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1. 혁신적 업무행동

광범위한 국가사회 및 산업분야에서 혁신은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인식되며, 이러한 관 점에서 다수의 기업은 조직구성원 중심의 혁신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Damanpour & Schneider, 2006; Kanter, 1988). 혁신은 조직 개선과 변화 장려를 목적 으로 하는 유용한 아이디어들을 생성하고 적용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단초(initiatives)를 말한다(Ramamoorthy et al., 2005; Scott & Bruce, 1994; West & Farr, 1989). 그러나 새로운 아이디어는 조직의 특정 부서에서만 개발되는 것이 아니라 업무현장에서 문제를 처리하거나 예측할 때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혁신 영역의 연구자들은 조직구성 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을 다루고 있다(De Jong & Den Hartog, 2010; Janssen, 2000;

Messmann & Mulder, 2012).

가. 혁신적 업무행동의 개념

혁신은 역동적인 경영 환경에서 조직이 효과적으로 경쟁하며 생존하기 위한 기조와 실 천 활동의 일환으로 채택되어 왔다(Peters & Waterman, 1982). 이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 환경에서 직무 수행의 의미가 크게 변화되면서, 과업을 제대로 수행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조직이 계속해서 같은 방법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한다면 생존할 수 없고, 이와 같은 행동을 지속한다면 조직의 가치 하락과 도태를 이끌게 될 것 이다(Amabile, 1997; Drucker, 1989). 혁신은 연구개발(R&D) 현장에서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는 것이라는 슘페터의 개념을 바탕으로 설명되어 왔다(Romer, 1990). 이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능동적인 수행을 할 수 있어야 한다(Griffin, Neal, & Parker, 2007). 능동적 행동이란 현재의 상황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상황을 창조 해내는 자기주도적 행위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적극적인 수행의 개념으로 분류될 수 있다(Parker, Williams, & Turner, 2006). 따라서 혁신적 업무행동은 새로움에 대한 강조 에 기반한 특정의 능동적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Parker & Collins, 2010). Scott과 Bruce(1994). Kanter(1988)는 혁신적 업무행동이 암묵지가 존재하는 인간의 마음과 창

의성의 산물인 제품, 서비스, 시장 전략, 프로세스, 그리고 업무 방법과 같은 형태로 설명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West와 Farr(1990)는 혁신을 개인, 그룹, 조직 또는 사회에 이윤을 주도록 설계되어 채택된 새로운 단위의 아이디어, 프로세스, 제품 또는 절차에 대한 능동적인 창조와 적용 으로 정의하였으며, 혁신적 업무행동을 직무, 부서 단위 또는 조직에서의 새로운 아이디 어, 제품, 프로세스, 그리고 문제해결방식들의 생성과 적용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행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혁신은 조직성과 달성을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 제품, 프로세스, 문제해결 방안, 그리고 정책 등을 능동적으로 생성 및 개발하여 실용화시키는 조직 수준의 혁신과 조직구성원 개개인이 담당 과업을 수행하는 업무 행위에 초점을 두는 개인 수준의 혁신으 로 구분할 수 있다(이지우, 김종우, 김일천, 2003).

혁신적 업무행동에 대해 연구자에 따라 개인적 혁신 또는 혁신적 행동(Scott & Bruce, 1994), 혁신적 직무 성과(Janssen, 2001; Hammond, Neff, Farr, Schwall, & Zhao, 2011), 현장직무 혁신(Dorenbosch, Engen, & Verhagen, 2005), 일터 내 혁신적 행동 (Carmeli, Meitar, & Weisberg, 2006; Carmeli & Spreitzer, 2009; Yuan & Woodman, 2010; Vinarski-Peretz, Binyamin, & Carmeli, 2011), 조직구성원의 혁신성(Huhtala &

Parzefall, 2007), 혁신 관련 행동(Ng, Feldman, & Lam, 2010), 그리고 아이디어의 제안 과 실현(Axtell et al., 2000; Clegg, Unsworth, Epitropaki, & Parker, 2002; Krause, 2004)등을 포함하여 혁신적 업무행동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는 넓은 범위의 용어들을 다 루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념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용어로 혁신적 업무 행동(Innovative work behavior)을 활용하고자 한다.

