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 교 1

문서에서 2016 한인교육연구. pdf (페이지 52-61)

한 교 교

1.

어 교육의 일 적인 표는 자가 표 어로 정확하고 유창하게 소통할 수 있는 을 러 는 것이다. 이러한 어 교육의 표를 성하기 위해 어 교육 현장의 교사들과 어 교육 연구가들은 가 가르치는지, 가 배우는지, 무엇을 가르치는지, 어 게 가르치는지, 어 에서 가르치는지 등 다양한 인에 른 한국어 교육 방안에 대해 의하 으 이 러한 의가 적되어 어 교육의 이 과 제에 대한 연구의 도와 위는 세 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도 이러한 의의 연장 에서 자에게 표 어인 한국어를 정확하고 유창하게 소통할 수 있는 의사소통 을 장시 기 위한 한국어 수 대 의 방안에 대해 의하고자 한다. 의사소통 장을 표로 하는 한국어 수 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무래도 한국어 수 자 간의 상 용 정도, 자의 수 대 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자의 수 는 다양한 요인에 의한 아 수도 아 수도 있다. 라서 한국어 교사는 자의 수 대 를 진시 는 요인과 방해하는 요인에 대해 인지하고 한국어 수 에서 자의 도를 이는 진자 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 다면 한국어 수 에서 자의 수 대 를 이는 요인과 방해하는 요인은 무엇일까 본고는 이러한 문제를 고 하기 위해 한국어 수 현장의 라를 통해 수 을 상으로 하 대 자들의 수 대 를 전사하고 이 를 바 으로 수 대 를 분 하였다( 기 1 , 1 , 1 조). 그리고 한국어 수 대 분 을 통해 대 자 간의 상 용을 진하는 요인과 방해하는 요인을 분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상 용 을 진하 자의 적 적인 를 유도할 수 있는 수 대 양상의 기초 정보를 제 하고자 한다.

.

1

국어나 모국어와 은 인간의 어는 나 지 이나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을 가 하게 하는 대표적인 수단이다. 의사 소통의 에서는 자 자와 은 대 자와 그들이 나 는 이야기의 제가 기본적으로 전제된다. 한국어 수 의 의사소통 도 이와 게 다르지 않다. 한국어 수 의 대 자는 교사와 자들이고 이들이 때로는 자로, 대로는 자로 그 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한국어 수 에서의 제는 그날 교육 과정에 른 수 의 표와 된 제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인 의사소통 에서 대 자가 제에 대한 대가 형성되었을 때 자 간의 상 용은 가장 진지하게 그리고 발히 일어나는 것을 자 경 할 수 있다. 의사소통 에서 제는 대 자 간의 상 용을 진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 , 이러한 양상은 한국어 수 대 에서도 이 되고 있다.

다음은 한국어 수 대 의 시이다.

1  의 통 을 표로 는 한 에서 대 자들 의 대 을 통해 자의 를 도 는 한 교 ( 교 교 )의 과 에 대한 고 ( 기 1 , 1 , 1 )을 의를 구성 였다.

  한 교 에서 이 지는 대 의 기 구 가 일반 으로 ‘시 ( ) 반 ( ) 가( )/ ( )’로 이 지 로 ‘교 – 교 ’의 대 구 에서 나 나는 한 교 의 중에 대 의 지 을 으로 한 의

통에 과 으로 나 나는 과 해 을 중 으로 의를 전 고자 한다( 기 ,

1 4쪽 ).

( 1 가)

(노래를 는 과 들이 만한 노래 을 ) 이 이 , 이 노래 아

. 아 . 누구 노래 노래 . 은 을 아해 , 아해 .

는 노래를 아해 있

( 1 나)

( 들을 ) , 한 때 아 . .

, 래 . 도 , 교에서 한 이 시에 나 아 1 . 아 .

아 래 시에 나 4시에 나 .

.

( 1 다)

아 , 를 아해 , 아해 .

를 아해 음…

아해 . 아 래

교 , 자

위 ( 1)을 보면 한국어 수 에 한 자가 한국어를 미나 문 적으로 하는 대 초반의 다국적 초급 자들로 한국의 대중 문 에 이 있거나 한국에 유 을 다는 통점을 용하 이들이 하는 한국 래와 가수, 로서 통된 일정, 등을 도 단 에서 제로 제시하고 자의 를 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 수 에서 교사가 자의 대 이나 발 에 대해 조의 양으로 반응하거나 음이나 람의 표정을 지으 어적인 반응을 적 적으로 할 때 은 자들은 수 대 의 를 보다 적 적으로 하는 양상을 보이 한 다. 자의 발 에 대해 어뿐만이 아니라 어적으로 정적인 을 보일 경우, 대부분의 자는 대

