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2.1. 2020년 경제 동향

∙ (경제성장률)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내외 경제 위축으로 2020년 경제성장률은 크게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적절한 방역 조치 시행으로 경기충격이 완화 되어 2020년 경제성장률은 전년 대비 3.1%p 하락한 –1.1%로 추정된다.

∙ (민간소비) 코로나19 확산과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으로 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의 소비 지원정책에 힘입어 재화소비가 회복되면서 2020년 민간소비는 전년 대비 4.3%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 (투자) 코로나19에 따른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증가로 운송장비 투자는 감소하였 지만, 반도체 업황의 회복을 바탕으로 IT부문 투자가 확대되어 2020년 설비투자 는 5.7%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2020년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설 부진이 완화 되었지만, 코로나19와 기상악화 등의 영향으로 비거주용 건설이 위축되어 0.7%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 표 1-4 ] 주요 경제지표 동향

단위: %(전년 대비 변화율)

연 도 GDP 민간소비 설비투자 건설투자 상품수출 상품수입

2020 -1.1 -4.3 5.7 -0.7 -1.6 -0.6

주: 경제지표는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2020년 11월) 추정치임.

자료: 한국은행

∙ (물가) 기상여건 악화 영향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상승하였으나, 낮은 국제유가와 통신비 지원, 개별소비세 인하 등 소비 지원정책의 영향으로 2020년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0.5%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2)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기획재정부 「2021년 경제전망」의 주요 내용을 정리함.

12_ 제1부 한국 농업 미래

[ 표 1-5 ] 물가 동향

단위: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구 분 2018 2019 2020

1/4 2/4 3/4 4/4 연간

소비자 1.5 0.4 1.2 -0.1 0.6 0.4 0.5

농축수산물 3.7 -1.7 2.0 3.2 10.3 11.4 6.7

생산자 1.9 0.0 0.4 -1.5 -0.5 -0.5 -0.5

주: 2020년 4/4분기 생산자물가지수는 2020년 11월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함.

자료: 통계청, 「소비자물가조사」, 「생산자물가조사」

∙ (노동시장)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에 따른 대면서비스업의 고용 감소로 실업자가 증가하였으나, 구직활동 인구도 감소하여 2020년 실업률은 4.0%로 상승하였다.

-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큰 폭으로 감소한 가운데, 코로나19 장기화로 상용직 근로 자의 증가폭도 줄어들었다. 연령별로는 청·장년층의 취업자수는 신규채용 위축 으로 감소하였지만 고령층은 증가하였다.

[ 표 1-6 ] 고용 동향

단위: 천 명

구 분 2018 2019 2020

1/4 2/4 3/4 4/4 연간

실업자 1,073 1,063 1,162 1,226 1,001 1,043 1,108

실업률(%) 3.8 3.8 4.2 4.4 3.6 3.7 4.0

취업자 26,822 27,123 26,749 26,849 27,068 26,952 26,904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환율) 2020년 초반 코로나19 확산으로 실물, 금융 경제의 불안 증가로 달러 강세 였으나,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연장, 상대적으로 양호한 경기 등으로 환율 상승폭 을 상쇄하여 2020년 원/달러 환율은 전년 대비 1.2% 상승하였다.

제1장 2021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13

[ 표 1-7 ] 환율 동향

단위: 원/달러,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구 분 2018 2019 2020

1/4 2/4 3/4 4/4 연간

원/달러 1,100 1,166 1,194 1,220 1,188 1,118 1,180 (변화율) (-2.7) (5.9) (6.1) (4.7) (-0.5) (-4.9) (1.2)

원/위안 166 169 171 172 172 169 171

(변화율) (-0.6) (1.3) (2.6) (0.7) (0.9) (1.30 (1.30 자료: 한국은행

∙ (무역수지)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경제가 위축되어 2020년 상반기 수입과 수출이 큰 폭으로 줄었다. 하반기 대내외 경제 여건이 회복되면서 교역 규모가 증가하여 2020년 무역수지는 전년 대비 17.3% 개선된 456.2억 달러로 추정된다.

- (수출) 주요국 경제활동 재개와 국내 상황의 빠른 회복으로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를 포함한 신산업 분야의 수출이 증가하였지만, 석유, 자동차, 철강 등의 수출은 부진하였다.

