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모국어 전이 현상 연구 (페이지 123-150)

본문에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한국학생들의 중국어 작문에서 흔히 보이는 오류분 석에 근거해서 다음의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모국어전이 성질의 어휘방면 전이는 주로 두 가지 측면으로 나타난다.

첫째는 어휘 성질 전이(词性迁移)이다.

언어유형으로 보면, 한국어는 교착어에 속하여 그 자체가 복잡한 형태변화가 있으 며, 어미변화로 문법상 성질과 시제를 구분한다. 한국어에서 한자 명사에 어미 ‘-되 다’, ‘-시키다’, ‘-하다’를 덧붙이면 동사가 된다. 이것은 형용사에도 활용된다. 어떤 명사에 어미를 붙이면 형용사가 된다. 어떤 형용사에 부사 어미 ‘-이’, ‘-히’를 붙이면 부사가 된다. 중국어는 고립어에 속하여 그 자체 형태변화가 없다. 그래서 중국어의 문법상 성질 표시(标记)와 시제표시가 아주 불분명하다. 이런 차이로 인해 한국 유학 생이 어휘 문법상의 성질을 몰라 사용 중 오류를 만든다. 학생이 한국어의 문법상 성 질을 답습하여 중국어에 가져오는 것은 항상 보게 되는 현상으로, 문법상 성질 전이 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문 중 학생들이 명사를 동사로 오용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经验/同伴’ 등을 동사로 오용하고, 동사를 명사로 오용하는 것이 다. ‘结婚’과 같이 동사를 형용사로 오용하고, 심리활동 동사인 ‘伤心, 感动, 害怕’를 형용사로 오용하는 것이다. 동시에 필자가 알게 된 것은 자동사의 타동사 오용 빈도 수가 높은데, 주로 이합사의 사용 중에 그러하다. 예를 들어 ‘入学’, ‘毕业’, ‘旅行’, ‘请 客’와 같은 경우이다.

둘째는 어의 전이(词义迁移)이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동형 유의 동사 사이에 복잡한 어의 관계가 교차된다(错综). 두 언어 중에는 단어의 의미가 같은 것이 있고, 교차하는 것도 있고, 전혀 다른 것도 있 다. 이 때문에 중ㆍ고급단계 한국의 중국어 학습자가 오류를 범하기 쉽다. 한중 동형 어인 ‘小心’은 한중어휘체계에서 관련된 단어의 의미가 전이되는 한중동형어에 속한 다. 예를 들면, 중국어의 ‘小心’이 가리키는 것은 ‘谨慎(근신)’과 ‘注意(주의)’이다. 한국 어 ‘소심(小心)’이 가리키는 것은 ‘대담하지 못하고 조심성이 지나치게 많다’는 것이

다.

한국어에 새로운 한자어 생성이 중국어에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한국어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 사이에 일대다(一对多)의 현상이 형성되었다. 한국어 한자어

‘关心’에 대응하는 중국어 어휘는 ‘关心,’ ‘关注,’ ‘兴趣’이며, 한국어와 중국어 일부분의 어휘는 일부분 의미가 같고, 일부분 의미가 다른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중국어 ‘文章’

의 의항이 한국어 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뜻을 파생시키지만, 한국어 한자어 ‘文章에는 중국어의 ‘文章’이 가진 그런 뜻을 단 하나의 문장도 포함하 지 않는다. 이것은 한중 의미항 대응이 불일치하여 조성된 모국어전이이다.

모국어전이 성질의 虚词 방면 전이는 주로 세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첫째, 介词 방면의 주요 표현은 ‘在’, ‘到’, ‘从’의 혼용이다. 한국어 ‘에게’의 영향을 받아 ‘给’과 ‘对’, ‘向’, ‘跟’, ‘让’, ‘使’를 오용하고 있으며, 중국어 개사와 한국어 부사 격조사 사이의 ‘多对一’ 대응관계가 오류의 주요 원인이 된다. 그밖에 한중 두 언어의 어떤 동사는 성질이 달라서 개사를 추가로 잘못 사용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둘째, 副词 방면의 주요 표현은 ‘也’나 ‘还’을 주어의 앞에 잘못 놓는 경우이다. 또

‘再’와 ‘又’의 혼용이 있고, ‘都’를 누락시키는 일도 많다.

