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후속과제 제안

Ⅳ. 결론과 향후과제

2) 후속과제 제안

○ 도시포용성은 도시정책의 현안이자 추구해야할 미래비전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이 예상되므로 지속적인 관련연구가 필요함

○ 2016년 10월 포용도시를 주요의제로 다루고 있는 헤비타트3 선언문이 공표되기 에 앞서 향후 20년의 새로운 도시아젠다의 향방을 가늠하고 한국사회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선제적 연구가 요구됨

○ 무엇보다도 현 한국도시가 도시포용성의 관점에서 어떠한 수준까지 도달해 있고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세부적인 현황 파악이 필수적임

○ 이런 이유로 도시포용성의 관점에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한 진단지표개발, 그리고 지표를 시범도시에 적용해보면서 실질적으로 정책수립에 있어서 어떠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

○ 진단지표를 만들고 시범적용하게 되면 더욱 강화해야 할 영역(역량강화), 우선적 으로 감소해야할 취약한 영역 파악(취약성 감소), 또는 부가적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개선해나가야 할 영역(참여지원) 등이 파악이 되는데, 이 때 문제점을 개선하고 도시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한 시책을 제안할 수 있어야 함.

이를 위해서는 진단지표 개발과 적용 이후에도 계속적인 모니터링 절차마련이 필요

○ 또한, 진단지표를 개발하고 이에 기초하여 도시계획수립 시 《도시포용성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지침》을 마련하는 것을 중앙정부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면, 과연 광역 및 기초지자체의 역할은 무엇인지,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어떻게 포용성 향상을 위해 조직, 자원, 예산 측면에서 협력할 수 있는지 도시거버 넌스 구축방안을 제안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함

참고문헌 75

R E F E R E N C E

1

참고문헌

김순양, 이지영, 남경선. (2008). 저숙련 외국인노동자의 사회적 배제와 정책적 대응.

아태연구, 15(2), 1-30.

김승민. (2011). 프랑스 이민자 소요사태의 발발 원인 분석. 한국프랑스학논집, 74, 265-282.

김태선, 남진, 이도길. (2015). 서울시 주택재개발ㆍ주택재건축사업 추진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국토계획, 50(5), 169-185.

김혜정. (2007). 독일 여성장애인의 고용확대 문제에 대한 고찰. 직업재활연구, 17(1), 101-119.

노재철. (2015). 임금피크제 도입운영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1), 93-103.

박세훈. (2015).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운영특성 연구. 도시행정학보, 28(3), 75-104.

박세훈, 정소양. (2010).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 국토연구,59-76.

박인권. (2015). 포용도시: 개념과 한국의 경험. 공간과 사회. 25(1): 95-139 박태원, 천현숙. (2012). 여성친화도시의 개념과 도시계획 구성요소. 국토(구 국토정보),

(구 국토정보다이제스트),29-40.

배준구. (2014). 프랑스의 도시간 협력. 사회과학연구, 30(4), 499-521.

송석원, 이소영, 김나경. (2011).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근로자 지원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디아스포라연구, 5(2), 29-62.

신중진, 김일영, 배기택. (2013). 지역공동체 역량강화를 위한 마을만들기 추진방안 연구. 국토계획, 48(6), 43-56.

76 포용도시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이상훈, 황지욱. (2013). 도시재생의 정책 배경과 패러다임의 전환. 국토계획, 48(6), 387-410.

이선화. (2008). 외국인노동자 유입에 대한 도시지역 원주민의 대응. 비교문화연구, 14(2), 123-166.

이성균. (2009). 한국사회 청년층의 사회적 배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 집,569-581.

이성근, 최민아. (2012). 보를로법에 의한 프랑스 국가도시재생프로그램(PNRU) 및 도시재생사업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7(4), 15-33.

이석현. (2015). 다문화지구의 주거지속성을 위한 공간인식 조사. 디자인학연구, 28(2), 121-134.

