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 재생의 여건과 과제

2.2. 농촌의 잠재력 증대

2.2.1. 농촌에 대한 국민 수요 증대

∙ 도시민과 농촌 주민의 생활 만족도를 비교한 <그림 2-4>의 조사 결과, 과거에 비해 도시 생활에 불만족을 느끼는 도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5)

- 도시민이 느끼는 항목별 정주 만족도(10점 만점)는 2014년에 농촌 주민보다 높았 으나, 5년 뒤인 2019년에는 농촌 주민의 만족도가 도시민을 앞서는 역전 현상이 나타났으며, 그 경향은 2020년에도 이어지고 있다.6)

- 도시 생활에서 충족할 수 없는 요구가 있으며, 반대로 농촌이 대안적인 삶을 추구 할 수 있는 곳으로 잠재력을 지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림 2-4. 도시민과 농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변화(2014-20년)

단위: 점

주 1) 각 년도 도시‧농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조사 결과(2014년: 1,778명 / 2019년: 3,063명 / 2020년: 3,012명) 2) 각 년도 조사 모두 11점 척도(0~10점)로 측정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도별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보고서 재구성

∙ 최근 증가세가 둔화되기는 하였으나 도시민의 귀농‧귀촌 이주가 꾸준히 이어진 것 도 이러한 경향을 보여준다. 그리고 반드시 농촌으로 거주지를 옮기지 않더라도 자신이 장래 희망하는 일들을 농촌에서 실행해보려는 의향을 지닌 도시민들이 상 당수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5)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도시민과 농어촌 주민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도별로 발행하는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조사 보고서 참고

6) 단, 2020년의 경우 2019년에 비해 농촌 주민들의 정주 만족도가 다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2장 농촌정책의 새 지평, 농촌 재생 _53

2.2.2. 코로나19 이후 농촌에 대한 수요 증가

∙ 코로나19 확산으로 국민들의 분산 거주 움직임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한 <그림 2-5>의 2020년 도시민 조사 결 과에 의하면 이전보다 귀농‧귀촌 의향이 증가했다는 응답 비율이 감소했다는 응답 보다 높았다.

- 특히 50~60대 연령층으로 갈수록 귀농‧귀촌이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더 욱 높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 연간 농촌관광 횟수가 늘어나리라는 응답도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보다 높은 비 율을 기록하였고, 소득이 높은 계층일수록 증가하리라는 응답 비율이 더 높았다.

그림 2-5. 코로나19 확산 이후 농촌에 대한 도시민 요구 변화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2020년 4월 실시한 도시민 1,011명 대상 설문조사 자료 집계

2.2.3. 농촌 지역의 인구 증가 잠재력

∙ 지역의 인구 증가 잠재력 여부를 판단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지역재생력지 수7) 기초 통계값을 살펴보면 농촌 지역의 평균 지수 값이 도시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집계되었다(송미령 외 2020c).

- 지역재생력지수는 지수 값이 1 이상이면 지역에서 인구가 재생산되고 있음을 의

7) 지역재생력지수는 지역에서 얼마나 인구를 증가시킬 잠재력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지수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지역인구재생력지수  출산가능인구비율

자녀이상출생률

여기서, 2자녀 이상 출생율은 특정 1년 간의 총 출생아 중에서 2자녀 이상인 가정에서의 출생 비율(2자녀 이상 출생/총 출생아) 이며, 출산 가능 인구 비율은 총 여성 인구 대비 가임 여성 인구를 의미한다.

54_ 제2부 2021년 농정 현안

미한다. 반면 지수 값이 1 미만이면 전체 여성 대비 가임여성 중에서 출생한 자녀 들이 1명 미만으로 향후 인구가 감소할 것을 의미한다.

∙ 전국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지수 값을 산출한 결과, 군 지역의 평균 지수 값은 1.68로 시 지역 1.11, 구 지역 0.89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 전반적으로 수도권 및 대도시 지역 시‧군에서 지역재생력지수가 낮은 경향을 보 이는 반면, 경북·경남, 전남 군 지역에서 지수 값이 높은 특징을 보인다.

- 군 지역이 시 지역 및 특·광역시보다 인구의 자연증가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것 을 의미한다. 반대로 특·광역시의 경우 지수 평균이 1 이하로 미래 인구의 자연증 가 기반이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2-6. 지역재생력지수의 공간 분포

자료: 송미령 외(2020c)

제2장 농촌정책의 새 지평, 농촌 재생 _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