셋째, 助词 방면의 표현은 현재 한국어의 반복 습관을 나타내는 ‘-었’에 대한 ‘了’의 전이에서 나타나고, 한국어의 과거 상태를 나타내는 ‘었’에 대한 ‘了’의 전이로 나타난 다. 한국어의 과거 완성을 나타내는 ‘었’에 대한 ‘了’의 전이, 한국어 미래 완성을 나 타내는 ‘었’에 대한 ‘了’의 전이 그리고 한국어 과정 부정문 대 중국어의 ‘了’의 전이 에서 나타난다.

중국어 조사 ‘了’의 오류는 주로 학생들의 모국어 时/体 표기를 가져오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한국학생들은 중국어 학습 과정 중 한국어의 무표기항을 중국어의 유포 기항에 대응하여 소극적 전이를 생성시킨다. 중국어에는 体표기는 오히려 무시(无时) 표기이고 시간 개념은 주로 어휘와 문장 중의 기타 성분을 사용으로 표현한다. 그러 나 한국학생들은 중국어의 体표기도 한국어의 时/体표기와 똑같이 시간의 문법의미를 지녔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한국학생들이 한국어의 时/体표기와 중국어의 体표기와 시 간개념의 단어 차이를 항상 줄인다. 또한 ‘了’를 써야 할 곳에 사용하지 않는 것은 주 로 학생들이 작문 중에 회피전략을 채택하여 실수를 줄이려고 고의로 사용하지 않은 것이다.

모든 어순오류 중 상황어로 인한 오류가 가장 많고, 상황어 어순 오류 중에는 한국 학생들이 부사를 상황어로 사용하고, 介詞句를 상황어로 사용하는 어순오류가 가장 많으며, 조동사를 상황어로 쓸 때의 어순오류가 그 다음이며, 수량사를 상황어로 하는 것 그리고 기타를 상황어로 쓰는 어순오류는 상대적으로 적다. 각종 오류는 단항의 상황어를 주어의 앞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장 전형적이다. 그밖에 상황어는 술어의 뒤 에 위치시키고, 보어의 위치에도 비교적 자주 보인다. 다항 상황어의 잘못된 순서는 관련 상황어, 시간 상황어, 대상 상황어, 조동사 상황어, 부정사 상황어 등 오류율이 높다. 이 외에도 설령 한중 문법규칙의 일치됨을 전제해도, 어순의 공통점이 적극적 전이를 생성하기는 쉽지 않고 오히려 오류를 생성함을 필자가 알게 되었다.

이 외에 본 연구에서 또 하나의 사실을 찾아냈다. 한국 학생들이 중국어 학습 중 모국어에 의존하는 정도는 특정한 언어 구조 표기성에 달려 있는데, 한국어의 무표기 (无标记项)와 유표기(有标记项)에 비해 더욱 쉽게 전이가 발생한다. 한국학생의 중국 어 문법 학습 시에, 항상 모국어의 동태조사(중국어의 ‘了’에 해당), 위격조사(중국어 의 ‘在’), 여격조사(중국어의 ‘给/对’) 등의 영향을 받아 어간상의 오류를 발생시킨다.

비교와 분석을 통해, 찾아낸 이러한 한국어 조사는 상관된 중국어의 문법항목과 비교 하여 대부분 넓게 분포되고, 문법 의의가 넓고, 사용 빈도가 높으며, 통상 무표기항에 속하는데 비해 중국어 규칙은 상반되어 유표기항에 속한다.

