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수요 의

문서에서 2016 한인교육연구. pdf (페이지 75-92)

(1) 교수요 ( )이란

교수요 이란 교육 용을 상세 하고 서를 정하는 일과 된 교육과정 의 일부이다. 교육 용을 정할 때 무엇을 중 으로 하는가에 라 교육 용의 정과 배열이 라지게 된다. 어 교수요 의 와 특 , 해 교수 요 의 용을 시하면 다음과 다.

표 교수요 의 와 특

구조 교수요 음운, 문법 등 어 구조 중 사문, 자 사문, 사문, 과거 등

상 교수요 상 , 배경 중 , 시, , 식 등

제 교수요 등급에 는 제 중 배열 가 , 날 , 음식, 등

기 교수요 할 어 기 중 의 배열 어 기, 자세히 기, 제문 기 등

개 교수요 어를 통해 표현되는 개 거리, 수 , 시간, , 위치, 기 등

기 교수요 의사소통 기 중 소개하기, 요 하기, 제안하기, 의하기 등

과제 중 교수요 과제 중 사 면 하기, 서 성하기 등

합 교수요 이상의 교수요 용 제-기 -구조 합 교수요

( ) 교육 용 의 결정

교수요 의 유형에 라 중점을 는 용 에 이가 있다. 일반 적의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중시하는 용 는 제와 상 , 의사소통 기 , 과제, 구조 등이다. 단 하나의 용 중 으로 교수요 을 하기보다는 요 용 를 합하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데 이러한 합 교수요 도 교육과정에서 중점을 는 바 에 라 용 용 정의 절 가 라지게 된다. 가 , 상위 로 ‘ 제’를 정하고 해 제를 중 으로 의사소통 과제를 정한 , 어 문법, 발음, 문 교육 용을 연 할 수 있다. ‘재미한국 교 의 1 표 교육과정’의 단 별로 제시된 안을 보면, 제, 문법 어 를 교육과정의 요 용 로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교육 용의 정과 조

교육 용 가 결정되면 교육 용을 정하고 배열하는 절 가 필요하다. 구 적으로 무엇을 어 서로 가르 것인지 해야 하는데, 교육 용의 정을 위해서는 국 국어원의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 모형’을 조할 수 있다.

  ( 14)은 기 에 된 한 교 과 ( ) 를 로서의 한 교 과 의 성과를 고 한

를 지 였다. 이 구에서는 자의 , 종 도달 표 , 자의 성 반 , 교 법의 제를

의 였는 , 이는 교 과 에서 한 이 는 들이다.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 모형’에서 ‘ 제, 어 , 문법, 발음, 스 , 기 과제, 문 ’ 로 나 어 교육 용을 등급 하 제시하였으 로, 교육 용을 정하고 조 하는 데 유용하게 용할 수 있다. 를 들어, 특정한

제가 로 어 등급에서 적절하게 다 어지는지 알 수 있다.

표 3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 모형의 제 등급

구분 급

분 1급 급 3급 4급 급 급 급

가 소개 ●

안일 ●

연 , 결 ●

한편, 교육 용을 정하고 조 하기 위해서는 배열의 기 이 필요하다. 어 교육과정에서 교육 용을 배열하는 전통적인 기 은 이도와 도이다. 이도를 기 으로 할 때에는 단 한 것에서 한 것의 서로 배열하는 것 이 일반적이다. 도의 경우에는 고 도에서 도의 서로 배열하게 된다. 그 에 시간적 서를 배열 기 으로

는 경우도 있다. 를 들어, 쓰기의 경우에는 쓰기 과정의 시간적 서( 인스 , 초고 쓰기, 교정, 편 )를 고 하 용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자의 요구는 교육 용과 배열의 서를 결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기 이 된다.

교육 용을 조 할 때에는 나 형 교육과정( )이 장된다. 일한 성 의 용이 의 진행에 라 된 용으로 반 수 있도 하는 것이다. 일한 제도 자의 수 이 아지면 게 다 어 수 있다. 를 들어, 초급의 ‘ ’ 단원에서 사기, 가 기를 다 다면, 중급의 ‘ ’ 단원에서는

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거나 구 한 에 대한 교 , 등을 다 게 된다. 자는 교육 용의 반 과 를 통해 한 용을 이해하고 용할 수 있게 된다.

4) 교수 방법 정

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서 제적으로 적용되도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수 방법을 해야 한다. 교수 방법을 정하기 위해 확인해야 할 것은 가지 어 기 을 통합하 교수할 것인가, 은 그 중 일부에 중점을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해 기 과 표현 기 , 음성과 문자 중 의 교육은 교수 방법 면에서 이를 가지 로 어 기 의 통합, 중에 대해 지침을 정하고 적절한 교수 방법을 정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성 적인 운 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 모형을 하 교수 지도안, 교사용 지침서 등에 반 할 필요가 있다.

