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건설현장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및 재해 예방기술지도가 재해 저감과 어떤 상관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는 데 있다.

소규모 건설현장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재해예방기술지도, 재해 저감의 정의와 개념은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고 측정 도구도 살펴보 았다. 그리고 가설을 설정하기 위해 각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 다.

이 연구의 대상 및 모집단은 소규모 건설현장의 근로자이다. 하지 만 국내 건설현장은 소규모, 중규모, 대규모로 분류되고 정부공사, 민간공사에 대한 관련 법규 적용이 현장의 특성에 따라 다르고 산 업안전보건관리비도 다르게 집행되는 탓에 그 실태를 정확히 파악 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이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의 민간 소규모 건축공사장에서 건축, 토목, 전기, 통신, 기계, 소방, 환경, 조경 분야에 종사하는 근로자로 모집단을 한정하여 표 집하였다.

연구의 관계 검증을 위해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재해예방기술지도, 재해 저감 도구와 인구통계학적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이메일과 모바일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유의 표집 방식을 활용하여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예비조사로 70부를 분석하였고 본조사로 229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를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212부를 분석하 였다.

문항은 모두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각 측정 도구별 신 뢰도는 안전관리비 계상항목 .921, 안전관리비 사용 적정성 .862, 기 술지도 평가 .939, 기술지도 유효성 .938, 기술지도 만족도 .913으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모든 분석 을 실시함에 있어 통계적 유의수준은 5%로 설정했다. 주요 통계 방 법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 편차 등의 기술 통계를 활용하였으며, 변인 간의 관계 및 영향 관계 구명을 위해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분 석,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통해 위계적 회귀 분석으로 유의성을 검증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 저감과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재해예 방기술지도의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어 변인 간 관계를 타 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재해 저감의 하위요인인 인적 요인, 설비적 요인, 관리적 요 인, 작업환경적 요인과 각 변인들과의 상관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 적 요인은 안전관리비 사용 적정성(r=.120)이 가장 높은 반면 기술 지도 만족도(r=-.105)는 낮게 나타났다. 변수들과의 상관 관계는 -.105-.120으로 전반적으로 낮았다.

설비적 요인은 기술지도 유효성(r=.235)이 가장 높았고 기술지도

평가(r=.091)는 낮게 나타났다. 변수들과의 상관 관계는 .091∼.235로 전반적으로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를 보였 다.

관리적 요인은 설비적 요인(r=.286)이 가장 높았고 기술지도 유효 성(r=-.034)이 낮게 나타났다. 변수들과의 상관 관계는 -.034-.286으 로 전반적으로 낮았다.

작업환경적 요인은 관리적 요인(r=.900)이 가장 높았고 안전관리비 사용 적정성(r=.041)이 낮게 나타났다. 변수들과의 상관 관계는 .041-.900으로 전반적으로 높았다.

셋째, 소규모 건설현장의 다중 회귀 분석에서 안전관리비 적정성 (β=.148, p<.01), 재해예방기술지도(β=.567, p<.01)는 모두 재해 저감 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전관 리비 사용 적정성이 높을수록, 재해예방기술지도 횟수가 높을수록 재해 저감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위계적 회귀 분석은 SPSS 통계방법론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 모델 1은 안전관리비 계상항목 및 사용 적정성이 재해 저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유의성 검증으로, 안전관리비 계상항목(β= .130)은 재해 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모델 2는 기술지도 평가, 유효성, 만족도가 재해 저 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기술지도 평 가(β=.158)는 재해 저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지도 만족도(β=-.162, p<.05)는 인적 요인에 유의한 부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지도 만족도가 낮을수록 휴먼 에러가 높아지므로 기술지도요원의 교육 만족도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작업자의 개인적인 특성으로 인해 인적 재해 요인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기술지도 유효성(β=.164, p<.01)은 설비 적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술 지도 후 근로자에게 피드백과 지적사항 개선이 높을 때 설비의 작 동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관리비 계상항목 및 사용 적정성, 기술지도 평가, 유효성, 만족도는 모두 관리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통계적으로 0.05% 내에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으면 10%

내에서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다중 회귀 분석에서 안전관리비 적정성 및 재해예방기술지도 가 재해 저감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관 리비, 재해예방기술지도는 모두 재해 저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 을 미쳤다. 이는 안전관리비 사용 내역이 높을수록, 재해예방기술지 도 횟수가 높을수록 재해 저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를 종합 분석 한 결과 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 영향 요인 중 가장 강도가 높은 것은 4M 중 관리적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세부 요인을 살펴보면 인 적 요인은 작업자의 개인적 특성, 설비적 요인은 기계·설비 등의 자 체적인 결함 및 기계·설비에 대한 점검 및 정비 미흡, 관리적 요인 은 안전관리계획 미흡, 작업환경적 요인은 부적절한 작업 지시로 확

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 임동준(2018)과 김동욱(2019), 장 윤라(2019)의 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셋째, 위계적 회귀 분석에서 소규모 건설현장의 산업안전보건관리 비가 재해 저감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모델 1은 안전관리비 계 상항목 및 사용 적정성이 재해 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 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안전관리비 계상항목과 사용 적정성의 하위 변인들이 다수 포함되지 않았거나 통계적으로 0.05% 내에서 유의하 게 나타났지 않으면 10% 내에서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임을 의미한 다. 모델 2는 기술지도 평가, 유효성, 만족도를 투입한 결과 기술지 도 평가(β= .158)가 재해 저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지도 평가가 높을 수록 재해 저감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나머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 지 않았다.

넷째, 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 저감을 높이는 구체적인 해결방안으 로 먼저, 작업자들이 불안전한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기 위한 통제가 우선되어야 하며 현장으로 건설 자재 및 장비 반입 시 철저한 인수 검사와 장비 운전원에게 사전점검 및 정비의 중요성을 인식시켜주 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사업 전 과정에서 주기적인 모니터링 을 통해 안전관리계획의 이행을 강화해야 하며, 작업 전 안전회의를 통해 안전하고 적절한 작업 방법을 지시해야 한다. 또한 기술지도 전담 관리자를 별도로 지정하거나 현장소장이 기술지도를 받게 한 다. 안전에 대한 책임의식과 기술지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서는 기술지도 전문기관이 권고한 사항에 대한 개선 여부를 감시·감

독하고, 사업장의 권고사항 개선 여부와 기술지도 참여율을 반영하 여 사업장을 평가하는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재해예 방기술지도 및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시 인적·설비적 요인이 크 므로 안전관리비의 비중을 확대할 수 있도록 낙찰률에 관계없이 안 전관리비를 별도 계상하는 동시에 안전설비에 다양하게 사용 가능 하도록 확대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