기가 아지는 것이다. 이때 어적인 표현은 수 대 자의 이해를 도 때에도 우 유용한데, 특히 한국어 도가 은 문이나 초급 자의 경우, 로운 문형이나 어 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어적인 한 가 있기 때문 에 자 수 에 는 어적인 과 어적인 이나 시 자 를 용한 제시 은 자의 이 해를 이는 데 기 하는 바가 다. 한 대 시 고 받는 자 간의 시 교 를 통해 수 대 자 간의 유대 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이 어뿐만이 아니라 어적인 양상으로 적적인 을 하거나 자에게 로운

용에 대한 이해를 거나 대 자 간의 유대 을 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적절한 어적인 양상은 수 대 를 진하는 요인이 수 있다. 이러한 수 대 의 는 다음과 다.

( 가)

( 한 에서 ‘ 다’ 를 가 )

냐 , 해 ç 시 교

1 지다.

지다 오 냐 , 해 ç

( 나)

( 표 의 의 를 제시 는 에서) 가 는 해

1 아니 . 해 .

아 가 는 을 해 .

( 으로 를 나 ) 을 . ç ( 다)

( 표 의 의 를 제시 는 에서) 은 다 가 아 . 래서 . 1 ‘ ’

(교 는 는 으로 ‘ 다’의 의 를 이 )

‘ 다’ . ‘ 다’ 다 때 ç 기/ 음

그 1 상 용을 진하는 어적 양상

한 교사가 자의 대 이나 발 를 용하 표 문형에 대한 이해를 는 제적인 문으로 사용하거나 자 의 대 에 적 적인 과 를 하는 한편, 어의 이도를 자 수 을 고 하 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어 와 단 한 문장 구조로 발 하 자의 이해를 도 때 자가 수 대 에 하는 경 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 고 교사가 정상적인 발 도를 유지하 자에게 수 있는 한국어 이나 표현 표 어 사용을 통 제하고 자의 대 를 유도하기 위한 문의 이도 조절 자의 대 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를 제시 하 를 제 하면서 수 자 간의 상 용을 유지하 는 경 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 대 의 양상 은 다음 와 다.

라)

( 를 서 는 에서 을 가 ) , 해

1 전을 서 을 해 .

와 ç /

( )

( 표 의 의 를 제시 는 에서 자 를 이 서) 에 가 에서 을 해

1 를 .

, 아 . ( 자 의 을 가 ) 고…

.

아 를 . 고 때 도 . 을 이 해 . 때 ‘ (으) 서’로 해 . 를 서 을 .

서 …

다 ç 제

아 러 수 구성원 모 의 를 하기 위해 수 대 에서 소 되거나 성 도 조 은 자라도 교사는 수시로 시 을 고 받으 자의 이 을 하 발 기 를 고 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배분의 는 다음과 다.

)

1 ( 의 에서 1이 에 ) 모 , 이 시에 을 는지 아 , 이 시에 을 는지 아 . 시에 을 아 .

이 에는 모 가 에 해 ç 으로 차례

한국어 수 중에는 단 별로 수 보조 도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수 도중에 히 사용하는 단어 나 그 , 연 용지 등의 보조 자 를 자에게 배 하는 중에도 수 자 간 대 가 이 어 수 있도 교사는 자 와 상 용을 시도하는 것을 할 수 있다. 한 제시나 단 의 서 연 이나 용 단 의 연 지를 사용 시에도 자의 시 이 문자 중 의 서( )과 연 지가 아니라 수 대 자들에게 할 수 있도 구어 중 의 상 용을 유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수 의 운 는 다음 ( 3)과 다.

( 가)

( 들의 대 을 으로 서 서) 8 에는 . 지 은 때

.

아 날 가 달라 . ( 나)

( 표 의 의 를 제시 는 에서 아래 자 를 이 서) 1 에서 날 가 때

.

, 아 . ( 을 가 ) 기는 때 이 .

아 래서 날 가 때

.

아 ( 을 가 ) 기는 때

다)

( 를 이 서 만들기 을 행 는 ) 이 , ‘ 다’는 해

1 다

, 아 . 는 을

1 가 을 .

, 래 . 음에는 해 .

그 상 용을 진하는 수 의 운

이상 한국어 수 에서 상 용을 진하는 수 대 양상에 대해 보 다. 상 용을 진하는 수 대 를 위해서 교사는 수 의 용이나 방법 그리고 수 의 운 에서 자를 분히 고 한 수 용의 정과 자의 를 유도하 기 위한 적정한 수 의 어( 어) 사용과 어적 행 에 적 적인 양상을 보였다. 한 수 의 운 에서도 자와의 지 적인 상 용을 유지하면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자들과의 시 교 를 유지하는 경 을 보였다.