<참고 문헌>

김정숙(2002),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와 교재 구성,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김중섭 외(2011),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

박혜경(2015), 거시적 접근법 기반의 재외동포 아동용 한국어 교재 연구, 경희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심용휴 외(2012), 재미한국학교협의회 2012년 표준 교육과정, 재미한국학교협의회.

안경화(2007), 한국어 교육의 연구, 한국문화사.

이정란·이해영(2014), 재외동포 아동을 위한 학습자 중심 한국어 교재 개발, 이중언어학 56, 이중언어학회.

조태린(2014), 계승어 교육 측면에서 본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총론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55, 이중언어학회.

교 한 교 한 교 교

1.

한국어( ) 교수( )란 ‘한국어를 가르쳐 는 것’을 한다.1 수 을 하 수 의 , 개발, 행, 리, 가가 되는 모 행위를 일 는다. 바른 한국어 교수를 위해서는 형적( ) 면 시 리, 음성, 한국어 등 과 면적( ) 면 수 구성, 자 특성 이해, 수 표 성 등 을 철 히 해야 한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의 할은 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특히 ‘한글 법과 표 어의 바른 이해‘를 통해, 한국어 교수의 면적 면에서 중요한

할을 하는 한국어 문법의 바른 사용에 하고자 한다.

한국어 문법 교육은 게 ‘교수 용’과 ‘교수 방법’으로 나 수 있다. 교수 방법에는 인지 단 , 문형 연 , 자유 문장 문, 문, 자유 의 방법을 들 수 있다. 한, 한국어 문법 수 에는 단 , 제시 단 , 연 단 , 사용 단 가 필요하다. 의 단 에서 교사와 자 사이에 소 히 할 수 없는 것이 한글 법과 표 어 정에 한 바른 이해라 하 다. 그러나 한글 법과 표 어가 1 88 에 개정되었음에도 구하고 아 까지도 제 현장에서 바르게 전 하 지 못하는 안 까 을 본다. 필자는 교사의 바른 문법지식이 바 이 때 들의 바른 한국어 사용이 가 한 것이라고

장한다. 본고의 의를 통해 바른 한국어 문법 지식3을 고 한국어 자에게 바른 한국어 교수( )를 하는 유 한 교사들이 되기를 바란다.

.

한글 법과 표 어는 1 88 에 정되었으 , 래어 표기법은 1 8 에 정되었다. 한, 국어의 로 자 표기법은 에 개정되었다. 로 개정된 정을 간단히 보면 다음과 다.4

.1

.1.1 1 서 1 .

제 1 한글 법은 표 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도 을 원 으로 한다. 제 문장의 단어는 어 을 원 으로 한다. 제 3 래어는 ‘ 래어 표기법’에 라 적는다.

.1. .

.1. 1 .

된소리 구개음 소리 받침( 고리) 모음( 수, 게시 , 의의) 음법 ( 자), (양 ), ( 인) 쳐나는 소리( )

.1. 1 1 .

1) 과 조사는 구별하 적는다.

1  자( 1), 교 와 교 법을 통해 한 교 의 와 과제   중 ( ), 한 교 의 성과 교 로서의 자 에 대

  한 법에서 중 한 중을 차지 는 한글 법과 표 지도에 초 을 다.

4  ( ), 한글 법과 쓰기   한글 법(1 88), 교 고시 제88

한 교육

)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 적는다.

3) 모음조 (어미 아 어)에 게 적는다.

4) 용 ( , , , , , , , 러, 르) 은 바 대로 적는다.

) 미사가 어서 된 (이, 음 , 이 히)은 어간을 히어 적는다.

) 합성어 사가 는 은 그 원형을 히어 적는다. ( , 시 다)

) 사이시 의 표기(3 ) 우리 로 된 합성어로서 이 모음으로 끝 경우(나 가지, , 나 ), 우리 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이 모음으로 끝 경우( , 제 날, 사 일),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다른 한 자어에 사이시 은 적지 않음 ‘ 간, 방, 자, 간, 간, 수’만 사용)

8) 이 어 적에 ‘ ’소리나 ‘ ’소리가 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

( , 리 , 안 )

) 단어의 끝 모음이나 과 조사 등이 어지는 경우에 대로 적는다.

( 어제 , 가지, 그 그것은, 가 가아, 개 개어, 해 하 )

.1. 1 .

1) 조사는 그 에 다. ( 이, 에서부터, 이다)

) 의 사, 단위를 나 는 사 등은 어 다. (어 것, 한 개)

3) 수 적을 때 만 단위로 어 다. ( 이 사 오 육만 구 ) 4) 성과 이 , 성과 등은 쓰고 이에 는 어 등은 어 다.