이해진. (2015). 사회적경제와 지역발전. 한국사회학, 49(5), 77-111.

양기용. (2011). 사회서비스 정책참여자 관계 변화와 정책관리 방향. 동향과전망,9-44.

엄한진. (2007). 프랑스 이민통합 모델의 위기와 이민문제의 정치화. 한국사회학, 41(3), 253-286.

여관현, 최근희. (2012). 정책네트워크 관점의 도시재개발사업 갈등구조 연구. 도시행정학 보, 25(1), 109-137.

정인철, 배미애. (2007). 도시정책논리에 의한 사회공간적 배제 : 프랑스 ZUS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2(1), 63-81.

최민아. (2011). 프랑스 도시연대및재생에관한법률(SRU법)의 연대(Solidarité) 개념의 구체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6(7), 5-20.

최민아, 이성근. (2012). 프랑스 도시지역계획(Plan Local dʼUrbanisme)의 도시관리계 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3(2), 85-104.

천현숙, 오민준. (2013). 노인주거문제와 지원방안. 국토정책 Brief,1-6.

하성규. (2006). 커뮤니티 주도적 재개발의 새로운 접근. 도시행정학보, 19(2), 25-47.

함영진, 김종수. (2011). 로컬 거버넌스와 사회적 기업의 역할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4(4), 365-383.

허영식, 정창화. (2012). 프랑스와 독일의 사회통합정책 비교분석. 한·독사회과학논총,

참고문헌 77 22(1), 71-98.

ADB (Asian Development Bank). (2008a). Asian Development Bank’s Involuntary Resettlement Safeguards, Project Case Studies in the Philippnes, Evaluation Study. Quezon City: Asian Development Bank

ADB (Asian Development Bank). (2008b). Strategy 2020: The Long-Term Strategic Framework of the Asian Development Bank 2008–2020. Manila.

ADB (Asian Development Bank). (2010). Access to Justice for the Urban Poor:

Toward Inclusive Cities. Mandaluyong City.

ADB (Asian Development Bank). (2011). Inclusive Cities. Mandaluyong City.

Beland. D. (2007). The Social Exclusion Discourse: Ideas and Policy Change. The Policy Press. 35(1):123-39.

Booth, T. (1996). A perspective on inclusion from England,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26, 1, 87–99.

Booth, T. and Lynch, J. (2003). Overcoming Exclusion through Inclusive Approaches in Education: A Challenge and a Vision: Conceptual Paper. Paris:UNESCO.

Frederickson, N. and Cline, T. (2002). Special Educational Needs, Inclusion and Diversity: a textbook. Maidenhead. Open University Press

DCLG. (2011). A plain English guide to the Localism Act.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London. Available at:

https://www.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

file/5959/1896534.pdf

DCLG. (2011). National Planning Policy Framework.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London. Available at:

https://www.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

file/6077/2116950.pdf

EUKN. (2014). The Inclusive City: approaches to combat urban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in Europe. European Urban Knowledge Network. Hague.

78 포용도시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Gabot. D. (1972). The Mature Society. Praeger.

Jamet. S. (2007). Combating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in France, OECD Economic Department Working Papers No. 569. OECD Publishing, Paris.

http://dx.doi.org/10.1787/132152357058 [access. Dec. 21.2015]

Manns, .J., (2010). Beyond Brudtland's Compromise, Town & Country Planning, pp. 337-340

OECD. (2014). Report on the OECD Framework for Inclusive Growth. Paris.

Porio. E(2009). Urban Transition, Poverty, and Development in the Philippines. A preliminary draft, Ateneo de Manila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ology and Anthropology. Retrieved from http://pubs.iied.org/pdfs/G02570.pdf

Quick.S. & Feldman S.(2011). Distinguishing Participation and Inclusion.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31(3):272-290

World Bank. (2009). What is Inclusive Growth? World Bank, Washington DC.

