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Sangwon
장안대학교 화성시 지역발전연구센터 책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Hwaseong Development Institute, Jangan Collage
(swkim6321@gmail.com)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도시계획 수립에 있어 목표 연도 인구는 기본적인 선 행지표이며, 이를 기준으로 도시계획시설 규모가 결 정된다(김홍배 외. 2009). 이렇듯 인구수는 국토종합 계획, 도종합계획, 시˙군기본계획 등에 있어 가장 중 요한 지표이며, 모든 계획의 기준이 되는 지표다. 따 라서 모든 지자체에서는 장래 인구계획 수립 시 인구 가 증가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도시를 계획해 나간다.
수도권에 위치한 경기도는 1960년대부터 꾸준 히 인구가 증가해 왔다. 1970년대는 제조업을 중심 으로 한 산업단지의 영향으로 인구가 증가하였고, 1980∼1990년대는 주택난 해소 목적의 수도권 1기 신도시1)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증가하였다. 또한 신 도시 주변에 택지개발 및 도시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최근에는 수도권 2기 신도시2)가 건설˙계획되면서 경기도 인구 증가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다.
경기도 인구 성장에 대한 긍정적인 부분만 존재 하지는 않는다. 통계청에서는 2030년을 정점으로 국 내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생산가능인 구는 2016년을 정점으로 감소할 것이라 전망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출산율 저하로 인해 유소년 인구가 2016년에는 2010년 대비 백만 명 이상 급감한다고 발표하였다. 현재 경기도 인구 증가는 교외지역에서 의 인구 유입 이외에 자연적 인구 증가3)로 도시가 성
장하는 지역이 발생하고 있다.
관련 연구에서 인구 이동의 원인, 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지 만, 정작 인구 이동이 어떤 형태 및 패턴을 보이는가?
또한 이런 현상이 지역경제와 어떤 영향관계를 보이 는가? 등 인구 이동 패턴이나 지역산업 간의 영향관 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경기도 시˙군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 구 전출입(증감) 현상이 어떤 경향을 보이는지 경기 도 시˙군과 타 시˙도와의 관계, 경기도 시˙군 간의 관계를 통해 지역별 인구 전출입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인구 전출입 특성이 지역산업에 어떤 영 향을 받는지 관계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과 제2장에 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에 대해 설명하고, 경기도 인 구 추이와 기존 문헌고찰을 통해 본 논문의 착안점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경기도 및 31개 시˙군의 인구 전출입 특성에 대해 세 가지로 나눠 분석하였다. 첫 번째, 전국 및 경기도의 인구집중은 어떤 경향을 보이 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두 번째, 통계청 홈페이지에서 제공한 전국 시˙도, 군˙구별 순이동자 수 자료를 활 용하여 타 시˙도와 경기도 31개 시˙군 인구 이동현 황을 분석하였다. 세 번째, 경기도 시˙군 간 전출입 현황을 비교하여 인구 전출입 특성을 파악하였다. 제
1) 1980년대 후반 서울시 외곽에 자족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한 분당, 일산, 중동, 평촌, 산본 5개 신도시를 수도권 1기 신 도시라 칭하고 있음.
2)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명하고 있는 수도권 2기 신도시는 서울 등 주변지역과의 교통체계 구축 및 쾌적한 주거환경, 자족기능을 갖춘 도시로 성남 판교, 화성 동탄1, 화성 동탄2, 김포 한강, 파주 운정, 양주, 위례, 고덕 국제화, 인천 검단, 아산, 대전 도안을 말함.
3) 일반적으로 인구 증가는 자연적 인구 증가(출산인구가 사망인구보다 많아 인구가 증가하는 현상)와 사회적 인구증가(전입하는 인 구가 전출하는 인구보다 많아 인구가 증가하는 현상)로 구분됨. 그러나 통계청 ‘시˙도, 군˙구 순이동자 수’, ‘주민등록인구통계’자 료 분석결과 과거와 달리 최근 경기도 일부 시˙군에서 사회적 인구 증가는 감소하지만 자연적 인구 증가로 인해 총인구가 증가하 는 사례가 나타났음.
82 국토연구 제76권(2013. 3)
4장은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인구 전출입 현황과 지 역산업 변화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지역산업 변화는 경기도에서 제공한 도시의 산업별 종사자 수, 1인당 GRDP, 부가가치의 매년 증감량을 활용하였 다. 마지막 제5장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경기도 인 구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대상은 경기도 전역을 대상으로 하였 으며, 분석 단위는 행정구역 단위인 31개 시˙군이 다. 인구 전출입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통계청에서 제공한 1995년부터 2009년까지 전국 시˙도, 군˙
구별 전출입 현황 로우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산업 구조 변화는 시˙군 산업별 세분화된 자료 부족으로 2001년부터 2010년 데이터만을 활용하였다.