.

1

한국어 수 의 대 양상을 분 한 결과에 의하면 자들은 수 대 의 용에서 요 제나 소재 등이 자와 성이 적고, 자의 미를 유발하기 어 운 무의미한 용의 문이나 아 하지 않은 문법이나 표현의 문, 는 요구 사 이 부정확인 문들에 침 으로 반응하는 경 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교사가 표 문형이나 어

의 의미나 형 정보 등에 대한 이해가 부 하 자들에게 표 문형의 기본 의미, 형 정보 사용 정보 등이 정확하고 간 하게 제시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자들은 침 반응을 지 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수 대 의 는 (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 4 가)

( 으 ) 대 시 .. … 모 이 때 ç모 한 ( 4 나)

(‘ 아지다’를 통해 ‘ / 지다’의 의 를 제시 는 에서) 음에는 한 가 . 래서

기가 . 배 기가 기 때 이에 . 지 은 한 를 배 서 한

구도 고 한 도 배 고 한 에서 다 니 한 가 아 . 이 해

가는 이 을 때 쓰는 법이니 가 아 이 때 있을 거 . ç 한

( 4 다)

머니 이 때 ç모 는 로 …

이 이 늘 줄 …

들 는 이 , 에 들이 쓰는 이나 아니 을 때 쓰는 음 이나 이 을 때 때

ç 성 은 제 …

이 있는 지 . …

래서 이 때는 제가 ‘나 지다’라고 .

자의 반응을 유발하는 요인 중의 하나로 교사의 어적인 양상에 대해 본 바가 있다. 도 이나 제시 단 에 서 단조로운 양으로 교사 발 가 이어지고 자의 발 에 대한 적절한 이나 반응이 거의 나 나지 않을 경 우에 자들의 발 도 이어지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한 한국어 수 중에 교사의 시 이 자에게 하기 보다 서를 하면서 을 보거나 을 응시하거나 의안이나 자 를 는 경우에 자가 침 을 유발하는 양 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 대 양상의 는 ( )와 다.

( 가)

( 표 을 위한 자 를 읽으 서) ç시 침 나)

을 는 음… 이 는지 는지 모를 때 때도 쓰구, 대 한 때도 . (한 침 ) 니 …

이거 아 라 .

.( 한 ) ç한 침 ( 다)

‘ 다’는 표 있을 ...

( 자가 침 자 들을 라 교 도 침 ) ç 표 침

음… .

아 .

그 3 상 용을 방해하는 어적 양상

한 교사 발 에서 표 어(어 , 발음)나 간 사, 이나 표현 정상 도보다 른 도의 발 가 하 게 나 나거나 표 문형의 제시나 단 연 용 단 에서의 자 전 단 에서의 어의 이도가

고, 문장의 도 상 히 어서 초급 자가 이해하기에 어 이 있는 경우 자의 침 반응이 이어지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어 사용 양상의 는 다음과 다.

( 라)

는 제 한 에 . ç 한 음 1 음…( 가 으로 나와 을 표시한다)

아 ç . ..

아 1 날 가 ç 표 1 음

아 . ç …

지 제 느냐를 는 이 는 기 한 에 와서 모 구 지 나 제 와서 모 구 지 나

구 해서 구 .

ç 표

)

이 의 는 …자기가 자… … 모 지만 가 때는 래 라고 … 때 는 표 이에 .

다음에 는 것 다와 은 것 다의 의 구 은 냐 … 는 것 다는 에 , 때는 가 때는, 가 때는 는 것 다를 쓰고, 다음에 가 때 은 것 다를 .

지만 은 에서도 은 지만 받침이 있을 에는 아…은 것 다를 지만, 아 … 기 다가 지 는 … 다, 다 때는 은 이지만, 다 고 받침이 있을 에는 은 것 다를 고 아 다에서는 기 는 … 래서… …

ç 이 이도가 고 이

아 러 일부 자에게만 문을 하거나 전 자 대상으로 교사 발 가 이어 서 자 개개인이 수 대 에 할 기 부 가 적어 서 침 이 이어지는 양상도 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 자 중에는 발 기 가 거의 없

아 러 일부 자에게만 문을 하거나 전 자 대상으로 교사 발 가 이어 서 자 개개인이 수 대 에 할 기 부 가 적어 서 침 이 이어지는 양상도 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 자 중에는 발 기 가 거의 없

문서에서 2016 한인교육연구. pdf (페이지 5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