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4.1. 농업생산액 동향과 전망

∙ 2020년 농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3.7% 증가한 51조 5,000억 원으로 추정된다.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3.6% 증가한 30조 9,460억 원, 축잠업은 3.7% 증가한 20조 5,53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재배업) 식량작물 생산액은 2020년산 쌀 생산량 감소하였으나 수확기 가격의 큰 폭 상승에 따른 미곡 생산액의 2.9% 증가 주도로 전년 대비 2.2% 증가한 10조 7,190억 원으로 추정된다. 채소 생산액은 양념채소, 과채류 등의 재배면적 감소 와 기상악화에 따른 건고추, 양파, 대파 등의 작황 부진으로 가격의 상승폭이 커 전년 대비 7.9% 증가한 12조 30억 원으로 추정된다. 과실 생산액은 개화기 이상 저온 등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전년보다 0.3% 감소한 4조 5,140억 원으로 추정 된다.

- (축잠업) 한육우와 돼지는 생산량이 증가한 가운데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가정식 수요 증가로 인해 가격도 상승하여 생산액은 각각 전년 대비 2.9%, 11.7% 증가 한 것으로 추정된다. 닭은 재고량 과잉 지속과 생산성 향상으로 상반기 가격이 큰 폭 하락하여 전년 대비 11.6%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리는 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전년 대비 7.3% 감소하며, 우유는 젖소 마리당 원유 생산량 증가로 전년 대비 1.9%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계란 생산액은 사육마릿수 증가와 함께 가정 내 수요 증가로 가격도 상승하여 전년 대비 14.1% 증가한 것 으로 추정된다.

∙ 2021년 농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1.9% 증가한 52조 5,030억 원으로 전망된다.

재배업은 전년 대비 2.5% 증가한 31조 7,060억 원, 축잠업은 1.2% 증가한 20조 7,97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2021년산 쌀은 생산량 증가로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나 2020년 산 쌀 가격 상승과 콩, 감자 등의 생산액 증가로 식량작물 생산액은 전년 대비 5.1% 증가한 11조 2,630억 원으로 전망된다. 채소 생산액은 전년도 큰 폭 증가

제1장 2021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25 의 기저효과로 전년 대비 3.8% 감소한 11조 5,440억 원으로 전망된다. 과실 생산액은 20년산 과일의 가격 상승과 21년산 생산량 회복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한 4조 9,77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축잠업) 한육우 생산액은 암소 도축 증가로 가격이 하락(△7.9%)하여 전년 대비 3.6% 감소할 전망이다. 돼지는 생산량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폭이 수입량 증가로 제한되어 0.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닭 생산액은 종계 감소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여 전년 대비 12.4% 증가할 전망이다. 오리와 계란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른 사육마릿수 감소로 가격이 각각 전년대비 12.9%, 4.1%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어 각각 6.4%, 2.0% 증가할 전망 이다.

∙ (중장기 전망) 농업생산액은 중장기적으로 연평균 1.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업 생산액은 연평균 0.9% 증가하고, 축잠업 생산액은 연평균 2.3% 증가할 전망 이다.

- (재배업) 식량작물 생산액은 재배면적 감소와 가격 하락 영향으로 연평균 0.4%

감소하나 채소, 과실, 특용·약용작물 등의 생산액은 증가하여 2030년 재배업 생산액은 연평균 0.9% 증가한 33조 6,99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축잠업) 축잠업 생산액은 국내 육류 소비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연평균 2.3%

증가하여 2030년 25조 8,390억 원에 이를 전망이다.