인구집중에 대한 분석은 인구집중지수를 사용 하였으며, 전출입 특성 파악은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분석을 활용하였다.
인구집중지수(C) =
n
: 부분 지역의 수: 단위 지역의 인구 통계량 백분비 : 대응 지역의 면적 백분비
인구집중지수는 Duncan, O.D에 의해 고안된 방 법으로 이기배˙이명훈(2004)은 “특정통계량이 부 분 지역에 분포하는 상태가 균등분포로부터 어느 정 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수로, 그 통계량 을 지적과 대응시켜 분석하는 방법이다”라고 해석 하였다. 분석 값이 0에 가까우면 인구가 완전히 균 등하게 분포하는 것을 의미하며 1에 가까울수록 좁 은 지역에 전 인구가 모여 있음을 말한다. Martilla와 James에 의해 연구된 IPA분석은 다속성 모델(Multi-arrtibute Model)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각 속성의 상 대적인 중요도와 성취도를 동시에 비교하는 분석방
법이다. 특히 IPA분석은 평가 속성의 평균값과 매트 릭스만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 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IPA분석의 중요도 및 성취도 대신 인구 이동 패턴의 내부, 외부 강도로 적 용하였다.
II.
기존문헌 고찰
인구와 관련된 초기 연구로 김광식(1986)은 인구밀 도모델, 로렌츠곡선을 이용하여 서울 인구분포 변화 를 분석하였고, 권용우(1986)는 인구밀도함수와 고 용, 통근 패턴을 중심으로 수도권 공간구조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러나 인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공간 적 편재현상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후 연구는 장래 인구 추계와 인구 이동에 영향 을 주는 변수 도출의 틀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 구 추계와 관련된 연구로 김홍배 외(2009)는 지역 인구예측의 정확성을 개선하고자 조성법과 Markov Chain 모형을 결합한 인구예측모형을 개발하였고, 김형기(2009), 김형기˙이성호(2006)는 한국의 적 정인구 및 장래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진국 과 비교하여 수렴인구의 범위를 추정하였다.
인구 이동과 관련된 연구로 이기배(2003), 김경수
˙임하경(2011)은 인구와 산업, 거주, 지역특성을 분 석하여 인구분포 및 주거이동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김광식˙박현신(2007)은 산업종사자를 기준으로 순 위 - 규모분포 패턴을 살펴본 후 도시의 성장과 쇠퇴 를 파악하였다. 박병호 외(2009)는 지방도시를 대상 으로 인구분포의 시대적 변화 양상과 이동 패턴을 도 시사회적, 산업경제적, 보건복지적 요인으로 분석하 여 도시쇠퇴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세규˙최막중 (2011)은 지방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인구와 고용변 화 간 인과관계분석을 통해 생산형 도시집단에서는 고용 변화가 인구 변화를 유발한다고 하였다. 위 연구
경기도 시·군 인구의 전출입 특성과 지역산업의 관계 분석 83
에서 인구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은 잘 연구되었으나, 인구가 시˙군별로 어 떻게 전출입되는지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 고 있다.
인구 전출입과 관련한 연구로 이외희 (2010)는 이동 인구 및 가구의 특성을, 전유 신(2009)은 개발사업의 유형별로 인구 이동 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실태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가구특성과 연계하거나, 단위사업 별로 분석을 실시하여 2차, 3차 이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위와 같이 초기 인구 관련 연구는 좀 더 정확, 정밀 한 예측모형 개발이나 지역 현황에 맞는 모형 선택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최근 연구는 인구가 이동하는 원 인이 무엇인지 그 규명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총인구 이외에 특정 계층이나 연령대가 밀집하 는 정도 등의 연구도 종종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상지역의 인구 증가가 주변지역과 어떤 패 턴을 보이고 있는지, 인구 증가가 자연적인 현상에 의해 증가하는 인구인지 사회적 인구 이동에 의한 증가인지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산업과 전출 입 인구 특성 간의 관계분석도 미흡하였다. 그래서 본 논 문에서는 향후 인구예측 및 지역산업에 참고가 될 수 있 도록 주변지역과의 인구 전출입 특성을 파악하고, 인구 전출입 특성과 지역산업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는 점에 서 차별성이 있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