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음으로 ‘가르키다01’을 통해 사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살펴보자

문서에서 2016 한인교육연구. pdf (페이지 66-72)

.1. http://stdweb2.korean.go.kr .1.1.

표 국어대사전에는 1만 개의 단어가 있다. 표 국어대사전은 단어의 , 사, 어 원 등 다양한 정보를 제 한다. ‘가리 다’를

로 들어 사전에서 어 정보를 제 하고 있 는지 알아보자. 에 ‘가리 다’를 고

‘ ’을 르면 다음과 은 면이 다. ‘가 리 다’는 개가 있는데, 하나는 ‘ 을 가 리 다’와 이 있고 다른 하나는 ‘가르치다’

와 이 있는 있다. 이 은 소리는 지만 의미가 라 1과 로 나 것이다.

‘가리 다 ’는 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가르치다 1. 로 되어 있다. 이는 ‘가리 다 ’ 는 ‘가르치다 1’로 가라는 으로, ‘ 을 가 리 는 ’과 이 쓰는 것이 못이라는 것을 알 다.

다음으로 ‘가르키다01’을 통해 사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살펴보자.

1) 발음 단어의 발음을 알 다. ‘가리 다’ 에 ‘발음 기’를 르면 그 단어의 발음을 들을 수 있다. 이 ‘발음 기’ 정보가 모 제 되는 것은 아니나, 표기와 발음이 다를 경우 단어 에 발음을 제시해 었다.

안다 1 안 다

11. 가 다

) 용 정보 사나 형용사에 어미가 연결되면 모 이나 발음이 바 는데, 이것을 ‘ 용’이라고 한다. 사전에서는 ‘가 리 다’의 어간에 ‘ 어’가 연결되면 ‘가리 어’가 되고 이것이 ‘가리 ’로 된다는 것을 알 다. 그리고 ‘가리 어’

가 가리 어 나 가리 로 소리가 다는 것도 알 다. 이와 리 사 에 조사가 연결 때도 소리가 바 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용 정보에서 알 다.

1 이 치 , 만

3) 사 단어의 사( 사, 대 사, 사, 형용사 등)가 무엇인지 알 다. ‘가리 다’의 사는 ‘ 사’ 을 알 수 있다. 4) 문형 단어가 사나 형용사일 때 어 문장 성분과 쓰이는지 알 다. ‘가리 다’의 경우 ‘ 쪽을 가리 다,

시를 가리 다, 사람을 가리 다’ 등과 이 반 시 ‘ 을’과 쓰이 로, 문형 정보에서 을 을 제시하고 있다.

) 풀이와 용 사전의 가장 기본적인 기 은 단어의 과 그 용 를 알 다. 에는 그 전을 다. ) 어원 단어가 1 1 세기 문 에서 어 게 쓰였는지 알 다. 초로 나 형 를 제시하 그 형 가 바 면

제시한다. ‘가리 다’는 보상절 에서 ‘ ’로 처음 나 으 , ‘ ’가 ‘ ’를 거쳐 ‘가 르 다’로 형 가 바 었음을 알 수 있다.

.1. .

사전을 할 때 ‘ ( 음표)’와 ‘ (별표)’를 이용하면 단어를 을 때 쉽게 단어를 을 수 있다. ‘ ( 음표)’는 해 글자를 모 를 때 사용할 수 있다. 글자 한 개를 모르면 ‘ ’, 글자 개를 모르면 ‘ ’, 글자 세 개를 모르면 ‘ ’처럼 글자 수대로 사용하면 된다.

이와 리 ‘ (별표)’는 글자 수에 없이 모 단어들을 아 다. 만 ‘인사 ’인지 ‘인 ’인지 정확히 알지 못하면 ‘인 ’로 하면 알 수 있다. 만 ‘인 ’로 하면 ‘인’으로 시 하고 ‘ ’로 끝나는 모 단어를 한다. 고로 ‘ ’는 러 사용할 수 있으나 ‘ ’은 한 만 사용할 수 있다.

표 국어대사전에서는 용구와 , 방 등도 쉽게 을 수 있다. 은 일반적으로 그 의 단어를 알아야 을 수 있다. 그러나 표 국어대사전에서는 의 일부분만 알아도 을 수 있도 로그 을 제 하고 있다.

