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10

zÛ`={ '21+i }2`= 2 2i =1

i =-i이므로 zÛ`+zÝ`+zß`+z¡`+zÚ`â`

=zÛ`+(zÛ`)Û`+(zÛ`)Ü`+(zÛ`)Ý`+(zÛ`)Þ`

=-i+(-i)Û`+(-i)Ü`+(-i)Ý`+(-i)Þ`

=-i-1+i+1-i=-i -i

111

1-i

1+i= (1-i)Û`

(1+i)(1-i)= -2i2 =-i이므로 { 1-i1+i }2`=(-i)Û`=i Û`=-1

{ 1-i1+i }4`=[{ 1-i1+i }2`]2`=(-1)Û`=1

따라서 { 1-i1+i }n`=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 중

가장 작은 값은 4이다. 4

112

'¶-4'¶-8+'3'¶-3+ '8'¶-2

=-'3Œ2+'¶-9-®É 8-2

=-4'2+'9i-'¶-4

=-4'2+3i-2i=-4'2+i

⑵ 'Ä-20

'¶-5 +'¶-9'¶-4+ '8Œ1'¶-9

=®É -20-5 -'3Œ6-®É 81 -9

='4-6-'¶-9

=2-6-3i=-4-3i

⑴ -4'2+i ⑵ -4-3i

113

0이 아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b=-®;bA;이므로 a>0, b<0 ∴ a-b>0

따라서 |a|=a, "Ã(a-b)Û`=|a-b|=a-b,

"bÛ`=|b|=-b이므로

확인체크 익히기

118

주어진 방정식의 양변에 2-'3을 곱하면 (2-'3)(2+'3)xÛ`-(2-'3)(3+'3)x

+2-'3=0 xÛ`-(3-'3)x+2-'3=0

(x-1){x-(2-'3)}=0

∴ x=1 또는 x=2-'3 x=1

또는

x=2-'3

119

x=1을 xÛ`+ax-3a+5=0에 대입하면 1+a-3a+5=0 ∴ a=3

a=3을 xÛ`+ax-3a+5=0에 대입하면 xÛ`+3x-4=0, (x+4)(x-1)=0

∴ x=-4 또는 x=1

따라서 다른 한 근은 -4이므로 b=-4

∴ a+b=3+(-4)=-1 -1

120

x=3을 xÛ`-(a+2)x+2a=0에 대입하면 9-3(a+2)+2a=0 ∴ a=3 a=3을 xÛ`+ax-aÛ`-1=0에 대입하면 xÛ`+3x-10=0, (x+5)(x-2)=0

∴ x=-5 또는 x=2 x=-5

또는

x=2

121

⑴ xÛ`-2|x|-8=0에서

Ú x<0일 때, |x|=-x이므로 xÛ`+2x-8=0, (x+4)(x-2)=0

∴ x=-4 또는 x=2 그런데 x<0이므로 x=-4 Û x¾0일 때, |x|=x이므로

xÛ`-2x-8=0, (x+2)(x-4)=0

∴ x=-2 또는 x=4 그런데 x¾0이므로 x=4 Ú, Û에서 x=-4

또는

x=4

116

⑴ 2xÛ`-7x+4=0에서

x=-(-7)Ñ"Ã(-7)Û`-4_2_4

2_2 ='1Œ7 4

⑵ xÛ`-3x+4=0에서

x =-(-3)Ñ"Ã(-3)Û`-4_1_4

2_1 =3Ñ'¶-7 2

='7i 2

⑶ 2xÛ`+x+1=0에서 x =-1Ñ"Ã1Û`-4_2_1

2_2 =-1Ñ'¶-7 4

=-1Ñ'7i 4

⑷ 3xÛ`+4x-2=0에서 x =-2Ñ"Ã2Û`-3_(-2)

