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 기타

-5.2 활용계획

○ 세계적으로 식물안전성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국제기준에 맞는 식물 예찰, 방제, 검역 을 실시하기 위해 현재 상황 및 체계를 점검할 수 있음.

○ 토착병해충과 유입병해충의 피해를 비교하여 검역/비검역의 효과를 비교 가능함.

○ 피해가 큰 품목이나 병해충을 중심으로 탄력적인 인력 및 예산 운용이 가능해짐.

○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경제적 영향평가 뿐만이 아니라 향후 정책 과제를 발굴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 식물검역의 경제적 효과 분석 시스템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국경검역 및 해외검역의 효율 성에 대해 평가가 가능함.

◦ 과제 선정 당시 연구목표로 설정한 식물검역 평가는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요청에 따라 식물병해충 경 제적 영향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대체함.

◦ 위와 같은 이유로 연구목표의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연구성과는 연구논문 발표 1건으로 수정하였음.

과제 종료 후 발표하여 제출할 예정임.

Abdalla, A, Millist, N, Buetre, B & Bowen, B. 2012. Benefit–cost analysis of the National Fruit Fly Strategy Action Plan, ABARES report to client prepared for Plant Health Australia, Canberra, December.

Alan W. Hodges et al. 2014, “Economic Impacts of the Florida Citrus Industry in 2012-13”, University of Florida

Arthur, Matthew. "An Economic Analysis of Quarantine: The Economies of Australia's Ban on New Zealand Apple Imports." In 2006 Conference. New Zealand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Society, Nelson, New Zealand, vol. 31959. 2006.

Beale, Roger, Jeff Fairbrother, Andrew Inglis, and David Trebeck. 2008. “One Biosecurity: A Working Partnership.” http://apo.org.au/resource/one-biosecurity-working-partnership.

Breukers, Annemarie., Monique Mourits, Wopke van der Werf, and Alfons Oude Lansink.

"Costs and benefits of controlling quarantine diseases: a bio‐economic modeling approach."

Agricultural Economics 38, no. 2 (2008): 137-149.

Faccoli, M., Gatto, P. 2016. Analysis of costs and benefits of Asian longhorned beetle eradication in Italy. Forestry, 89(3), 301-309.

Hafi, A., Arthur, T., Symes, M. and Millist, N. 2013, Benefit-cost analysis of the long term containment strategy for exotic fruit flies in the Torres Strait, ABARES Report to client prepared for the National Biosecurity Committee, Canberra, October.

Kwon, D., Kim, S., Kim, Y., Son, M., Kim, K., An, D., & Kim, B. H. 2015.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Economic Damage Caused by Apple Marssonina Blotch and Pear Scab Outbreaks in Korea. Sustainability, 7(12), 16588-16598.

MacLeod, A., J. Head, and A. Gaunt. "An assessment of the potential economic impact of Thrips palmi on horticulture in England and the significance of a successful eradication campaign." Crop Protection 23, no. 7 (2004): 601-610.

Magarey, Roger D., Manuel Colunga-Garcia, and Daniel A. Fieselmann. 2009. “Plant Biosecurity in the United States: Roles, Responsibilities, and Information Needs.” BioScience 59 (10): 875–84. doi:10.1525/bio.2009.59.10.9.

Meyerson LA, Reaser JK. 2002. A unified definition of biosecurity. Science 295: 44.

Moss, C.B. et al., 2014. “The Economic Cost of Huanglongbing (Citrus Greening) to Florida’s Orange Industry: Estimates of Producer and Consumer Surplus.” University of Florida, Food and Resource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Oliveira, C. M., Auad, A. M., Mendes, S. M., & Frizzas, M. R. 2014. Crop losses and the economic impact of insect pests on Brazilian agriculture. Crop Protection, 56, 50-54.

