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49)

B.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3.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이 단계는 현장 텍스트를 기반으로 연구텍스트를 작성하는 단계이다. 즉, 심층면담 자료를 해석하고 분석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내러티브 탐구에서 해석은 현장 노트, 이야기 등과 같은 현장 텍스트의 의 미가 무엇인가를 생각해보는 일이다(염지숙, 2002). 연구자는 현장 텍스트를 계속 반복해서 읽으면서 그 속에 들어있는 내러티브 패턴, 내러티브 줄거리 (threads), 긴장감(tension) 등을 개인의 경험과 사회적 상황과 연결시켜 찾아 낸다. 내러티브는 우리 삶의 경험 이야기이다. 우리의 삶이 단편적이지 않고 연속적인 것처럼, 내러티브도 조각조각으로 구분할 수 없는 것이다. 때로는 일반화를 시키려고 한다거나, 주재(theme)를 추출해 낼 때 경험의 풍부함과 내러티브의 특성을 잃게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염지숙, 2002).

현장 텍스트를 연구 텍스트로 만드는 것은 의미와 사회적 중요성에 대한 대답이며, 연구의 분석과 해석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Clandinin &

Connelly, 2000). 이 단계에서는 초기에 설정한 연구의 의미와 중요성, 목적에 대한 고찰이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Clandinin & Connelly, 2000). 이때 연구 자는 연구를 시작할 때의 질문을 다시 하게 되며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인지, 연구를 왜 하는지, 연구를 통해 전달하려는 내용은 무엇인지, 연구는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등의 질문을 통해 해석을 하게 된다. 현장 텍스트를 통해 연구 텍스트를 구성하는 것은 현장에서 수집한 자료들이 해석과정을 거

쳐 경험에 대한 의미를 만드는 과정으로, 연구자 연구 참여자들의 중요한 사 건의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내러티브의 주제, 내용, 형식, 맥락 등에 대한 신 중한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Gibbs, 2007). 현장 텍스트를 기초로 하게 되므 로 연구자는 현장 텍스트를 끊임없이 읽어가며 현장 텍스트 구성과 관련된 저널, 현장노트, 서류, 현장 텍스트 구성에 관련된 맥락에 포함된 인물, 주제, 장소 등에 대해 정리해야 한다( Clandinin & Connelly, 2000).

이 단계에서 Clandinin & Connelly(2000)는 내러티브 탐구의 연구자가 정 당화, 현상, 방법적 주제가 논의될 것을 제안하였다. 정당화(justification)란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의 관심이 연구자의 경험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에 연구 문제가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뜻하며, 현상(phenomena)이란 내러 티브 탐구는 연구 문제의 정의나 해결이라기보다는 탐구에 대한 계속적인 재 형성의 의미를 갖는데( Clandinin & Connelly, 2000), 연구자들은 자신의 내 러티브 탐구가 무엇에 관한 것인지 그리고 자신에게 관심 있는 경험이 무엇 인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방법(method)에서는 세 가지 문 제를 제안하였는데, 첫 번째는 다른 질적 연구의 틀 안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정의 내리려 한다거나 양적 연구에서처럼 여러 가지 이론을 열거하기보다는 경험의 현상에 대한 탐구로 시작해야 한다는 이론적인 문제이다. 두 번째는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와의 친밀한 관계 유지를 옆으로 제쳐놓고 현장 테스트 를 읽고 다시 읽는 일과 연구 테스트를 구성하기 시작하는 일에 본격적으로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실제적인 현장 텍스와 관련된 문제이다. 세 번째는 연 구자가 내러티브 탐구 안에서 줄거리(threads), 긴장감(tension), 그리고 주제 (theme)등의 해석과 분석에 대한 문제이다(염지숙, 2002).

이에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인 면담 자료와 현장 노트를 반복적으로 읽으면 서 연구 참여자의 삶의 이야기를 이해하려고 노력하였으며, 현장 텍스트를 구성할 때 연구 참여자의 녹음전사에 있어서도 최대한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 를 담으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이야기를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의 3차원적 탐구 공간 속 즉, 시간성, 사회성, 장소에 의 해 재구성하는 과정을 인식하고 고민하였다.

4. 연구 텍스트 작성하기

이 단계는 현장에서 수집된 텍스트와는 다른 텍스트를 만들어가는 과정으 로 연구 참여자의 경험들에 대한 의미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이 다(염지숙, 2003).

Clandinin과 Connelly(2000)는 연구자가 연구 텍스트에서 목소리, 서명, 내 러티브 형식 그리고 청중에 대하여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첫 번째 목소 리(Voice)는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모두 자신의 목소리를 뚜렷이 이야기할 수 있는 관계를 구축하며 균형을 유지하도록 해야 하며, 두 번째 서명 (Signiture)은 연구 텍스트에 어떤 방식으로 얼마만큼 연구자로서의 ‘나’를 나 타내 보일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며, 세 번째 독자(Audience)는 독자들에게 이 연구가 어떤 가치가 있을 것인가를 고려하여 연구 텍스트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염지숙, 2002).

이 단계는 글을 쓰는 단계로, 연구 텍스트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과거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그것이 현재를 바라보는 것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 과 거 또는 현재와 연결된 미래는 어떤 것으로 기대하는지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것이 다른 연구방법과 내러티브 탐구를 구분 짓는 특성이다(노은선, 2020).

현장에서 수집된 현장 텍스트를 연구 텍스트로 작성하기 위해서는 시간성 과 공간성, 개인적 그리고 사회적 차원의 내러티브의 3차원 탐구 공간을 끊 임없이 오고 가며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구성하는 텍스트를 기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무엇보다 연구 참여자의 내러티브를 패턴화 하거나 코드화 (coding)시키는 것은 경험이 주는 풍부한 내러티브적인 의미를 잃게 할 수 있으므로(이은혜, 2018). 연구자는 최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그들의 맥 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 데이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Clandinin과 Connelly(1990)는 연구 참 여자에게 공유하는 방법을 통해 내러티브 탐구의 한계점인 신뢰성과 타당도 를 확보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최종 연구 텍스트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의 내러티브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고 의미가 풍부하게 드러나도록 연구 과정에서 연구 텍스트에 대해서 미리 확인 절차가 이루어질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