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학생 중국어 작문 연구현황

문서에서 모국어 전이 현상 연구 (페이지 23-33)

I. 서론

3) 한국학생 중국어 작문 연구현황

통계에 의하면, 中国知网(CNKI)이 1999년부터 2018년 1월까지 발표한 각 종류의 정기간행물과 학위논문 중, 한국의 중국어 수업과 연구에 관한 논문은 약 1,457편이 있는데, 그중 한국학생의 중국어 글쓰기 방면과 관련이 있는 논문은 겨우 13편이었 고12), 한국학생의 중국어 작문방면과 관련된 것은 단지 7편뿐이었다13).

12) 李晶, 「简论韩国留学生的汉语写作偏误及其教学」, 陕西师范大学 硕士学位论文, 2016.

张娟, 「渤海大学韩国分院汉语初级写作偏误情况分析」, 渤海大学 硕士学位论文, 2016.

姜俊峰, 「对韩中级汉语写作教学现状与对策」, 东北师范大学 硕士学位论文, 2015.

徐嘉婧, 「中高级阶段韩国学生汉语写作语篇衔接偏误分析」, 黑龙江大学 硕士学位论文, 2015.

张娟, 「韩国学生初级写作中的偏误及教学建议-以韩国分院为例」, 商业故事, 2015.

朴珍珠, 「韩国学生词汇知识与汉语写作的相关性研究」, 北京大学 硕士学位论文, 2013.

陈奕帆, 「韩国学生汉语写作语序偏误研究」, 湖南师范大学 硕士学位论文, 2013.

林妍芝, 「韩国大学中文系中级汉语写作课教学设计」, 山东大学 硕士学位论文, 2012.

何婉, 「对韩国学生汉语写作教材编写及教学的探讨」, 教育与教学研究, 2012.

조사를 통하여, 한국학생의 작문 혹은 글쓰기와 관련된 논문이 결코 많지 않음을

분석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논문은 대학생들의 작문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고등학생은 중국어 어휘에 대한 이해가 비교적 적으며, 어휘에서나 문법 방면에서 모두 많은 문제가 있다. 그래서 고등학생들은 작문을 할 때 모국어에 더욱 의존하게 되고, 모국어로 사고를 한 후 중국어로 전환하여 본인이 작성한 작문 가운 데 한국어의 흔적과 모국어의 소극적 전이를 남겼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등학생 작 문자료를 수집하고 모국어의 소극적 전이와 관련 있는 오류를 상세하게 분석하여 이 러한 오류의 생성 원인을 알아내는데 주력한다.

연구 방법에서 보면, 상술한 한국학생들의 작문 연구에 관해 수많은 语料库가 사용 되고 수많은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논문이 채용한 연구는 시도 횟수가 상대적으 로 적은 편이다. 그러나 비교적 복잡한 문제에는 语料库의 방법을 채용하여 이전의 연구 부족에 어느 정도 보충할 수 있다.

연구 내용으로 보면, 한국학생 중국어 작문연구의 초점은 중국어 수업 중의 중점과 난점에 집중되고 있다. 王一宁(2016)의 중국어 작문 중의 ‘了’ 연구, 贾晓露(2012)의 중국어 작문 중 ‘被’의 연구 및 기타 항목은 빈약해서 아직 중시되지 않고 있다. 실사 연구 및 허사 중의 개사와 부사의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한국의 논문 중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아래와 같은 논문들이 있었다.

박덕준(1993)은 주로 한국 대학생의 작문 중 범하는 오류에 대하여, 그들의 틀린 문장을 분석하고, 한국대학 중문과 작문교수 모델에 적용하여 자신의 구상을 제안하 였다.15)

제해성ㆍ황일권(2003)은 중국어 작문에 나타난 오류 실례 및 원인 분석을 어휘오 류, 어순오류 및 표현오류와 관련시켜 연구하였다. 연구자들은 대학에 들어와 중국어 를 1년 정도 학습한 2학년 학생 40명을 측정대상으로 하여 60항의 측정 문항 중 오 류가 비교적 많이 나타난 30문항을 분석하였다. 결론에서 오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 해 강의를 담당한 교사들에게 유용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16)

이미영(2005)은 한국에서 중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글쓰기 중 항상 나타나는 오 류분석을 하고, 그 결과 가장 잘 나타나는 오류는 ‘간결성 부족’, 다음으로 ‘대체’, ‘생

15) 박덕준, 「중국어 작문의 오류 분석 및 교수 모델의 구상」, 중국어문학, 제22권, 1993, 181~206쪽.

16) 제해성ㆍ황일권, 「초급 단계의 중국어 작문에 나타난 문법적 오류 실례 및 원인 분석」, 중어중문학

33권, 2003, 185-209쪽.