Pasquali, S., Gilioli, G., Janssen, D., & Winter, S. (2015). Optimal Strategies for Interception, Detection, and Eradication in Plant Biosecurity. Risk Analysis, 35(9), 1663-1673.

R Core Team. 2017.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URL https://www.R-project.org/.

R Studio Team. 2016. RStudio: Integrated Development for R. RStudio, Inc., Boston, MA. URL http://www.rstudio.com/.

Soliman, T., Mourits, M. C. M., Lansink, A. O., & Van der Werf, W. 2010. Economic impact assessment in pest risk analysis. Crop Protection, 29(6), 517-524.

Soliman, T., Mourits, M. C. M., Lansink, A. O., & van der Werf, W. 2012. Quantitative economic impact assessment of an invasive plant disease under uncertainty–A case study for potato spindle tuber viroid (PSTVd) invasion into the European Union. Crop Protection, 40, 28-35.

Surkov, I. V., Lansink, A. O., Van Der Werfand, W., & Van Kooten, O. L. A. F. 2007.

Designing Optimal Phytosanitary Inspection Policy. New approaches to the economics of plant health, Wageningen UR Frontis Series, 20, 39-54.

Surkov, I. V., Oude Lansink, A. G., & van der Werf, W. 2009. The optimal amount and allocation of sampling effort for plant health inspection. European Review of Agricultural Economics, 36(3), 295-320.

Wilmart, O., Van Huffel, X., Diricks, H., Huyshauwer, V., Michelante, D., Bragard, C., ... &

Uyttendaele, M. (2015). Measuring the general phytosanitary situation: development of a plant health barometer. Europ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141(2), 349-360.

국립농업과학원. 2010. 주요 병해충 및 잡초 요방제 수준 설정 보고서

윤명주 외. 2016. “한국의 딸기세균모무늬병 발생분포 및 딸기세균모무늬병균 특성조사”,

『식물병연구』 22(1): 9-17

이준호 외. 2004. 오이·고추·토마토의 주요 해충에 대한 경제적 피해수준 설정, 간이예찰법 개발 및 발생생태 연구에 관한 연구. 농림부

정원호·최경환·임지은·김윤종. 2013. 『농가경영안정을 위한 농업수입보험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석호 외. 2016. 『맞춤형 농정을 위한 농업경영체DB 분석 및 활용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타 자료-통계연보, 보도자료, 내부자료, 웹사이트, 인터넷 기사]

산림청 「임업통계연보」, 2000∼2015년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통계연보」2013∼2015년

경기도농업기술원 보도자료 2016.07.20.

관세청 보도자료 2016.06.02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16.08.19.

농림축산검역본부 내부자료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 <http://ncpms.rda.go.kr> 검색일: 2017. 4. 6.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검색일: 2017. 3. 12.

농림축산검역본부 홈페이지 <www.qia.go.kr> 검색일: 2017. 1. 8.

농산물유통정보 <https://www.kamis.or.k> 검색일: 2017. 4. 6.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 <http://kati.net> 검색일: 2017. 3. 12.

일본 농림수산성 홈페이지 <http://www.maff.go.jp> 검색일: 2017. 3. 17.

통계청 <http://kosis.kr/> 검색일: 2017. 4. 6.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Water Resources, Australian Government. “Appropriate Level of Protection.”<http://www.agriculture.gov.au/biosecurity/risk-analysis/conducting/appropriate-le vel-of-protection>. 검색일: 2017. 1. 6.

JPP-NET. http://web1.jppn.ne.jp/member/ 검색일: 2017. 5. 28

Plant Biosecurity CRC. <http://www.pbcrc.com.au/about/plant-biosecurity>. 검색일: 2016. 11. 11.

WTO Curren SPS issues https://www.wto.org/english/tratop_e/sps_e/sps_issues_e.htm 검색일: 2016. 11. 11.

진주시, 딸기세균모무늬병 발생 선제 대응 나서, 프레시안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53491>, 보도일: 2017.03.20.