( 양수, 식 사, , 보지 보 지 )

) 성 이 의 고유 사 전문 용어는 어 을 원 으로 하되 수 있다.

(대한 중 교 대한중 교, 만성 수 만성 수 ) ) 보조용 (4 )

.1. 1 .

1) 부사의 끝 음절이 ‘이’로만 나는 것은 ‘ 이’로 적고, ‘이’나 ‘히’로 나는 것은 ‘ 히’로 적는다. (깨 이, 히, 히 등)

) 다음과 은 미사는 된소리로 적는다. ( 부 , 자때기, , 치) 3) 다음 은 구별하 적는다.

가 음, 반 시 반 이, 러( 적) (의도), 로서(자 ) 로 (수단), 로(이유) 으로 (수단)

.

. .1 1

. .1.1 1

제 1 표 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쓰는 현대 서 로 정 을 원 으로 한다. 제 래어는 로 사정한다.

  표 규 (1 88), 교 고시 제 8 11

. .1. 1 .

1) 자음의 경우

나 사글세 수

) 모음의 경우

이 기 아지 이 미장이 미 나무 니 3) 의 경우

다 무 상 다 수 하다 일구다 을 서 르다 4) 단수 표 어의 경우

시 되 자 있 니다 없 니다 재 장 ) 수 표 어의 경우

고기, 소고기 , 다, 고이다 다, 이다

거 하다, 게 하다 나부 이, 부 이 하다, 하다

. .1. .

1) 고어의 경우

러지 다 다 오 자

) 한자어의 경우

발 지 다리 상 상 단 알 리무 무 3) 방 의 경우

우 이 게 리 리 어 보 부

4) 단수 표 어의 경우

게시리 게 까 스 다 까다 다 부스 지 부스러기 별 별 기스 다 기 다

안절부절하다 안절부절못하다 ) 수 표 어의 경우

가 , 가 가 다, 가 다 거리다, 대다 , 고 간, 간 리다, 리다 모 , 아무 보조개, 우 (으)세요, (으) 요 이에요, 이어요

. .

제 1장 제 장자음과 모음 제 3장 소리의 이 제 4장 받침의 발음 제 장 소리의 제 장 된소리 되기 제 장 소리의 가

. .1

1) ‘ 니다’가 ‘ 니다’로 바 었다.

있 니다 있 니다. 없음니다 없 니다.

) ‘ 장이’와 ‘ 이’를 구분하 다.

미장이, 유기장이 등 기 자를 일 을 때에는 ‘장이’로 이, 이 등 을 일 을 때에는 ‘ 이’로 한다.

3) ’ ’을 ‘ ’으로 다.

일 일 , 사

4) ’ 와’를 ‘ ’로 다.

고 와 고 , 가까와 가까

용 에 모음 어미가 연결 때는 어간 음의 ‘ ’이 ‘우’로 바 로 ‘안 까 , 가까 , 아니 ’가 다.

‘ 다’와 ‘ 다’의 경우는 어간에 어미 ‘ 아’가 결합되어 ‘와’로 적는다. ‘고와 고 다’, ‘도와 도 다’

) 수 을 이르는 은 ‘수’로 통일한다.

수 , 수 아지, 수 , 수 아리 ( 양, , 소) ) ‘ ’, ‘ ’은 ‘ ’으로 통일한다.

‘ 도리, 니, ’이 다.

된소리나 거 소리 에서는 ‘위’로 다. (위 , 위 , 위쪽, 위 ) 아래와 위의 대 이 없는 단어는 ‘ ’으로 다. ( , 어른) ) 성과 이 을 다.

이 이 , 구 구 8) 수를 적을 때는 만, , 조 단위로 다.

) 이 이 육만 구

) 요 오

의 지 에 ‘ 시요’는 사용이다. 반 시 ‘ 시오’로 표기하기를 유한다.

는 형의 에는 반 시 ‘ 시오’로 표기한다.

) 수고하 시요.( ) 수고하 시오.( ) 수고하세요.( ) 하지만 연결형은 ’ 요’를 다.

) 이것은 이요, 이것은 연필이요, 이것은 이다.

1 ) 데로 대로

장소를 나 는 ‘ 으로’의 의미인 경우에만 ‘데로’로 표기한다.

) 부 하는 데로 해 리 니다.( ) 부 하는 대로 해 리 니다.( ) 조용한 대로 가서 기 합시다.( ) 조용한 데로 가서 기 합시다.( )

  전 를 다 기에 들만 해 한다.

11) ‘ 로’와 ‘ 으로’

하 로, 되 로, 가 로, 오 로’등과 이 어간에 은 어미이다.

하 로, 되 로, 가 로, 오 로’등과 이 어간에 은 어미이다.

문서에서 2016 한인교육연구. pdf (페이지 7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