26_ 제1부 한국 농업 미래

2021 2025 2030 19/00 20/19 21/20 30/20 농업 총생산액 31,968 49,680 51,500 52,503 54,650 59,538 2.3 3.7 1.9 1.5

재배업 23,885 29,859 30,946 31,706 32,366 33,699 1.2 3.6 2.5 0.9 식량작물 11,436 10,492 10,719 11,263 10,898 10,258 -0.5 2.2 5.1 -0.4

채소 6,739 11,127 12,003 11,544 12,277 13,549 2.7 7.9 -3.8 1.2 과실 2,581 4,527 4,514 4,977 5,081 5,456 3.0 -0.3 10.3 1.9

특용·약용작물 654 1,651 1,750 1,943 2,016 2,211 5.0 6.0 11.0 2.4 축잠업 8,082 19,821 20,553 20,797 22,284 25,839 4.8 3.7 1.2 2.3 한육우 1,879 5,364 5,519 5,319 5,369 7,611 5.7 2.9 -3.6 3.3 돼지 2,372 6,392 7,139 7,085 7,708 8,194 5.4 11.7 -0.8 1.4 821 2,103 1,859 2,090 2,413 2,780 5.1 -11.6 12.4 4.1 계란 651 1,411 1,609 1,642 1,846 2,109 4.2 14.1 2.0 2.7

순위 2019 2020(추정) 2021(전망) 2030(전망)

품목 생산액 비중 품목 생산액 비중 품목 생산액 비중 품목 생산액 비중

제1장 2021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27

∙ (상위 품목 변화 전망) 2020년과 2021년 생산액 상위 5개 품목의 순위는 2019년과 동일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적으로 육류 수요가 증가하여 2028년부터 돼지가 1위로 올라설 전망이다.

2.4.2. 농업 부가가치 동향과 전망

∙ 2020년 농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8.3% 증가한 28조 40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재배업) 중간재비는 증가하나 판매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액 증가폭이 더 커 부가 가치는 전년 대비 6.8% 증가한 22조 1,88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축산업) 사료비와 가축구입비 등 중간재비는 증가하나, 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액 증가폭이 더 커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14.2% 증가한 5조 8,520억 원으로 추정된다.

∙ (2021년 전망) 농업생산액은 증가하나 중간재비 증가폭이 더 커 농업부문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0.4% 감소한 27조 9,29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영농광열가격 상승 등으로 중간재비가 증가하나, 생산액 증가폭이 더 커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22조 4,79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축산업) 가축구입가격은 3.1% 하락하나, 20/21년산 국제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사료가격 인상으로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6.9% 감소한 5조 4,500억 원 으로 전망된다.

∙ (중장기 전망) 농업부문 부가가치는 중장기적으로 연평균 0.8% 증가하여 2030년 에는 30조 5,11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중간재비 증가하나 생산액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여 부가가치는 연 평균 0.8% 증가할 전망이다.

- (축산업) 가축과 사료를 포함한 중간재비는 증가하나, 생산액이 연평균 2.3%

증가하여 부가가치는 연평균 1.1% 증가할 전망이다.

∙ 2020년 농업부문 부가가치율은 일시적으로 상승한 54.4%로 추정된다. 2021년

28_ 제1부 한국 농업 미래

부터는 생산액 증가폭 대비 부가가치 증가폭이 작아 부가가치율은 점감할 것으로 전망되며, 2030년에는 51.2% 수준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과 축산업 부가가치율은 각각 연평균 0.1%p, 0.3%p 감소하여 2030년에 는 각각 71.1%, 25.3%로 전망된다.

[ 표 1-18 ] 농업 부가가치 동향과 전망(명목)1)

단위: 십억 원, % 구 분 2000 2019 2020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21 2025 2030 19/00 20/19 21/20 30/20 농업 20,455 25,891 28,040 27,929 28,650 30,511 1.2 8.3 -0.4 0.8

(64.0)2) (52.1) (54.4) (53.2) (52.4) (51.2) -0.6%p 2.3%p -1.3%p -0.3%p 재배업 18,223 20,767 22,188 22,479 22,863 23,972 0.7 6.8 1.3 0.8

(76.3) (69.5) (71.7) (70.9) (70.6) (71.1) -0.4%p 2.1%p -0.8%p -0.1%p 축산업 2,232 5,124 5,852 5,450 5,787 6,539 4.5 14.2 -6.9 1.1

(27.6) (25.9) (28.5) (26.2) (26.0) (25.3) -0.1%p 2.6%p -2.3%p -0.3%pp 주 1) 부가가치는 명목 기준이며, 부대서비스는 제외됨.

2) ( )는 부가가치율을 의미함.

자료: 한국은행,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제1장 2021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