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소에너지가 미래의 에너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많은 장애가 있다고 본다.

우선 제조, 생산, 저장, 등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특히 저장 하는 기술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시범사업 단위의 실험사업을 지속적 으로 하면서 대량생산 체제의 가능성을 보아야 한다. 세 번째는 현재 가장 이용 가능한 분야에 집중해서 수소가스를 생산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천연가스로부터 의 이용 할 수 있는 수소에너지를 생산 할 수 있는 것에 연구를 집중해야한다.

그러므로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경제적인 에너지 공급에 대한 고려를 해야 한다.

문제는 수소의 생산에 그리고 많은 전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수소가 대체되면 미국 내에서 230,000 Mt가스가 필요한데 이의 공급을 위하여 400 Gigawatt의 추가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 GDP 5% 투자 가 필요한데 이를 신‧재생 에너지로 공급할 경우 뉴욕을 풍력단지화하거나 Denmark 전체를 태양광으로 만들거나 혹은 Nevada 규모의 바이오매스 단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그러므로 다섯 번째는 경제적인 전력의 생산에 대한 연구 를 동시에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림 7]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기술수준 목표

동시에 수소에너지를 보는 정부의 시각이 바뀌어야 한다. 이미 선진국은 수소 에너지 경제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석유를 대체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수소 라는 것을 인식한 것이다. 석유의존도가 거의 100%의 한국도 이 분야에 먼저 투 자함으로써 경제성장의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하고 있는 석유의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즉 기술 개발을 위한 R & D 지원 자금이 더욱 확보되어야 한다.

재정지원이외에 광범위한 R&D가 필요한데 이는 한국의 기술 투자가 외국에 비 해서 매우 뒤떨어진 것을 메우기 위해서도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은 2002년 현재 PV, 폐기물 처리, 소수력의 기술에서는 선진국과 비슷한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나 다른 분야는 거의 50%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외에 전력망과 연계 통합(기존전력과의 상호 호환성), 전력상품에 대한 철저 한 실험과 전력에 인증제도의 도입, 부존량 파악(풍력, 지열, 태양열 및 일조량 등)과 지리정보(GIS)의 적극적 이용과 외국의 지원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정부가 10년 동안 과기부를 통하여 수소사업단을 추진하고, 산자부가 신․재생에너지 중 연료전지, 풍력, 태양광 등 의 3대 중점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산을 한정하여 추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 탄력적인 예산의 편성이 있어야 하며 해당 수행과제에 대한 철저한 평가와 보완이 있어야 할 것이다. 대중에 대한 홍보마케팅의 수립도 역시 중요하다. 천연가스 버스의 보급에서 보듯이 소비자의 인식이 낮으면 그만 큼 보급을 활성화 하는데 어려움이 많이 있을 수 있음으로 기술 개발과 동시에 홍보, 마케팅 등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

▣ 참 고 문 헌 ▣

김종원 “수소에너지 현황과 전망 ”2002

김정인, “기후변화협약에 대비한 에너지다소비 산업의 과제”, 1998

,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위한 정책 전망과 과제”, 에너지 정책 포럼 발표문, 2001.

, “산업계 에너지 저감 부진 요인과 개선 방안”, 2000. 12 , “산업부문의 에너지 효율화와 외국정책의 시사점”, 2001. 1 , “에너지절약 정책의 평가와 향후 개선 방안”, 2001 , “우리나라 에너지 가격구조 및 가격 결정 방법”, 2001

김정인, “수소에너지 이용 현황과 전망”, 수소에너지 기술 세미나, 2003.12.3

김정인 “미국의 수소에너지 정책 동향과 전망 ” 에너지 기술 연구원 발표자료, 2004. 1 김진오, “신‧재생 에너지 미래외 주요 쟁점,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신‧재생 에너지

기술의 실용화 방안에 대한 토론회, 2003. 10.13 그린 삼성, “ 2003. 여름호

박순철, 신‧재생 에너지 미래의 기술 현황 및 실용화, “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신․재생 에너지 기술의 실용화 방안에 대한 토론회, 2003. 10.13 산업자원부, 신․재생에너지 보급 관련 자료집, 2002. 6.