3 =-2Ñ'1Œ0 3

⑸ 3xÛ`-2x+1=0에서

x =-(-1)Ñ"Ã(-1)Û`-3_1

3 =1Ñ'¶-2

3

='2i 3

⑹ 4xÛ`-2'3x-1=0에서

x =-(-'3)Ñ"Ã(-'3)Û`-4_(-1) 4

= ''7 4

풀이 참조

117

⑴ 3(x+1)Û`=x(x+2)에서

3xÛ`+6x+3=xÛ`+2x, 2xÛ`+4x+3=0 ∴ x=-2Ñ"Ã2Û`-2_3

2 =-2Ñ'2i 2

3xÛ`+2

5 -x= xÛ`-x2 에서 2(3xÛ`+2)-10x=5(xÛ`-x) 6xÛ`-10x+4=5xÛ`-5x

xÛ`-5x+4=0, (x-1)(x-4)=0 ∴ x=1 또는 x=4

⑴ x=-2Ñ'2i

2 ⑵ x=1

또는

x=4

Ü x¾2일 때,

|x-2|=x-2, |x|=x이므로 (x-2)+1=xÛ`-x

xÛ`-2x+1=0, (x-1)Û`=0 ∴ x=1 (중근) 그런데 x¾2이므로 x=1은 해가 아니다.

Ú ~ Ü에서 x=-3 또는 x='3

x=-3

또는

x='3

12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처음 직각





Y

Y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의 길이와 높이를 x라 하면 처음 직각이등 변삼각형의 넓이는 1

2 xÛ`이고 새 로 만든 삼각형의 넓이는 1

2 (x+3)(x+2)이다.

새로 만든 삼각형의 넓이가 처음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넓이의 2배이므로

;2!;(x+3)(x+2)=2_;2!;xÛ`

xÛ`-5x-6=0, (x+1)(x-6)=0

∴ x=6 (∵ x>0)

따라서 처음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넓이는

;2!;xÛ`=;2!;_6Û`=18 18

124

길의 폭을 x m라 하면 길을 제외한 잔디밭의 넓이는 다음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와 같다.

N

N

YN YN

YN YN

YN YN

길을 제외한 잔디밭의 넓이가 144`mÛ`이므로 (20-x)(10-x)=144

xÛ`-30x+56=0, (x-2)(x-28)=0

∴ x=2 (∵ 0<x<10)

따라서 길의 폭은 2`m이다. 2`m

⑵ xÛ`+|2x-1|=3에서

Ú x< 12일 때, |2x-1|=-(2x-1)이므로 xÛ`-(2x-1)=3, xÛ`-2x-2=0

∴ x=1Ñ'3

그런데 x< 12 이므로 x=1-'3

Û x¾ 12일 때, |2x-1|=2x-1이므로 xÛ`+2x-1=3, xÛ`+2x-4=0

∴ x=-1Ñ'5

그런데 x¾ 12 이므로 x=-1+'5`

Ú, Û에서 x=1-'3

또는

x=-1+'5

⑶ xÛ`-3x-1=|x-2|에서

Ú x<2일 때, |x-2|=-(x-2)이므로 xÛ`-3x-1=-(x-2)

xÛ`-2x-3=0, (x+1)(x-3)=0

∴ x=-1 또는 x=3 그런데 x<2이므로 x=-1 Û x¾2일 때, |x-2|=x-2이므로

xÛ`-3x-1=x-2, xÛ`-4x+1=0

∴ x=2Ñ'3

그런데 x¾2이므로 x=2+'3 Ú, Û에서 x=-1

또는

x=2+'3

풀이 참조

122

|x-2|+1=xÛ`-"ÅxÛ` 에서 |x-2|+1=xÛ`-|x|

Ú x<0일 때,

|x-2|=-(x-2), |x|=-x이므로 -(x-2)+1=xÛ`+x

xÛ`+2x-3=0, (x+3)(x-1)=0

∴ x=-3 또는 x=1 그런데 x<0이므로 x=-3 Û 0Éx<2일 때,

|x-2|=-(x-2), |x|=x이므로 -(x-2)+1=xÛ`-x

xÛ`=3 ∴ x=Ñ'3 그런데 0Éx<2이므로 x='3

확인체크 익히기

127

보기

에 주어진 각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ㄱ. ;;4;D;=(-1)Û`-1_4=-3<0