사전 면 쪽에 ‘ 로 보기’ 아래에 ‘ 용구, , 방 , 한어, 고유어’가 제시되어 있는데, 기서 ‘ ’을 르면

을 할 수 있는 면이 나 다. ‘표제어’에 ‘ 문자’를 하고 고자 하는 단어를 으면 그 단어가 된 모 을 아 다. 다음은 ‘ ’이 들어간 을 한 결과 이다. 이와 은 방법으로 ‘ 용구’도 쉽게 을 수 있다. ’로 처음 나’로 처음 나’로 처음 나 으 , ‘ ’가 ‘ ’를 거쳐 ‘가으 , ‘ ’가 ‘ ’를 거쳐 ‘가으 , ‘ ’가 ‘ ’를 거쳐 ‘가

1 . 결과 1 . 결과

14.

표 국어대사전 면으로 들어오면 에 ‘ 기’ 단추 에 ‘자세히 기’ 단추가 있다. ‘자세히 기’란 대상을 리 하거나 조 을 세분하 하는 기 으로, 이것을 르 면 다음과 은 면이 나 다.

위의 그 에서 보는 것처럼 ‘자세히 기’는 표제어뿐만 아니라 원어, 발음, 풀이, 용 등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조

도 하나 이상 수 있다. 가 ‘하다’로 끝나는 형용사 중에서 풀이에 ‘모양’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을 할 수 있다.

1 . 표제 ‘ 다’로 나는 결과

대상을 우 ‘표제어’로 정하고 다음 조 은 ‘끝 문자’를 한 에 ‘하다’를 한다. 이것은 ‘하다’로 끝나는 표제어를 으라는 이다. 다음으로 ‘ ’를 르면 조 식이 하나 나 다. 조 식의 대상을

‘ 풀이’로 고 다음 조 을 ‘ 문자’로 에 ‘모양’을 는다. 이것은 풀이에 ‘모양’이 들어간 단어를 으라는 이다. 그리고 사 중 ‘형용사’를 한 ‘ 기’를 르면, ‘하다’로 끝나는 형용사 중 풀이에 ‘모양’이 들어 간 단어들이 모 된다.

. .

국 의 국어 에 도 을 고자 한 어문 정에는 ‘한글 법’, ‘표 어 정’, ‘ 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 자 표기법’이 있 다. 이 가지 어문 정은 국 국어원 리 ‘사전 국어지식’에 서 을 수 있다.

‘어문 정’에는 어문 정이 고시된 용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 래어 표기법’이나 ‘국어의 로 자 표기법’은 정을 아 표기해 수도 있지만 ‘용 기’를 통해 그것을 확인할 수도 있다. ‘ 래어 표기법’의 ‘용 기’를 르고 에 원어 나 한글 표기를 고 ‘ 기’를 르면 원어의 바른 한글 표기를 알

다. ‘국어의 로 자 표기법’ 시 ‘용 기’를 르고 에 로 자로 표기하고 은 을 으면 그 을 로 자로 어 게 표기하는지 알 다.

1 . 자 기

1 . 한글 법

그 18. 래어 표기 용 면 그 1 . 로 자 표기 용 면

. .

‘ 라인 국어 합상 ’이란 어문 이나 어법, 국어와 된 러 가지 한 점을 문의하는 이다. 가 ‘가 시오’가 는지 ‘가 시요’가 는지 할 때 ‘ 라인 국어 합상 ( 라인 가나다)’에 문을 기면 다음날까 지 을 들을 수 있다.

이 에서는 문과 용을 할 수도 있다. 면 부분에 있 는 에서 ‘ 문 제 ’이나 ‘ 문 용’을 정한 에 ‘가 시오’

나 ‘가 시요’를 고 하면 ‘가 시오 가 시요’와 이 있는 문들이 된다. 그 중 하나를 하 문 용과 용을 보 면 어 것이 인지 알 수 있다.

이처럼 간단한 문은 인터 게시 에 글을 안 기고 전 를 해도 된다. 국 국어원은 ‘가나다 전 (1 )’라는 상 전 를 운 하고 있다. 가나다 전 로 전 해서 국어에 대해 한 것을 어 보면 상 원이 바로 을 알 다.( 무시간은 한국 시간 기 으 로 , 1 , 13 18 , 일 제 )

그리고 ‘ 라인 국어 합상 ’에 들어오는 문을 모아 ‘상 사 모음’으로 정리해 놓 다. ‘로서’와 ‘로 ’의 이, ‘들 서 들러서’

중 어 것이 는지, ‘있음 있 ’ 중 어 것이 는지부터 부고하는 요 이나 단자 쓰는 법, 세배 인사법 등 국어에 대한 다양한 문과

이 제시되어 있다.