- (수입) 국제유가 하락과 소비 부진 등으로 원자재, 소비재 수입은 감소하였으나, 신산업의 자본재 수입은 증가하였다.

[ 표 1-8 ] 수출입 동향

단위: 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구 분 2018 2019 2020

1/4 2/4 3/4 4/4 연간

수출액(A) 6,048.6 5,422.3 1,302.3 1,103.5 1,301.4 1,421.3 5,128.5 변화율 (5.4) (-10.4) (-1.8) (-20.3) (-3.4) (4.2) (-5.4) 수입액(B) 5,352.0 5,033.4 1,215.1 1,167.2 1,143.7 1,234.8 4,672.3

변화율 (11.9) (-6.0) (-1.8) (-5.6) (-12.5) (-1.9) (-7.2) 무역수지(A-B) 696.6 388.9 87.2 67.0 29.7 186.5 456.2 주: 2020년 수출입 지표는 관세청 「20년 연간 및 12월 수출입현황」(2021년 1월) 잠정치임.

자료: 관세청

14_ 제1부 한국 농업 미래

1.2.2. 2021년 경제 전망

3)

∙ (경제성장률) 2020년 역성장의 기저효과, 글로벌 경기와 반도체 업황 개선, 확장적 재정정책 등의 효과로 2021년 국내경제는 3.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민간소비) 고용 및 내수 회복 등에 힘입어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에 따른 저축 증가, 기업실적 회복에 따른 주가 상승 등이 소비 여력 을 개선시키고, 정부의 소비 지원정책으로 민간소비는 전년 대비 3.1% 증가할 것 으로 전망된다.

- (설비투자) IT 부문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투자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자동 차, 가전 등의 전방산업 업황 개선에 따라 철강, 석유화학 부문 등의 투자도 회복 될 것으로 예상되어 설비투자는 4.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건설투자) 주거용 건물 건설의 수주 및 착공 면적 증가와 공공임대주택 건설 확대에 따른 수도권 분양물량 확대로 주거용 건물의 건설투자가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비주거용 건물 건설은 생활 SOC 투자 확대와 설비투자 호조에 따른 공장 증설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나, 자영업 부진에 따른 상가의 공실률 증가가 회복세를 제약하여 건설투자는 0.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상품수출) 5G 도입의 본격화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요 증가 등으로 IT 수출이 증가하고, 신에너지 자동차의 수요가 증가하여 자동차 수출이 증가할 것 으로 예상된다. 석유화학은 회복세가 제한될 것으로 보여 상품 수출은 7.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소비자물가) 내수 경제의 회복과 석유류 가격의 완만한 상승세로 소비자물가는 상승하나, 소비 지원정책 등으로 소비자물가는 1.1%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 (노동시장) 코로나19의 지속과 고용유지지원 종료 등이 고용 회복을 제한하나, 내수 경기 개선과 정부의 일자리 관련 지원정책을 바탕으로 경제활동 참여가 확대되어 실업률은 전년 대비 0.1%p 감소한 3.9%로 전망된다.

3)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기획재정부 「2021년 경제전망」의 주요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음.

제1장 2021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15

∙ (경상수지) 주요국의 경기 회복과 유가 상승으로 수출 대비 수입의 증가폭이 커져, 무역수지 흑자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 확산이 둔화되면서 여행 수지 적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나, 교역 확대에 따른 운송수지는 개선되어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615달러로 전망된다.

[ 표 1-9 ] 2020년 한국경제 동향과 전망

단위: %

구 분 2020(추정)1) 2021(전망)

한국은행2) 기획재정부3) 평균4)

경제성장 -1.1 3.0 3.2 3.1

민간소비 -4.3 3.1 3.1 3.1

설비투자 5.7 4.3 4.8 4.6

건설투자 -0.7 0.5 1.0 0.8

상품수출 -1.6 5.3 8.6 7.0

고용(실업률) 4.0 3.8 4.0 3.9

소비자물가 0.5 1.0 1.1 1.1

경상수지(억 달러) 650 600 630 615

주 1)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2020년 11월) 추정치임.

2)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2020년 11월) 전망치임.

3) 기획재정부 「2021년 경제전망」(2020년 12월) 전망치임.

4) 한국은행, 기획재정부 전망치의 평균임.

자료: 한국은행, 기획재정부

16_ 제1부 한국 농업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