ㄴ. ;;4;D;=(-2)Û`-1_(-5)=9>0 ㄷ. D=3Û`-4_2_4=-23<0 ㄹ. ;;4;D;=3Û`-9_1=0

ㅁ. D=(-1)Û`-4_;4!;_1=0 ㅂ. D=(-1)Û`-4_;3@;_;3!;=;9!;>0

⑴ 실근을 가지면 D¾0이므로 ㄴ, ㄹ, ㅁ, ㅂ

⑵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면 D<0이므로 ㄱ, ㄷ

⑴ ㄴ, ㄹ, ㅁ, ㅂ ⑵ ㄱ, ㄷ

128

이차방정식 xÛ`+4x+a-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4;D;=2Û`-(a-3)=7-a

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4;D;=7-a>0 ∴ a<7

⑵ 중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4;D;=7-a=0 ∴ a=7

⑶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4;D;=7-a<0 ∴ a>7

⑴ a<7 ⑵ a=7 ⑶ a>7

129

이차방정식 xÛ`+(2k-1)x+kÛ`-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2k-1)Û`-4(kÛ`-3)=-4k+13

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D=-4k+13>0 ∴ k<:Á4£:

125

⑴ [x]Û`-12[x]+32=0에서 ([x]-4)([x]-8)=0 ∴ [x]=4 또는 [x]=8 [x]=4에서 4Éx<5 [x]=8에서 8Éx<9 ∴ 4Éx<5 또는 8Éx<9

⑵ Ú 1<x<2일 때, [x]=1이므로 xÛ`-1-3=0, xÛ`=4

∴ x=Ñ2

그런데 1<x<2이므로 해가 없다.

Û 2Éx<3일 때, [x]=2이므로 xÛ`-2-3=0, xÛ`=5

∴ x=Ñ'5

그런데 2Éx<3이므로 x='5 Ú, Û에서 x='5

⑴ 4Éx<5

또는

8Éx<9 ⑵ x='5

126

주어진 각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⑴ D=3Û`-4_1_(-2)=17>0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실근

을 갖는다.

;;4;D;=(-2)Û`-1_7=-3<0 따라서

서로 다른 두 허근

을 갖는다.

;;4;D;=6Û`-4_9=0 따라서

중근

을 갖는다.

;;4;D;=(-'3)Û`-1_3=0 따라서

중근

을 갖는다.

⑸ 3xÛ`-4x-2=0이므로

;;4;D;=(-2)Û`-3_(-2)=10>0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실근

을 갖는다.

⑹ 2xÛ`+3x+5=0이므로 D=3Û`-4_2_5=-31<0 따라서

서로 다른 두 허근

을 갖는다.

풀이 참조

주어진 이차식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이차방정식 (k-2)xÛ`+2(2k-4)x+3k-2=0이 중근을 가져 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할 때,

;;4;D;=(2k-4)Û`-(k-2)(3k-2)=0 kÛ`-8k+12=0, (k-2)(k-6)=0

∴ k=2 또는 k=6

그런데 k+2이므로 k=6 6

134

⑴ a+b=-3

⑵ ab=-2

⑶ aÛ`+bÛ` =(a+b)Û`-2ab

=(-3)Û`-2_(-2)=13

1 a +1

b =a+b ab =-3

-2 =;2#;

⑴ -3 ⑵ -2 ⑶ 13 ⑷ ;2#;

135

⑴ a+b=- -63 =2

⑵ ab=;3@;

