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출입 인구와 지역산업 관계분석

문서에서 국토연구 (페이지 91-94)

1. 2005년 이전 관계분석

경기도 시˙군 간 인구 전출입 자료를 기반으로 전출 입 인구가 지역산업6)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분석 하였다. 분석 기준은 <그림 4>에서 인구이동의 특성 이 변화하는 2005년을 기준연도로 설정하였으며, 인 구 증감량과 지역산업 간 시차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 해 5년 단위 전출입 인구 증감량과 종사자 변화량 값 등을 적용하였다.

2001~2005년 시˙군 전출입 평균 인구 증감량과 지역 산업 종사자 평균 변화량 간의 영향요인을 분석 한 결과, R2은 0.670로 약 67.0%의 설명력을 보였다. 독 립변수 중 제조업과 교육서비스업 종사자 증가는 전입 인구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사업서비스업과 오락˙문 화 및 운동 관련 서비스업 종사자 증가는 전출 인구 증 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2006년 이후 관계분석

2005년 이전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2006년 이후 (2006~2010년) 분석 결과, R2은 0.926로 약 92.6%의 설명력을 보였다. 독립변수7) 중 제조업, 도매 및 소매 업, 교육서비스업 종사자 증가는 전입 인구 증가에 영 향을 주었으며, 건설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업은 전출 인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소결

비교분석 결과 2005년 이전에는 4개 영향요인, 2006 년 이후에는 5개 영향요인이 인구 전출입 증감량에 영향을 주었다.

제조업과 교육서비스업은 분석시기와 관계없이 인구 전입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영향요인으로 분 석되었으며, 2006년 이후 도매 및 소매업 종사자 증 가도 인구 전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

6) 통계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2001~2010년까지 산업별 종사자 수, 생산(1인당 GRDP), 부가가치를 적용하였음.

7) 통계연보에서 산업분류명을 변경함에 따라 본 논문에서 2006년 이후 분석은 2010년도 산업분류를 기준으로 재조정하였음.

연도 영향요인 표준

오차 β t Sig. 공선성 통계량

공차 VIF

2005년 이전

(상수) 16.915 0.062 0.551

제조업 0.446 0.481 4.323 0.000 0.986 1.014

사업서비스업 1.430 -0.568 -3.867 0.001 0.567 1.765

교육서비스업 3.397 0.680 4.295 0.000 0.488 2.048

오락˙문화 및 운동 관련 서비스업 3.629 -0.430 -2.342 0.027 0.363 2.753 R=0.818, R2=0.670, 수정된 R2=0.621, F=13.684, p=0.000, Durbin-Watson=1.862

2006년 이후

(상수) 10.238 0.064 0.950

제조업 0.303 0.465 8.111 0.000 0.863 1.159

건설업 1.981 -0.469 -6.151 0.000 0.487 2.053

도매 및 소매업 1.215 0.454 5.431 0.000 0.405 2.466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업 2.930 -0.884 -11.946 0.000 0.517 1.933

교육서비스업 1.140 0.797 9.389 0.000 0.393 2.544

R=0.963, R2=0.926, 수정된 R2=0.912, F=65.459, p=0.000, Durbin-Watson=2.205 표 3 _ 전출입 인구 증감량과 지역산업 증감률 간 영향요인 분석 결과

경기도 시·군 인구의 전출입 특성과 지역산업의 관계 분석 89

석되었다.

반대로 인구 전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2005년 이전에는 사업서비스업, 오락˙문화 및 운동 관련 서 비스업에서 2006년 이후에는 건설업, 공공행정˙국 방 및 사회보장행정업으로 변화하여, 분석시기에 따 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인구 이동 영향지표로 구 분되었던 1인당 GRDP 및 부가가치의 경우 2005 년 이전(1인당 GRDP β=1.117, Sig.=0.608, 부가 가치 β=0.259, Sig.=0.105), 2005년 이후(1인당 GRDP β=0.365, Sig.=0.420, 부가가치 β=0.072, Sig.=0.129)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산업적 측면에서 전출입 인구는 다음 과 같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최근에는 인접지역과 인 구경쟁력 측면에서 강점을 보인 지역은 제조업과 교 육서비스업 종사자가 증가하였다. 둘째, 종사자 수가 가장 많은 제조업보다는 교육서비스업이 전입 인구 에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제조업이 1단위 (인) 변화할 때 인구가 0.465 증가하는 반면 교육서비 스는 0.797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3차 산업 종사 자 변화가 시˙군 간 전출입 인구 이동에 정(+)의 영 향만을 미치지는 않는다. 이는 사업서비스업이나 공 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업 종사자 증가가 인 구전입에 부(-)의 관계를 보인다는 점에서 유추해 볼 수 있다.

V.

