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문서에서 2016 한인교육연구. pdf (페이지 35-46)

조 원

한 교

1 발표된 에 르면, 한국어는 부터 13 사이에 대 에서의 수 등 인원수가 가장 게 가 (4 )한 국어로 나 다 ( , , 1 ). 대 에서 국어를 는 자들의 등 자로 때에는 한국어는 아 14위에 과했지만 해 기간에 대 국어 수 의 전 등 인원수가 . 소한 상 에서 한국어 수 을 는 자의 수가 그처럼 으로 늘어 다는 것은 우 고무적인 일이라 할 수 있 다. 한국어 에 대한 수요가 르게 늘고 있는 현상은 대 의 다른 교육 기 에서도 아 수 있다. 사이에 미국 서부, 부 지 을 중 으로 다수의 초, 중, 고교에서 한국어 수 이 되었고, 13 에 고교 들을 위한 한국어 우등 단 인

가 하는 등, 초중고교 에서도 한국어 교육이 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에 13 자 ( , 13)에 르면 그 시 1, 개의 교 한국 교에서도 , 이상의 들이 한국어를 부하고 있었다고 하니, 바야 로 미 에서 한국어 교육은 중 기를 고 있다고 해서 과 이 아 것이다.

이와 은 양적인 창 에 다른 할 만한 점으로는 한국의 정치, 사 , 경제, 문 적인 발전으로 인해 한국어의 효용성 이 아지고, 미 에서 한국 이 사 가 정 되고 안정 에 라 한국어를 부하는 자들의 구성원이 하고 있 다는 점이다. , 과거에는 어( )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이 자 가정의 자 가 자들의 대부분을 지했으나, 이제는 이 자 가정의 자 들 에도 이 3세 이상의 어 모국어 자, 한국 문 에 이 있는 국인, 양 자

, 다문 가정 자 등으로 자들의 구성원이 다양해지고 있는 상 이다 ( , 13 , 1 ). 이러한 추 세는 한국 교에서도 반 이 되어 어가 어인 가정 의 이 , 3 세대 이상의 한인 들과 국 , 한국 어를 배우고 어하는 성인 자들의 자가 가하고 있다.

이 게 다양한 배경의 자들이 한국어를 배우 고 하는 현상은 무 고무적인 일이나, 한국어를 배우는 자들의 어 적 사 적 배경이 다양해지고 표 수 도 다양해 에 라 교사들로서는 한국어를 어 게 효과적으로 교수할 것인 가를 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한 어가 아닌 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자들이 가하고 있는 현 에서 미국 에서 통용되고 있는 국어 표 ( )에 추어 리 럼을 재조정하는 것도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현지 된 한국어 교육과 보다 적이고 효 적인 리 럼 개발을 위해 미국 국어 교육에서 통용되고 있는

국어 표 ( )를 소개하고, 이를 바 으로 한 효과적인 교수법의 하나로서 로 를 기반으로 한 법에 대해 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수 방법은 어( ) 는 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자들 의 다양한 배경과 어 수 , 을 고 하 효과적으로 수 을 이 어나가는 데 도 이 수 있을 것이다.

1.

우 미국에서 지 간 통용되고 있는 국어 표 ( )을 보자.

1 에 미 대의 국어 교육 의 인 ( )이 시 다

가오는 1세기의 국어 교육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 국어 표 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 의 하기, 기, 쓰기, 기의 어 을 확장하 의사소통 ( ), 문 ( ), 연 ( ), 교 ( ), ( )의 다 가지 분야에서 국어 자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표 을 제시한 것이 다 ( , 1 ). 이 , 국어 표 은 인 1 에

로 개정되었다 ( , 1 ). 국어 표 에 대한 개 적 용은 표1 에 요 되어 있다.

1

대인 의사 소통(Interpersonal Communication): 대화를 통해 정보, 감 정, 의견 등을 전달한다. 말하기, 쓰기, 수화 등을 포함한다.

해석적인 의사소통 (Interpretive Communication): 다양한 주제에 대한 말과 글을 분석, 해석하여 이해한다. 듣기, 읽기, 수화 등을 포함한다.