⑶ aÛ`-ab+bÛ` =(a+b)Û`-3ab

=2Û`-3_ 23 =2

⑷ b a +a

b =aÛ`+bÛ`

ab =(a+b)Û`-2ab ab

=2Û`-2_;3@;

;3@; =;3*;

;3@;=4

⑴ 2 ⑵ 23 ⑶ 2 ⑷ 4

136

⑴ xÛ`-(4+6)x+4_6=0 ∴ xÛ`-10x+24=0

⑵ xÛ`-{5+(-2)}x+5_(-2)=0 ∴ xÛ`-3x-10=0

⑵ 중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D=-4k+13=0 ∴ k=:Á4£:

⑶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D=-4k+13<0 ∴ k>:Á4£:

⑴ k<:Á4£: ⑵ k=:Á4£: ⑶ k>:Á4£:

130

이차방정식 xÛ`-2(k-1)x+kÛ`-5k+4=0이 실근 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4;D;=(k-1)Û`-(kÛ`-5k+4)¾0

3k-3¾0 ∴ k¾1 k¾1

131

(k-1)xÛ`+2kx+k-1=0이 이차방정식이므로

k-1+0 ∴ k+1 yy ㉠

이차방정식 (k-1)xÛ`+2kx+k-1=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4;D;=kÛ`-(k-1)Û`>0

2k-1>0 ∴ k>;2!; yy ㉡

㉠, ㉡에서 ;2!;<k<1 또는 k>1

;2!;<k<1

또는

k>1

132

이차방정식 xÛ`+2(k+a)x+kÛ`+6k+b=0이 중근 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4;D;=(k+a)Û`-(kÛ`+6k+b)=0

∴ (2a-6)k+aÛ`-b=0 이 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2a-6=0, aÛ`-b=0 ∴ a=3, b=9

∴ a+b=12 12

133

주어진 식이 이차식이므로 k-2+0 ∴ k+2

확인체크 익히기

⑷ b a-1 + a

b-1 =b(b-1)+a(a-1) (a-1)(b-1)

= aÛ`+bÛ`-a-bab-a-b+1

=(a+b)Û`-2ab-(a+b) ab-(a+b)+1

= 3Û`-2_4-34-3+1 =-2 2

=-1

⑸ b aÛ` +a

bÛ` =aÜ`+bÜ`

aÛ`bÛ` =

(a+b)Ü`-3ab(a+b) (ab)Û`

= 3Ü`-3_4_3

4Û` =-;1»6;

⑴ 12 ⑵ 5 ⑶ 11

⑷ -1 ⑸ - 9 16

140

이차방정식 xÛ`+4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4, ab=-2

또한, 이차방정식에 두 근 a, b를 대입하면 aÛ`+4a-2=0, bÛ`+4b-2=0이므로 aÛ`=-4a+2, bÛ`=-4b+2

(aÛ`+a-1)(bÛ`+b-1)

=(-4a+2+a-1)(-4b+2+b-1)

=(-3a+1)(-3b+1)

=9ab-3(a+b)+1

=9_(-2)-3_(-4)+1

=-5 -5

141

이차방정식 axÛ`+2x+b=0의 두 근이 -1, 13 이므 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3!;=-;a@;, -1_;3!;=;aB;

∴ a=3, b=-1

따라서 이차방정식 bxÛ`+ax+a-b=0의 두 근의 곱은 a-bb =3-(-1)

-1 =-4 -4

⑶ xÛ`-(1-'5+1+'5)x+(1-'5)(1+'5)=0 ∴ xÛ`-2x-4=0

⑷ xÛ`-(3+i+3-i)x+(3+i)(3-i)=0 ∴ xÛ`-6x+10=0

⑴ xÛ`-10x+24=0 ⑵ xÛ`-3x-10=0

⑶ xÛ`-2x-4=0 `⑷ xÛ`-6x+10=0

137

두 근이 -7, -2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Û`-{(-7)+(-2)}x+(-7)_(-2)=0