요컨대 모국어전이는 두 언어 수업 중 회피할 수 없는 문제이므로 모국어전이를 정 확하게 인식해야 한다. 수업 중에 의식적으로 전이이론의 성과를 수업에 응용해서 소 극적 전이의 영향을 낮춰야 한다. 중국어 작문 수업 중에 한중 언어대조를 중시해야 하며, 오류가 나타나는 유형을 총결산해야 한다. 평소의 수업시간 중에 학생들의 언 어 입력과 언어 출력의 결합을 강화하고, 작문 오류자료를 모아 데이터화 하는 것이 가장 좋겠다. 이렇게 함으로써만 학생들의 작문에서 모국어전이 성질의 오류 수를 낮 추고, 학생들의 중국어 작문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 고 문 헌

※ 가나다순, 알파벳 순 및 연대순

【书籍类】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전면 개정 한중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1), 커뮤니케이션스북스, 2005.

남궁양석, 현대 중국어 어순의 정보구조와 초점, 한국학술정보(주), 2008.

白水振ㆍ李鐵根, 한국인을 위한 중국어 작문 클리닉, 서울동양북스, 2012.

서정수, 국어문법, 한양대학교출판사, 1996.

황옥화, 한국인을 위한 중국어 오류분석, 한국학술정보(주), 2008.

储泽祥, 现代汉语方所系统研究, 华中师范大学出版社, 1997.

戴耀晶, 现代汉语时体系统研究, 浙江教育出版社, 1997.

傅雨贤ㆍ周小兵等, 现代汉语介词研究, 中山大学出版社, 1997.

高远, 对比分析与错误分析, 北京航空航天大学出版社, 2002.

黄伯荣ㆍ廖序东, 现代汉语, 高等教育出版社, 1991.

金昌吉, 汉语介词和介词短语, 南开大学出版社, 1996.

刘珣, 对外汉语教育学引论, 北京语言大学出版社, 2000.

刘珣, 汉语作为第二语言教学简论, 北京语言文化大学出版社, 2002.

任雪梅, 「外国留学生汉语离合词偏误分析」, 汉外语言对比与偏误分析论文集, 北京大学 出版社, 1999.

韦旭升ㆍ许振东, 韩国语实用语法,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1995.

俞理明, 语言迁移与二语习得, 上海外语教育出版社, 2004.

柳英绿,『朝汉语语法对比, 延边大学出版社, 1999.

刘月华, 实用现代汉语语法, 商务印书馆, 2004.

张斌等, 现代汉语描写语法, 商务印书馆, 2010.

张谊生, 现代汉语副词研究, 学林出版社, 2000.

朱德熙, 定语和状语, 上海教育出版社, 1958.

【论文类】

김경천, 「중국어화자의 한국어 쓰기 오류실태」, 중국문화연구(13), 2008.

박덕준, 「중국어 작문의 오류 분석 및 교수 모델의 구상」, 중국어문학, 제22권, 1993.

박덕준, 「对韩国学生的写作教学策略」, 중국문학, 제49집, 2006.

박태숙ㆍ오치성, 「한국 영어학습자들의 because 사용에 관한 모국어전이 효과」, 언 어학연구(39), 2016.

백이연, 「일본어 작문에 나타나는 모어의 영향-한국인 학습자의 의미 전이를 중심으 로-」, 日語日文學硏究, 제89집, 2014.

손남익, 「부사와 수식 구조」, 어문논집, 제34권, 1995.

손정애,「HSK작문 답안을 통한 중국어 어순 오류 분석」, 중국문학, 제63권, 2010.

신봉수, 「영어 관용어 학습에 있어서 한국 EFL 학습자의 모국어 전이와 이해책략에 관한 연구」, 신언어영문학, 27호, 2004.

신봉수, 「영어 관용어 학습에 있어서 한국 EFL 학습자의 모국어 전이와 이해책략에 관한 연구」, 신언어영문학, 27호, 2004.

문서에서 모국어 전이 현상 연구 (페이지 123-15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