결론

지방의 많은 광역자치단체에서 인구 감소 현상이 진 행되고 있으나 수도권 지역만은 인구 증가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경기도는 수도권인구 증가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표 적인 인구 성장 지역인 경기도를 대상으로 인구가 어

떻게 전출입되는지 1995년부터 2009년을 대상으로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경기도 인구 현황 및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차별성 유무를 검토하였고, 인구집중지수 분석을 통해 전국의 인구집중지수는 증가하는 반면 경기도는 점차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구 전출입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경기도와 타 시˙도, 경기도 시˙군 간 인구 전출입 현황분석 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특성을 파악하였다. 첫 번 째, 경기도와 타 시˙도와의 분석에서 경기도 인구는 전입 인구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최근까지도 경기도로 유입되는 인구가 많았으나 전입 폭이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수도권 주변지역에 산업단지 및 행정도시가 건설되면서 인구이동 패턴 이 점차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번 째, 시˙군 간 인구 전출입 현황분석 결과 인구 성숙기에 들어선 도시에서 매년 인접지역으로 인구 전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도시에서 사회적 인구 증가는 감소하고 자연적 인구 증가에 의해 인구 성장 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세 번째, 전출입 특성을 파악 해 본 결과, 시˙도 인구 이동이 몇몇 도시에서 경기 도 31개 시˙군으로 확대되다가 최근 다시 기준점으 로 회귀하고 있었다. 이와 반대로 시˙군 인구 이동 에서는 점차 폭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

군 간 제로섬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 이동의 지역산업과 관계분석 결과 제조업과 교육서비스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과거 15년을 대상으로 경 기도 인구의 전출입 특성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 는 존재하지만 보다 높은 정책적 제언을 위해서는 다 음과 같은 한계점을 보완해 나가야 한다. 첫째, 도시 내 개발사업으로 인해 전입되는 인구를 연도별 합산 으로 반영하고 있지만, 신도시 개발 등 대규모 개발

90 국토연구 제76권(2013. 3)

로 인해 인구가 전출입되는 현황을 단위산업별로 반 영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전출입 특성은 분석하였지 만 도시별 최종 해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전 출입 인구가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찾고자 산업별 종 사자, 생산, 부가가치에 한해 분석하고 있다. 전출입 인구와 영향관계에 있는 변수(주택 변화량이나 교육 및 주거여건 변화, 투자, 기술 등)에 대한 연구를 폭넓 게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는 지역 인구예측에 전출입 특성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인구 전출입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어떻게 반영할지에 대 한 모색이 이루어지면 더욱 좋은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본다.

참고문헌 ● ● ● ● ●

권용우. 1986. “서울주변지역의 교외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 교 박사학위 논문.

김경수˙임하경. 2011. “동남권의 도시규모별 지역 간 주거이 동 결정요인 분석”. 국토계획 제46권 제3호. pp37-46.

김광식. 1986. “서울시 도시형태측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 21권 제1호. pp99-118.

김광식˙박현신. 2007. “우리나라 도시의 인구 및 종사자의 순 위”. 국토계획 제42권 제7호. pp7-24.

김형기. 2009. “한국의 수렴인구 추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4권 제7호. pp185-199.

김형기˙이성호. 2006. “한국의 적정인구 추세에 관한 연구”. 국 토계획 제41권 제6호. pp7-36.

김홍배˙김재구˙임병철. 2009. “조성법과 Markov Chain 모형 을 결합한 지역의 인구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국토계 획 제44권 제6호. pp139-146.

박병호˙한상욱˙김태영. 2009. “지방 중소도시의 인구중심 및 내부구조 변화 패턴 분석”. 국토계획 제44권 제1호.

pp61-72.

이기배. 2003. “수도권의 인구집중 및 거주공간 분포특성에 관 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기배˙이명훈. 2004. “수도권의 인구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9권 제7호. pp37-47.

이세규˙최막중. 2011. “지방 중소도시의 산업구조 특성에 따 른 인구와 고용 변화간 인과관계”. 국토계획 제46권

제2호. pp127-137.

이외희. 2010. 경기도 이동인구 및 가구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 : 경기개발연구원.

전유신. 2009. “경기도 개발사업 유형별 인구 이동 실태분석 연 구”. 국토계획 제44권 제5호. pp113-123.

국가통계포털(kosis.kr). [2012.6.30].

경기통계(http://stat.gg.go.kr/). [2012.6.30]

통계청(kostat.go.kr). [2012.6.30].

• 논문 접수일: 2012. 11. 9

• 심사 시작일: 2013. 1. 2

• 심사 완료일: 2013. 2. 20

경기도 시·군 인구의 전출입 특성과 지역산업의 관계 분석 91

Abstract

A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Local Industry and Characteristics

문서에서 국토연구 (페이지 9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