∴ xÛ`+9x+14=0

이때 xÛ`의 계수가 3이므로 각 항에 3을 곱하면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3xÛ`+27x+42=0 3xÛ`+27x+42=0

138

⑴ xÛ`-x-3=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x= 1Ñ'1Œ3

2

∴ xÛ`-x-3={x- 1+'1Œ32 }{x- 1-'1Œ32 }

⑵ xÛ`+9=0에서 xÛ`=-9 ∴ x=Ñ3i ∴ xÛ`+9=(x-3i)(x+3i)

{x- 1+'1Œ32 }{x- 1-'1Œ32 }

⑵ (x-3i)(x+3i)

139

이차방정식 xÛ`-3x+4=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3, ab=4

⑴ aÛ`b+abÛ`=ab(a+b)=4_3=12

⑵ aÛ`+ab+bÛ`=(a+b)Û`-ab=3Û`-4=5

⑶ (2a-1)(2b-1) =4ab-2(a+b)+1

=4_4-2_3+1=11

다른풀이

xÛ`-(a+1)x+a=0에서 (x-1)(x-a)=0 ∴ x=1 또는 x=a 한 근이 다른 근의 3배이므로 1_3=a 또는 a_3=1

∴ a=3 또는 a=;3!;

145

두 근의 비가 2`:`5이므로 두 근을 2a, 5a`(a+0)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a+5a=7, 2a_5a=k

∴ a=1, k=10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kx-2k+3=0의 두 근의 곱은 -2k+3=-2_10+3=-17 -17

146

이차방정식 2xÛ`-5x+4=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 ab=2

두 근 a+1, b+1의 합과 곱을 구하면 (a+1)+(b+1)=a+b+2=;2%;+2=;2(;

(a+1)(b+1) =ab+a+b+1

=2+;2%;+1= 112

따라서 a+1, b+1을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2 인 이차방정식은

2 {xÛ`-;2(;x+;;Á2Á;;}=0 ∴ 2xÛ`-9x+11=0 2xÛ`-9x+11=0

147

이차방정식 xÛ`+5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5, ab=2 두 근 1

aÛ` , 1

bÛ` 의 합과 곱을 구하면 aÛ`1 + 1bÛ` =aÛ`+bÛ`

aÛ`bÛ` =(a+b)Û`-2ab (ab)Û`

=(-5)Û`-2_2 2Û` =:ª4Á:

142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a, ab=b yy ㉠ 또,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a-1, b-1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1)+(b-1)=a, (a-1)(b-1)=-b

∴ a+b-2=a, ab-(a+b)+1=-b yy ㉡

㉠을 ㉡에 대입하면 -a-2=a, b+a+1=-b

∴ a=-1, b=0 a=-1, b=0

143

두 근의 차가 4이므로 두 근을 a, a+4라 하면 근과 계 수의 관계에 의하여

a+(a+4)=k-2 yy ㉠

a(a+4)=k+2 yy ㉡

㉠에서 a=;2K;-3을 ㉡에 대입하면

{;2K;-3}{;2K;+1}=k+2, (k-6)(k+2)=4(k+2) kÛ`-8k-20=0, (k+2)(k-10)=0

∴ k=-2 또는 k=10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2+10=8 8

144

한 근이 다른 근의 3배이므로 두 근을 a, 3a`(a+0)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3a=a+1 yy ㉠, a_3a=a yy ㉡

㉠에서 a= a+14 을 ㉡에 대입하면 a+14 _

3(a+1) 4 =a 3(a+1)Û`

16 =a, 3(aÛ`+2a+1)=16a 3aÛ`-10a+3=0, (3a-1)(a-3)=0

∴ a=;3!; 또는 a=3 ;3!;, 3

확인체크 익히기

문서에서 2020 개념원리 수학(상) 답지 정답 (페이지 24-31)