<그림 부록1-1> 식물방역법에서 병해충의 분류

자료: 농림축산검역본부 웹사이트 병해충 정보

○ 식물방역법은 식물병해충을 <그림 부록1-1>와 같이 분류하고 수출입 식물과 국내 식물의 검역 및 방제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음.

- 규제병해충(regulated pests)은 소독·폐기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식물에 끼치는 해가 크다 고 인정되는 것으로 검역병해충(quarantine pests)과 규제비검역병해충(regulated non-quar-antine pests)으로 구분됨.

- 검역병해충은 국내 유입시 잠재적으로 큰 피해를 줄 우려가 있는 등 중요성이 있고, 국내에 존재하 지 않거나 일부지역에만 분포되어 있지만 발생예찰 사업, 기타 방제에 관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병해충임.

- 금지병해충은 국내에 유입될 겨우 폐기 또는 반송조치를 하지 아니하면 식물에 해를 끼치는 정도 가 크다고 인정되어 당해 병해충의 분포국가로부터 기주식물의 수입을 금지하는 병해충을 뜻함.

식물방역법 시행규칙에서 정하는 병해충과 병해충 위험분석 결과 금지병해충에 준하는 위험이 있 다고 인정하여 농림식품부장관이 고시하는 병해충임.

- 관리병해충은 국내에 유입될 경우 소독처리를 하지 아니하면 식물에 해를 끼치는 정도가 크다고 인정하여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이 고시하는 병해충임.

- 규제비검역병해충은 재식용 식물에 경제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정도의 해를 끼쳐 국내에서 규제되 는 비검역병해충으로서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이 고시하는 병해충임.

- 잠정규제병해충은 수입식물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거나 병해충위험분석을 실시 중인 병해충으로 규제병해충에 준하여 잠정적으로 소독·폐기 등의 조치를 취하는 병해충임.

- 비검역병해충은 규제병해충 및 잠정규제병해충을 제외한 병해충으로 국내에 널리 분포하여 수입 농산물에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도 소독 등 검역적 조치를 취하지 않는 병해충임.

1. 외래식물병 현황

감자더뎅이병(Streptomyces scabies) 규제비검역 감자 1913 복숭아탄저병(Gloeosporium laeticola) 비검역 복숭아 1914 배화상병(Erwinia amylovora) 금지 사과, 배 1928(2015) 사과나무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비검역 사과, 배 1915 포도나무노균병(Plasmapora viticola) 비검역 포도 1915 감자역병(Phytophthora infestans) 규제비검역 감자 1919 벼흰잎마름병(Xanthomonascampestrispv.oryzae) 비검역 벼 1930 감귤궤양병(X.campestrispv.citri) 비검역 감귤 1935 고구마검은무늬병(Ceratostomella fimbriata) 규제비검역 고구마 1942 감자둘레썩음병(Corynebacteriummichiganensis pv.sepodonicum) 규제비검역 감자 1964 감자탄저병(Colletotrichum atramentarium) 비검역 감자 1970 사과나무검은별무늬병(Venturia inaequalis) 비검역 사과,배 1972 벼검은줄오갈병(Rice black streak of dwarf virus) 비검역 벼 1973 벼세균벼알마름병(Pseudomonas glumae) 비검역 벼 1986 토마토궤양병(Corynebacterium michigannsis pv. Michiganensis) 비검역 토마토 1975 감자걀쭉병(Potato tuber spindle viroid) 금지 감자 1977/2008 참박검은점뿌리썩음병(Monosporascus cannonballus) 비검역 참외류 1993 토마토시들음병(Verticillium dahliae) 비검역 토마토 1994 멜론괴저반점바이러스(Melon necrotic spot virus) 비검역 멜론등 2001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비검역 토마토등 2003 토마토덤불위축바이러스(Tomato bushy stunt virus) 관리 토마토 2004 포도알제리안잠재바이러스(Grapevine algerian latent virus) 비검역 포도등 2007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비검역 가지과식물등 2008 담배잎말림바이러스(Tobaco leaf curl virus) 관리 가지과식물등 2008 봉선화괴저반점바이러스(Impatiens necrotic spot virus) 관리 봉숭아등 2009 사탕무우황화바이러스(Beet western yellows virus) 관리 파프리카 2010 딸기세균모무늬병(Xanthomonas fragariae) 관리 딸기 2010 순무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Turnip yellow mosaic virus) 잠정규제 배추 2012 토마토퇴록바이러스(Tomato chlorosis virus) 관리 토마토 2013 참다래궤양병(Pseudomonassyringaepv.actinidiae3) 관리 참다래 2014 복숭아잠재모자이크바이로이드(Peach latent mosaic viroid) 관리 복숭아등 2015

