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혁신적 업무행동, 직무 도전성, 학습동기, 무형식학습 활동의 상관관계

Ⅳ. 연구 결과

3. 혁신적 업무행동, 직무 도전성, 학습동기, 무형식학습 활동의 상관관계

연구문제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는 데 앞서 통제변인, 종속변인, 독립변인, 매개 변인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대기업 R&D 인력이 인식한 혁신적 업무행 동, 직무 도전성, 학습동기, 무형식학습 활동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표 Ⅳ -18> 참조). 종속변인인 혁신적 업무행동 수준과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무형 식학습 활동이 .560, 직무 도전성이 .52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학습동기 는 .460으로 중간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직무 도전성은 무형식학습 활동과 .550으 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학습동기는 .264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학습동기는 무형식학습 활동과 .65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통제변인의 경우 성별이 혁신적 업무행동이 -.244, 직무 도전성이 -.180, 무형식학습 활동이 -.114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나이의 경우 혁신적 업무행동이 .209, 직 무 도전성이 .165, 무형식학습 활동이 .116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고, 학습동기 는 -.036으로 매우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학력은 직무 도전성이 .165, 무형식학 습 활동이 .174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고, 직급은 혁신적 업무행동이 .211, 무형식 학습 활동이 .186, 직무 도전성이 .191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근속년수의 경우 혁신적 업무행동이 .197, 직무 도전성이 .161, 무형식학습 활동이 .132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고, 업무경력은 혁신적 업무행동이 .207, 직무 도전성이 .216, 무형식학습 활동 이 .129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업종은 혁신적 업무행동이 -.141로 낮은 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 성별 1

2. 연령 -.460** 1

3. 학력 -.106 -.011 1

4. 직급 -.491** .690** .285** 1

5. 근속년수 -.400** .722** -.016 .621** 1

6. 업무경력 -.237** .487** -.118* .308** .583** 1

7. 업종 .182** -.128* -.003 -.090 -.210** -.183** 1

8. 혁신적 업무행동 -.244** .209** .023 .211** .197** .207** -.141* 1

9. 직무 도전성 -.180** .165** .165** .191** .161** .216** -.061 .523** 1

10. 학습동기 .000 -.036 .046 .012 -.035 .039 -.013 .460** .264** 1

11. 무형식학습 활동 -.114* .116* .174** .186** .132* .129* .024 .560** .550** .653** 1

*p<.05, **p<.01

<표 Ⅳ-18> 혁신적 업무행동, 직무 도전성, 학습동기, 무형식학습 활동 변인간의 상관관계

대기업 R&D 인력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대한 직무 도전성, 학습동기, 무형식학습 활동 등의 설명력을 검증하기 위해 먼저 회귀분석의 가정을 검토하였다. 회귀분석 시 종속변인 이 양적변인이어야 하고,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해야 하며, 잔차의 등분산성, 선형성, 상호독 립성이 만족되어야 한다. 정규분포의 가정은 정규확률도표를 통해 확인하였다([그림 Ⅳ-1]

참조). 결과를 살펴보면, 산점된 분포가 거의 대각선상에 위치하고 있어 이를 통해 혁신적 업무행동 수준이 대체적으로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림 Ⅳ-1] 혁신적 업무행동의 정규성 검증(P-P plot)

한편, 등분산성에 대한 검증은 잔차의 산점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등분산 성 검증을 위해서 표준화된 예측치(ZPRED)를 X축으로 하고 표준화 잔차(ZRESID)를 Y축 으로 두어 그래프로 표시하여 분산의 선형성과 동일성을 확인한다. 산점도 분석 결과, 대체 적으로 0을 중심으로 퍼져있어 등분산성을 만족한다고 볼 수 있다([그림 Ⅳ-2] 참조).

[그림 Ⅳ-2] 혁신적 업무행동의 등분산성 검증을 위한 표준화 잔차의 산점도

또한, 잔차 간의 상호 독립성에 대한 가정은 Durbin-Watson 값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이 값이 0에 가까우면 양의 상관관계, 4에 가까우면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이며, 2 에 근접할 때 상호 독립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Durbin-Watson 값이 2에 근접하고 있어 상호 독립성에 대한 가정을 충족하였다.

4. 직무 도전성 및 학습동기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