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무 도전성 및 학습동기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Ⅳ. 연구 결과

4. 직무 도전성 및 학습동기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문제 4-1. 대기업 R&D 인력의 직무 도전성 및 학습동기는 무형식학습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문제 4-2. 대기업 R&D 인력의 직무 도전성 및 학습동기는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로 혁신적 업무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문제 4-3. 대기업 R&D 인력의 직무 도전성 및 학습동기는 혁신적 업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문제 4-4. 대기업 R&D 인력의 직무 도전성 및 학습동기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이 갖는 매개효과는 유의한가?

가. 직무 도전성 및 학습동기와 무형식학습 활동의 관계

직무 도전성 및 학습동기가 매개변인인 무형식학습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인 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명력은 60.2%

를 차지하고 F값이 30.759이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p<.001),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미 치는 영향력에 대한 회귀모형의 적합성이 나타났다. 첫 번째 독립변인인 직무 도전성의 표 준화계수가 .258로 유의하며(p<.001), 부트스트랩 추정치로 신뢰구간 내의 최소 계수값 (LLCI=.206)과 최대 계수값(ULCI=.311)의 사이에 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변인 간 관계 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 독립변인인 학습동기의 표준화계수는 .531로 유의하 며(p<.001), 부트스트랩 추정치로 신뢰구간 내의 최소 계수값(LLCI=.454)과 최대 계수값 (ULCI=.607)의 사이에 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변인 간 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19> 참조).

변인 무형식학습 활동

부트스트랩 추정치로 신뢰구간 내의 최소 계수값(LLCI=.158)과 최대 계수값(ULCI=.440)

다. 직무 도전성 및 학습동기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

라. 직무 도전성 및 학습동기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2)

1) 직무 도전성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대기업 R&D 인력의 직무 도전성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 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에서 부트스트랩핑으로 재추출된 표 본수는 5,000개였으며, 95% 신뢰구간에서 구한 간접효과 계수의 하한값과 상한값을 확인 하였다(Shrout & Bolger, 2002). 분석 결과, 직무 도전성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이 매개변인으로 투입된 경우, 매개효과 계수 하한값(LLCI)은 .014, 상한 값(ULCI)은 .119로 나타나 95% 신뢰구간 내에 0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간접효과 의 통계적 유의성이 확보되었다. 따라서 직무 도전성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 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22> 참조).

구분 Effect S.E. 95% Boot LLCI 95% Boot ULCI

총효과 .310 .039 .234 .386

직접효과 .249 .044 .162 .335

간접효과 .062 .026 .014 .119

<표 Ⅳ-22> 직무 도전성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Bootstrapping)

PROCESS를 통한 매개효과 1단계 분석에서 직무 도전성이 무형식학습 활동에 미치는 영 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β=.258, p<.001), 2단계 분석에서 직무 도전성 (β=.249, p<.001)과 무형식학습 활동(β=.238, p<.01)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단계 분석에서 직무 도전성이 혁신적 업무행동 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β=.310, p<.001). 즉, 각 단계의 회귀계수가 모두 유의하고 직무 도전성의 회귀계수 총효과는 직접효과보다 .062(간접효과) 만큼 크며, 이러한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확보되었으므로 직무 도전성과 혁신적 업 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무형식학습 활동 하위구인별 매개효과 검증은 [부록 3]에 제시함.

2) 학습동기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대기업 R&D 인력의 학습동기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 과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에서 부트스트랩핑으로 재추출된 표본수 는 5,000개였으며, 95% 신뢰구간에서 구한 간접효과 계수의 하한값과 상한값을 확인하였 다(Shrout & Bolger, 2002). 분석 결과, 학습동기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 습 활동이 매개변인으로 투입된 경우, 매개효과 계수 하한값(LLCI)은 .033, 상한값(ULCI) 은 .241로 나타나 95% 신뢰구간 내에 0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확보되었다. 따라서 학습동기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23> 참조).

구분 Effect S.E. 95% Boot LLCI 95% Boot ULCI

총효과 .426 .056 .315 .537

직접효과 .299 .072 .158 .440

간접효과 .127 .054 .033 .241

<표 Ⅳ-23> 학습동기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Bootstrapping)

PROCESS를 통한 매개효과 1단계 분석에서 학습동기가 무형식학습 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β=.531, p<.001), 2단계 분석에서 학습동기(β

=.299, p<.001)와 무형식학습 활동(β=.238, p<.01)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단계 분석에서 학습동기가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 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β=.426, p<.001). 즉, 각 단계의 회귀계 수가 모두 유의하고 학습동기의 회귀계수 총효과는 직접효과보다 .127(간접효과)만큼 크며, 이러한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확보되었으므로 학습동기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 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