에너지관리, “신․재생에너지 개발 보급 어떻게 해야 하나 : 수소에너지, ”2003.11 에너지관리공단, “에너지 절약 편람,” 2003

에너지경제연구원, 「21세기 에너지부분의 여건변화 및 중장기 정책 연구」, 2001.3 에너지경제연구원, 제 2차 국가 보고서, 2003

이인영,“ 중장기 신‧재생 에너지 기본 계획,” WSSD 발표 자료, 2004.1 임태원, “연료전지 자동차의 개발 동향,” 수소에너지 기술 세미나, 2003.12.3 한국 에너지 기술 연구원, “미래 에너지 기술 확보 방안,” 연구보고서, 2003 한국전력, “총 발전량 : 제 1차 전력수급 기본계획(2002년 8월)

Adam Serchuk, 'The environmental imperative for renewable energy: an update', REPP, Special Earth Day Report, April 2000.

Bauer, C.o, "Introduction to Vision 21 Timeline," Roadmap to Core Technologies workshop, 2002.3

DOE, "A National Vision of America's Transition to Hydrogen Economy - 2030 and Beyond," National Hydrogen Meeting, 2001. 11. 15-16

DOE, "National Hydrogen Roadmap," National Hydrogen Energy Roadmap Workshop, 2002.11

Gronich S., "Hydrogen Program : Goals and Outcomes," 2000

Krarup, S. and Ramesohl, S., 2000. Voluntary Agreements in Energy policy-implementation and Efficiency: Final Report. Copenhagen: AKF

Rosenberg. S., "US DOE Hydrogen Development Program: A perspective," 2002. 5.

15

Wind Force 12, European Wind Energy Association, Greenpeace, 2002

Internet

-http://www.nesea.org/education/edmaterials/form2mail.php http://www.eere.energy.gov/education/

<부록>

<표 A-1> 신‧재생에너지 이용 전망 (2002-2012)

(Unit: 천 TOE) 2002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바이오 116.8

(2.7) 342 436 495

(7.1) 737 768 801 833 1,050 (7.9) 1,082

연료전지 0.08 0.11 0.40

(-) 1.09 3.62 15.11 76.9 147.14 (1.1) 225.5

해양에너지 0.75

(-) 0.75 143.3 143.3 210.8 431.5 (3.2) 431.5

지열 0.1

(-) 2.59 6.27 12.1

(0.1) 23.1 41.5 69.7 108.9 160.8 (1.2) 225.2 소계 2,922 4,344 5,006 5,919 6,975 7,942 9,173 10,228 12,127 14,275 총에너지중

비중(%) 1.4 1.95 2.17 5.49 2.86 3.17 3.56 3.88 4.50 5.19 수력포함 1,327

(31.2) 1,068 1,067 1,082

(15.5) 1,081 1,091 1,109 1,161 1,213 (9.0) 1,267 총계 4,249

(100) 5,412 6,073 7,001

(100) 8,053 9,029 10,275 11,384 13,335 (100) 15,531 총에너지중

비중(%) 2.0 2.42 2.63 3.0 3.30 3.60 3.99 4.32 5.0 5.6 자료: 김진오, “신‧재생 에너지 미래외 주요 쟁점,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기술

의 실용화 방안에 대한 토론회, 2003. 10.13

<표 A-2> 발전원별 발전량 전망 (2002-2012, Gwh)

(실적)2002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태양열 34.7

(0.8) 52.9 74.4 101.5

(1.5) 133.8 169.1 208.4 258.1 318.1 (2.4) 385.1

태양광 6.7

(0.2) 7.9 9.8 21.9

(0.3) 39.5 65.4 102.5 191.8 341.2 (2.5) 447.9

풍력 3.7

(0.1) 38.3 68.4 125.9

(1.8) 229.9 361.4 651.5 881.8 1311.4 (9.8) 1456.4 소수력 27.6

(0.6) 55 62 111

(1.6) 170 229 298 367 446 (3.3) 534

수소 - - - - 0.1 0.1 1,3 1,3

(-) 1,3

IGCC 6.81 6.81 6.81 183.8 374.6

(2.8) 544.9 폐기물 2,732

(64.3) 3,850 4,350 5,050

(72.2) 5,630 6,150 6,870 7,110 7,540 (56.5) 8,930 자료: 김진오, “신‧재생 에너지 미래외 주요 쟁점,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기술

