lange, R., & Houran, J. (2002).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celebrity worship.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3, 67-87.

McKinlay, J. B., & Matceau, L. D. (1999). A tale of 3 tail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9, 295-298.

McQuail, D., J. Blumler & R. Brown (1972). The television audience: a revised perspective in D.

McQuail (ed.): Sociology of Mass Communication. London: Longman.

Meyer, T. P. (1973). Research Reviews: Television and Social Behavior, Reports and Papers, Vol Ⅱ.

Educational Broadcadting Review, 7(3), 191-201.

Murdoch, G. (1980). Radical drama, radical theater. Media, Culture, & Society, 2, 151-168.

Murphy, S. T., & Cody, M. (2003). Summary report: Developing a research agenda for entertainment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9-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