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 저감과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정성 및 재 해예방기술지도의 관찰 변인 측정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각 관찰 변 인을 측정하는 도구를 선정하였다.

이때 측정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연구 문항을 사용하 였다. 연구자가 설정한 조사 도구는 산업안전보건관리비 16문항, 재 해예방기술지도 15문항, 재해 저감 20문항, 인구통계학적 특성 11문 항으로 총 6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변인 및 측 정 내용은 <표 Ⅵ-1>과 같다.

<표 Ⅳ-1> 연구 변인의 설문지 구성

문항 분석, 상관 분석, 신뢰도 분석을 위한 통계치 검토기준은 다 음과 같다. 또한 모형 검증을 위해 문항 분석, 상관 관계 분석, 신뢰 도 분석 등으로 통계치를 검토하였고, 본 조사를 위한 최종 문항을

<표 Ⅳ-2>와 같이 확정하였다.

<표 Ⅳ-2> 측정 도구의 통계치 검토 기준

구분 문항 수 문항 번호 출처

산업안전보 건관리비

안전관리비 계상 항목 8 1~8

안전관리비 사용 적정성 8 1~8 김기태

재해예방 기술지도

기술지도 평가 5 1~5

임동준 기술지도 유효성 5 6,7,8,9,10

기술지도 만족도 5 11~15

재해 저감

인적 요인 5 1,2,3,4,5

김기태 임동준 설비적 요인 5 6,7,8,9,10

관리적 요인 5 11~15

작업환경적 요인 5 16,17,18,19,20 인구통계학적 특성

(성별, 연령, 직종, 업무 형태, 경력) 11 1~11

전체 문항 수 62 역문항

구분 내용

문항 분석

평균 중앙값에 근접하는 수치여야 하며, 평균값이 1.4∼4.5일 때 수용 가능함(5점 척도)(Meri & Gati, 1981)

표준 편차 분포가 흩어져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며, .75 이 상일 때 수용 가능(Meri & Gati, 1981)

왜도 분포의 모양이 좌우 대칭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수치 이며, 왜도 <±2를 기준으로 제시(이종범, 2005)

첨도 분포의 뾰족함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며, 첨도 <±2 를 기준으로 제시(이종범, 2005)

문항=전체 상관

일반적으로 3 이상이면 의미 있는 상관이라 여겨지며, 문항이 해당하는 하위요인이 아닌 다른 요인과 상관계 수가 더 높을 경우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함

상관 분석 상관계수 .3 이상 (p<.05)

신뢰도 분석 내적 일치도 계수 .7 이상

가. 재해 저감

이 연구에서 재해 발생 요인 척도를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임동준, 2018)에서 재인용하여 사용하였다.

<표 Ⅳ-3>과 같이 재해 발생 요인의 하위요인을 인적 요인, 물적 요인, 관리적 요인, 작업환경적 요인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우선 인적 요인 항목으로 “안전보호장치를 해체”한 경험, “기계·장 치 등을 지정” 이외의 방법으로 사용한 경험, “신호수가 없는 상태”

에서 장비 이동을 한 경험, “유해·위험 요인 파악”을 하지 않고 작

업을 한 경험, 결함이 있는 ”기계, 장치, 공구, 용구 등”을 사용한 경 험으로 구성하였다. 물적 요인 항목으로 “장비 노후화”로 인한 어려 움, “유해 구간의 색상 표지의 결함”으로 인한 어려움, “작업 통로 미확보”로 인한 어려움, “공구, 작업장비의 점검 불량”으로 인한 어 려움, “산소 농도 부족 및 환기 불량”으로 인한 어려움으로 구성하 였다.