의 실용화 방안에 대한 토론회, 2003. 10.13

2002

(실적)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태양광 8.3 15.5 39.1 87.6 158.2 261.6 409.9 767 1,365 1,791.7

풍력 52.6 153.3 273.8 503.7 919.8 1,445.4 2,606.1 3,525.9 5,245.7 6,639.1 소수력 202.2 223.9 247.6 444.6 681.2 917.7 1,193.6 1,469.5 1,785.9 2,139.7

IGCC 79.2 79.2 79.2 2,138.4 4,356.0 6,336.0

LFG및

RDF발전 616.3 1,232.6 1,848.8 2,465.1 3,081.4 3,383.7 3,697.7 4,000.0 4,313.9 4,616.3 연료전지 0.8 0.6 4.6 12.6 42.2 175.4 894.3 1,710.9 2,621.7

해양에너지 3.0 3.0 573.0 573.0 843.0 1,726.0 1,726.0

소계 879.4 1,626.1 2,409.9 3,508.6 4,935.4 6,702.8 8,734.9 13,638.1 20,503.4 25,871 총발전량 288,594 299,981 311,051 321,179 330,452 339,452 347,673 355,321 362,924 369,973 대수력제외

총발전량중 비중(%)

0.3 0.5 0.8 1.1 1.5 2.0 2.5 3.9 5.6 7.0

대수력포함 4,264 4,271 4,268 4,327 4,233 4,363 4,435 4,644 4,851 5,067 총계 5,143.4 5,897.1 6,677.9 7,835.6 9,168.4 11,065.8 13,169.9 18,282 25,354.4 30,938 총발전량중

점유비중(%) 1.8 2.0 2.1 2.4 2.8 3.3 3.8 5.2 7.0 8.4

ꡔ에너지경제연구ꡕ 제 3 권 제 1 호

에너지경제연구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KEEI) 2004. 6, pp. 129-148

러시아 동시베리아 송유관 건설정책의 국제정치경제*

11)12)

이 준 범**

<목 차>

Ⅰ. 서 론

Ⅱ. 러시아의 송유관 정책과 동시베리아 송유관 건설 동향

Ⅲ. 동북아 관련국가의 입장과 전략

Ⅳ. 한국의 전략 V. 결 론

주요단어: 러시아, 송유관, 동시베리아, 동북아

Ⅰ. 서 론

러시아는 석유개발이 부진한 동시베리아 지역에 송유관을 건설하는 방안을 고 려하고 있다. 러시아 석유생산에 있어 전통적인 핵심 지역은 볼가-우랄 지역 및 시베리아 지역으로서, 동시베리아 지역의 석유자원 개발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송유관 건설 및 석유자원 개발은 러시아 석유산업에

* 본 논문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이 2004년 6월 18일 서울 메리어트 호텔에서 개최한 “동북 아 에너지 전문가 심포지엄”에 발표한 논문 「동북아 송유관 사업의 진전과 한국의 역 할」을 수정 게재한 것입니다.

**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처 조사연구팀장.

큰 변화를 갖고 올 것으로 예상되면서, 역외 원유 의존도가 극도로 높은 동북아 지역의 원유 공급 구도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동시베리아 송유관 건설에 따른 원유 공급대상 국가로 예상되는 동북아 국가들은 단순히 러시아의 송유관 건설을 지켜보는 것이 아니라, 자국에 유리한 구도로 러시아가 송유관을 건설하도록 유 도하기 위해 현재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노력들이 일부 우려할 만한 점도 없지 않지만, 동북아 원유공급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에는 틀림없다. 동시베리아 송유관 건설이 순조롭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고려하여야 할 요인들도 상당히 많이 있지만, 이의 해결은 우리나라 에너지 안보뿐만 아니라, 동 북아 전체의 에너지 안보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진정한 동북 아 에너지 협력의 달성을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