혁신적 업무행동은 개인 수준의 혁신을 설명하는 가장 좋은 개념으로, 학자에 따라 다 양하게 정의내리고 있다(Janssen, 2000). Van de Ven(1986)은 혁신적 업무행동을 아이 디어를 생성하고 새로운 문제해결방안을 적용하는 행위로 정의하였고, Kanter(2000)는 혁신적 업무행동을 현재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창출한 후 후원자들을 늘려나감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를 상용화시키는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한편, Scott와 Bruce(1994)는 혁신적 업무행동이 아이디어의 창출과 실행을 포함하는 과정이라 고 주장하였다([그림 Ⅱ-1] 참조).

[그림 Ⅱ-1] Scott & Bruce(1994)의 연구모형

Janssen(2000)은 혁신적 업무행동을 조직 또는 개인이 의도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한 후 홍보를 통해 구현해나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정의들 을 종합해 볼 때, 혁신적 업무행동은 조직 또는 개인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현실 화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나. 혁신적 업무행동의 특징

혁신적 업무행동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은 갖는다. 첫째, 혁신적 업무행동은 창의 성과 동일한 개념으로 여겨지기도 하나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Rosenfeld & Servo, 1990). 여러 학자들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대한 정의를 종합할 때 혁신적 업무행동의 시작 이 아이디어임을 알게 된다면 창의성과 동일한 개념으로 생각하게 될 개연성이 분명히 존 재한다. 그러나 창의성은 제품, 프로세스, 문제해결방식 등과 관련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Amabile, 1996). 반면에 혁신적 업무행동은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 현업에 적용하고 확산시켜나가는 과정까지 포함하는 보다 포괄

적인 개념을 의미한다(De Jong & Den Hartog, 2010). 창의성과 혁신성은 새로운 아이디 어에 관련된 행위라는 공통점이 있다(Amabile, 1988). 그러나 혁신적 업무행동은 창의적 행동보다 목표지향적이다. 창의성은 특정 목적 없이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다. 게다가, 창의적 행동은 혁신적 해결방안의 적용과 실천보다는 새로운 아이디어의 생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창의성은 혁신적 업무행동의 구성요소로 간주될 수 있 다(Amabile, Barsade, Mueller, & Staw, 2005).

둘째, 혁신적 업무행동은 역할 외 행동이다(김종우 외, 2007; Katz & Kahn, 1978). 혁 신적 업무행동은 개인이 담당하고 있는 과업에서 요구하는 수행의 정도를 넘어 새롭고 유 용한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그 아이디어를 홍보를 통해 확산 적용시켜 실제적인 결과로 이끌어내는 개개인에게 주어진 역할 행동의 범위를 초월하는 행동이다. 이렇듯 혁신적 업 무행동은 주어진 역할 행동의 범위의 외적인 내용을 초과하여 수행하는 역할 외 행동이므 로,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촉진하는 환경을 구축하는 등의 여러 촉진요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혁신적 업무행동은 직무에 관련된 자발적이고 임의적인 행동이다. 직무와 직무 외 수행의 구분은 불명확하며 조직구성원들이 자신의 업무 범위를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Parker & Collins, 2010). 그러나 혁신 과정이 분리된, 순차적 단계보다는 비연 속적인 활동으로 특징지어지기 때문에 개인은 언제든지 이러한 행동들의 결합에 관련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Schroeder, Van de Ven, Scudder, & Polley, 1989). 혁신적 업무행동은 조직구성원이 자신의 수행의 양과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자발적 이고 임의적인 행동이다(Katz & Kahn, 1978; Janssen, 2000, 2001).

혁신적 업무행동은 선행연구가 갖고 있는 주안점에 따라 서로 다른 정의를 갖고 있으 나, 공통적으로 혁신적 업무행동이 개인이 주체가 되어서 수행하며, 수행의 향상이나 그 결과로 성과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갖는다(<표 Ⅱ-1> 참조).

연구자 혁신적 업무행동의 개념

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동시에 새로운 작업 방법이나 도구를 찾아내는 것을 의미한

구분 혁신적 업무행동 선행요인 연구자

는 총 9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내적일치도 계수()는 .95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

구분 Scott & Bruce(1994) Janssen(2000) 김일천 외(2004)

조사 대상 북미 소재 기업 R&D

이 연구에서 혁신적 업무행동은 조직구성원 개인의 과업 수행에서 기존과는 다른 아이디어 를 생각하고, 홍보하며, 실현하는 활동으로 개인과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한 행동이다(Scott &

Bruce, 1994). 대기업 R&D 인력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Janssen(2000)이 개발하고 김일천 외(2004)가 번안한 도구를 이 연구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 여 활용하였다. 이 도구는 아이디어 생성, 아이디어 홍보, 아이디어 현실화 3개 요인으로 총 9 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응답자의 반응범위는 5점 Likert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