발표를 통한 의사소통 (Presentational Communication): 다양한 주 제에 대한 정보, 개념, 의견 등을 청자나 독자에게 전달한다. 말하

문화적 관점과 관행의 연계 (Relating Cultural Practices to Perspectives): 목표 문화의 관점 (Perspectives)이 그 문화의 문화 적 관행 (Practices; 예: 전통 명절, 놀이 문화, 결혼 풍습 등)에 어 떻게 반영되었는지를 탐구하고 설명하며 숙고한다.

문화의 관점과 산물의 연계 (Relating Cultural Products to Perspectives): 목표 문화의 관점 (Perspectives)이 그 문화의 문화 적 산물 (Product, 예: 전통 명절 음식, 놀이 도구, 결혼 예물 등) 에

다양한 정보와 관점의 습득 (Acquiring Information and Diverse Perspectives): 목표 언어와 문화를 통해 정보와 다양한 관점을 습

한 다 가지 이 서로 배 적인 이 아니 , 서로 간에 히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 문 적인 이해( ) 를 배제한 원 한 의사 소통 ( )은 있을 수 없으 , 이러한 문 적인 이해는 모문 와 표문 의 교 분 ( )을 통해 하게 되는 것이다. 한 문 적인 이해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표 어가 소통되는 지 사 에

하게 되고 ( ), 전문 분야로의 지식을 늘리게 된다 ( ).

이러한 국어 표 은 미 에서 스 인어, 스어, 일본어, 수 등의 러 국어 제 어 교육의 표 으로 사용 되고 있으 , 대 뿐 아니라 중고교의 국어 제 어 교육 표 으로 적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미 한국어 교육

( )에서도 미국 국어 중 1 로 11 한국어 교육 표 (

( 1 ) 을 개발, 발표하였고 1 에는 한국어 교육 표 에 거한 대 교육에서의 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로 기반 이 어 게 국어 표 과 연 되어 진행 수 있는지 와 보도 하 다.

. 1

로 기반 ( , 이하 )은 은 자들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스스로 정보를 하고 한 정보를 의미 있는 방식으로 재구성하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교수법으로서 그 효용성을 인정 받아 러 분야의 교수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국어 교육에서도 교사 도가 아닌 자 도적인 방법이 을 받게 되면서 은 국어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 , 1 3). 국어 교육에서의 의 유용성은 다음과 이 요 해 수 있 다.

. 자 중 의 기 제 교사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 하기보다는 자들이 스스로 문제해결에 대한 창 의적 방법을 도 한다는 점에서 자 중 의 기 를 제 한다. 한 이를 통해 자의 만 도 를 이고 기를 진한다.

. 국어 표 에 거한 통합적인 어 교육의 기 를 제 국어 표 에 거하 표를 세우고 을 진행하 자들이 의 표 분야를 아우르는 어 을 양할 수 있다.

. 별 교수 ( )를 제 어 문 배경에서 이가 나는 자들에게 개개인의 이와 다양성을 배 하 자의 수 에 추어 할 수 있는 기 를 제 한다.

. 지 문해성 ( ) 진 지 원어 ( )인 자들이 상 의 형식으로 결과 을 성하 거나 를 통해 결과 을 전 하는 경우, 자들은 현대 사 에 필수적인 문자 어 에 지 를 통해

시지를 , 전 , 이해하는 지 문해성 ( )을 기를 수 있다.

. 과제 수행을 통한 제적 어 의 기 를 제 은 자가 제 상 의 과제 ( ) 수행을 통해 기 과 상 에 는 적절한 어를 할 수 있도 도와 다. 라서 단 한 기나 연 보다는 이러한 의미 있는 에서 적으로 어를 사용하게 으로 한 어를 오 안 기 , 유지할 수 있게 해 다 ( ,

).

은 자들에게도 다음과 이 자들의 국어 을 는다.

. 단 별 스 ( )을 통한 장기 모형 제 게는 1 , 게는 한 기에 거쳐 로 를 수 행하는 과정에서 자들은 교사의 에 라 결과 을 지 적으로 수정, 개 하 장기간에 쳐 을 할 수 있다.

. 사 성 양 창 의 경우는 자들이 하 과제를 에 라 사 성을 기를 수 있다.

. 창의 발현의 기 를 제 로 를 수행하면서 자들은 자 의 원하는 제를 하고 창의적으로 어를 용하 정보를 , 전 하게 에 라 자들이 창성과 창의 을 발현할 수 있도 한다.