관리적 요인 항목으로 “안전관리비 사용 여부”가 적정, “안전보건 교육 내용”이 적정, “안전보건 교육의 주기 및 시간”이 적정, “위험 성 평가 실시기준”이 적정, “안전표지 종류, 형태, 부착”이 적정으로 구성하였다. 작업환경적 요인 항목으로 “작업 장소 공간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리프트 작업 시 작업 동작”의 불편, “작업 방법”이 작 업 지침대로 이루어짐, “작업 환경”으로 인한 방해 경험, “정리정돈”

의 습관화로 구성하여 Likert 4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 지 않다, 3=그렇다, 4=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였다. 전체 신뢰도계수 Cronbach's s-a는 .861로 신뢰수준이 높게 확인되었다.

<표 Ⅳ-3> 재해 저감의 내적 일치도 계수

변인 문항 수 문항 번호 내적 일치도

인적 요인 5 1~5 .851

물적 요인 5 6~10 .842

관리적 요인 5 11~15 .845

작업환경적 요인 5 16~20 .842

전체 20 1~20 .861

나.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

이 연구에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 척도를 활용하기 위하여 김 기태(2019)의 연구에서 재인용하여 사용하였다.

<표 Ⅳ-4>와 같이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본사 안전 전담 부서와 건설현장에서 산업 재해 예방을 위하여 근로자의 안전·보건 확보에 필요한 비용을 말한다. 건설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기준 하위요인 으로 비용 사용 적정성, 계상항목 적정성에 대한 척도는 건설 산업 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서 재인용하여 척도화하였다.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항목으로 안전관리자 인건비 및 각종 업무 수 당, 안전시설비, 개인 보호구 및 안전장구 구입비, 안전진단비, 안전 보건 교육비 및 행사비, 근로자 건강관리비, 건설 재해예방기술지도 비, 본사 사용비 등의 항목을 Likert 4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그렇다, 4=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였다. 전체 신뢰 도계수 Cronbach's s-a는 .834로 신뢰수준이 높게 확인되었다.

<표 Ⅳ-4>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내적 일치도 계수

변인 문항 수 문항 번호 내적 일치도

안전관리비 계상항목 8 1~8 .867

안전관리비 사용 적정성 8 9~16 .823

전체 16 1~16 .834

다. 재해예방기술지도

이 연구에서 재해예방기술지도 요인 척도를 활용하기 위하여 유은 옥(2016)의 연구에서 재인용하여 사용하였다.

<표 Ⅳ-5>와 같이 재해예방기술지도 하위요인을 인적 요인, 물적 요인, 관리적 요인, 작업환경적 요인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우선 인적 요인 항목으로 “안전보호 장치를 해체”한 경험, “신호수 가 없는 상태”에서 장비 이동을 한 경험, “기계·장치 등을 지정 이 외의 방법”으로 사용한 경험, “유해·위험 요인 파악”을 하지 않고 작 업을 한 경험, “결함이 있는 기계, 장치, 공구, 용구 등”을 사용한 경 험으로 구성하였다.

물적 요인 항목으로 “장비 노후화”로 인한 어려움, “유해 구간의 색상 표지의 결함”으로 인한 어려움, “작업 통로 미확보”로 인한 어 려움, “공구, 작업장비의 점검 불량”으로 인한 어려움, “산소 농도 부족 및 환기 불량”으로 인한 어려움으로 구성하였다.

관리적 요인 항목으로 “안전관리비 사용 여부”가 적정, “안전보건 교육 내용”이 적정, “안전보건 교육의 주기 및 시간”이 적정, “위험 성 평가 실시기준”이 적정, “안전표지 종류, 형태, 부착”이 적정으로 구성하였다.

작업환경적 요인 항목으로 “작업 장소 공간 부족”으로 인한 어려 움, “리프트 작업 시 작업 동작”의 불편, “작업 방법”이 작업 지침대 로 이루어짐, “작업 환경”으로 인한 방해 경험, “정리정돈”의 습관화 로 구성하여 Likert 4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그렇다, 4=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였다. 전체 신뢰도계수 Cronbach's s-a는 .868로 신뢰수준이 높게 확인되었다.

<표 Ⅳ-5> 재해예방기술지도의 내적 일치도 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