에는 리 소통 서 스( )가 발 되어 ‘ 오 ’으로도 의 응 을 받고 있다. ‘ 오 ’에 ‘우리 3 ’아이 를 구 추가하면 국어 의 을 해소할 수 있다.

. 라 가나다

. . . .

국 국어원은 한글의 우수성을 국 에 널리 알리기 위해 한글 자 를 통합하고 리하고 있다. 한글문 의 유 을 수 하 데이터 이스로 하고 전문가들의 해 을 인 지 전시 을 운 하고 있다. ‘한글의 과 사’

에는 한글( 정음)의 창제 원리와 한글의 발전 과정을 상세히 보 다. 그리고 정음 창제 이전에 우리의 문자 에 대해서도 알 , 세 러 문자의 사도 소개한다. ‘아 다운 한글’ 는 글자의 모양과 된 정

보를 제 한다. 한글의 자형의 과정과 한 글 글 개발의 사를 하고, 다양한 글 을 보 다. 그리고 글 개발 에 대해서 도 소개한다.

‘ 정보 ’은 한글 문 들을 정리한 이다. 한글 문 을 정리하 원문을 이미 지로 제 하고 문 에 대한 을 놓 다. 그리고 문 을 할 수 있는 ‘한글문 통 합정보’를 운 하고 있다.

‘한글과 교육’ 에는 한글을 바르게 배우고 익 수 있도 어문 과 국어 교육 자

를 전시하는 이다. 어문 정뿐만 아니라 국어 교과서, 국어 교육 자 도 제 된다.

‘한글의 진 와 미래’ 에 한글의 모 과 사 용 양상을 미래지 적인 점에서 보 다. 한글의 세 와 기 , 국어 정보 사 을 소개한다. 그리고 통일을 대

해 한의 어문 정을 소개하고 한 어도 교해 놓 다.

‘ 한글’ 에는 조들의 상을 이해할 수 있도 을 제로 한 한글 문 을 전시한다. 특히 의식 와 된 한글 문 과 사 상을 반 한 한글 문 을 소개한다.

1. 례 모음

. 오

. 지 한글

바로 가기 ‘특별 기 전’에는 부터 1 까지 한글날을 기 하 전시한 용들이 되어 있고 ‘ 상으로 보는 한글’은 그간 한글을 제로 방 된 방송 상을 모아 놓은 것이다.

. .

지나치게 어 운 이나 적인 , 래어 위를 알기 쉽고 적인 상 로 는 고유어로 바 어 쓰도 하 고 있는데, 이 게 다 은 을 ‘ 어’라고 한다. 국 국어원에서는 이러한 어를 리 에 개하고 있다.

4.

국 국어원 면의 ‘사전 국어지식’에 용이 연결되어 있다. 어 자 시 이 가 하다. 가 대상어 로 ‘나시’를 으면 ‘나시, 소데나시, 에리나시’ 등이 된다. ‘나시’에 들어가면 ‘ 어 표 용어’에 ‘ 소 ’가 제시되어 있다. ‘나시’ 대 ‘ 소 ’를 쓰는 것이 우리 을 요 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어에는

도 된다는 표시가 있는 도 있다.

인터 이나 문 기사를 보면 래어가 부 이 사용되고 있다. ‘ 리 이 , 이 , 데모데이, 러 개 , 필 이 ’ 등등 일일이 급하기도 어 다. ‘우리 다 기( . . )’에서는 어 운 래어를 운 우리 로 바 는 일과 바 단어를 알리는 일을 한다. 이 에서는 다 고 은 을 의할 수도 있고, 바 단어를 제안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 을 을 정할 때 할 수도 있다.

. . http://ithub.korean.go.kr

한국어 교육을 하다 보면 은 문을 보 경우가 있다. 이 경우 ‘ 어 정보 나 터’를 이용하면 문을 쉽게 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치’ 에 하 기를 리고 원하는 단어를 으면 된다. 한 연구용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어 자 를 받을 수도 있다.

. 다 기 누 . 나

문서에서 2016 한인교육연구. pdf (페이지 6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