. 이러한 유용성으로 인해 은 용 중 의 어 교육, 특수 적을 위한 어 교육, 어 교육을 위한 어 교육 등 러 분야에서 발히 용되고 있다 ( , ). 다음으로는 이 제 수 에서 어 게 , 적용 수 있을지에 대해 보도 하 다.

을 수 에 적용 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우 이를 통해서 들이 어 표를 성 할 것인지를 결정

하는 것인데, 이 에서 의 안을 세우는 데 모형 ( )이 유용하다.

모형이란 교수안을 만 는 데 있어서 특정과제로 도 할 표를 정하고 들의 결과 을 상한 , 그 에 대한 가를 해 보고 을 통해서 과제를 성할 수 있도 단 별 용을 하는 것을 한다

( , 4, 표 조).

표 모형

모형의 장점으로는 교사가 확 한 교수 표를 세우고 그에 라 진행 단 를 에 라 보다 시행 오를 이고 표- 가 수 용의 일치도 ( )를 보다 구 적이고 효 적으로 과제를 , 진 행하는 데 도 이 된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은 제 상 에서 어 게 적용 수 있는지 고급 한국어 반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 사 를 통해 보도 하 다.

서 1

고급 한국어 반에서 사용되고 있는 을 소개하기 서 우 고급반의 표를 필요가 있다. 자가 수 을 가르치고 있는 대 의 고급 한국어 반에서는 에서 제시한 (별 1 조)와 국 어 표 에 라 다음과 이 의 표를 정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표를 보면 에서의 중급-상의 어 유창성을 표로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급-상의 경우는 고급의 어 기 의 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표로 하기 때문에 표 어 기 에서 고급 기 ( , 사, 교, 시사 문제)이 상 부분 되어 있다. 이러한 표에 라 을 적용하 수 로 를 다음과 이

모형에 거하 표 3 과 이 진행하였다.

표 3 고급 한국어 반에서의 기 로 진행

국어 표 에 른 보다 구 적인 표를 보면 다음과 다 1. 의사 소통

. 대인 의사소통 인터 를 통해 현재 한국에 된 특정 사 , 문 적 제에 대해 대 를 나

. 해 적 의사소통 자 (인터 자 , 문 방송 기사 자 )를 분 , 이해하고 그에 대한 배경 지식을 . 발표를 위한 의사소통 조사한 결과 을 정리하 식 를 서 발표

. 문 현대 한국 사 의 사 문 적 현상을 이해하고 그 배경 지식을

3. 연 해 현상이 일어나게 된 배경 지식을 이해하고 된 사 , 경제, 문 적 분야의 지식을 4. 교 한국과 미국의 문 현상을 교하 그 유사점과 이점을 이해

. 교 에서 한국어를 사용하 한국인 모국어 자를 인터

상기의 표에 라 발표와 문 부분에 대해 다 가지의 가 기 ( )을 제시하였다.

1. 발표 가 용 창의성 (3 ), 구성 ( ), 전 ( ), 어 구사 ( ), 발표 오의 성도 (1 ) . 문 가 용 창의성 (3 ), 구성 ( ), 문법( ), 단어와 표현 ( ), 법 (1 )

해 로 는 다음과 이 8 에 거쳐 진행되었다. 1 단위로 진행되는 기제에서 반 기가 할 된 이다. 표 4 에서는 진행 단 별로 자 교사가 어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지, 한 단 별로 어 표 이 적용 되는 지를 보 고 있다. 표 4 에서 제시된 것과 이, 로 의 진행 단 는 시 - 제 결과 유

가 으로 구성되어 있으 , 단 별로 교사는 을 제시하고 자는 이를 반 하 로 를 발전 시 도 하고 있다. 한 로 에 대해서 교사뿐만 아니라 들도 과정에 대한 을 교사에게 전 하 방 간의 의사 소통이 원 히 이 어지도 하였다.

가 으로 구성되어 있으 , 단 별로 교사는 을 제시하고 자는 이를 반 하 로 를 발전 시 도 하고 있다. 한 로 에 대해서 교사뿐만 아니라 들도 과정에 대한 을 교사에게 전 하 방 간의 의사 소통이 원 히 이 어지도 하였다.

문서에서 2016 한인교육연구. pdf (페이지 3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