자두곰보병(Plum pox virus) 금지 자두등 2016

호두나무갈색썩음병(Xanthomonas arboricola pv. juglandis) 관리 호두나무 2016

러스, 사탕무황화바이러스, 순무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 토마토퇴록바이러스, 봉선화괴저반점바이러

-○ 순무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는 2012년 4월 충남 홍성, 충북 진천의 농업기술센터에서 임상진단 요청이 들어온 황화 및 위축 증상을 보이는 배추로부터 첫 감염이 확인되었음. 2012년 11월에 종자유통 지역 을 대상으로 재감염여부를 조사한 결과 서산 및 아산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농가에서는 병징이 관찰되지 않았음. 이후 2013년 5월 종자유통지역 및 바이러스 감염 유사 증상을 보이는 3개 시군의 배추를 채집하여 진단한 결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음.

<부표 1-4> 순무황화바이러스 발생 조사 현황

단위 : 발생면적(발병포장수)

주: 충남의 2012.11월 조사 현황 중 [꺽쇠]안의 값은 발생주/조사주를 뜻함. 2013년에는 충남의 3개 시 군 6개 포장에서 11점의 배추를 채집하여 검정한 결과 11점 모두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아 표에서는 제외함.

자료: 국립농업과학원(2014)

○ 토마토퇴록바이러스는 토마토 잎에 불규칙적인 퇴록반점, 황화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과실의 상품성 저하 및 수확량 감소를 야기함. 2013년 1월 전북농업기술원과 2013년 4월 제주도농업기술원에서 의 뢰한 익산지역과 제주도지역 토마토에서 토마토퇴록바이러스가 진단됨. 특히 전남의 화순, 영광, 함 평지역에서 대발생하여 공적방제를 실시하고 발생포장 전체를 폐기처분 함. 2014년 전북 익산지역에 서 다시 발생함.

<부표 1-5> 토마토퇴록바이러스 발생 조사 현황

자료: 국립농업과학원(2014)

2012.4 2012.11

경북 30,000㎡(4)

-경남 42,213㎡(11)

-전북 82,080㎡(3)

-전남 8,000㎡(1)

-충북 121,045㎡(25)

-충남 142,143㎡(25) 아산 배추[1/5]

무[1/1]

서산 잡초[1/11]

강원 35,378㎡(5)

-경기(연천) 1,500㎡(2)

-계 496,061㎡(76)

(8개도 41시군) 40점 조사

(1개도 4시군)

지역 단위 2013

제주 병징발현포장수/조사 포장수 17/42

전북 병징발생포장면적/포장면적(㎡) 1,898/3,300

전남 병징발생포장면적/포장면적(㎡) 59,360/85,600

○ 봉선화괴저반점바이러스는 2009년 삼척, 태백, 홍천, 정선지역의 고추농가 150개에서 처음으로 감염

2. 외래식물해충 현황

뿌리응애(Rhizoglyphus echinopus) 비검역 마늘, 구근

사과면충(Eriosoma lanigera) 비검역 사과 1904

사과면충(Eriosoma lanigera) 비검역 사과 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