World Bank (2010a). Climate Risks and Adaptation in Asian Coastal Megacities:

A synthesis report. Washington, D.C.: World Bank

World Bank (2010b). Natural Disasters, Unnatural Hazards: the Economics of Effective Prevention. Washington. D.C.: World Bank

UN. (2015). Open Working Group Propos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vailable at http://undocs.org/A/68/970

UN-Habitat. (2015). Habitat III Issue Papers 1-Inclusive Cities. UN-Habitat, N.Y.

http://unhabitat.org/wp-content/uploads/2015/04/Habitat-III-Issue-Paper-1_In clusive-Cities-2.0.pdf [access. Dec. 21.2015]

UN-Habitat. (2015). Habitt III Policy Paper. UN-Habitat, N.Y.

https://www.habitat3.org/the-new-urban-agenda/policy

SUMMARY 79

S U M M A R Y

SUMMARY

Keywords: Inclusive Cities, Inclusive Growth, Social Exclusion, Participation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inclusive cities and to establish an analytical framework for policy-making processes of inclusive cities in a Korean context, so that this framework can contribute to evaluate and interpret the existing related sectoral policies in Korea. By analyzing similar and opposite concepts to inclusive cities, this research trie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nclusiveness means?(concept) If inclusiveness is enhanced, what kind of urban issues are addressed?(challenges) And what policy measures can be suggested to increase inclusiveness?(priority) From the perspective of inclusiveness, this research proceeds a comparative study on internal and external cases. Based on this case study, future and evaluation index is developed.

Inclusive cities refer to the city where anyone can benefit from the fruits of economic growth, equal access to public services and opportunities is guaranteed, and for these visions, socially excluded groups can also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which directly affects their everyday lives. The term inclusive cities are used interchangeably in the international scene, but there is a room for maneuver according to income levels, national contexts, and urban attributes.

80 포용도시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Diverse challenges that each nation and city faces should be considered for policy-making and it is needed to note that the way of defining the term is not the only. If inclusiveness increases, access to infrastructure, basic services, productive jobs and economic opportunities is enhanced. Increasing inclusiveness can contribute to reducing disparity between regions induced by inner-urban decline and population decrease, and creating productive jobs for socially vulnerable groups such as informal workers and migrants. Index system for measuring inclusivenes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future index and evaluation index. This system consists of 4 areas(capacity, participation, exclusion, and vulnerability), 12 subdivided areas(including 6 future index and 6 evaluation index), and 24 specific index.

When local governments establish visions or urban plans, it is primordial to set up a goal of evaluating the existing condition and increasing inclusiveness.

For this target, cooperation amongst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authorities, and civil society is essential―namely, building a cooperative governance. Inclusive cities is based on inclusive growth(differently put, inclusive growth is an engine for building inclusive cities). For inclusive growth, socially excluded vulnerable groups such as low-income workers of informal sector, migrants and women should be considered one of main agents of economic activity. Inclusive growth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revolving around decent productive job creation.

For strengthening individual capacities,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such s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is critical.

For a Korean inclusive city plan(K-model), the following is suggested: designing the most subdivided detailed index for evaluation and establishing an operating system through civic engagement; setting up a presidential committee; and providing a guideline at the national level for considering inclusiveness in a planning stage.

수시 15-18

포용도시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지 은 이 김수진 발 행 인 김동주 발 행 처 국토연구원 출판등록 제25100-1994-2 인 쇄 2015년 12월 31일 발 행 2015년 12월 31일

주 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254 전 화 031-380-0114

팩 스 031-380-0470 가 격 5,000원

ISBN 979-11-5898-042-9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분야 분류코드 B170300 홈페이지 http://www.krihs.re.kr

Ⓒ 2016, 국토연구원

이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국토연구원의 자체 연구물로서 정부의 정책이나 견해와는 상관없습니다.

이 연구보고서는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