략’ 그리고 ‘부자연스런 어순’이라 했다. 저자는 원인의 시기를 분석했는데, 초급단계 는 소극적 모국어전이로 인해 오류가 생기지만 중ㆍ고급단계 이후는 소극적 전이가 점점 줄고, 중국어 문법구조의 복잡성이 학생들의 오류를 생성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신의 연구 성과를 근거로 몇 가지 제안을 했는데, 학생들에게 예문을 많이 주어 학 생들이 다른 작문 작성 중에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중국어와 한국어 사 이의 일대일 비교를 피해야 한다고 했다.17)

정윤철(2005)은 모대학 중문과 2학년 중국어 작문 과목을 수강하는 67명의 학생들 에게 단문으로 된 29문항을 제시한 후 중국어로 옮긴 작문 답안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조분석의 일환으로 시간표현과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고 오 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려 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는 한국어의 격조 사의 간섭을 크게 받으며, 조사가 없는 중국어에서는 어순이나 전치사 등을 통해 처 리하기 때문에 격조사가 어떤 방식으로 중국어에 대응하는지를 이해하지 못하면 쉽게 오류를 범하게 된다고 하였다.18) 박덕준(2006)은 한국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어작 문 교수전략에 대해 논하였다. 중국어작문 교수전략의 핵심은 ‘통제-자유 작문 교수’

의 원칙이며, 이 원칙 아래에 ‘모범문장의 모사’, ‘쓰기를 통한 교제’, ‘문장오류의 분 석’, ‘인터넷을 통한 쌍방향 교류’ 등의 전략을 두었다. 학생들은 ‘통제-자유 작문 교 수’의 원칙 아래 단문 짓기-문단 짓기-글짓기라는 3단계 쓰기과정을 거쳤다.19)

손정애(2010)는 HSK 동태 작문 언어 ‘Data Base’에서 한국인의 어순오류를 분석 대상으로 한 모든 검색에서 문장의 성분분류에 따라 통계성 분석을 하고 어순오류의 유형과 형성원인에 대해 심도 있게 탐색하였다.20)

이정숙(2011)은 한국인 학습자의 어순 오류를 통하여 부사 ‘也’의 중간 언어 양상을 고찰하고 그 오류 원인을 분석하여 한국인 학습자의 독특한 오류를 규명함과 동시에 동사 내에 부사 ‘也’의 어순에 영향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려고 하였다. 그리고 오류가 발생되는 원인을 모국어 전이에 의한 오류, 언어능력의 전수에만 급급한 교학 방법 그리고 일관되지 못한 교학 유도에 의한 것이라고 지적하였다.21)

17) 이미영, 「오류분석을 통한 중국어 작문 지도방안 연구-허사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5.

18) 정윤철,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간, 공간표현 대조분석-한→중 작문오류를 중심으로-」, 中國硏究 제39 권,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05, 3-22쪽.

19) 박덕준, 「对韩国学生的写作教学策略」, 중국문학, 제49집, 2006, 354~365쪽.

20) 손정애,「HSK작문 답안을 통한 중국어 어순 오류 분석」, 중국문학, 제63권, 2010, 199~224쪽.

백수진과 이철근(2012)은 한국인이 잘 틀리는 중국어 작문을 진단하는『중국어 작 문 클리닉에서 한국인이 틀리기 쉬운 문장들을 통해 틀린 원인을 파악함으로써 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문법적인 지식과 함께 상세히 설명을 덧붙였다. 각 장의 연습 문제와 종합문제를 통해 배운 문장을 복습하며 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효영(2013)은 한국의 모 대학 중문과의 중국어 작문수업을 예로 들어, 학생들의 중국어 글쓰기 중의 오류를 어휘, 문법, 내용으로 분류하고, 한국 학습자의 글쓰기 중 항상 보이는 문제와 오류를 개괄하였으며, 대응조치를 제안하고 다방면으로 한국인의 중국어 글쓰기 수업의 발전을 촉진하였다.22)

윤유정(2018)은 「한국인의 중국어 작문 속 응결장치 오류 분석」에서 좋은 텍스트가 되기 해서는 응결성이 높아 문장 결속력이 좋아야 하는데, 한국인의 중국어 작문 속 에는 응결장치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 문장의 의미 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고 하였다. 연구자는 구HSK 고등 작문 시험 답안지를 수록하고 있는 BCC语料库의 HSK에서 작문 점수 80점 이상을 획득한 한국인 응시생의 작문 답안지 중 응결장치 오류가 발견된 108편을 연구대상으로 한국인의 중국어 작문 텍 스트 속 응결장치의 오류를 분석하였다. 그는 이 연구를 통하여 응결장치 오류 중 가 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인 것은 접속오류이며, 주어나 목적어 위치에 지시나 동형반복 을 이용하여 피대체어를 출현시켜야 할 때 누락하는 오류가 많았으며, 지시와 관련하 여 대명사의 오용오류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고 하였다.23)

이상의 연구들은 중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작문에 나타난 오류에 관련된 논문들 이다. 이 논문들은 중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오류의 원인 분석에서 주로 목표 어의 묘사에 편중하고 있으며, 위의 연구들은 해석력이 아직 충분하지 않다.

다음으로 이경휘ㆍ방건춘ㆍ백지영(2015)은 대학교 중국어 중급 학습자의 구어 오류 실례를 중심으로 한국인 화자의 통사오류 유형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중 급 중국어 전공수업을 수강하는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 중 발생한 구어 오류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누락, 대체, 어순오류의 빈도수가 우위를 점하 고 첨가와 혼합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하였다. 이 연구는 周小兵ㆍ朱其智ㆍ邓

21) 이정숙, 「부사 ‘也’의 통사적 위치 오류 분석-<HSK動態作文語料庫>를 基礎로-」, 중국어문학』58권,

21) 이정숙, 「부사 ‘也’의 통사적 위치 오류 분석-<HSK動態作文語料庫>를 基礎로-」, 중국어문학』58권,

문서에서 모국어 전이 현상 연구 (페이지 23-3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