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 Value-added, Opportunistic 스타일의 적용 가능성
III. 한국 대형 공원 설계의 분석
70 국토연구 제76권(2013. 3)
경험의 수준을 숭고의 경험으로 확장시켰다. 대형 공 원 설계에서의 미학적 실험은 기존의 공원이 제공하 지 못했던 다양한 경험과 미를 인도하는 계기가 될 것 이라고 예상된다.
설계 쟁점에 따른 한국 대형 공원 설계의 비판적 분석 71 무를 생각하는 날, 환경 조형물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
을 제안하였고, 특별히 부지 북서측에 위치한 성수중 학교 건물을 활용하여 열린 시민 학교를 운영하고자 하였다. 열린 시민 학교는 공원의 시설물을 생태˙환 경˙역사˙문화 관련 시민단체들의 교육 공간으로 활 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양한 공원 활동을 도출하기 위해 다수의 출품작 이 대상지의 환경적 조건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단위 공간을 세분화하는 전략을 취했다. 조경설계서안의
‘서울숲’은 교육과 문화, 생태 탐방, 스포츠, 휴식과 산 책 등의 카테고리에 따라 공간을 구분하고 그 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도화종합기술공사의 ‘공생의 고리’ 는 습지 생태의 숲, 재생의 숲, 열린 참여의 숲, 자연 생태의 숲, 물의 정 원, 에너지의 숲이라는 여섯 가지 테마 공간을 제시하 고 여기에서 단위 공간을 더 세분화하여 나누었다. 서 인조경의 ‘O2 Centre’는 각 단위 공간을 12개의 테마 숲으로 나누었고, 각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계절별 주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 뚝섬 숲(안) 조성 현상공모의 출품작들 은 참여의 전략과 공간의 다양화 전략을 다수 제시하였 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그 내용이 선언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은 한계로 나타난다. 일례로 서 인조경의 ‘O2 Centre’, 우대기술단의 ‘New Tech Forest’
와 동심원의 ‘서울숲’ 마스터플랜에 제시된 단위 공간 의 수는 각각 46개, 49개, 51개이며, ‘공생의 고리’의 경 우는 64개나 되는데, 이들 공간에서 예상되는 활동의 범주는 피크닉, 생태 학습, 산책, 운동 등으로 매우 일 반적이면서 동시에 한정적으로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설계가 다층적인 활동의 공존과 혼합, 그리 고 때때로 발생할 수 있는 이질적 활동 집단 간의 갈등 을 예측하기보다는 물리적인 공간의 세분화에 집중하 였다고 평가된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 설계공모는 뚝섬 숲(안) 조성 현상공모와 마찬가지로 공공성의 가 치 보장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문화적 활동기반을 요 구했다. 더불어 도시민이 공원을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것을 요구했 다. 이에 따라 다수의 설계안은 문화˙예술˙역사˙
교육 등 다양한 종류의 단위 공간이 통합적으로 배치 되는 전략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용자들이 그곳에 쉽 게 접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강화했다. 예를 들어, 1등 안인 노선주 등의 ‘Ancient Futures’는 도시 공간과 면 하고 있는 대상지의 북쪽과 서쪽 가장자리에 소공원, 광장, 마켓, 아트센터, 커뮤니티센터 등을 연속적으로 배치했고(<그림 2> 참조), 2등 안인 김종규의 ‘Long Views’ 또한 도시와의 연결성이 우수한 96번 국도와 남쪽 제방도로에 인공의 플랫폼을 더해 다양한 성격 의 단위 공간을 연속적으로 배치했다(<그림 3> 참조).
그림 1 _ ‘서울숲’(동심원)의 참여 다이어그램
그림 2 _ ‘Ancient Futures’의 도시와 인접한 면을 중심으로 구축한 프로그램 밴드
72 국토연구 제76권(2013. 3)
한편 3등 안인 민현준의 ‘Carved Park’는 대상지의 기존 경관과 구조를 해치지 않기 위해 최소한의 보행 로와 활동 공간만을 음각의 형식으로 개발하였고, 이 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을 발생시키는 단위 공간을 보 행의 각 결절점에 제안함으로써 파편화된 구조를 보 였다. 그러나 파편화된 단위 공간은 도시와 공원을 가 로지르는 보행로를 기반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 역시 연속적이고 쉬운 접근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설계는 단위 공간의 성격을 다양화하는 것에 서 나아가 단위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에 집중했다. 접근의 용이함은 시민들의 공 원 참여를 증대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간 프로그 램의 참신성이 떨어진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설 계 과정에서 이용자 계층의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일방적인 설계 방식을 취하 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 역시 다양한 문화적 욕구 와 공공성이 존중되는 공원 설계를 목표로 단위 공간 및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세분화 전략을 제시하고, 공 원의 조성˙운영˙관리에 적극적 참여를 도모하는 프 로그램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대형 공원 설계에서 다층적인 공공성을 구축하기 위한 설계 개념이 ‘다양 화’와 ‘참여’로 공식화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용산공원 설계안들은 이들 프로그램에 수
익을 발생시키는 전략을 더하기도 했다. ‘Yongsan Park for New Public Relevance’(신화컨설팅+서안알 앤디디자인 외)의 공원 운영 프로그램인 ‘Friends of Yongsan Park’를 통해 공원 운영에 요구되는 비용 을 개인부터 기업에 이르기까지 소비하고 투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Yongsan Park Towards Park Society’(조경설계서안+M.A.R.U. 외)는 자율적인 이 용이 가능한 1,061개의 건물과 단위 공간을 시민들에 게 임대하는 ‘소셜 렌트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소셜 렌트 프로그램’은 누구든지 용산공원 내의 공간을 이 용하고 싶다면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빌려 쓸 수 있도 록 한다. 이러한 전략은 대형 공원을 조성하고 관리하 는 데 필요한 대규모의 투자 비용을 공원 스스로 자족 하고, 또 개개인의 시민 혹은 단체를 투자에 참여시킴 으로써 공간에 대한 주체의식을 높이고자 함이다. 그 러나 시장의 논리가 공원에 개입됨으로 인해 대형 공 원은 오히려 공공 공간의 불평등한 사유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는 공공성의 가치를 훼손시킬 수 있다는 점 에서 한계를 지닌다.
2. 도시와 생태계의 통합을 위한 설계 전략
뚝섬 숲(안) 조성 현상공모는 공원 녹지가 부족한 서울 시 동북부 지역에 자연 친화적인 대규모의 녹지 공간 조성을 목표로 했다. 그리고 ‘숲’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 를 구체화하고자 했다. 따라서 설계 지침은 시설물보 다는 식재 위주의 설계를 요구하였고, 지역의 특성에 맞는 식재 수종의 선정을 요청하였다.
다수의 설계안은 설계 지침에서 제시된 바에 따라 ‘숲’
의 속성을 공간에 도입하였다. 여기에는 숲의 외적 특 성보다는 숲의 생태적 특성인 작동성과 자기조직성 등이 반영되었다. 일례로 동심원의 ‘서울숲’ 은 숲 구 조의 가변성과 대상지의 생물종 다양성을 분석하여,
‘생명의 숲’ 다이어그램을 통해 이러한 생태적 특성을 그림 3 _ ‘Long Views’의 96번 국도를 중심으로
조성된 인공 플랫폼
artifial platfoum/road#96 shoped felld/new paths existing paths
inhabitation on activity slope and road 96
설계 쟁점에 따른 한국 대형 공원 설계의 비판적 분석 73 고려한 공간의 구조와 형태를 보여주었다. 또한 인접
한 아차산, 남산, 응봉산의 식생 구조를 모델로 삼아 자 연스러운 천이를 유도할 수 있는 숲의 구조와 맥락을 구축하였다. ‘공생의 고리’는 야생 동물의 서식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생태 통로 네트워크를 설명하였다. ‘O2 Centre’는 최소한의 이용만을 허용하는 핵심 녹지 공 간에 천이, 성장, 순환, 서식의 생태계 시스템을 구축 함으로써 도시에 산소를 공급하는 거점 녹지를 구성 하고자 했다.
이러한 설계는 보다 작동적(operational) 생태를 공 원 안에 통합시키고자 하는 대형 공원 설계의 생태적 목표를 반영한다. 기존의 생태적 설계가 곡선, 부드러 운 질감 등으로 대표되는 자연의 시각적 특성을 강조 해왔다면, 이들 설계는 생태학의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작동적인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했다.
그러나 각각의 전략은 2000년의 다운스뷰 파크 등 서구의 설계 공모에서 도출된 방법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의 태도를 보인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이상민.
2006: 134). 일례로 야생 동식물 서식 환경 및 종 다양 성을 설명하는 동심원 설계안의 다이어그램은 다운스 뷰 파크 설계공모의 ‘Emergent Ecologies’(James Corner + Sten Alen)에서 표현한 것과 거의 유사한 형태를 띠 고 있다(<그림 4> 참조).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은 신도시의 거 점 녹지 공간으로서 ‘경관과 환경의 거점’, ‘친환경’,
‘녹색 심장’, ‘자연 생성소’ 등의 생태적 개념을 설계의 기본 원칙과 비전으로 삼았다. 이는 총 2단계의 설계 공모 지침을 통해 구체화되는데, 1단계 설계 지침에서 는 전월산˙원수봉의 주변 녹지 체계와 경관, 금강˙
제천의 하천 및 습지 구역, 중앙에 펼쳐진 대규모 평야 등 해당 부지의 환경적 조건이 설계의 주요 기반으로 제시되었다. 2단계 설계 지침에서는 지속가능한 성장 과 자생적인 운영 방안, 생태적 공간에서의 교육 및 휴 식 프로그램 도입 방안, 대상지 내외부의 경관 자원 활
용 및 연계 방안, 토지의 절˙성토와 하천의 선형 변경 을 최소화하는 방안, 호안 정비 및 활용 방안 등의 구체 화를 제시하였다.
이처럼 친환경 도시의 비전과 풍부한 생태적 환경 조건을 바탕으로 중앙녹지공간 설계 출품작들은 생태 적 설계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당선 작 ‘Ancient Futures’는 대상지의 풍부한 생태적˙환 경적 조건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개념으로 ‘공존’을 논 한다. 중앙녹지공간은 도시와 자연, 인간과 자연의 공 존뿐만 아니라 파편화되어 있는 대상지 내외부의 생 태적 환경의 공존을 추구한다. 따라서 관개 수로에 변 화를 주고 금강의 둑을 제거하여 대평야와 강의 관계 성을 증폭시키는 것을 주요한 설계 전략으로 삼았다.
둑이 제거되면 강은 평야로 자연스럽게 넘친다. 대평 야의 논은 웅덩이의 형태부터 건답의 형태로 다채롭게
그림 4 _ ‘서울숲’(위)과‘Emergent Ecologies’(아래) 다이어그램의 유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